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247Y1 -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247Y1
KR200363247Y1 KR20-2004-0019893U KR20040019893U KR200363247Y1 KR 200363247 Y1 KR200363247 Y1 KR 200363247Y1 KR 20040019893 U KR20040019893 U KR 20040019893U KR 200363247 Y1 KR200363247 Y1 KR 200363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panel
ceiling
side support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섭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이광섭
박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섭, 박문수 filed Critical 이광섭
Priority to KR20-2004-0019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4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plastics, fibrous material or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보존성이 우수하여 재시공이 필요없는 등 신뢰성이 우수한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부와 사방 측벽부가 콘크리트에 둘러싸여지고, 상기 사방 측벽부의 벽면에 상하로 타일들이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고, 천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천정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욕실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은, 중앙에 점검구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센터측 지지부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변측은 상기 타일중 최상측의 타일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센터 판넬과; 상기 사방 가장자리 변중 타일위에 걸쳐진 변을 제외한 나머지 두변에 대응되는 한변에 상기 센터측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사이드측 지지부가 구비되며, 사이드측 지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타일중 최상측의 타일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양 사이드 판넬과; 상기 센터 판넬의 점검구 설치공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점검구 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판넬과 양 사이드 판넬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와 사이드측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판넬과 양 사이드 판넬 및 점검구 판넬의 재질은 합성 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structure for fixing channel}
본 고안은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보존성이 우수하여 재시공이 필요없는 등 신뢰성이 우수한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은 샤워, 세수, 빨래등을 하는 장소로 가정내에서 물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습기와 사용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됨에따라 건물 전체 구조에 악영향을 주거나 공동 주택의 경우 위층에도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욕실에는 별도의 천정판을 설치하여 욕실내에서 발생되는 습기와 수증기의 피해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욕실의 천정판에 있어서 종래에는 목재를 재질로 한 얇은 두께의 판체를 천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천정판은 목재를 재질로 하고 있어 욕실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목재인 판체에 접하게 되면, 수증기가 판체내로 흡수되어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하다 보면 흡수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판체의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수분에 의하여 판체가 썩게 되므로 일정 가간에 걸쳐 천정판을 교체시켜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재로 된 천정판을 욕실내에 조립 설치하는 구조 역시 번거로워 시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목재로 된 천정판은 가공성 및 성형성이 좋지 않아 천정판으로서 활용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성형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보존성이 우수하여 재시공이 필요없는 등 신뢰성이 우수한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욕실에 천정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사이드 판넬의 외관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판넬을 시공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센터 판넬의 외관 사시도.
도 6(a)(b)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문양 쫄대의 외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부
2,3 : 사방 측벽부
2a,3a : 벽면
4 : 콘크리트
5 : 타일
60 : 천정판
10 : 센터 판넬
10a : 점검구 설치공
11 : 센터측 지지부
20,30 : 양 사이드 판넬
21,31 : 사이드측 지지부
40 : 점검구 판넬
50 : 결합수단
51 : 센터측 보강부재
52,53 : 사이드측 보강부재
54 : 체결 피스
56 : 문양 쫄대
58 : 보강 클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부와 사방 측벽부가 콘크리트에 둘러싸여지고, 상기 사방 측벽부의 벽면에 상하로 타일들이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고, 천정부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천정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욕실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은, 중앙에 점검구 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센터측 지지부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변측은 상기 타일중 최상측의 타일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센터 판넬과; 상기 사방 가장자리 변중 타일위에 걸쳐진 변을 제외한 나머지 두변에 대응되는 한변에 상기 센터측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사이드측 지지부가 구비되며, 사이드측 지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타일중 최상측의 타일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양 사이드 판넬과; 상기 센터 판넬의 점검구 설치공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점검구 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판넬과 양 사이드 판넬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와 사이드측 지지부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판넬과 양 사이드 판넬 및 점검구 판넬의 재질은 합성 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욕실에 천정판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사이드 판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 판넬을 시공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센터 판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a)(b)는 도 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보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1에 도시된 천정판의 구성중 문양 쫄대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천정부(1)와 사방 측벽부(2,3)가 콘크리트(4)에 둘러싸여지고, 상기 사방 측벽부(2,3)의 벽면(2a,3a)에 상하로 타일(5)들이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고, 천정부(1)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천정판(6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욕실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의 조립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상기 천정판(60)은, 센터 판넬(10)과, 양 사이드 판넬(20)(30)과, 점검구 판넬(40) 및 결합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천정판(60)을 구성하는 센터 판넬(10)과 양 사이드 판넬(20)(30)과 점검구 판넬(40)의 합성 수지재로써, 본 고안에서는 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재질을 합성수지중에서 ABS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성형성이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며, 이로 인한 시공 작업 효율이 뛰어나며,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분 등의 이물질의 침입이 되지 않아 변색이 되지 않으며, 산에 의한 부식이 되지 않으며, 탈색이 되지 않는 등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천정판(60)의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센터 판넬(10)은 중앙에 점검구 설치공(10a)이 관통 형성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센터측 지지부(11)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변측은 상기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된다.
