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657Y1 -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 Google Patents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657Y1
KR200354657Y1 KR20-2004-0007587U KR20040007587U KR200354657Y1 KR 200354657 Y1 KR200354657 Y1 KR 200354657Y1 KR 20040007587 U KR20040007587 U KR 20040007587U KR 200354657 Y1 KR200354657 Y1 KR 200354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ox
support
electrical wiring
support plat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태
Original Assignee
송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태 filed Critical 송연태
Priority to KR20-2004-0007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6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02G3/10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in association with a plinth, channel, raceway or simil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개선하여서 된 것으로서, 상측과 하측의 절곡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의 양측 단에 절개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스터드(stud)에 고정시킬 때에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절곡지지편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도 양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와 동일한 면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전면지지판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의 설치위치가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 고정편에 통공된 고정공을 통하여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석고보드에 견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종래의 설치공을 V형 설치공으로 통공하고 상측부와 하측부의 요홈들도 V형 요홈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볼트머리가 V형 설치공 외측(전면)으로 돌출(노출)되지 않도록 볼트 또는 못을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외면(경량칸막이)을 평탄하게 유지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A Support Plate For Electric Wiring Box}
본 고안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량칸막이의 내측에 전기배선박스를 설치하기 위해 스터드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개선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측에 배선박스설치공이 통공되고 양측부에 설치공이 통공되는 전면지지판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을 각각 후방을 향하여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상/하측 절곡지지편의 단부에 고정편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형성하되, 전면지지판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전기배선박스의 설치위치가 변형되었을 때에 석고보드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하측의 절곡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여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스터드에 고정시켰을 때에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설치공과 상/하측에 형성되는 홈을 V형으로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더라도 볼트머리가 외측(전면)으로 돌출(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면(경량칸막이)을 평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서 된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로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5821호 "경량칸막이용 배선박스의 고정구조"에 의해 알려져 있는데, 이를 첨부도면 도 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면에 배선박스설치공(14)이 통공되어 있는 전면지지판(11)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12)과 고정편(13)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지지판(11)의 양측 상하단부에는 설치공(15)이 각각 통공되어 있다.
다른 종래의 것으로서는 국내 의장등록 제 302569호 "건물 전기배선박스용 간격지지판"이 알려져 있는데, 이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배선박스설치공(14)이 통공되어 있는 전면지지판(11)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12)과 고정편(13)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지지판(11)의 양측 상하단부에는 설치공(15)이 각각 통공되어 있으며, 각 배선박스설치공(14)의 양측에는 설치되는 전기배선박스를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면지지판(11)을 장방형으로 절개하여 지지편(16)을 형성하였는데 이 지지편(16)에 의해 전면지지판(11)에는 장방형의 홀(17)들이 통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종래의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들은 볼트스크루와 같은 고정수단을 전면지지판(11)의 양측 단부에 통공되어 있는 설치공(15)을 통해 삽입하여 스터드(20:프레임)에만 고정시키게 되면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이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가 경량칸막이보다 고정편(13)의 두께(t)만큼 돌출되어지므로 절곡지지편(12)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는 그 양측에 설치되는 다른 경량칸막이보다 고정편(13)의 두께만큼 돌출되어지고 따라서 외면에 도배를 하더라도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포함하여 그 상/하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가 스터드(20)에만 고정되어질 뿐 스터드(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에는 고정시킬 수 없어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견실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거푸집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기배선박스의 위치가 편향되어 있을 경우에는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편향된 편차만큼 이동시켜 융통성 있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설치공(15)에 볼트스크루를 결합시키게 되면 볼트머리가 외부(전면)로 돌출되어지므로 볼트머리를 전면지지판(11)과 동일면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볼트머리를 망치 등으로 강하게 타격하게 되면 전면지지판(11)이 일그러지거나 변형되어 경량칸막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의장등록 제 302569호는 전면지지판(11)에는 장방형의 홀(17)들이 통공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에 콘크리트가 홀(17)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뿐만 아니라 건설 후에는 소음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지는 유입공의 역할을 하게 되어 실내에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에 배선박스설치공이 통공되고 양측부에 설치공이 통공되는 전면지지판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을 각각 후방을 향하여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상/하측 절곡지지편의 단부에 고정편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형성하되, 전면지지판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하측의 절곡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며,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설치공과 상/하측에 형성되는 홈을 V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면지지판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전기배선박스의 설치위치가 변형되었을 때에 석고보드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하측의 절곡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를 형성하여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스터드에 고정시켰을 때에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설치공과 상/하측에 형성되는 홈을 V형으로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더라도 볼트머리가 외측(전면)으로 돌출(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면(경량칸막이)을 평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하여서 된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내면에 배선박스설치공(5)이 통공되고 양측의 상하단부에 설치공이 통공되는 전면지지판(2)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3)과 고정편(4)을 각각 형성한 것에 있어서,
