KR102210488B1 -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488B1
KR102210488B1 KR1020200103737A KR20200103737A KR102210488B1 KR 102210488 B1 KR102210488 B1 KR 102210488B1 KR 1020200103737 A KR1020200103737 A KR 1020200103737A KR 20200103737 A KR20200103737 A KR 20200103737A KR 102210488 B1 KR102210488 B1 KR 10221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prefabricated
insul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나이스레이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레이저(주) filed Critical 나이스레이저(주)
Priority to KR102020010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06B2003/2632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with additional prefab insulating materials in the hollow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조립에 의하여 유리벽체를 고정하며, 단열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유리벽체의 실내 및 실외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복수의 프레임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열부재와 복수의 단열부재를 연결하며,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교차단재와 열교차단재 내부에 수용되며, 유리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Assembly Type Insulation Windows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의 조립에 의하여 유리벽체를 고정하며, 단열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하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좌우양단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수직바; 상기 수평바와 수직바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상의 내부에 배치되되, 밀폐된 공기층으로 이루어진 중공층(s)을 사이에 두고,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에 배치되는 내부커튼월과 외부커튼월; 및 상기 수직바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단열층을 이루는 제1아존층 및 제2아존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제1아존층 및 제2아존층에 의해서, 외측수직바와 중간수직바와 내측수직바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존 단열층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건물구조체에 수평 및 수직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유리창을 지탱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튼월 시스템용 창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측 부위인 지지구조물 간의 대향측 부위에는 지지구조물의 일부가 수용되는 포켓부가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이 포켓부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중앙 부위로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 장착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조물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장착돌부의 장착홈 내로 수용되어 장착되는 장착돌기를 갖는 금속지지체와, 단열 재질로 형성되면서 상기 금속지지체의 외부를 덮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일부가 상기 포켓부 내로 수용되면서 상기 금속지지체를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하는 단열커버체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유리벽구조체가 구비되고, 유리벽 지지부에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단열재를 삽설하여 내측 지지부와 외측지지부 또는 내측 지지부와 유리벽 지지부를 분절시켜 프레임의 열전도율을 차단시킴으로써, 단열성능을 발휘하는 커튼월 창호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 창호의 프레임은 중공(中孔) 형상의 내측 지지부와 합성수지계 단열재가 다수개로 구비되어 측면 마감재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리벽 지지부와 건축물 외부에 노출되어 유리벽 구조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외측 지지부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계의 측면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사각의 구획부를 형성하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다수의 골조와, 상기 구획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커튼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골조는 전면판과 후면판을 포함하고 전면판의 길이방향의 단부와 후면판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길이방향의 측판을 포함하는 사각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골조의 후면판과 한 쌍의 측판의 외주면에는 후면부재 및 한 쌍의 측면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단열부재가 고정수단을 통해 밀착 고정되며, 상기 단열부재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단열 공기실이 형성되고, 상기 골조의 전면판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유리패널의 둘레단부의 전면을 눌러주는 유리패널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377372 B1 (등록일자 2014년03월17일) KR 10-1907132 B1 (등록일자 2018년10월04일) KR 10-1242739 B1 (등록일자 2013년03월05일) KR 10-1623939 B1 (등록일자 2016년05월18일)
일반적으로, 커튼월이라 불리우는 창호는 건물의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 사이에 외부로부터 건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유리벽체와 같은 마감재가 삽입된 창호프레임구조체를 일컫는다. 최근에는 빌딩 등의 건축구조물이 고층화 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기 위해 커튼월과 같은 제작이 쉽고 규격화된 프레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커튼월은 하중을 받는 기둥 및 보 등 주요구조부재와는 다르게 구조부재 사이에서 위치되어 비, 바람, 고온, 저온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며, 통상적으로는 하중을 받지 않는 커튼과 같은 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창호프레임은 통상적으로 공장에서 규격형태로 대량 제작되어 현장 시공을 하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경량화 및 시공에 따른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는데 효과적이고, 결론적으로는 경제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창호프레임 및 창호프레임에 적용되는 유리벽체의 단열 성능에 따라 건축물에 사용되는 에너지 손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공용중 구조물 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그 용처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창호프레임은 통상 알루미늄,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는데, 열전도성이 높아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겨울의 경우 결로 등 에너지 손실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기 쉬웠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호프레임을 분할하여 효과적인 단열소재 및 형상으로 한정된 내외부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서 단열성능을 