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975U -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 Google Patents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975U
KR20130001975U KR2020110008401U KR20110008401U KR20130001975U KR 20130001975 U KR20130001975 U KR 20130001975U KR 2020110008401 U KR2020110008401 U KR 2020110008401U KR 20110008401 U KR20110008401 U KR 20110008401U KR 20130001975 U KR20130001975 U KR 20130001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rail
guide wall
insulation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수
Original Assignee
윤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수 filed Critical 윤영수
Priority to KR2020110008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975U/ko
Publication of KR20130001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2Snap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two or more separate insulating zones alternating with metal sec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산성과 경량으로 인한 취급이나 시공의 용이성으로 최선의 소재로 선택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가장 취약 부분인 강한 열전도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전도가 되지않는 단열성이 강한 단열소재를 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온도와 내부의 온도의 교류를 차단하도록 한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구조에 관한 것으로, 창틀을 구성하는 샤시를 외부샤시와 내부샤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부샤시와 내부샤시 사이에 단열샤시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창틀의 구성하는 샤시를 내부가이드벽샤시와 외부가이드벽샤시와 레일샤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일샤시 양측의 내부가이드벽샤시와 외부가이드벽샤시 사이에 단열샤시를 일체로 결합하여 단열샤시가 복수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온도와 바깥온도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완벽한 단열을 이루도록 하여 주거공간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 결로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이들의 구성을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으로 성형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등 지금까지의 창틀샤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신규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Configuring the composite insulation layer sliding sash}
본 고안은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생산성과 경량으로 인한 취급이나 시공의 용이성으로 최선의 소재로 선택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가장 취약 부분인 강한 열전도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전도가 되지않는 단열성이 강한 단열소재를 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온도와 내부의 온도의 교류를 차단하도록 한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거문명이 발전하면서 외부와 차단되는 쾌적한 공간을 실현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건축하고 건축물 실내에서도 외부의 풍경을 감상하고 외부의 분위기를 쉽게 접촉하기 위한 투명소재로 된 창문을 구성하게 되는바, 이때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창틀의 소재는 최초에 목재로 사용되다 점점 발전하여 최근에는 압출성형성이 뛰어나 생산이 용이하고 경량으로 가벼워 취급이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화재시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알루미늄 합금을 주 소재로 사용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알루미늄 소재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성질로 인하여 창틀로서는 치명적인 단점을 안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외부의 온도나 소음이 내부로 전달되거나 내부의 온도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 단열성과 방음성을 최대로 향상시키는 것이 최대의 목적인 것으로 최근에는 창문을 구성하는 투명유리를 2장을 한 조로 구성하여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페어유리를 개발하여 창문을 구성하는 투명유리의 단열성과 방음성은 만족할 만한 수준을 얻었으나 투명유리를 잡아주는 창문틀과 벽체에 일부가 내설되어 고정되어 창을 구성하는 창틀의 단열성과 방음성은 향상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주거용 아파트, 주택, 사무실 등에 널리 사용되는 단열 창틀로 그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 등을 사용하고 그 내부에는 열전도율이 작은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이고 창틀이나 창문틀에 단열을 위한 단열재를 형성하기도 한다.
