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517A -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 Google Patents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517A
KR20220168517A KR1020210078359A KR20210078359A KR20220168517A KR 20220168517 A KR20220168517 A KR 20220168517A KR 1020210078359 A KR1020210078359 A KR 1020210078359A KR 20210078359 A KR20210078359 A KR 20210078359A KR 20220168517 A KR20220168517 A KR 20220168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wall
support
insulation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재
이동혁
정다운
Original Assignee
홈트리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홈트리오(주) filed Critical 홈트리오(주)
Priority to KR102021007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517A/ko
Publication of KR2022016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구조목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구조목 사이에 인슐레이션을 삽입하고, 인슐레이션이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로 구조목을 배치하는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Insulation sag prevention method}
본 발명은 진공단열재의 진공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판 또는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현상(Thermal bridge)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 고정지지쫄대와 실란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최종 마감으로 각재를 이용한 목구조틀 또는 아연도금강판인 경량철골을 세우고 석고보드 등의 마감보드를 못 또는 피스 등으로 벽체를 건식 공법으로 시공하여 진공단열재와 마감벽체와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단열재가 0.031~0.040W/mK 의 단열성능을 나타내는 반면, 진공단열재는 0.002~0.015 W/mK 의 고성능을 나타내는 단열재이다. 이러한 진공단열재의 높은 단열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높은 재료비와 까다로운 제조기술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제조기술의 진보로 독일, 영국, 일본, 미국, 캐나다, 한국, 중국 등의 나라에서 상업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높은 재료비가 여전히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일반단열재의 시공방법은 벽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 또는 복잡한 구조의 걸이 장치를 설치하고 이에 맞추어 시공하는 방법으로, 이는 인체에 해로운 화학성 접착제를 다량 사용하거나 복잡한 구조의 걸이 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 및 시공에 있어서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 친환경적이지 못한 점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단열재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벽체(1)에 유성본드(2)를 부착시키고 상기 유성본드(2) 위에 단열재(3)를 접착시킨 후, 상기 단열재(3) 위에 다시 석고본드(6)을 부착시킨 다음 상기 석고본드(6) 위에 석고보드(7)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시공방법은 일반단열재의 단열성능에 '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등의 법적 기준을 맞추어 시공되어 벽체가 두꺼워지므로 당연히 실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단열재의 구조 및 성상에 따라 벽체에 고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시공 후 단열재의 탈락 및 법적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부실 시공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결국,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벽체에 용이하게 접착하기 어려운 성질 때문에 진공단열재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까지는 부재한 바, 따라서,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단열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구조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진공단열재의 진공이 손상되지 않도록 지지판 또는 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현상(Thermal bridge)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 고정지지쫄대와 실란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최종 마감으로 각재를 이용한 목구조틀 또는 아연도금강판인 경량철골을 세우고 석고보드 등의 마감보드를 못 또는 피스 등으로 벽체를 건식공법으로 시공하여 진공단열재와 마감벽체와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시공방법 및 그 구조가 통상의 일반단열재보다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단열재의 두께는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으며, 마감벽체와 진공단열재와의 일정 공간 확보로 인하여 외측 마감벽체에서 못질에 의한 내측 진공단열재의 손상이 전혀 미치지 않는, 마감벽체에서도 못질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 구조목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구조목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고, 단열재가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가로 구조목을 배치하는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10)에 지지쫄대(20)의 바탕부를 고정시키고 지지쫄대(20)의 돌출부에 단열재(30)를 접착제(40)를 사용하여 거치한 후 상기 돌출부 두부에 지지쫄대캡(50)을 삽입 고정시킨 다음, 최종 마감은 바닥과 상부에 런너(90)를 고정시키고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을 설치 후,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 위에 석고보드(70)를 거치하고 상기 석고보드(70)를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에 못 또는 피스(8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일반단열재보다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단열재의 두께는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으며, 마감벽체와 진공단열재와의 일정 공간 확보로 인하여 외측 마감벽체에서 못질에 의한 내측 진공단열재의 손상이 전혀 미치지 않는, 마감벽체에서도 못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의 세로 구조목 시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10)에 지지쫄대(20)의 바탕부를 고정시키고 지지쫄대(20)의 돌출부에 단열재(30)를 접착제(40)를 사용하여 거치한 후 상기 돌출부 두부에 지지쫄대캡(50)을 삽입 고정시킨 다음, 최종 마감은 바닥과 상부에 런너(90)를 고정시키고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을 설치 후,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 위에 석고보드(70)를 거치하고 상기 석고보드(70)를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에 못 또는 피스(8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의 열전도율값은 0.007W/mK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2~0.015W/mK 인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의 시공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먼저 벽체(10)에 지지쫄대(20)를 부착한다. 상기 지지쫄대(20)
Figure pat00001
는 벽체(10)에 부착되는 바탕부
Figure pat00002
와 단열재(30)를 걸칠 수 있는 돌출부
Figure pat00003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쫄대(20)는 목재,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쫄대(20)를 벽체(10)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피스, 못질 및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쫄대(20)의 바탕부를 벽체(1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부착시킨 다음, 단열재(30)를 걸칠 수 있는 돌출부 위에 규격에 맞추어 생산된 단열재(30)를 접착제(40)를 사용하여 거치하고 지지쫄대캡(50)을 삽입 장착하여 단열재(30)를 벽체(1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30)는 종래 일반단열재보다 단열성능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허출원 10-2009-49998호, 10-2009-49999호, 10-2009-50000호 및 10-2009-50001호의 진공단열재, 불연 고성능 단열재를 이용하였다. 상기 진공단열재 및 불연 고성능 단열재는 열전도율값이 '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의 '가' 등급(열전도율값 0.034W/mK)보다 월등히 뛰어난 수준인 0.018W/mK 이하의 성능을 발휘하는 고성능의 단열재이면서 기존의 단열재 두께보다 절반 이하로 시공하여도 동등수준 이상의 열관류율 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는 못질을 하면 안되며 컷팅 또한 어려운 재질로, 종래 시공방법에 따라 벽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인 접착제로 벽체에 접착할 경우, 변형 등 시공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효율 좋게 진공단열재를 시공하고자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이의 구조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40)는 실리콘계 실란트 또는 우레탄계 실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0)가 접착제(40)와 지지쫄대(20)의 돌출부에 걸리는 방법으로 거치시킨 후, 단열재(30) 밖으로 돌출된 돌출부인 지지쫄대의 두부에 지지쫄대캡(50)을 삽입 장착시킴으로써 단열재(30)를 벽면에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쫄대(20) 및 지지쫄대캡(50)의 상부는 요철형
Figure pat00004
으로 형성되고, 지지쫄대(20)와 지지쫄대캡(50)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지지쫄대캡(50)의 결합부가 화살형
Figure pat00005
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쫄대캡(50)으로 단열재(30)를 벽면에 고정시키고 최종 마감은 바닥과 상부에 런너(90)를 고정시킨 다음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을 설치 후,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 위에 석고보드(70) 등의 마감벽체를 거치하고 상기 석고보드(70)등의 마감벽체를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에 못 또는 피스(80)로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시공방법 및 이의 구조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열교(Thermal Bridge) 현상'이란 외벽이나 바닥, 지붕 등의 건물 부위에 단열이 연속되지 않은 부분이 있을 때 또는 건물 외벽의 모서리 부분, 구조체의 일부분에 열전도율이 큰 부분이 있을 때, 열이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열교는 열교환도이 높은 열전도율로 인하여 구조체의 전체 단열값을 낮추게 하는 구조체의 일부분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구조체의 열적 취약부위로 인하여 열 손실이라는 측면에서 냉교(Cold Bridge)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이의 구조를 대상으로 두께와 단열성능을 측정한 결과, 통상의 단열재보다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단열재의 두께는 절반 이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으며, 마감벽체와 진공단열재와의 일정 공간 확보로 인하여 마감벽체에서도 못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

