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161A -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161A
KR20180056161A KR1020160154051A KR20160154051A KR20180056161A KR 20180056161 A KR20180056161 A KR 20180056161A KR 1020160154051 A KR1020160154051 A KR 1020160154051A KR 20160154051 A KR20160154051 A KR 20160154051A KR 20180056161 A KR20180056161 A KR 2018005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unit
fitting
support structure
ru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216B1 (ko
Inventor
김성주
최안숙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상명엔프라(주)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엔프라(주),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상명엔프라(주)
Priority to KR102016015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2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2Posts or frame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reduced sound or heat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4Posts or frame members with projections for holding sound or heat insulating fil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04B2/767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터드(100)가 하부와 상부에 구비된 런너(20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끼워진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A)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0)는 ㄷ형상을 갖는 두개의 단위스터드부재(110)가 서로 개방부를 마주보고 일정 간격의 스페이서(S)가 형성되도록 연결부재(120)로 연결어 어지되,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는 석고보드(B)가 지지되는 몸체부(111)의 양측단부에 측벽부(112)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부(112)의 단부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끼움부(113)가 직각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20)는 세로방향으로 길다랗게 ㄷ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몸체부(121)의 상,하부에 사각형의 걸림편(122)이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지고, 상기 사각형의 걸림편(122)의 네모서리에 걸림홈(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122)의 걸림홈(123)에 상기 양측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각각 끼움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연결부재 및 클라스울 고정구가 스터드를 따라 흘러 내려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스터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런너를 통한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Builder's Wall}
이 건 발명은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 구조물의 실내 바닥과 천정 사이로 런너에 의하여 수직되게 시공되어지는 스터드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내부에 글라스울이 글라스울 고정구에 의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연결부재가 스터드를 따라 흘러 내려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스터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런너를 통한 차음율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음과 방화 성능이 요구되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는 벽돌 또는 블록을 이용한 칸막이벽이 시공 및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경량화에 의한 석고보드 칸막이벽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석고보드 칸막이벽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각각 구비된 찬넬형태를 갖는 런너 사이에 목재나 경량 철골을 이용한 지지대가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한 후 지지대 사이의 내부로 단열재를 삽입하고, 약 9~12mm를 갖는 석고보드를 지지대의 양측면에 못이나 나사못을 사용하여 고정 한 후 석고보드의 이음부에 석고 플라스터 또는 종이테이프를 붙이고, 벽 전체를 수성페인트로 칠하여 이음부를 알아볼 수 없게 한 것이다.
이러한 석고보드 칸막이벽은 단순한 찬넬형태를 갖는 런너가 사용되어지며, 런너에 삽입되는 지지대 역시 단순한 하나의 바 형태를 가짐으로써, 칸막이벽의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석고보드와 지지대 및 상하부로 구비된 런너를 통해 여과없이 전달되는 등 차음성능이 낮아 공간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 슬라브와 천정 슬라브에 직접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된 런너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의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층간소음 문제가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87693호(2015.01.23)의 공동주택용 차음벽이 제안되어 차음벽에 의하여 구획되어지는 건축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있어 일측 공간에서 발생된 소음이 타측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차음 성능을 높여 쾌적한 내부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차음벽이 구획되어지는 바닥 슬라브와 천정 슬라브를 통해 상부층과 하부층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소음 문제를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차음벽은 천정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설치된 상,하부 런너에 스터드가 구비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스터드가 구비됨으로써, 작업 공정수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가운데 작업 공기가 지연되거나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후방으로 위치된 각각의 스터드가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상,하부 런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엠바를 가짐에 따라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충분한 차음 또는 흡음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87693호(2015.01.23)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실내 벽체를 지지하는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 및 글라스울 고정구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터드 사이의 간격이 변형되는 것과 글라스울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수를 줄여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런너를 통한 차음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A)에 관한 것으로, 스터드(100)가 하부와 상부에 구비된 런너(20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끼워진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A)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0)는 ㄷ형상을 갖는 두개의 단위스터드부재(110)가 서로 개방부를 마주보고 일정 간격의 스페이서(S)가 형성되도록 연결부재(120)로 연결어 어지되,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는 석고보드(B)가 