개선하고 결로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유리벽체(10)의 실내 및 실외에 형성되는 프레임(100);, 복수의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열부재(200);, 복수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연결하며,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교차단재(300); 상기 열교차단재(300) 내부에 수용되며, 유리벽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실외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외프레임(110); 실내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내프레임(12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실내프레임(120)에 형성되며, 실내측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30);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단열부재(200)에 형성되며, 외기의 전도를 차단하는 차단부(210); 상기 열교차단재(300)가 걸리는 걸림부(2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내부를 분할하는 다층의 중공격벽(310); 상기 중공격벽(310)을 관통하며, 상기 단열부재(200) 방면으로 연장되는 연장기둥(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의 삽입되는 위치에서 양단이 확장되는 확폭부(350);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는 함입부(36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프레임(100);, 단열부재(200);, 열교차단재(300);, 지지부재(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열교차단재(300)와 유리벽체(10)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탄성블록(50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에 사용되는 창호 프레임에 관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열교차단재 및 단열부재, 프레임의 구성을 분할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열교차단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내외부 프레임 형상을 결합할 수 있고, 열교차단재 재료 및 형상 한정을 통해 단열 효율 및 경제성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군의 창호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의 사시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유리벽체(10)의 실내 및 실외에 형성되는 프레임(100); 복수의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열부재(200); 복수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연결하며,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교차단재(300); 상기 열교차단재(300) 내부에 수용되며, 유리벽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스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200)와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열 전도율이 낮은 PE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olyimide)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한쌍의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며, 유리벽체(10)의 폭방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유리벽체(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철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실내 외 공간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형성되어 대류 및 전도 현상에 의한 열전도 및 빗물, 바람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창호프레임은 단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열교차단재(300)와 열교차단재(3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기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프레임(100) 구성의 형상을 확대하며, 구조적 역할을 하는 단열부재(2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열부재(200)의 외측에 프레임(100)이 형성되어 유리벽체(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재(200)와 프레임(100)은 유리벽체(10)의 실내 및 실외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열교차단재(300)에 체결되어 유리벽체(10)를 고정한다. 열교차단재(300)는 한쌍의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며, 실내와 실외에 형성되는 단열부재(200) 및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역할과 동시에 열전도 및 대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비된다. 열교차단재(300)와 단열부재(200)는 PVC계열의 합성수지재가 적용이 되는데, PE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olyimide)와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한정이 가능하다. 또한 단열성능이 높을수록 재료의 단가가 비싼 점을 고려하여 재료 형성 시 격벽을 통한 중공부를 두는 것으로 최적의 단열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차단재(300)는 단열부재(200)에 일부 끼움 삽입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는데, 이는 내부 및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열전도 시 온전히 열교차단재(300)를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단열부재(200)는 프레임(100)이 일부 끼움 삽입되는 것으로 단열부재(200)의 교환 및 파손이 발생할 때 단열부재(200)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호프레임은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단열부재(200), 프레임(100), 열교차단재(300)가 서로 조립됨에 따라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조립이 원활하도록 서로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실외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외프레임(110); 실내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내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단열홀(160);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단열홀(160)에 형성되며, 등간격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단열홀(160)을 구획하는 구획판(161);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내측에서 상기 단열부재(200) 방면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140);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140)는 일단부가 양측면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판(141);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50);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200)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기(150)가 안착되는 안착홈(201); 상기 체결돌기(140)가 삽입되는 삽입홈(2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단열부재(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에 대한 것이다. 