전면지지판(2)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8)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상/하측의 절곡지지편(3)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4)에 고정공(7)을 통공한 것과, 각 고정편(4)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9)를 형성한 것과,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설치공을 V형 설치공(6)으로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의 사시도 및 설치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2. 11: 전면지지판
3. 12; 절곡지지편 4. 13: 고정편
5. 14: 배선박스설치공 6: V형 설치공
7: 고정공 8: V형 요홈
9: 절개부 20: 스터드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의 설치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는, 내면에 배선박스설치공(5)이 통공되고 양측의 상하단부에 설치공이 통공되는 전면지지판(2)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3)과 고정편(4)을 각각 형성하였고, 상기 전면지지판(2)의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복수개의 V형 요홈(8)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으며, 상측과 하측의 각 절곡지지편(3)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4)에는 복수개의 고정공(7)을 등간격으로 유지시켜 통공하였으며, 각 고정편(4)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9)를 형성하였으며, 전면지지판(2)의 양측에 통공되는 종래의 설치공(15)을 V형 설치공(6)으로 형성하였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는, 상측과 하측의 절곡지지편(3)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4)의 양측 단을 제거하여 절개부(9)를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를 스터드(20)에 고정시킬 때에 절개부(9)가 스터드(20)의 전면에 얹혀 설치되므로 도 2에 예시된바와 같이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를 그 양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의 절곡지지편(3)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도 양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와 동일한 면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는, 전면지지판(2)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8)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설치위치가 변형되었을 때에도 스터드(20)와 그 내측에 설치되는 석고보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각 고정편(4)에는 복수개의 등간격으로 유지되는 고정공(7)을 통공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를 석고보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견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1)는, 전면지지판(2)의 양측에 통공되는 종래의 설치공(15)을 V형 설치공(6)으로 통공하고, 상측부와 하측부에 형성되는 요홈들도 V형 요홈(8)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볼트 또는 못을 결속시키더라도 볼트머리가 V형 설치공(6) 또는 V형 요홈(8)으로 삽입되어 외측(전면)으로 돌출(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면(경량칸막이)을 평탄하게 유지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는, 상측과 하측의 절곡지지편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의 양측 단에 절개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스터드에 고정시킬 때에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절곡지지편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도 양측에 설치되는 경량칸막이와 동일한 면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전면지지판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전기배선박스의 설치위치가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 고정편에 통공된 고정공을 통하여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를 석고보드에 견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전면지지판의 양측에 통공되는 종래의 설치공을 V형 설치공으로 통공하고 상측부와 하측부의 요홈들도 V형 요홈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볼트머리가 V형 설치공 외측(전면)으로 돌출(노출)되지 않도록 볼트 또는 못을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외면(경량칸막이)을 평탄하게 유지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면에 배선박스설치공(5)이 통공되고 양측의 상하단부에 설치공이 통공되는 전면지지판(2)의 상단과 하단에 절곡지지편(3)과 고정편(4)을 각각 형성한 것에 있어서,
    전면지지판(2)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복수개의 V형 요홈(8)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상/하측의 절곡지지편(3)에 일체로 형성되는 각 고정편(4)에 고정공(7)을 통공한 것과,
    각 고정편(4)의 양측을 제거하여 절개부(9)를 형성한 것과,
    전면지지판(2)의 양측에 통공되는 종래의 설치공(15)을 V형 설치공(6)으로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KR20-2004-0007587U 2004-03-19 2004-03-19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KR200354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87U KR200354657Y1 (ko) 2004-03-19 2004-03-19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587U KR200354657Y1 (ko) 2004-03-19 2004-03-19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657Y1 true KR200354657Y1 (ko) 2004-06-29

Family

ID=49432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587U KR200354657Y1 (ko) 2004-03-19 2004-03-19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6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US4127975A (en) Concealed fasteners for wall panels
US7098399B1 (en) Through-wall electrical box
KR100583675B1 (ko) 경량철골 천정마감재 설치용 구조
KR200354657Y1 (ko)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US7318302B2 (en) Equipment support for a metal building
KR101851305B1 (ko) 멀티캐리어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설치구조
US2812149A (en) Mounting clamp for switch boxes and the like
KR100788047B1 (ko) 경량칸막이용 전기배선박스설치지지대
JP5103271B2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KR200374580Y1 (ko) 천장패널 장착구조
JP4122494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227921Y1 (ko) 통신장비 고정용 브라켓트
JP3731168B2 (ja) 分割型壁レール及び天井レール
JPH08333865A (ja) 建物壁面材の張り重ね工法及び壁面材の取付金具
KR100462148B1 (ko) 천장틀
JP3534335B2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KR200229397Y1 (ko) 투명 방음판의 프레임 설치 구조
KR200300711Y1 (ko) 천장틀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KR200236235Y1 (ko) 천정판
JP4818741B2 (ja) 設備取付用下地及び界壁下地、並びに界壁パネル
JPH0334416Y2 (ko)
KR200275170Y1 (ko) 커텐레일 고정구
KR200262834Y1 (ko) 경량천정 고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