지지되는 몸체부(111)의 양측단부에 측벽부(112)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부(112)의 단부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끼움부(113)가 직각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20)는 세로방향으로 길다랗게 ㄷ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몸체부(121)의 상,하부에 사각형의 걸림편(122)이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지고, 상기 사각형의 걸림편(122)의 네모서리에 걸림홈(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122)의 걸림홈(123)에 상기 양측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각각 끼움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끼움보강편(114)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20)의 걸림편(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와 끼움보강편(114)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몸체부(111)의 외측면에는 석고보드(B)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지지부(1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벽부(112)에는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는 사이드 보강리브(112-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에 형성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돌부(210)는 수평부(211)와 웹부(212)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웹부(212)의 단부 외측으로 이격가이드 돌기(221)를 갖는 플랜지부(22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지며, 상기 런너(200)의 끼움돌부(210)의 수평면(211)에는 다수개의 타공홀(h)이 형성되어지고, 플랜지부(220)의 가이드돌기(221)는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웹부(212)가 시작되는 플랜지부(220)에 에폭시 주입홀(222)이 형성되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져 상기 에폭시 주입홀(222)을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에 형성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돌부(210)의 양측에 끼움요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스터드(100)의 단위스터드부재(110) 단부가 상기 런너(200)의 끼움요부(23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의 상, 하부가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삽입부(2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부(240)의 바닥에 다수개의 에폭시 주입홀(H')과 볼록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에폭시 주입홀(H')이 형성된 부분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져 상기 에폭시 주입홀(H')을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터드(100)의 단위 스터드부재(110) 사이로 형성된 스페이서(S)에 글라스울 지지구조(3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글라스울 지지구조(300)는 지지구조 몸체(310)의 전면에 지지핀(32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구조 몸체(310)는 수직패널(311)의 상, 하부에 각각 수평패널(31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패널(312)이 절곡된 모서리 양측에 각각 걸림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3)에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실내 바닥과 천정 사이로 런너에 의하여 수직되게 시공되어지는 스터드가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제공되는 스페이서에 글라스울을 삽입하여 단열 내지는 차음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글라스울이 글라스울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가 단순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시공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연결부재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스터드를 따라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터드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터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런너에 있어 스터드와 맞닿는 면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차음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스터드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런너의 형태가 돌출형 또는 요입형에 따라 천정 슬라브에 고정형태로 벽체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하거나 난방라인이 매립된 바닥에 가변형태로 벽체가 시공될 수 있는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벽체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벽체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는 건축 구조물의 실내 바닥인 바닥 슬라브 또는 난방라인이 매립된 바닥에 런너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된 후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터드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스터드를 따라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고, 아울러 충분한 차음율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A)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에 구비된 런너(200) 사이로 일정간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마주보는 단위스터드부재(110)가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 사이에는 항상 일정한 간격을 갖는 공간인 스페이서(S)가 형성된 스터드(100)로 구비된다.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도록 한 것으로 몸체부(111)의 양측단부에 측벽부(112)가 직각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부(112)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끼움부(113)가 직각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 단부에는 내측으로 끼움보강편(114)이 각각 형성되어 끼움부(11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 및 끼움보강편(114)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부(115)로 인하여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 및 끼움보강편(114)이 상기 연결부재(120)의 걸림편(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끼워질 때 상기 연결부재(120)가 상, 하로 미끄러지지 아니 하는 효과가 있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끼움부(113) 및 끼움보강편(114)의 외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115)가 형성되어 연결부재(120) 및 글라스울 지지구조(300)가 하부로 미끄러져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15)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되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요부에 후술하는 걸림편(122)에 형성된 걸림홈부(123)가 끼워지게 됨에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몸체부(111)에는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요철지지부(111-1)가 반복 형성되어 석고보드의 접촉되는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소음이 감소될 수 있게 구비되어 된다.
