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2283A -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283A
KR20180132283A KR1020170068990A KR20170068990A KR20180132283A KR 20180132283 A KR20180132283 A KR 20180132283A KR 1020170068990 A KR1020170068990 A KR 1020170068990A KR 20170068990 A KR20170068990 A KR 20170068990A KR 20180132283 A KR20180132283 A KR 20180132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late portion
reinforcing
be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974B1 (ko
Inventor
김포
Original Assignee
김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포 filed Critical 김포
Priority to KR102017006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974B1/ko
Publication of KR2018013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7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simultaneously tying two fac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용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를 결정하는 면에 맞대이고,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휘어짐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절곡부;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고정 결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Joint unit for forms}
본 발명은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용 패널들을 서로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고, 높은 자체 강도를 가짐으로써 휘어짐이나 파손을 방지하며 그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은 건축물의 벽체나 천장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거푸집은 기둥, 바닥 또는 벽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그 콘크리트 구조물과 대응되는 형태의 틀을 의미한다. 거푸집은 공사의 종류에 따라 합판, 경질 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또는 강판 등의 거푸집용 패널들이 서로 결속됨으로써 틀을 형성한다.
이러한 거푸집은 여러 개의 거푸집용 패널들이 조인트 장치(조인트 유닛)에 의해 서로 체결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일반적인 조인트 장치는 바(bar) 형태 또는 핀(pin) 형태로 이루어져, 거푸집용 패널들이 서로 맞대이는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거푸집의 형태를 유지하며 콘크리트가 거푸집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조인트 장치는 간편하게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나, 강도가 약해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그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그 거푸집용 패널들을 서로 견고하게 결속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9087호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자체 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거푸집용 패널들의 서로 맞대이는 부분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는, 사각틀 형상의 거푸집용 패널들을 서로 결속시키며 거푸집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용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를 결정하는 면에 맞대이고,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휘어짐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절곡부;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고정 결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결속핀은,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삽입되는 일측에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보강리브를 향하는 타측에 상기 메인 보강리브의 내면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밀착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메인 플레이트부와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되며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보강절곡부; 및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결속될 수 있도록, 서브 플레이트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결속핀이 통과되는 슬릿이 형성된 한쌍의 결속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서브 플레이트부가 서로 결합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를 덮고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와 서브 보강절곡부에 끼움결합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보강판이 결합부에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보강리브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메인 보강리브에 걸리는 걸림리브를 구비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서브 보강절곡부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는, 메인 플레이트부가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 결정면에 맞대이고, 메인 보강절곡부가 그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보강리브가 그 메인 보강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마련되고, 고정 결속핀이 그 메인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됨으로써, 높은 자체 강도를 가지며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거푸집용 패널들의 서로 맞대이는 부분을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는, 메인 플레이트부(100), 메인 보강절곡부(101), 메인 보강리브(102) 및 고정 결속핀(1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는,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거푸집용 패널들(10)이 서로 마주한, 가장자리 패널부(11)의 두께를 결정하는 면(두께 결정면)에 맞대인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11)의 두께 결정면과 대응되는 넓이를 가진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는, 상기 두께 결정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메인 보강절곡부(101)와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 고정 결속핀(103)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는 상기 두께 결정면에 맞대이고, 고정 결속핀(103)이 그 두께 결정면에 삽입되어 결속핀(C)과 서로 체결됨으로써, 거푸집용 패널들(10)이 서로 맞대이는 부분을 견고하게 결속시킨다.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는 메인 플레이트부(10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그 메인 플레이트부(100)의 휘어짐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킨다.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는 메인 플레이트부(1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는 일구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구간(101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굴곡구간(101a)은 각각의 메인 보강절곡부(101)에 마련됨으로써, 그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는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됨으로써, 그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킨다.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는 각각의 메인 보강절곡부(101)에 연결되어 한쌍으로 마련된다.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는 메인 보강절곡부(10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메인 보강절곡부(101)가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가 상기 두께 결정면에 맞대여 결속될 때 그 메인 플레이트부(10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거푸집용 패널들(10)의 결속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메인 보강리브(102) 사이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 고정됨으로써, 그 메인 플레이트부(100)를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11)에 결속시킨다.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일측이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11)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에 결합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부(100)가 가장자리 패널부(11)의 두께 결정면 간의 결속력을 유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는, 메인 플레이트부(100)가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 결정면에 맞대이고, 메인 보강절곡부(101)가 그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가 그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지고, 고정 결속핀(103)이 그 메인 플레이트부(100)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됨으로써, 높은 자체 강도를 가지며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거푸집용 패널들(10)의 서로 맞대이는 부분을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와 연결되는 서브 플레이트부(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2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로 이루어져,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를 결정하는 면에 맞대인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20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외측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200)는 한쌍의 서브 보강 절곡부(201) 및 결속부(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보강 절곡부(201)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서브 플레이트부(20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되며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외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보강 절곡부(201)는 서브 플레이트부(200)의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있으며, 그 서브 보강 절곡부(201)의 강도를 추가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결속부(202)는, 서브 플레이트부(20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결속핀(C)이 통과되는 슬릿을 구비하여 한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서브 플레이트부(200)가 가장자리 패널부(11)의 두께 결정면에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서브 플레이트부(200)가,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101)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서브 보강절곡부(201)가 그 서브 플레이트부(200)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메인 보강절곡부(101)에 각각 결합되며, 서브 플레이트부(200)의 양측에 결속핀(C)이 통과되는 결속부(202)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메인 보강절곡부(101)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서브 플레이트부(200) 및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가장자리 패널부(11)간의 결속력을 높임과 동시에 거푸집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고정 결속핀(103)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일측이 가장자리 패널부(11)에 삽입되고 그 일측에 슬릿(103a)을 구비한다. 상기 슬릿(103a)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모두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11)에 고정 결속핀(103)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속핀(C)과 그 고정 결속핀(103)이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한쌍의 밀착리브(10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리브(103b)는,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를 향하는 타측에 마련되고 그 메인 보강리브(102)의 내면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그 밀착리브(103b)가 메인 보강리브(102)에 각각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Y’ 형태 또는 ‘T’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고정 결속핀(103)은 밀착리브(103b)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메인 보강리브(102)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서브 플레이트부(200)가 가장자리 패널부(11)에 밀착 시 밀착력을 높이고, 거푸집용 패널들(1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보강판(3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보강판(300)은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100)와 서브 플레이트부(200)가 서로 결합된 결합부를 덮고, 그 결합부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킨다. 상기 보강판(300)은, 그 결합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재(301) 및 밀착부재(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1)는, 상기 보강판(300)과 연결되어 메인 플레이트부(100)를 향해 돌출된 지지바(301b)와 그 지지바(301b)의 단부에 걸림리브(30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1)의 지지바(301b)는 메인 플레이트부(100)를 향해 길이를 가지며, 한쌍의 메인 보강리브(102)들의 사이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리브(301b)는 지지바(301b)의 단부에 연결되며, 메인 보강절곡부(101) 향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에 걸린다. 상기 걸림리브(301b)는 직경 길이가 메인 보강리브(102)들 사이의 간격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보강판(300)의 지지바(301a)가 상기 메인 보강리브(102)들 사이에 배치된 경우, 그 지지바가 외부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302)는, 보강판(300)으로부터 서브 플레이트부(200)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브 보강절곡부(201)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밀착부재(302)는, 서브 보강절곡부(201)에 보강판(30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판(300)이 상기 결합부에 위치고정되며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거푸집용 패널들 11: 가장자리 패널부
100: 메인 플레이트부 200: 서브 플레이트부
300: 보강판

