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324Y1 - 거푸집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324Y1
KR200372324Y1 KR20-2004-0029000U KR20040029000U KR200372324Y1 KR 200372324 Y1 KR200372324 Y1 KR 200372324Y1 KR 20040029000 U KR20040029000 U KR 20040029000U KR 200372324 Y1 KR200372324 Y1 KR 200372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cking means
steel panel
formwor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석
Original Assignee
김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석 filed Critical 김상석
Priority to KR20-2004-0029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있어서, 특히 타설된 콘크리트가 외부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걸림수단을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용 철재패널을 양사이드에 배치하고, 체결용 철재 패널을 각각 이웃하는 양사이드에 배치하여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철재 패널에 양측 끝단에 돌출형 걸림쇠를 갖는 걸림수단을 일정간격마다 다수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은 돌출형 걸림쇠를 갖는 걸림수단을 체결용 철재 패널의 양측에 형성하여 지지용 패널과 철재용 패널간의 결합이 공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이들을 결합한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양측으로 틈이 벌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장치{A Fixing Unit for a Flash Board}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설된 콘크리트가 외부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걸림수단을 더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란 일정한 폭을 갖는 벽이나 기둥을 설치할 때 내,외벽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수평으로 설치하여, 그 내면에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서, 철골이 콘크리트에 내장되어 견고히 벽체를 이루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건축에 있어 기초적인 건축물 축조양식인 것이다.
과거의 건축용 거푸집은, 장방형의 합판 뒷면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각목이 접착되거나 못을 박아서 만들어진 목재 패널을 복수개로 구비하고, 목재 패널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필요한 면적만큼 접촉 고정시킨 다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일측 거푸집 조립체와 함께 타측 거푸집 조립체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목재 거푸집은 패널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합판에 다수의 각목을 일일이 접착허거나 못을 박아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목재로 구비되어 철거시에 못을 제거하면서 합판이나 각목의 파손이 발생하여 재활용을 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다시 패널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목재 거푸집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철재로된 거푸집을 사용한다.
이러한 철제 거푸집은 일명 유로폼으로 불리우며 현재 공사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철재 거푸집은 체결수단으로서, 패널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핀을 삽입한 후 상기 결합핀에 형성된 통공으로 다른 결합핀을 삽입하여서 이루어지는바, 상기 결합공은 결합핀을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의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후 외측으로 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철재 거푸집을 단단히 체결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후에는 자체중력에 의해서 2 - 4mm 정도 외측으로 밀리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철재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부가 설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거푸집에 걸림수단을 더 부가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외부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지지용 철재패널을 양사이드에 배치하고, 체결용 철재 패널을 각각 이웃하는 양사이드에 배치하여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철재 패널에 양측 끝단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형 걸림쇠를 갖는 걸림수단을 일정간격마다 다수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체결용 철재 패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체결용 철재 패널에 용접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의 양측에는 보강용 홈이 더 형성되고, 보강용 홈에는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림쇠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걸림쇠는 일측 끝단부가 얇고 다른 일측 끝단부는 두꺼운 테이퍼진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장치 제 1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한 거푸집 구성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완성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거푸집 구성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완성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결합핀 100: 지지용 철재패널
110: 체결홀 200, 200a: 체결용 철재패널
210, 210a: 걸림수단 220, 220a: 걸림쇠
230: 보강홈 240, 240a: 체결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장치 제 1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한 거푸집 구성 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완성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용 철재패널(100)을 양사이드에 배치하고, 체결용 철재 패널(200)을 각각 이웃하는 양사이드에 배치하여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철재 패널(200)에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수단(21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수단(210)은 단면이 반원형인 패널 형태로서 상기 체결용 철재 패널(200)에 용접 결합되어 이루어지거나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수단(210)의 양측 끝단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형 걸림쇠(22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형 걸림쇠(220)는 체결용 철재 패널(200)을 지지용 철재패널(10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지지용 철재패널(100)의 양사이드 끝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돌출형 걸림쇠(220)는 그 끝단이 중심점으로 오므려져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를 띄고 있으며, 일정하게 테이퍼진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210)의 양측에는 보강홈(230)이 형성되고, 보강홈(230)에는 체결홀(240)이 형성되어 결합핀(10)이 상기 체결홀(240)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용 철재 패널(100)과 체결용 철재 패널(20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보강홈(230)은 걸림수단(210)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도록 프레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홀(240)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지지용 철재 패널(100) 역시 동일한 간격으로 일정간격마다 체결홀(110)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체결홀(240, 110)을 통해 결합핀(10)이 삽입되어 체결하며, 상기 결합핀(10)을 체결후에는 결합핀(10)에 형성된 홀(11)을 통해 또다른 결합핀(20)이 삽입되어 체결이 완성된다.
