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514Y1 - 경량벽체 고정틀 - Google Patents

경량벽체 고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514Y1
KR200262514Y1 KR2020010032275U KR20010032275U KR200262514Y1 KR 200262514 Y1 KR200262514 Y1 KR 200262514Y1 KR 2020010032275 U KR2020010032275 U KR 2020010032275U KR 20010032275 U KR20010032275 U KR 20010032275U KR 200262514 Y1 KR200262514 Y1 KR 200262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frame
lightweight
forming bar
lightweigh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2020010032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14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벽체를 내벽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경량벽체 고정틀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은 내벽에 경량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부를 형성한 상하부런너; 상기 상하부런너의 사이에 위치되어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부에는 걸림편이 절곡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경량벽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바; 및 상기 성형바의 걸림편에 고정되는 걸림홈들이 양측단에 형성되며 그 걸림홈들이 형성된 면과는 절곡 형성되어 내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면을 갖고 그 면을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Description

경량벽체 고정틀{omitted}
본 고안은 경량벽체 고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경량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출물의 내벽에는 경량벽체를 설치하여 내화성능 및 차음성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량벽체는 통상 석고보드와 같은 재로를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제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내화성능 및 차음성능을 충족하는 벽체로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경량벽체는 미장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경량벽체의 표면에 도배지를 바르거나 대리석 등을 부착하여 내벽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경량벽체를 시공하기가 매우 난이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철골 스터드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철골 스터드는 그 시공에 있어 많은 나사못으로 고정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어 상당한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고 원재료비의 상승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벽체를 내벽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경량벽체 고정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내벽에 경량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부를 형성한 상하부런너; 상기 상하부런너의 사이에 위치되어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부에는 걸림편이 절곡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경량벽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바; 및 상기 성형바의 걸림편에 고정되는 걸림홈들이 양측단에 형성되며 그 걸림홈들이 형성된 면과는 절곡 형성되어 내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면을 갖고 그 면을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벽체 고정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벽체 고정특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며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경량벽체 12,14 - 상하부런너
20 - 성형바 22 - 걸림편
30 - 고정용 볼트 32 - 걸림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경량벽체 고정틀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벽체 고정특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며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경량벽체 고정틀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런너(12)(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하부런너(12)(14)는 천정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후술하는 성형바(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부런너(12)(14)에는 각각 돌출부(16)(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6)(18)에 성형바(20)의 상하 양단이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성형바(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성형바(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하 양단이 상기 상하부런너(12)(14)의 돌출부(16)(18)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성형바(20)의 내측부에는 걸림편(22)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22)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자유단측에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바(20)의 외측부에 경량벽체(1)를 고정한다. 즉, 상기 경량벽체(1)는 나사못(25)에 의해 상기 성형바(20)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성형바(20)에는 경량벽체(1)의 고정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미리 나사공(24)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용 철판(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용철판(30)은 상기 성형바(20)의 걸림편(22)에 고정되는 걸림홈(32)들이 양측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32)들은 상기 성형바(20)가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간격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32)들이 형성된 면(34)과는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면(36)을 갖고 있다. 이 면(36)에는 통공(38)이 형성되어 고정용 볼트(39)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고정용 철판(3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홈(32)들이 형성된 면(34)을 세워서 성형바(20)에 끼운 후 돌리면, 그 고정용 철판(30)에 형성된 걸림홈(32)들이 성형바(20)에 형성된 걸림편(22)들에 걸리게 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철판(30)에 내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면(36)에 볼트(39)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시공을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상기 상하부런너(12)(14)를 천정면과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하부런너(12)(14)는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상하부런너(12)(14)의 사이에 성형바(20)를 끼우는 형태로 하여 설치하고, 그 성형바(20)에 고정용 철판(30)을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성형바(20)의 걸림편(22)에 고정용 철판(30)의 걸림홈(32)이 걸려지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걸림홈(32)은 다수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성형바(20)와 내벽과의 거리에 따라 조절되어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경량벽체(1)를 상기 성형바(20)에 고정하면 간단하게 내벽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런너와 성형바 및 고정용 철판에 의해 경량벽체를 내벽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벽에 경량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천장면과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부를 형성한 상하부런너;
    상기 상하부런너의 사이에 위치되어 돌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내측부에는 걸림편이 절곡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경량벽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바; 및
    상기 성형바의 걸림편에 고정되는 걸림홈들이 양측단에 형성되며 그 걸림홈들이 형성된 면과는 절곡 형성되어 내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면을 갖고 그 면을 볼트를 이용하여 내벽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벽체 고정틀.
KR2020010032275U 2001-10-22 2001-10-22 경량벽체 고정틀 KR200262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75U KR200262514Y1 (ko) 2001-10-22 2001-10-22 경량벽체 고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75U KR200262514Y1 (ko) 2001-10-22 2001-10-22 경량벽체 고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14Y1 true KR200262514Y1 (ko) 2002-03-18

Family

ID=7311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75U KR200262514Y1 (ko) 2001-10-22 2001-10-22 경량벽체 고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70B1 (ko) * 2004-07-05 2013-02-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두께저감형 바이오웨이브 강판 복합패널 시공시스템 및두께저감형 바이오웨이브 강판 복합패널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770B1 (ko) * 2004-07-05 2013-02-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두께저감형 바이오웨이브 강판 복합패널 시공시스템 및두께저감형 바이오웨이브 강판 복합패널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20090067930A (ko)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KR200262514Y1 (ko) 경량벽체 고정틀
KR200262834Y1 (ko) 경량천정 고정틀
KR200370235Y1 (ko)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380138Y1 (ko) 복합패널 조립체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KR200346784Y1 (ko) 에이치바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
KR200363247Y1 (ko) 욕실용 천정판 조립구조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KR200236120Y1 (ko) 경량칸막이 벽체 내에 매설되는 박스 보강철물
KR200231033Y1 (ko) 조립식 천정판의 설치구조물
KR100379737B1 (ko) 경량칸막이 벽체 내에 매설되는 박스 보강철물
KR200289684Y1 (ko) 욕실용 천장패널
KR20050108748A (ko)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KR20180056161A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960009419Y1 (ko) 건축용 내장판재 고정장치
KR101083760B1 (ko) 흡음패널이 결합된 벽체구조물
KR200377095Y1 (ko) 천장등 고정용 매입형 전선함
KR200358564Y1 (ko)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KR200354657Y1 (ko)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200248282Y1 (ko) 전기계량기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