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17Y1 - 창호 단열구조 - Google Patents

창호 단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17Y1
KR200476917Y1 KR20140006068U KR20140006068U KR200476917Y1 KR 200476917 Y1 KR200476917 Y1 KR 200476917Y1 KR 20140006068 U KR20140006068 U KR 20140006068U KR 20140006068 U KR20140006068 U KR 20140006068U KR 200476917 Y1 KR200476917 Y1 KR 200476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lass assembly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탁
Original Assignee
삼우에프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에프엔지(주) filed Critical 삼우에프엔지(주)
Priority to KR20140006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06B2003/26312Snap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79Specific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etal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87Performing extra functions
    • E06B2003/26389Holding sealing strips or forming sealing abu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층으로 된 복층 유리 조립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에 이웃된 상기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와 상기 프로파일 간을 단열시키는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 단열구조{Insulation fittings structure}
본 고안은, 창호 단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을 통해 유리와 프로파일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창호 단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창호(fittings)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일컫는다.
이러한 창호는 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와 금속제 창호로 분류되나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창호는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가리키기 때문에 단열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창호의 구조를 유리와 프로파일(glass)의 구조로 적용하는 예가 많기 때문에 단열 성능의 중요성이 더더욱 부각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473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658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96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54233호 등에 개시된 기술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유리와 프로파일 간의 완벽한 열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열손실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1-004731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658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960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154233호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을 통해 유리와 프로파일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창호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층으로 된 복층 유리 조립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에 이웃된 상기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와 상기 프로파일 간을 단열시키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단열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는,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유리; 및 상기 유리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프로파일; 상기 제1 프로파일과는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 사이를 연결하는 프로파일 연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프로파일 연결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열을 통해 유리와 프로파일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창호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유리와 프로파일 간의 완벽한 열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100)는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130)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를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한다.
복층 유리 조립체(110)는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층으로 된 유리 구조물이다. 이러한 복층 유리 조립체(110)는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유리(111)와, 유리(111)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재(1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111)는 3개의 3층으로 마련되고, 그 사이에 이격재(112)가 2개 사용되는 복층 유리 조립체(110)를 개시하고 있으나 도면의 구조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프로파일(120)은 복층 유리 조립체(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복층 유리 조립체(11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프로파일(12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연속 성형이 우수한 압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120)은 복층 유리 조립체(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프로파일(121)과, 제1 프로파일(121)과는 이격 배치되며, 복층 유리 조립체(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프로파일(122)과, 제1 및 제2 프로파일(121,122) 사이를 연결하는 프로파일 연결체(123)를 포함한다.
제1 프로파일(121)과 제2 프로파일(122)은 실내와 실외에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 연결체(123) 역시, 플라스틱 구조물로서, 양단부의 돌출 결합부(123a,123b)가 제1 및 제2 프로파일(121,122)의 결합홈부(121a,122a)에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다. 프로파일 연결체(123)의 상면은 비교적 평평한 평면을 이룬다.
한편, 단열부재(130)는 복층 유리 조립체(110)에 이웃된 프로파일(120) 상에 배치되어 복층 유리 조립체(110)와 프로파일(120) 간을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단열부재(130)는 프로파일 연결체(123)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복층 유리 조립체(110)와 프로파일(120) 간을 단열시킨다.
이러한 단열부재(130)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일측에서 복층 유리 조립체(110)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132)를 포함한다.
이때, 요철식 리브(132)의 단부는 아크(arc) 형상으로 라운딩처리됨으로써, 복층 유리 조립체(110)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단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요철식 리브(132)들 사이사이의 공간을 통해 대류 현상에 의한 단열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우수한 단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130)는 EPDM, EVA, PE FOAM, 아이소 핑크, PU 보드 등의 재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처럼 단열부재(130)가 약간의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열부재(130)의 베이스 플레이트(131)가 접촉되는 면이 일자 형상의 평평한 면이 아니더라도 단열부재(130)가 자리 배치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100)에 따르면,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처럼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이 이루어지는 경우, 열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2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열부재(230)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31)와, 베이스 플레이트(231)의 일측에서 복층 유리 조립체(110)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2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230)에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232)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된 막대 형상을 취하는데, 이러한 형상을 갖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2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3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열부재(330)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31)와, 베이스 플레이트(331)의 일측에서 복층 유리 조립체(110)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3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330)의 베이스 플레이트(331)에는 다수의 원형 통기공(333)이 형성된다. 원형 통기공(333)들은 대류 작용으로 단열 성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3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4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열부재(430)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431)와, 베이스 플레이트(431)의 일측에서 복층 유리 조립체(110)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4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430)의 베이스 플레이트(431)에는 다수의 복층식 일자형 공기주머니(433)가 형성된다. 다수의 복층식 일자형 공기주머니(433)는 해당 위치에서 대류 작용을 일으켜 단열 성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4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단열부재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5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열부재(530)는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31)와, 베이스 플레이트(531)의 일측에서 복층 유리 조립체(110)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5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530)의 요철식 리브(532)들의 단부에는 단부형 공기 주머니(533)가 형성된다. 단부형 공기 주머니(533)들은 해당 위치에서 대류 작용을 일으켜 즉 유리(111)와의 접촉에 따른 대류 작용을 일으켜 단열 성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5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5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6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630)는 프로파일(120)의 제1 프로파일(121)과 프로파일 연결체(123)의 상면에서 접착 결합된다. 이때의 접착 수단(A)은 양면테이프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접착제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6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 단열구조(500) 역시, 복층 유리 조립체(110), 프로파일(120), 그리고 단열부재(7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단열부재(730)의 일단부에는 제2 프로파일(122)의 단열부재 홈(122b)에 끼워지는 더미 끼움부(730a)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더미 끼움부(730a)가 제2 프로파일(122)의 단열부재 홈(122b)에 끼워지고, 더하여 접착 수단(A)을 사용함으로써, 단열부재(730)의 자리이탈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창호 단열구조(700)가 적용되더라도 단열을 통해 유리(111)와 프로파일(120) 간의 완벽한 열 차단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창호 단열구조 110 : 복층 유리 조립체
111 : 유리 112 : 이격재
120 : 프로파일 121 : 제1 프로파일
122 : 제2 프로파일 123 : 프로파일 연결체
130 : 단열부재 131 : 베이스 플레이트
132 : 요철식 리브