특허출원 제10-2009-0104549호(2009.10.30)는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이루어진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에 상호 인접하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레일부; 내측 레일부 및 외측레일부의 일측에 각각 구비된 열교차단재; 및 창틀 프레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단열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단열 패드;를 포함하는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을 구현한바, 이는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열교 차단재에 의해 단열성이 향상되고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창틀 프레임의 내측에 단열 패드 및 캡을 구비하여 창틀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단열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결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마감재는 제 2 걸림부 및 제 2 돌출부를 통해 탈착이 용이하여 다양한 표면을 갖는 마감재만을 교체하여 창틀을 교환하지 않고도 다양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출원 제10-2009-0005505호(2009.01.22)는 내측창 및 외측창으로 이루어진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창호의 창틀 프레임을 상호 인접하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로 이루어진 레일부; 및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의 일측에는 각각 열교차단재;를 포함하는 이중 열교차단재를 구비한 단열 시스템 창호의 창틀 프레임으로, 이는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는 상기 창틀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며, 내측 레일부 및 외측 레일부의 일측에는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창틀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구비된 내측 레일부의 상단 중심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 창문틀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이 돌출 형성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되어 사용되는 창틀은 알루미늄샤시의 외부를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소재로 코팅처리 하거나 시공시 알루미늄샤시의 양 측면에 단열성이 높은 단열재를 설치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창안된 상기 특허 또한 알루미늄사시의 내부공간에 단열재인 열교차단재를 주입 성형하여 단열층을 형성한 구조로 기존의 구성보다는 단열성이 뛰어날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연결된 알루미늄샤시를 통하여 전도되는 열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그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틀을 구성할 때 창틀을 구성하는 알루미늄샤시를 외측샤시와 내측샤시로 분리하여 제작하고 상기 외측샤시와 내측샤시의 사이에 단열성이 뛰어난 단열재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단열성이 뛰어난 창틀이나 창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틀을 구성하는 샤시를 외부샤시와 내부샤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기 외부샤시와 내부샤시 사이에 단열샤시를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하거나, 창틀의 구성하는 샤시를 내부가이드벽샤시와 외부가이드벽샤시와 레일샤시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상기 레일샤시 양측의 내부가이드벽샤시와 외부가이드벽샤시 사이에 단열샤시를 일체로 결합하여 단열샤시가 복수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창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창틀샤시를 분할하여 그 사이에 단열샤시를 일체로 결합하여 조립식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창틀을 구성함으로써 실내온도와 바깥온도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완벽한 단열을 이루도록 하여 주거공간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 결로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이들의 구성을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으로 성형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는 등 지금까지의 창틀샤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신규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구성상태를 예시한 분리도.
도2는 본 고안의 기본 구성상태를 예시한 결합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리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를 예시한 결합도.
도5는 본 고안의 단열샤시가 복수로 구성된 상태 분리도.
도6은 본 고안의 단열샤시가 복수로 구성된 상태 결합도.
도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단열재로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슬라이딩 단열복합 창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먼저 내부샤시(110)는 단면상 내부에 공간(112)을 형성한 바닥면 중앙에 요홈(113)을 형성하고 시공시 실외측인 도면상 우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11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111)의 상면에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밀폐부재결합홈(1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1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에는 레일(118)을 구성한 받침레일(11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다.
외부샤시(120)는 단면상 내부에 공간(122)을 형성한 바닥면 중앙에 요홈(123)을 형성하고 시공시 실내측인 도면상 좌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12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121)의 상면에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부에 외부가이드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레일(128)을 구성한 받침레일(12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샤시(120)사이에 끼워지는 단열샤시(130)는,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샤시(120)의 몸체(111)(121)와 일치하며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사시(120)의 결합돌기(114)(1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34)을 형성하도록 단열성이 좋고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나 세라믹, 목재 등을 소재로 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샤시(120)사이에 단열샤시(130)를 끼워서 일체로 결합하여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샤시(130)는 중앙을 분할하여 좌우 2개를 1조로 구성할 수도 있어나 전체를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작업이나 취급상 유리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샤시(210)를 단면상 내부에 공간(212)을 형성하며 시공시 실외 측인 도면상 우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21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211)의 바닥면에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면 단부 하단에 밀폐부재결합홈(2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2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하단에는 레일(218)을 구성한 받침레일(217)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211)의 상면에는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 밀폐부재결합홈(2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215)을 일체로 형성하며,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에는 레일(218)을 구성한 받침레일(21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다.
그리고 외부샤시(220)는 단면상 내부에 공간(222)을 형성하며 시공시 실내측인 도면상 좌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224)를 일체로 형성하며, 시공시 실외측인 도면상 외측에 요홈(223)을 형성한 몸체(221)의 바닥면에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하단부에 외부가이드벽(22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하단에는 레일(228)을 구성한 받침레일(22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면에는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에 외부가이드벽(22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레일(228)을 구성한 받침레일(22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사이에, 설치하는 단열샤시(230)는, 상기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의 몸체(211)(221)와 일치하며 상기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의 결합돌기(214)(2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홈(234)을 형성하도록 단열성이 좋고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나 세라믹, 목재 등을 소재로 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사이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샤시(130)를 끼워서 일체로 결합하여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을 구성한다.