프레임(100)은 유리벽체(10)를 중심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내프레임(120)과 실외프레임(110)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미관이 미려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단열홀(160)이 형성됨에 따라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단열홀(160)은 복수의 구획판(161)에 의하여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구획판(161)은 단열홀(16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기가 유입될 때 대기에 의한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구획판(161)에 의하여 프레임(10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0)은 단열부재(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중심에서 내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단열부재(200)에 억지끼움되는 체결돌기(140)가 형성된다. 체결돌기(140)는 연장판(141)이 일단부에서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며, 연장판(141)은 사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단열부재(200)의 삽입홈(202)에 원활히 삽입되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내측 양측면에는 안착돌기(150)가 타원 및 사선으로 형성되어 단열부재(200)에 형성되는 안착홈(201)에 안착된다. 안착홈(201)은 안착돌기(150)와 동일하거나 타방향의 사선으로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100)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후 간단히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100)은 유리벽체(10)의 실내측과 실외측에 형성되며, 창호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며, 미관을 미려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단열부재(200)에 간단히 체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실내프레임(120)에 형성되며, 실내측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30);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내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131); 상기 접합부(131)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철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30)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70); 상기 고정볼트(170)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커버(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실내프레임(120)에 형성되어 유리벽체(1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30)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130)은 내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열홀(160)과 구획판(161)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30)은 내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접합부(131)와 보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고정부는 내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복수로 형성됨에 따라 보강부재를 고정한다. 이때, 보강부재는 철재로 형성되어 접합부(131)의 내측면에 복수로 형성되거나 접합부(131)의 내부에 사선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가 고정프레임(130)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하여 유리벽체(10) 및 창호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200)에 형성되며, 외기의 전도를 차단하는 차단부(210); 상기 열교차단재(300)가 걸리는 걸림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210)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210)를 복수로 분할하는 분할판(211);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211)은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단열부재(200)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열교차단재(300)가 관통하는 관통홀(221);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2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교차단재(30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230);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200)와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며,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시트(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탄성시트(240)는 고감쇠 고무재료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할판(211) 사이에 발포소재를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단열부재(200)는 열교차단재(30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열교차단재(3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단열부재(200)는 프레임(100)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열교현상을 차단하기 위하여 금속 및 단열성능이 확보된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부재(200)는 프레임(100)에 의하여 전도되는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부(210)와 열교차단재(300)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차단부(210)는 단열부재(200)의 내부에서 수평 및 수직으로 형성되는 분할판(211)에 의하여 단열홀(160)이 분할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부(210)의 내부에는 발포소재가 충진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음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부(220)는 후술되는 열교차단재(300)의 확폭부(350)가 삽입된 후 걸리도록 관통홀(221)이 형성되며, 관통홀(221)과 이격되는 위치에 열교차단재(300)가 안착되는 안착공간(23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열부재(200)는 열교차단재(300)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제작 및 다양한 샷시 프레임(100)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간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제품을 다양화 하기 위한 목적에 기인한다. 또한, 단열부재(200)는 유리벽체(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유리벽체(10)와의 사이에 탄성시트(2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는 감봉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단열부재(200) 사이에서의 유리벽체(10)의 진동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시트(240)는 고감쇠 고무재료로 형성되어, 보다 진동에 효과적인 감쇠 능력을 발현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내부를 분할하는 다층의 중공격벽(310); 상기 중공격벽(310)을 관통하며, 상기 단열부재(200) 방면으로 연장되는 연장기둥(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연장기둥(320)에서 실내 및 실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30); 상기 돌출기둥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사부(34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340)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상기 단열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경사부(340)는 탄성변형되어 단열부재(200)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외측 골격은 열교차단재(300)의 내측 골격보다 두꺼운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열교차단재(300)는 내부가 분할되는 다층의 중공격벽(310)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격벽(310)을 관통하여 단열부재(200) 방향으로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연장기둥(320)을 형성하다. 