상기 센터 판넬(10)의 점검구 설치공(10a)에는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점검구 판넬(40)이 설치된다.
상기 양 사이드 판넬(20)(30)은 상기 사방 가장자리 변중 타일(5)위에 걸쳐진 변을 제외한 나머지 두변에 대응되는 한변에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와 접촉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사이드측 지지부(21)(31)가 구비되며, 사이드측 지지부(21)(3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된다.
상기 결합수단(50)은, 상기 센터 판넬(10)과 양 사이드 판넬(20)(30)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측 지지부(21)(31)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수단(50)의 상세한 구성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의 내측 벽면과, 이에 인접한 센터 판넬(10)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상기 사이드측 지지부(21)(31)의 내측 벽면과 이에 인접한 사이드 판넬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와, 상기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측 지지부(21)(31)와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를 순서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피스(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의 재질은 강판등의 철금속 재질과, 알루미늄등의 비철금속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는 모두 "ㄴ"자 형상으로 수평부와 수직부로 절곡 형성된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체결시 보강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미설명 부호 51a,52a,53a는 체결 피스(54)가 관통 결합되어 체결되는 체결공들이다.
한편, 상기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문양 쫄대(56)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문양 쫄대(56)를 설치하는 이유는,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을 성형하게 되면, 하면의 모서리 부분이 직각되게 성형되면, 이들의 접촉면에 틈이 없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성형 완료후에는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하면의 모서리 부분이 직각으로 되지 않고 라운딩되어 사용자가 천정판을 바라볼때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만나는 부분이 틈새가 있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관상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수분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문양 쫄대(56)를 삽입 설치하게 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단부중 타일(5)위에 걸쳐지는 단부에는 보강 클립(58)이 설치된다.
상기 보강 클립(58)을 설치함으로써, 사이드 판넬(20)(3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 클립(58)은 상기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단부에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클립(58)을 사용하게 되면, 본 고안의 판넬(10)(20)(30)의 재질이 ABS 재질이기 때문에 중앙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천정판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을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을 형성하는 콘크리트(4)의 사방 측벽부(2,3)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측정된 콘크리트(4)의 사방 측벽부(2,3)의 가로 세로 길이가 기 제작된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사이즈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들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을 절단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정된 콘크리트(4)의 사방 측벽부(2,3)의 가로 세로 길이가 기 제작된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사이즈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들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중의 어느 하나를 일정 크기만큼 절단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사이드 판넬(20)(30)만의 양 측변을 일정 크기 만큼 절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판넬(20)(30)에서 절단선 A 또는 절단선 B를 기준으로 하여 절단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사이드 판넬(20)(30)을 제작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판넬(20)(30)의 절단 부분을 욕실을 구성하는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욕실은 통상적으로 육면체의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사이드 판넬(20)(30)의 한변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변을 절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센터 판넬(10)도 한변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변을 절단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한 후, 사이드 판넬(20)의 한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변을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센터 판넬(10)을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하되, 상기 타일(5)위에 걸쳐지지 않은 사이드 판넬(20)의 한변에 형성된 사이드측 지지부(21)에 센터 판넬(10)의 센터측 지지부(11)가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사이드 판넬(20)과 센터 판넬(10)을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도록 하는 과정을 시공하기 전에 이들에 형성된 각각 사이드측 지지부(21)와 센터측 지지부(11)의 내측에 사이드측 보강부재(52)와 센터측 보강부재(51)을 올려놓는 과정을 먼저 시공한다.