여기서도 상기 단열샤시(130)는 중앙을 분할하여 좌우 2개를 1조로 구성할 수도 있어나 전체를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작업이나 취급상 유리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성으로 단열샤시를 복수개 구성하도록 함에 있어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상 우측면 상단에는 밀폐부재결합홈(316)을 형성하고 아래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314)를 형성한 내부가이드벽샤시(310)를 구성하고, 단면상 좌측면 아래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324)를 형성한 외부가이드벽샤시(320)를 구성하며, 내부에 공간(342)을 형성하고 양측면 아래에 결합돌기(344)를 형성한 몸체(341)의 상단 양측에 레일(348)을 구성한 받침레일(347)을 일체로 형성한 레일샤시(34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레일샤시(340) 양측의 내부가이드벽샤시(310)와 외부가이드벽샤시(320) 사이에 각각 결합하는 단열샤시(330)는, 저면에는 요홈(333)을 형성하며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샤시(340) 양측의 내부가이드벽샤시(310)와 외부가이드벽샤시(320)사이에 각각 일체로 결합하도록 결합홈(334)을 형성하도록 단열성이 좋고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재나 세라믹, 목재 등을 소재로 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레일샤시(340)의 양측에 도6에서와 같이 단열샤시(330)를 일체로 접합하고 그 내측에는 내부가이드벽샤시(310)를 일체로 접합하며, 외측에는 외부가이드벽샤시(320)를 일체로 접합하여 단열샤시(330)가 레일샤시(340)의 양측에 복수로 구성되는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을 구성한다.
상기한 본 고안은 건물시공시 창틀에 실시함으로써 단열성이 뛰어나고 조립이 간단하며 취급이 편리하여 즉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110,210: 내부샤시 120,220: 외부샤시 130,230,330: 단열샤시
310: 내부가이드벽샤시 320: 외부가이드벽샤시 340: 레일샤시
111,121,211,221,341: 몸체 112,122,212,222,342: 공간
113,123,223,333: 요홈 114,124,214,224,314,324,344: 결합돌기
115,215: 내부가이드벽 116,216,316: 밀폐부재결합홈
117,127,217,227,347: 받침레일 118,128,218,228,348: 레일
125,225: 외부가이드벽 134,234,334: 결합홈

Claims (4)

  1. 단열재로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슬라이딩 단열복합 창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면상 내부에 공간(112)을 형성한 바닥면 중앙에 요홈(113)을 형성하고 시공시 실외측인 도면상 우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11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111)의 상면에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밀폐부재결합홈(1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1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에는 레일(118)을 구성한 받침레일(11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 내부샤시(110)와,
    단면상 내부에 공간(122)을 형성한 바닥면 중앙에 요홈(123)을 형성하고 시공시 실내측인 도면상 좌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12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121)의 상면에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부에 외부가이드벽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레일(128)을 구성한 받침레일(12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 외부샤시(120)사이에,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샤시(120)의 몸체(111)(121)와 일치하며 상기 내부샤시(110)와 외부사시(120)의 결합돌기(114)(1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34)을 형성한 단열샤시(130)를 끼워서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2. 단열재로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슬라이딩 단열복합 창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면상 내부에 공간(212)을 형성하며 시공시 실외 측인 도면상 우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214)를 일체로 형성한 몸체(211)의 바닥면에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면 단부 하단에 밀폐부재결합홈(2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21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하단에는 레일(218)을 구성한 받침레일(217)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몸체(211)의 상면에는 시공시 실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 밀폐부재결합홈(216)을 구성한 내부가이드벽(215)을 일체로 형성하며, 시공시 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상단에는 레일(218)을 구성한 받침레일(21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 내부샤시(210)와,