그리고 연장기둥(320)이 열교차단재(300)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고, 돌출부(330) 단부가 열교차단재(300)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경사부(340)는 삽입되는 단열부재(200)의 내면에 삽입되어 확대되는 것으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결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사부(340)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단열부재(200)에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결합단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는 이탈이 방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열교차단재(300)의 돌출부(330) 및 경사부(340)는 탄성 변형되게 제작되어 단열부재(200)에 직접 수직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하중 지지의 구조적 기능을 동시에 겸하기 위해 중공격벽(310)을 포함한 단면의 두께를 한정해야 하는데, 고가의 재료적 특성을 고려하여 외측 골격을 두껍게 형성하고, 내측 골격을 외측골격보다 얇게 구비하는 것으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중공격벽(310)에는 발포소재를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8)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7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복수개의 중공격벽(310)에는 서로 다른 재질의 발포소재를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9)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8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중공격벽(310)에는 파이버 글라스폼(Fiber glass foam), 발포우레탄(Poly urethane foam), 에어로젤(Silica aerogel) 중 선택된 하나를 충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중공격벽(310)에는 발포소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대표적인 발포우레탄, 파이버 글라스 폼과 에어로젤(Silica aerogel)등 단열성능이 뛰어난 소재를 충진, 삽입하는 것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젤은 굉장히 딱딱하고 가벼운 물질로서 98.2%가 기체로 형성된다. 에어로젤은 수 많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져 있는데 밀도가0.003g/㎥으로 매우 낮다. 따라서 텅 빈 구조 때문에 열의 3가지 전달 방법인 대류, 복사, 전도가 매우 낮아 단열효과가 매우 높다. 통상 단열재로 사용되는 에어로젤은 실리카겔(Silica aerogel)로, 이는 규소 원자 자체가 다른 금속이나 탄소보다 훨씬 열 전도성이 낮기 때문이다.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중공격벽(310)에 서로 다른 재료의 발포소재를 충진하는 것으로 단열성능 및 경제성 향상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교차단재(300) 양단의 중공격벽(310)에 발포우레탄을 충진하고, 내측 중앙부에는 파이버 글라스 폼을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발포우레탄이 충진되는 중공격벽(310)과 파이버 글라스 폼이 충진되는 중공격벽(31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중공격벽(310)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10)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폴리아미드;로 제작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11)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5-10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폴리아미드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통상의 단열재료인 아존인 것을 포함한다. 이는 우레탄, 또는 PVC형태의 재료인 것으로 단열부재(200) 및 프레임(100) 대비 단열성능이 뛰어난 재료를 활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아존은 폴리아미드 재료로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아미드는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온도환경에 따른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열교차단재(300) 자체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기존 아존재질의 열교차단재(300)의 일부에 필름층 형상으로 일체화 제작될 수 있다. 예를들어 PVC재질의 아존을 형성하되 폴리아미드 필름층이 한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의 삽입되는 위치에서 양단이 확장되는 확폭부(350);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는 함입부(36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중공격벽(310)은 확폭부(350)의 단부에서 함입부(36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중공격벽(310)은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중공격벽(310)은 절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360)에 형성되며, 대류를 차단하는 대류차단막(37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차단재(300)는 단열부재(200)에 결합면적 확보를 위해 양단이 확장되는 확폭부(350)를 형성한다. 확폭부(350)는 단열부재(200)에 끼워맞춰지는 것으로 체결이 되고, 결합 단면적이 커질 수록 결합성이 향상된다. 열교차단재(300)의 확폭부(350) 사이에는 열전도에 실질적인 효과를 가름하는 함입부(360)가 구비되고, 단열부재(200)는 열교차단재(300)의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열교차단재(3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중공격벽(310)을 형성하는데, 이는 전도되는 온도의 영향을 단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열교차단재(300) 내에는 다수의 중공격벽(310)을 구비할 수 있는데, 형성되는 중공격벽(310)을 상기 확폭부(350) 단부에서 함입부(36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조밀하게 형성하는 것으로 전도의 영향을 단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 중공격벽(310)은 투영단면 대비 넓은 면적을 확보함으로서 열전도 시간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아치 또는 절곡형 등 동일 투영면적대비, 최대의 단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교차단재(300)와 유리벽체(1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공기층을 통한 대류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대류 차단막이 열교차단재(300)의 함입부(360)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와 유리벽체(10)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탄성블록(500);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록(500)은 고감쇠 고무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외벽에 형성되는 창호프레임의 구성으로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의 함입부(360) 측에는 탄성블록(500)을 구비한다. 이는 함입부(360) 영역에 위치되는 유리벽체(10)의 지지를 위한 것으로, 풍하중, 지진하중 등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진동등 변형을 제어하기 위해 탄성블록(500)을 추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적용되는 탄성블록(500)은 고감쇠 고무재료로 제작되어 진동에 따른 감쇠능력을 일반적인 탄성재료보다 높게 향상시킬 수 있다.
