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64Y1 - 창호용 단열프레임 - Google Patents

창호용 단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64Y1
KR200474464Y1 KR2020140002639U KR20140002639U KR200474464Y1 KR 200474464 Y1 KR200474464 Y1 KR 200474464Y1 KR 2020140002639 U KR2020140002639 U KR 2020140002639U KR 20140002639 U KR20140002639 U KR 20140002639U KR 200474464 Y1 KR200474464 Y1 KR 200474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frame
window
reinforcing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득
Original Assignee
변상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득 filed Critical 변상득
Priority to KR2020140002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2Snap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효과가 높으며,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및 창호용 기둥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창호용 단열 프레임은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내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아존 영역과 내부가 빈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용 단열프레임{Adiabatic frame for windows}
본 고안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효과가 높으며,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및 창호용 기둥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근자에는 한 장의 유리를 갖는 창호는 단열 및 방음 성능이 좋지 못하므로 어느 정도의 단열이나 방음이 요구되는 관공서나 학교, 병원, 상가 등의 현관에 시공되는 창호에는 대부분 페어글라스와 같은 이중유리를 사용한다.
상기 이중유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창호용 프레임은 도어나 창, 실내의 내부 칸막이 등을 시공할 때 통상 사각틀로 짜여지고, 이 사각체의 내부 영역에는 상기 이중유리가 설치되거나 또는 출입을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11217호(발명의 명칭: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 프레임)은 휨 방지부(111a)가 형성된 외면부(111) 및 내면부(112)가 측면부(113)의 양단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면부(112)의 일측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커넥팅판(114)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입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판(114)의 선단에 걸림돌기(116)가 각각 마주하도록 절곡 형성된 한 쌍의 ㄷ형 보강프레임(110)(110a)과; 상기 커넥팅판(114) 및 커넥터 삽입부(115)를 제외한 내면부(112), 측면부(113), 외면부(111) 및 휨 방지부(111a)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프레임(120)(120a)과;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110)(110a)의 마주하는 커넥터 삽입부(115)에 양측이 끼움 조립되고, 양면에 각각 걸림돌기(116)가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홈(131)이 이격상태로 함몰 형성된 열전도방지 커넥터(130)와; 상기 외장프레임(120)(120a) 간의 마주하는 대응면(121)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풍수단(140)(160)으로 이루어진 세로 단열프레임(1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효과를 갖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144649호(발명의 명칭: 창호용 단열프레임)일측에 연결요부(311)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연결요부(311)의 선단에 아존 충진실(312)이 형성되며, 상기 아존 충진실(312)의 선단에는 아존 주입구(313)가 개방 형성된 보강프레임(310)과; 상기 아존 충진실(312)에 충진 설치된 아존 단열재(320)와; 상기 아존 주입구(313)와 대향된 밀폐면(314)의 중앙에 상기 아존 단열재(320)의 설치 후 커팅작업을 통해 절개형성되는 열전도방지 절개부(330)와; 상기 연결요부(311)의 일측 내면(311a)과 보강프레임(310)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감싸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외장 프레임(340)(340a)과; 상기 한 쌍의 외장프레임(340)(340a)이 상호 마주하는 접합면(342)의 사이에 접합 설치되는 실리콘 접합부(350)로 이루어진 세로 단열프레임(30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창호용 단열프레임은 여전히 단열 효과가 높지 않으며, 결로 현상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을 스테인리스로 제작하는 경우, 결로 인해 스테인리스에 녹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열 효율이 높은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창호용 단열프레임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창호용 단열 프레임은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내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아존 영역과 내부가 빈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프레임 부재 내부에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아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단열 효과가 높고 결로가 발생하지 않은 창호용 프레임 부재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통공으로 구성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아존 영역과 더불어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적용된 창호의 시공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기둥 단열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가로 단열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적용된 창호의 시공 상태도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창호용 단열프레임이 적용된 창호의 시공 상태도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단열프레임이 적용된 창호는 벽체에 인접하여 강화유리 도어가 설치된 창호를 시공하기 위한 골격을 이루는 다양한 단열프레임(100)이 존재한다. 즉, 단열프레임(100)은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 단열 프레임과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단열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또한, 세로 단열 프레임을 일측은 창호와 밀착된, 타측은 벽체와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단열 프레임과, 양측 모두 창호와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단열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둥(세로) 단열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둥 단열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기둥 단열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 부재(200), 외측 프레임 부재(210), 내측 프레임 부재(200)와 외측 프레임 부재(210)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 부재(220), 삽입 프레임 부재(230)으로 구성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200)는 벽체와 밀착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200)의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두 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분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200)의 형상은 'ㄴ'자 형상을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내측 프레임 부재(200)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부재(202), 제1 부재(202)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 부재(204)로 구분된다. 물론 제2 부재(204)의 길이는 제1 부재(202)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