상기 측벽부(112)는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는 사이드 보강리브(112-1)가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펀칭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단위스터드부(110)의 내측으로 강하게 압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맞물려질 수 있게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부재(120)은 불소수지가 코팅된 강판으로 형성되어 부식에 충분한 저항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20)는 세로방향으로 ㄷ형태를 갖도록 연결몸체부(121)의 상,하부에 사각형의 걸림편(122)이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걸림편(122)의 일측이 단위스터드부재(110)에 삽입되며, 타측 역시 다른 단위스터드부재(110)에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삽입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몸체부(121)는 수직인 부분에 수직관통홀(121-1)과 수직보강돌기(121-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림편(122)에는 가로관통홀(125)이 세로관통홀(126)이 형성되어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20)의 연결몸체부(121)와 걸림편(122)의 절곡부에는 절곡강도 보강을 위한 헌치부(127)가 일정간격으로 2개씩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122)의 걸림홈(123)의 외측에는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테이퍼부(124)가 각각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편(122)의 네모서리에 걸림홈부(123)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네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홈부(123)에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삽입됨과 동시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구비된 단위스터드부재(110) 사이의 공간인 스페이서(S)에는 글라스울(G)이 삽입되어 단열 및 흡음의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외측에 석고보드(B)가 구비되어 안정된 벽체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런너(200)는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된 단위스터드부재(110)로 이루어진 스터드(1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Figure pat00004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돌부(210)는 수평부(211)와 웹부(212)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웹부(212)의 단부 외측으로 이격가이드 돌기(221)를 갖는 플랜지부(22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단위스터드부재(110)가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흡음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런너(200)의 삽입돌출부(210)의 수평면(211)에는 다수개의 타공홀(h) 이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타공홀(h) 및 다공홀(h)의 하부로 제공되는 공간에 의하여 흡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220)에는 볼록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221)가 형성됨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구비되어 스터드(100)에 의하여 구비되어지는 벽체가 이동할 수 없는 고정식으로 시공된다. 이때, 상기 웹부(212)가 시작되는 플랜지부(220)에 에폭시 주입홀(222)이 형성되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져 상기 에폭시 주입홀(222)을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런너(200)는 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결합된 단위스터드부재(110)로 이루어진 스터드(100)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Figure pat00005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돌부(210)의 양측에 끼움요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상, 하부 스터드(100)의 단위스터드부재(110) 단부가 상기 런너(200)의 끼움요부(230)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끼움요부(230)에는 다수개의 타공홀(h) 이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발생된 소음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타공홀(h) 및 다공홀(h)의 하부로 제공되는 공간에 의하여 흡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위 스터드부재(110)는 각각의 단위 스터드부재(110) 사이로 형성된 스페이서(S)에 글라스울 지지구조(300)가 구비되어 글라스울(G)이 하부로 처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글라스울 지지구조(300)는 지지구조 몸체(310)의 전면에 지지핀(32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글라스울(G)을 관통한 상태에서 단부를 상부로 절곡시킴으로써, 역방향으로 글라스울(G)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글라스울(G)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구조 몸체(310)는 수직패널(311)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패널(31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패널(312)이 절곡된 모서리 양측에 각각 걸림홈(313)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걸림홈(313)에 상기 단위 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삽입되어 안정된 지지력이 확보되는 가운데 글라스울(G)의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글라스울(G)을 포함하는 지지구조 몸체(310)가 흘러내리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벽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 건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건 발명에서 상기 런너(200)가
Figure pat00006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직접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터드(100)의 상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너(200)를
Figure pat00007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런너(200)는 스터드(100)가 삽입되어지는 삽입부(2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부(240)의 바닥에 다수개의 에폭시 주입홀(H')이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에폭시 주입홀(H')의 양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어 스터드(100)의 단부가 얹혀지거나 맞대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에폭시 주입홀(H')이 형성된 부분은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지도록 한 후 에폭시 주입홀(H')를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에서 상기 런너(200)는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직접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터드(100)의 상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러한 상태에서 런너(200)가 난방라인이 매립된 바닥에 의하여 매립되도록 하여 벽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런너(200)는 스터드(100)가 삽입되어지는 삽입부(2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부(240)의 바닥에 다수개의 에폭시 주입홀(H')과 볼록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어 난방라인이 매립된 바닥에 밑면이 얹혀지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벽체가 가변식이됨에 따라 공간활용율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100:스터드 110:단위스터드부재
111:몸체부 112:측벽부
113:끼움부 120:연결부재
121:연결몸체부 122:걸림편
123:걸림홈부 200:런너
210:끼움돌부 220:플랜지부
300:글라스울 지지구조 310:지지구조 몸체
320:지지핀

Claims (7)