10: 유리벽체 100: 프레임
110: 실외프레임 120: 실내프레임
130: 고정프레임 131: 접합부
140: 체결돌기 141: 연장판
150: 안착돌기 160: 단열홀
161: 구획판 170: 고정볼트
180: 고정커버 200: 단열부재
201: 안착홈 202: 삽입홈
210: 차단부 211: 분할판
220: 걸림부 221: 관통홀
230: 안착공간 240: 탄성시트
300: 열교차단재 310: 중공격벽
320: 연장기둥 330: 돌출부
340: 경사부 350: 확폭부
360: 함입부 370: 대류차단막
400: 지지부재 500: 탄성블록

Claims (7)

  1. 유리벽체(10)의 실내 및 실외에 형성되는 프레임(100);,
    복수의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열부재(200);,
    복수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연결하며, 외기가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교차단재(300);
    상기 열교차단재(300) 내부에 수용되며, 유리벽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단열부재(200)에 형성되며, 외기의 전도를 차단하는 차단부(210);
    상기 열교차단재(300)가 걸리는 걸림부(220);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내부를 분할하는 다층의 중공격벽(310);
    상기 중공격벽(310)을 관통하며, 상기 단열부재(200) 방면으로 연장되는 연장기둥(320);를 포함하는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실외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외프레임(110);
    실내에 형성되는 상기 단열부재(200)에 체결되는 실내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프레임(120)에 형성되며, 실내측의 상기 단열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130);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에 형성되며, 상기 단열부재(200)의 삽입되는 위치에서 양단이 확장되는 확폭부(350);
    유리벽체(10) 사이에 형성되는 함입부(360);를 포함하는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차단재(300)와 유리벽체(10)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탄성블록(500);을 포함하는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1020200103737A 2020-08-19 2020-08-19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10221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37A KR102210488B1 (ko) 2020-08-19 2020-08-19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737A KR102210488B1 (ko) 2020-08-19 2020-08-19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488B1 true KR102210488B1 (ko) 2021-02-01

Family

ID=7457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737A KR102210488B1 (ko) 2020-08-19 2020-08-19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70B1 (ko) * 2021-01-08 2022-04-0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39B1 (ko) 2012-05-30 2013-03-18 김병수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101377372B1 (ko) 2011-11-30 2014-03-26 (주)엘지하우시스 아존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71088B1 (ko)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금속 단열창호
KR101623939B1 (ko) 2013-07-09 2016-05-24 주식회사 효성금속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101678033B1 (ko) * 2015-11-26 2016-11-21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KR101907132B1 (ko) 2017-03-31 2018-10-11 제정원 단열과 하중을 보강한 커튼월 시스템용 창틀 조립체
KR102064708B1 (ko) * 2019-05-27 2020-02-12 (주)성일공업 단열구조 및 시공효율이 개선된 단열창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372B1 (ko) 2011-11-30 2014-03-26 (주)엘지하우시스 아존 단열층을 구비한 이중외피 커튼월
KR101242739B1 (ko) 2012-05-30 2013-03-18 김병수 단열성능이 개선된 고단열 커튼월 창호
KR101623939B1 (ko) 2013-07-09 2016-05-24 주식회사 효성금속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KR101465396B1 (ko) * 2014-04-24 2014-11-25 장정일 단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창호 프레임 및 그 조립 방법
KR101471088B1 (ko)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금속 단열창호
KR101678033B1 (ko) * 2015-11-26 2016-11-21 주식회사 한솔에이치더블유디 유리 커튼월의 설치구조
KR101907132B1 (ko) 2017-03-31 2018-10-11 제정원 단열과 하중을 보강한 커튼월 시스템용 창틀 조립체
KR102064708B1 (ko) * 2019-05-27 2020-02-12 (주)성일공업 단열구조 및 시공효율이 개선된 단열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470B1 (ko) * 2021-01-08 2022-04-01 주식회사 경원알미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478B1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방법
US2885040A (en) Curtain wall construction
KR101527077B1 (ko) 단열 커튼월 창호 시스템
US4631884A (en) Building system
US4364216A (en) Structural unit in the form of a profiled bar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KR101939898B1 (ko) 간단한 연결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시공방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커튼월.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101235718B1 (ko)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2048785B1 (ko) 친환경 복합 커튼월
KR101172391B1 (ko)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KR102210488B1 (ko) 조립식 단열 창호프레임
KR101161726B1 (ko) 장식판을 가진 단열패널
KR102040634B1 (ko) 단열구조가 보강된 커튼월
KR20210081503A (ko) 멀티형 커튼 월
KR102126906B1 (ko) 단열성과 시공성이 개선된 창호구조
KR102255116B1 (ko) 커튼월의 내진 결합구조
KR20220084768A (ko) 단열 커튼월
KR102433263B1 (ko) 그리드 쉘 구조물의 노드 조인트
KR102220370B1 (ko) 커튼월의 내진 연결구조
KR20200142149A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WO2014130996A1 (en) Intermediate divider within an exterior wall unit
KR20240022125A (ko) 슬림 커튼월 시스템
KR101740550B1 (ko) 단열복합 커튼 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