Claims (5)

  1. 사각틀 형상의 거푸집용 패널들을 서로 결속시키며 거푸집의 형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용 패널들의 서로 마주하는 가장자리 패널부의 두께를 결정하는 면에 맞대이고,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휘어짐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절곡부;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한쌍의 메인 보강리브;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보강리브 사이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고정 결속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결속핀은,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삽입되는 일측에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보강리브를 향하는 타측에 상기 메인 보강리브의 내면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밀착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메인 플레이트부와 직교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는,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절곡되며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보강절곡부; 및
    상기 가장자리 패널부에 결속될 수 있도록, 서브 플레이트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결속핀이 통과되는 슬릿이 형성된 한쌍의 결속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와 서브 플레이트부가 서로 결합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를 덮고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와 서브 보강절곡부에 끼움결합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지지바와,
    상기 보강판이 결합부에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보강리브의 사이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보강절곡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메인 보강리브에 걸리는 걸림리브를 구비한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서브 보강절곡부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20170068990A 2017-06-02 2017-06-02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1938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90A KR101938974B1 (ko) 2017-06-02 2017-06-02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90A KR101938974B1 (ko) 2017-06-02 2017-06-02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83A true KR20180132283A (ko) 2018-12-12
KR101938974B1 KR101938974B1 (ko) 2019-01-15

Family

ID=6466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90A KR101938974B1 (ko) 2017-06-02 2017-06-02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60B1 (ko) * 2020-09-21 2021-03-08 이대영 유로폼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285B1 (ko) * 2015-11-13 2016-09-23 김종필 갱폼 연결장치
KR101690314B1 (ko) * 2016-04-07 2016-12-28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960B1 (ko) * 2020-09-21 2021-03-08 이대영 유로폼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974B1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780Y1 (ko) 거푸집의 코너연결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의 코너 시공방법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20190020545A (ko) 조립식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KR101656273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배열 설치시 인접부 간의 밀착결합유지용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패널 간의 결합구조
KR101682063B1 (ko) 기둥 마감용 외장 시스템
KR101604114B1 (ko) 건축용 코너비드 고정장치
JP2011510198A (ja) パネルの接続部材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20180122070A (ko) 거푸집용 조인트 유닛
KR20230171515A (ko) 건식 벽체용 면진 장치
JP2011052485A (ja) 補強梁受け金物
JP5691050B2 (ja) クラック誘発目地材
JP4603057B2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JP6185811B2 (ja) 外装材施工用下地材及び外装材の施工方法
KR101824461B1 (ko) 샌드위치 패널 커플링 유니트
KR101083403B1 (ko)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KR200394623Y1 (ko) 유로폼 보강재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KR102454432B1 (ko) 슬래브패널
JP3207573U (ja) 建材連結金物
KR200378474Y1 (ko) 조립식 벽체의 코너 고정장치
JP2012241316A (ja) コーナー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