결국, 본 고안은 걸림쇠(220)를 갖는 걸림수단(210)을 체결용 철재 패널(100)에 용접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220)로 하여금 지지용 철재 패널(100)을 양측에서 꽉 붙잡고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에 지지용 패널이 벌어져 틈이 생기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걸림쇠(220)의 형태를 삼각구조로 하여 지지용 철재패널에 쉽게 결합 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쉬운 결합을 위해서 테이퍼진 형태로 제작하여 최초 접면은 약간의 틈이 있고 완전한 접면에 이르러서는 꽉 끼움 결합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거푸집 구성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완성한 상태의 수평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체결용철재 패널(200)이 지지용 철재 패널(100)의 외측면과 접면되는 것과 차별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체결용 철재패널(200a)이 지지용 철재패널(100)의 내측면에 접면되도록 하여 상기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상기 철결용 철재패널(200a)는 역시 다수개의 걸림수단(210a)가 결합되며, 그 끝단에는 걸림쇠(220a)가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에 체결홀(240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홀을 통해 결합핀(10)을 삽입하여 지지용 철재패널(100)에 형성된 체결홀을 통과하여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쇠(220a) 역시 삼각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테이퍼전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1개조의 지지용 철재패널(100)의 양 사이드에 각각 체결용 철재 패널(100)을 설치하되, 일측에는 도 1에 나타낸 체결용 철재패널(200)을, 그리고 다른 일측에는 도 4에 나타낸 체결용 철재패널(200a)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돌출형 걸림쇠를 갖는 걸림수단을 체결용 철재 패널의 양측에 형성하여 지지용 패널과 체결용 패널간의 결합이 공고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이들을 결합한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자체 무게로 인하여 양측으로 틈이 벌여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지지용 철재패널을 양사이드에 배치하고, 체결용 철재 패널을 각각 이웃하는 양사이드에 배치하여 사각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철재 패널에 양측 끝단에 수직하게 돌출된 돌출형 걸림쇠를 갖는 걸림수단을 일정간격마다 다수개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체결용 철재 패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체결용 철재 패널에 용접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의 양측에는 보강용 홈이 더 형성되고, 보강용 홈에는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일측 끝단부가 얇고 다른 일측 끝단부는 두꺼운 테이퍼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
KR20-2004-0029000U 2004-10-13 2004-10-13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72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000U KR200372324Y1 (ko) 2004-10-13 2004-10-13 거푸집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000U KR200372324Y1 (ko) 2004-10-13 2004-10-13 거푸집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324Y1 true KR200372324Y1 (ko) 2005-01-10

Family

ID=4935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000U KR200372324Y1 (ko) 2004-10-13 2004-10-13 거푸집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3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274Y1 (ko) 시공성이 우수한 거푸집용 고정구
KR200372324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421001Y1 (ko) 거푸집용 아웃코너 패널 조립체
JP2006336238A (ja) 型枠兼用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築用型枠
KR20010106108A (ko) 지지 부재
JPH089306Y2 (ja) タイル張り壁構造
KR200421006Y1 (ko) 거푸집용 인코너 패널 조립체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2003129638A (ja) 外壁施工構造及び外壁施工方法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KR0114180Y1 (ko) 거푸집 조임장치
KR200354549Y1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KR200363247Y1 (ko)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KR20180132283A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0392031B1 (ko) 건물시공용 철골조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JP5010363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金具付き壁パネル
KR200363079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70002670A (ko) 거푸집용 타이 바
KR200249933Y1 (ko) 건축용 폼의 연결 고정장치
KR20050100777A (ko) 건축용 플레이트 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