    단면상 내부에 공간(222)을 형성하며 시공시 실내측인 도면상 좌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224)를 일체로 형성하며, 시공시 실외측인 도면상 외측에 요홈(223)을 형성한 몸체(221)의 바닥면에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 하단부에 외부가이드벽(22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하단에는 레일(228)을 구성한 받침레일(22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면에는 시공시 실외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우측에 외부가이드벽(225)을 일체로 형성하고 시공시 내측에 위치하는 도면상 좌측 상단에는 레일(228)을 구성한 받침레일(227)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알루미늄소재를 길게 연속반복적으로 압출성형 하여서 구성한 외부샤시(220)사이에,
    상기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의 몸체(211)(221)와 일치하며 상기 내부샤시(210)와 외부샤시(220)의 결합돌기(214)(2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홈(234)을 형성한 단열샤시(130)를 끼워서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3. 단열재로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슬라이딩 단열복합 창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단면상 우측면 상단에는 밀폐부재결합홈(316)을 형성하고 아래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314)를 형성한 내부가이드벽샤시(310)와,
    단면상 좌측면 아래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돌기(324)를 형성한 외부가이드벽샤시(320)와,
    내부에 공간(342)을 형성하고 양측면 아래에 결합돌기(344)를 형성한 몸체(341)의 상단 양측에 레일(348)을 구성한 받침레일(347)을 일체로 형성한 레일샤시(340)와,
    저면에는 요홈(333)을 형성하며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샤시(340) 양측의 내부가이드벽샤시(310)와 외부가이드벽샤시(320)사이에 각각 일체로 결합하도록 결합홈(334)을 형성한 단열샤시(330)로 구성하여 단열샤시(330)가 레일샤시(340)의 양측에 복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샤시(110)(210)와 외부샤시(120)(2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샤시(110)(210)와 외부샤시(120)(220)의 몸체(111)(121)(211)(221)와 일치하며 상기 내부샤시(110)(210)와 외부사시(120)(220)의 결합돌기(114)(124)(214)(224)와 일치하여 결합되는 결합홈(134)(234)을 형성한 단열샤시(130)(230)를 중앙을 분할하여 좌우2개를 1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KR2020110008401U 2011-09-19 2011-09-19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KR20130001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01U KR20130001975U (ko) 2011-09-19 2011-09-19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01U KR20130001975U (ko) 2011-09-19 2011-09-19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75U true KR20130001975U (ko) 2013-03-27

Family

ID=5242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401U KR20130001975U (ko) 2011-09-19 2011-09-19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97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8B1 (ko)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금속 단열창호
KR101492067B1 (ko) * 2014-06-16 2015-02-11 김완중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KR101507484B1 (ko) * 2014-07-16 2015-04-07 주식회사 밝은창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67B1 (ko) * 2014-06-16 2015-02-11 김완중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KR101471088B1 (ko)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금속 단열창호
KR101507484B1 (ko) * 2014-07-16 2015-04-07 주식회사 밝은창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693B1 (ko) 단열기능이 우수한 커튼월 프레임
KR101370463B1 (ko) 커튼월
KR101065044B1 (ko) 가변프레임형 이중단열 커튼월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11442B1 (ko) 복합창호의 패널 결합구조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KR101202214B1 (ko) 고 기밀성 단열 커튼 월
KR101470525B1 (ko) 알루미늄 단열 커튼월
KR101982094B1 (ko) 복합 프레임을 구비하는 커튼월
KR20130001975U (ko)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JP2008088681A (ja) 断熱窓
KR101283787B1 (ko) 시스템 창호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Lstiburek Why green can be wash
KR102151961B1 (ko) 커튼월
KR101068108B1 (ko) 건물용 복합창호
KR101400963B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KR200476917Y1 (ko) 창호 단열구조
KR20130001976U (ko) 단열복합 창문틀 구조
KR101963356B1 (ko) 건물용 조립식 3중유리창호
KR20150089572A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KR101293191B1 (ko)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200471671Y1 (ko) 창호용 3중 단열 프레임
CN204371000U (zh) 一种外保温中空玻璃平开窗窗框的中柱结构
KR101331142B1 (ko) 창호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