외측 프레임 부재(210)는 내측 프레임 부재(20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창호와 밀착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210) 역시 내측 프레임 부재(200)와 동일하게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갖는 두 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분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2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갖는다. 외측 프레임 부재(210)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a 부재(212), 제a 부재(212)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b 부재(214), 제b 부재(214)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c 부재(216), 제c 부재(216)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d 부재(218), 제d 부재(218)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e 부재(219)로 구분된다. 물론 제a 부재(212)의 길이와 제b 부재(214)의 길이 및 제e 부재(219)의 길이는 제c 부재(216)의 길이, 제d 부재(218)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또한, 내측 프레임 부재의 제1 부재(202)의 일부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a 부재(212)의 일부는 서로 밀착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 부재(200)와 외측 프레임 부재(210) 사이에 위치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아존 영역을 중심으로 2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다. 즉, 두 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사이에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아존 영역(A)이 위치한다. 아존 영역(A)은 실내의 열이 실외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결로 현상 방지 및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효과를 배가시킨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삽입 프레임 부재(230)가 삽입되는 반원 형상의 홈부(229)를 형성하다. 이외에도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보강 프레임 부재는 내부가 빈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차단부(228)를 형성하며, 차단부(228)는 이격된 내측 프레임 부재(200)의 종단에 밀착되어 내측 프레임 부재(20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보강 프레임 부재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외측 프레임 부재(210)의 제d 부재(218)에 밀착되는 제 C부재(223)와 내측 프레임 부재(200)의 제2 부재(204)에 밀착되는 제A 부재(221)를 포함한다. 제A 부재(2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 부재(200)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228)를 형성한다.
또한,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제C 부재(223)의 중앙과 제A 부재(221)의 일측 종단을 연결하는 제B 부재(222)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제A 부재(221)의 중앙과 제C 부재(223)의 종단을 연결하는 제D 부재(224)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제A 부재(221) 내지 제C 부재(223)는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반면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제D 부재(224)는 직선 이외에 홈부(227)를 형성하기 위한 곡선 형태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제D 부재(224)의 일부는 외측 프레임 부재(210)의 제d 부재(218)에 밀착되며, 밀착된 지점의 종단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홈부(227)를 형성한다. 이후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제D 부재(224)는 내부에 아존 영역(A)을 형성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아존 영역을 형성한다. 물론 아존 영역(A)에 인입되는 폴리우레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 부재(220)는 돌기부(229)를 형성한다.
삽입 프레임 부재(230)는 'ㄷ' 형태로 구성되며, 양 측 종단에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홈부(227)에 인입되는 돌출부(232)를 형성한다. 물론 삽입 프레임 부재(2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삽입 프레임 부재(230)의 돌출부가 보강 프레임 부재(220)의 홈부(227)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인입된 이후에는 인위적인 힘의 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로 단열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로 단열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가로 단열 프레임은 내측 프레임 부재(300), 외측 프레임 부재(310), 내측 프레임 부재(300)와 외측 프레임 부재(310)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 부재(320)로 구성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300)는 벽체와 밀착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300)의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된 두 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분된다. 내측 프레임 부재(300)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부재(302), 제1 부재(302)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 부재(304), 제2 부재(304)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3 부재(306), 제3 부재(306)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4 부재(308)로 구분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310)는 내측 프레임 부재(30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창호와 밀착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310) 역시 내측 프레임 부재(300)와 동일하게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갖는 두 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분된다. 외측 프레임 부재(310)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을 갖는다.
외측 프레임 부재(310)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a 부재(312), 제a 부재(312)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b 부재(314), 제b 부재(314)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c 부재(316), 제c 부재(316)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d 부재(317), 제d 부재(317)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e 부재(318), 제e 부재(318)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f 부재(319)로 구분된다. 물론 제a 부재(312)의 길이와 제b 부재(314)의 길이 및 제f 부재(319)의 길이는 제c 부재(316)의 길이, 제d 부재(317)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다.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d 부재(317)과 내측 프레임 부재의 제2 부재(304)는 밀착되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a 부재(312)와 내측 프레임 부재의 제1 부재(302)의 일부가 밀착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 부재(300)와 외측 프레임 부재(310) 사이에 위치하며,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아존 영역을 중심으로 2개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다. 즉, 두 개의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된 보강 프레임 부재(320)의 사이에는 고강도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되는 아존 영역(A)이 위치한다. 아존 영역(A)은 실내의 열이 실외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결로 현상 방지 및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열 효과를 배가시킨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차단부(329)를 형성하며, 차단부(329)는 이격된 내측 프레임 부재(300)의 종단에 밀착되어 두 개의 내측 프레임 부재(30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보강 프레임 부재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C 부재(323)와 내측 프레임 부재(300)의 제4 부재(308)에 밀착되는 제A 부재(321)를 포함한다. 제A 부재(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 부재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329)를 형성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의 제C 부재(323)의 종단은 외측 프레임 부재(310)의 제e 부재(318)에 밀착된다.
또한,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C 부재(323)의 일측 종단과 제A 부재(321)의 일측 종단을 연결하는 제B 부재(322)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B 부재(322)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D 부재(324)를 포함하며, 제D 부재(324)의 일부는 외측 프레임 부재(310)의 제f 부재(319)에 밀착된다. 제D 부재(324)의 타측 종단으로부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e 부재(318)를 감싸도록 'ㄱ' 자 형태의 제E 부재(325)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A 부재(321)와 제D 부재(324)를 연결하는 제F 부재(326)를 포함하며, 제F 부재(326)의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 부재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단부(329)를 포함한다.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A 부재(321), 제B 부재(322), 제D 부재(324) 및 제F 부재(326)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한다.
이후 보강 프레임 부재(320)는 제A 부재(321), 제D 부재(324), 제E 부재(325)로 구성되는 내부 영역에 아존 영역(A)을 형성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태의 아존 영역을 형성한다. 물론 아존 영역에 인입되는 폴리우레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보강 프레임 부재는 돌기부(328)를 형성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00: 내측 프레임 부재 210: 외측 프레임 부재
220: 보강 프레임 부재 202: 제1 부재
204: 제2 부재 206: 제3 부재
212: 제a 부재 214: 제b 부재
216: 제c 부재 218: 제d 부재
219: 제e 부재 221: 제A 부재
222: 제B 부재 223: 제C 부재
224: 제D 부재 225: 제E 부재
226: 제F 부재 328: 돌기부
329: 차단부