다음으로, 시공자는 센터 판넬(10)에 형성된 점검구 설치공(10a)을 통해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피스(54)로 사이드측 보강부재(52)와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사이드측 지지부(21)와 센터측 지지부(11)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나머지 사이드 판넬(30)을 시공하는 과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 사이드 판넬(30)의 사이드측 지지부(31)가 있는 변은 센터측 지지부(11)에 접촉되도록 하고, 나머지 변들은 타일(5)위에 걸쳐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시공자는 센터 파넬(10)에 형성된 점검구 설치공(10a)을 통해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피스(54)로 사이드측 보강부재(53)와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사이드측 지주부(31)와 센터측 지지부(11)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 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실시하게 되면,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은 모두 욕실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시공 과정으로 사이드 판넬(20)과 센터 판넬(10)을 먼저 욕실의 천정에 거치시킨 후, 조립 고정한 다음에 사이드 판넬(30)을 거치시킨 후 센터 판넬(10)과 조립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 사이드 판넬(20)(30)과 센터 판넬(10)을 모두 동시에 욕실 천정에 거치시킨후, 이들을 조립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시공자는 센터 판넬(10)에 형성된 점검구 설치공(10a)의 구멍을 맞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점검구 판넬(40)을 상기 점검구 설치공(10a)에 끼우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상기 센터 판넬(10)의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 판넬(20)의 사이드측 지지부(2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하면에 문양 쫄대(56)를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센터 판넬(10)의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 판넬(30)의 사이드측 지지부(3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하면에 문양 쫄대(56)를 삽입하여 마무리 시공 과정을 실시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에 따르면, 성형성이 우수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후에도 보존성이 우수하여 재시공이 필요없는 등 신뢰성이 우수한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천정부(1)와 사방 측벽부(2,3)가 콘크리트(4)에 둘러싸여고, 상기 사방 측벽부(2,3)의 벽면(2a,3a)에 상하로 타일(5)들이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고, 천정부(1)로부터 하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천정판(6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욕실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은,
    중앙에 점검구 설치공(10a)이 관통 형성되고, 사방 가장자리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센터측 지지부(11)가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는 두변측은 상기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센터 판넬(10)과;
    상기 사방 가장자리 변중 타일(5)위에 걸쳐진 변을 제외한 나머지 두변에 대응되는 한변에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와 접촉되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사이드측 지지부(21)(31)가 구비되며, 사이드측 지지부(21)(3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타일(5)중 최상측의 타일(5)위에 걸쳐져 지지되는 양 사이드 판넬(20)(30)과;
    상기 센터 판넬(10)의 점검구 설치공(10a)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점검구 판넬(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판넬(10)과 양 사이드 판넬(20)(30)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측 지지부(21)(31)를 결합하는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센터 판넬(10)과 양 사이드 판넬(20)(30) 및 점검구 판넬(40)의 재질은 합성 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은,
    상기 센터측 지지부(11)의 내측 벽면과, 이에 인접한 센터 판넬(10)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상기 사이드측 지지부(21)(31)의 내측 벽면과, 이에 인접한 사이드 판넬의 상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절곡된 형상의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와;
    상기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센터측 지지부(11)와 사이드측 지지부(21)(31)와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를 순서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 피스(5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문양 쫄대(56)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판넬(10)과 사이드 판넬(20)(30)의 단부중 타일(5)위에 걸쳐지는 단부에는 보강 클립(5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는 ABS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측 보강부재(51)와 사이드측 보강부재(52)(53)의 재질은 철금속 또는 비철금속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KR20-2004-0019893U 2004-07-13 2004-07-13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KR200363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893U KR200363247Y1 (ko) 2004-07-13 2004-07-13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893U KR200363247Y1 (ko) 2004-07-13 2004-07-13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247Y1 true KR200363247Y1 (ko) 2004-10-01

Family

ID=4943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893U KR200363247Y1 (ko) 2004-07-13 2004-07-13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2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84B1 (ko) * 2014-01-29 2014-06-09 형재원 욕실용 천정패널
KR101920021B1 (ko) * 2018-04-11 2018-11-19 홍성채 욕실 천정재 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384B1 (ko) * 2014-01-29 2014-06-09 형재원 욕실용 천정패널
KR101920021B1 (ko) * 2018-04-11 2018-11-19 홍성채 욕실 천정재 가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63399A1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CZ399098A3 (cs) Montážní systém pro desky k opláštění fasád budov
KR200363247Y1 (ko)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KR100615037B1 (ko) 건축용 구조부재의 제작방법
KR20230171516A (ko) 건식 벽체 보강대용 면진 장치
KR200321241Y1 (ko)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IT201900015545A1 (it) Sostegno/appoggio per pavimenti sopraelevati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02387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2598100B1 (ko) 단차진 천장 마감을 위한 고정클립을 이용한 단차 형성 천장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0426149Y1 (ko) 거푸집용 라인 빔
KR850001358B1 (ko) 온수 온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KR200169504Y1 (ko) 간주결합장치
JP2517969Y2 (ja) 自在曲面壁材
KR200262514Y1 (ko) 경량벽체 고정틀
KR100742152B1 (ko) 벽체 배수판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KR200372324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20220168517A (ko)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KR200342726Y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