  1. 스터드(100)가 하부와 상부에 구비된 런너(20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되게 끼워진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A)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0)는 ㄷ형상을 갖는 두개의 단위스터드부재(110)가 서로 개방부를 마주보고 일정 간격의 스페이서(S)가 형성되도록 연결부재(120)로 연결어 어지되,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는 석고보드(B)가 지지되는 몸체부(111)의 양측단부에 측벽부(112)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부(112)의 단부가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끼움부(113)가 직각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20)는 세로방향으로 길다랗게 ㄷ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몸체부(121)의 상,하부에 사각형의 걸림편(122)이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지고, 상기 사각형의 걸림편(122)의 네모서리에 걸림홈(12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편(122)의 걸림홈(123)에 상기 양측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각각 끼움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끼움보강편(114)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20)의 걸림편(122)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와 끼움보강편(114)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몸체부(111)의 외측면에는 석고보드(B)를 지지하기 위한 요철지지부(1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벽부(112)에는 중앙에 내측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는 사이드 보강리브(112-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08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에 형성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돌부(210)는 수평부(211)와 웹부(212)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웹부(212)의 단부 외측으로 이격가이드 돌기(221)를 갖는 플랜지부(220)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지며, 상기 런너(200)의 끼움돌부(210)의 수평면(211)에는 다수개의 타공홀(h)이 형성되어지고, 플랜지부(220)의 가이드돌기(221)는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웹부(212)가 시작되는 플랜지부(220)에 에폭시 주입홀(222)이 형성되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져 상기 에폭시 주입홀(222)을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09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에 형성된 상, 하부 스페이서(S)에 끼워지도록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끼움돌부(21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돌부(210)의 양측에 끼움요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 스터드(100)의 단위스터드부재(110) 단부가 상기 런너(200)의 끼움요부(23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벽체용 지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200)는
    Figure pat00010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터드(100)의 상, 하부가 삽입되어지도록 상기 상기 스터드(100)를 향하여 삽입부(24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삽입부(240)의 바닥에 다수개의 에폭시 주입홀(H')과 볼록한 형태를 갖는 가이드돌기(250)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에폭시 주입홀(H')이 형성된 부분이 바닥 슬라브 또는 천정 슬라브에 맞대어져 상기 에폭시 주입홀(H')을 통해 주입되는 에폭시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100)의 단위 스터드부재(110) 사이로 형성된 스페이서(S)에 글라스울 지지구조(30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글라스울 지지구조(300)는 지지구조 몸체(310)의 전면에 지지핀(320)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구조 몸체(310)는 수직패널(311)의 상, 하부에 각각 수평패널(31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패널(312)이 절곡된 모서리 양측에 각각 걸림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13)에 상기 단위스터드부재(110)의 끼움부(113)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20160154051A 2016-11-18 2016-11-18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1922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51A KR101922216B1 (ko) 2016-11-18 2016-11-18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51A KR101922216B1 (ko) 2016-11-18 2016-11-18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161A true KR20180056161A (ko) 2018-05-28
KR101922216B1 KR101922216B1 (ko) 2018-11-26

Family

ID=62451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51A KR101922216B1 (ko) 2016-11-18 2016-11-18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97B1 (ko) * 2019-08-12 2020-09-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18B1 (ko) * 2012-07-27 2013-03-22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 벽체 시스템 및 건식 벽체 시공방법
KR101644876B1 (ko) * 2015-11-11 2016-08-03 (주)유창 건식벽체용 금속 스터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36B1 (ko) * 2013-08-08 2014-12-02 주식회사 대한강재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18B1 (ko) * 2012-07-27 2013-03-22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 벽체 시스템 및 건식 벽체 시공방법
KR101644876B1 (ko) * 2015-11-11 2016-08-03 (주)유창 건식벽체용 금속 스터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697B1 (ko) * 2019-08-12 2020-09-16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216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584036B1 (ko) 화재 확산 차단구조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KR100256390B1 (ko) 조립식벽과 그벽보드 및 프로파일
US6634148B2 (en) Insulated poured wall system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2013087421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102173217B1 (ko) 런너가 스터드 내측에 설치된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101478306B1 (ko) 양면 일체형 단위벽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벽체의 연결구조
KR101680738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160023284A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101447359B1 (ko) 인서트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외장패널의 종벽 록킹 설치방법
KR102075518B1 (ko) W 절곡형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KR102074061B1 (ko) 구조단열패널용 부착철물 세트
KR20190117141A (ko) 스터드의 조립식 양방향 단열재 고정클립과 이의 시공방법
JPH0644966Y2 (ja) 間仕切壁用パネル
KR102281903B1 (ko) 커튼 박스
KR101487693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KR20050046026A (ko) 건축물의 경량 벽체 내화 구조
KR102408249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용 복합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