Claims (4)

  1. 실내와 실외를 차단하는 복층으로 된 복층 유리 조립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를 지지하는 프로파일; 및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에 이웃된 상기 프로파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와 상기 프로파일 간을 단열시키는 단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는, 상호간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이격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프로파일과, 상기 제1 프로파일과는 이격 배치되며,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로파일 사이를 연결하는 프로파일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프로파일 연결체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평평한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복층 유리 조립체 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요철식 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요철식리브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기주머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단열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프로파일과 프로파일 연결체 사이에 접착수단을 통해 상기 제1프로파일과 프로파일 연결체에 접착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단열구조.
  4. 삭제
KR20140006068U 2014-08-13 2014-08-13 창호 단열구조 KR200476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68U KR200476917Y1 (ko) 2014-08-13 2014-08-13 창호 단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68U KR200476917Y1 (ko) 2014-08-13 2014-08-13 창호 단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917Y1 true KR200476917Y1 (ko) 2015-04-14

Family

ID=5303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068U KR200476917Y1 (ko) 2014-08-13 2014-08-13 창호 단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9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465B1 (ko) 2017-06-01 2017-12-11 김순규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101869359B1 (ko) * 2017-04-10 2018-06-20 정은정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KR20200142149A (ko) * 2019-06-11 2020-1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커튼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46A (ko) * 2000-01-21 2001-08-11 최종민 철도궤도의 방진, 방음장치
KR20120006207A (ko) * 2010-07-12 2012-01-18 성원기업(주) 고정형 유리창의 프레임
KR101247236B1 (ko) 2012-10-16 2013-04-05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365699B1 (ko) *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146A (ko) * 2000-01-21 2001-08-11 최종민 철도궤도의 방진, 방음장치
KR20120006207A (ko) * 2010-07-12 2012-01-18 성원기업(주) 고정형 유리창의 프레임
KR101247236B1 (ko) 2012-10-16 2013-04-05 전병섭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KR101365699B1 (ko) * 2013-06-07 2014-02-24 주식회사 대흥에프에스씨복합창 복합 창호 및 그의 비접착식 단열재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59B1 (ko) * 2017-04-10 2018-06-20 정은정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KR101807465B1 (ko) 2017-06-01 2017-12-11 김순규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20200142149A (ko) * 2019-06-11 2020-1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102266276B1 (ko) * 2019-06-11 2021-06-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단열 커튼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17Y1 (ko) 창호 단열구조
CN106661912A (zh) 用于真空绝缘玻璃单元的窗框系统
JP2011214312A (ja) 複合窓枠の下部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複合窓枠
JP2008088681A (ja) 断熱窓
JP2016037791A (ja) 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KR101419659B1 (ko) 단열고정창호
KR200439110Y1 (ko) 복층유리용 스페이서
JP2020197116A (ja) 真空断熱ガラスユニット用のウィンドウフレームシステム
JP6655026B2 (ja)
KR102200996B1 (ko) 창호용 프레임
KR10201345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30001975U (ko) 단열복합 슬라이딩 창틀 구조
JP3167874U (ja) 内障子
JP6644654B2 (ja) 建物開口部の上部排水構造
KR101242559B1 (ko) 건물의 내외벽재 대체용 유리벽의 구조
JP2005307442A (ja)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を用いた障子、及び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101858023B1 (ko) 이중 창호 부착용 프레임
JP2017002550A (ja) 窓構造体
KR20130038134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의 유리 구조
KR102082740B1 (ko) 알루미늄 창호용 다공형상구조 단열재
KR200355693Y1 (ko) 복층 유리용 플라스틱 간봉
JP3194877U (ja) サッシ用結露防止具
JP2014208568A (ja) 多重ガラス障子及び多重ガラス障子用枠体
KR101585168B1 (ko) 압력변화대응이 용이한 3중 복층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