Claims (5)

  1.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내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와 외측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된 아존 영역과 내부가 빈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을 형성하는 보강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부와 밀착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a 부재;
    상기 제a 부재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b 부재;
    상기 제b 부재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c 부재;
    상기 제c 부재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d 부재;
    상기 제d 부재의 종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 제e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 부재는,
    상기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d 부재에 밀착되는 제 C부재;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의 제2 부재에 밀착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두개의 내측 프레임 부재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A 부재
    상기 제C 부재의 중앙과 제A 부재의 일측 종단을 연결하는 제B 부재;
    제A 부재의 중앙과 제C 부재의 종단을 연결하는 제D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A 부재 내지 제C 부재는 직선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D 부재는 직선 형태 및 홈부 형성을 위한 곡선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D 부재의 일부는 외측 프레임 부재의 제e 부재에 밀착되며, 밀착된 지점의 종단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며,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 부재의 사이에 인입되는 삽입 프레임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단열프레임.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2639U 2014-04-01 2014-04-01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4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39U KR200474464Y1 (ko) 2014-04-01 2014-04-01 창호용 단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639U KR200474464Y1 (ko) 2014-04-01 2014-04-01 창호용 단열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059U Division KR200474496Y1 (ko) 2014-07-04 2014-07-04 창호용 단열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464Y1 true KR200474464Y1 (ko) 2014-09-17

Family

ID=5200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639U KR200474464Y1 (ko) 2014-04-01 2014-04-01 창호용 단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4B1 (ko) 2015-09-16 2016-02-12 주식회사 비제이 결로처리시스템을 둔 이중단열 커튼월
KR20190087926A (ko) * 2018-01-17 2019-07-25 이규원 연결편의 분리가 용이한 단열부재가 부가된 알루미늄 샤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404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알서스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KR101144649B1 (ko)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30074057A (ko) * 2011-12-26 2013-07-04 홍성주 폴딩도어용 결로방지 창문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9178A (ko) * 2012-08-06 2014-02-14 임식규 균일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404A (ko) * 2008-05-16 2009-11-19 주식회사 알서스 단열 구조를 갖는 출입문
KR101144649B1 (ko) 2011-01-24 2012-05-11 임식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130074057A (ko) * 2011-12-26 2013-07-04 홍성주 폴딩도어용 결로방지 창문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9178A (ko) * 2012-08-06 2014-02-14 임식규 균일성이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4B1 (ko) 2015-09-16 2016-02-12 주식회사 비제이 결로처리시스템을 둔 이중단열 커튼월
KR20190087926A (ko) * 2018-01-17 2019-07-25 이규원 연결편의 분리가 용이한 단열부재가 부가된 알루미늄 샤시
KR102072418B1 (ko) 2018-01-17 2020-03-02 이규원 연결편의 분리가 용이한 단열부재가 부가된 알루미늄 샤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101471088B1 (ko) 금속 단열창호
KR101506016B1 (ko) 단열성이 개선된 창호용 프레임
KR200474465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2839Y1 (ko) 창호용 가로 단열프레임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20110003998A (ko) 단열성능 개선을 위한 알루미늄 창호
KR101422815B1 (ko) 유리창 고정막대 고정구조의 스테인리스 단열창호 프레임
KR200474464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848856B1 (ko) 기밀 단열구조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62333B1 (ko) 창호의 코너용 단열프레임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932983B1 (ko) 커튼월 창호 시공 방법
KR200474496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200474463Y1 (ko) 창호용 기둥 프레임
KR200482936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763158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595219B1 (ko) 단열성 및 구조강도가 향상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608451B1 (ko) 도어용 단열 프레임
KR20150139404A (ko) 스테인레스 문틀 구조체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101080911B1 (ko) 창호의 중앙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