  1. 벽체(10)에 지지쫄대캡과 결합하는 요철형 결합부(
    Figure pat00006
    )를 가지는 지지쫄대(20)의 바탕부를 고정시키고 지지쫄대(20)의 돌출부에 열전도율값이 0.002~0.015W/mK 인 진공단열재(30)를 접착제(40)를 사용하여 거치한 후 상기 돌출부 두부에 지지쫄대와 결합하는 화살형 결합부(
    Figure pat00007
    )를 가지는 지지쫄대캡(50)을 삽입 고정시킨 다음, 최종 마감은 바닥과 상부에 런너(90)를 고정시키고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을 설치 후,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 위에 석고보드(70)를 거치하고 상기 석고보드(70)를 목구조틀 또는 경량철골(60)에 못 또는 피스(80)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KR1020210078359A 2021-06-16 2021-06-16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KR20220168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59A KR20220168517A (ko) 2021-06-16 2021-06-16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59A KR20220168517A (ko) 2021-06-16 2021-06-16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517A true KR20220168517A (ko) 2022-12-23

Family

ID=8453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359A KR20220168517A (ko) 2021-06-16 2021-06-16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8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360B2 (en) Wooden roof truss
US20190234066A1 (en) Thermal insulator modul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structure using same and thermal insulat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200358047Y1 (ko) 단열재 고정 철물
KR20220168517A (ko) 인슐레이션 처짐 방지 공법
CN210797995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石材幕墙
CN209742089U (zh) 一种无冷热桥楼层檀条安装结构
JP5169367B2 (ja) 断熱天井
KR101207356B1 (ko) 벽체에 못질이 가능한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이의 구조
KR20130043914A (ko)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내단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11255085B1 (en) Insulation framing systems, assemblies, and methods
KR102560365B1 (ko) 건축물 벽체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8312B1 (ko)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및 이의 구조
JPS6227614Y2 (ko)
CN215858726U (zh) 一种用于墙面的蜂窝铝岩板安装结构
KR200368194Y1 (ko) 실내용 석재판넬 고정구조
CN214062181U (zh) 一种超薄石塑墙板安装结构
JPH0229150Y2 (ko)
CN212926800U (zh) 一种建筑用保温砖
CN210067329U (zh) 一种可调节护墙板
KR100643592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JP6501337B2 (ja) 屋根構造
JP3061113B2 (ja) 断熱下地材とこれを使用した断熱外装構造
JP2000320252A (ja) 改修窓及び出入り口
KR100462148B1 (ko) 천장틀
JPS6124753A (ja) 外壁改修工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