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97B1 -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97B1
KR102156697B1 KR1020190098309A KR20190098309A KR102156697B1 KR 102156697 B1 KR102156697 B1 KR 102156697B1 KR 1020190098309 A KR1020190098309 A KR 1020190098309A KR 20190098309 A KR20190098309 A KR 20190098309A KR 102156697 B1 KR102156697 B1 KR 10215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studs
flange
bent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이승상
김규식
김경호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09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04B2/7412Posts or frame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reduced sound or heat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벽체 구조물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를 포함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HORIZONTAL MEMBER AND WALL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차음성능과 시공성이 동시에 개선된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식벽체는 패널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부재(스터드, stud)와 수직부재의 상하단부를 고정하는 수평부재(런너, runn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는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이 주로 사용된다. 천장과 바닥에 수평부재를 설치하고 상하의 수평부재 사이에 수직부재를 끼워서 결합한 후 수직부재에 패널을 부착하여 건식벽체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건식벽체의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벽체의 두께가 계속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스터드를 이격시키고 이격된 스터드의 일부 영역을 클립으로 연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진동이 클립으로 연결된 스터드의 일부 영역만으로 전달되므로 진동전달 경로가 감소하여 동일한 두께에서 차음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수평부재의 차음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수평부재(1)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이를 이용한 종래 벽체 구조물이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종래 수평부재(1)는 웨브(4)와 웨브(4)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플랜지(2,3)를 포함한 ㄷ 자 형 철골부재일 수 있고, 이를 클립(6)형 수직부재(5)에 사용하는 경우 클립형 수직부재(5)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수평부재(1)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수직부재(5)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수평부재(1)에 밀착되게 시공될 수 있었다. 종래 수평부재(1)를 사용하는 경우 수평부재(1)가 클립형 수직부재(5)의 양 측면을 감싸고 있어 진동전달의 경로가 되므로 차음성능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평부재(1)가 수직부재(5)에 밀착 고정되지 않으므로 수직부재(5)의 자립이 불가하므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고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수평부재(1)를 개선하여 진동전달율을 저감함으로써 차음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도 수직부재가 수평부재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차음성능이 개선되는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를 포함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는,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를 포함하는 수직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고정하는 수평부재에 있어서,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을 이용하면 수평부재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제1 플랜지와 밀착부가 수직부재의 일부인 제1 스터드의 단부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도 수직부재가 수평부재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됨과 동시에, 차음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수평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은 종래 벽체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평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수평부재와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벽체 구조물(10)은 수평부재(100)와 수직부재(200)를 포함한다.
수평부재(100)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수평부재(100)는 천장슬라브(20)와 바닥슬라브(20)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미설명부호인 B는 수평부재를 슬라브(20)에 설치하는 볼트이다.
수직부재(200)는 수평부재(100)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210,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직부재(200)는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터드(210)와 제1 스터드(210)에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1 스터드(210)와의 사이에 스터드 공간(S)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부재(200)는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가 연결클립(300)에 의해 연결된 클립형 스터드일 수 있다. 연결클립(30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수직부재(200)의 중간 부분에서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를 연결할 수 있다.
수직부재(200)는 수평부재(100)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수직부재(2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제1 패널(31)과 제2 패널(32)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패널(31)과 제2 패널(32)은 벽체 구조물(10)의 외장인 벽체부(30)를 구성할 수 있다.
수평부재(100)는 웨브부(130)와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및 지지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100)는 종래 ㄷ 자형 단면을 가진 부재의 한쪽 끝단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ㄱ 자형상 단면을 더 추가한 형태이다.
웨브부(130)는 수평하게 구비되고, 슬라브(20)와 수직부재(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10)는 웨브부(130)의 제1 스터드(210)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1 스터드(210)에 밀착된다. 또한 제2 플랜지부(120)는 웨브부(130)의 제2 스터드(220)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스터드 공간(S)에 삽입되며 제 2스터드(220)에 밀착된다. 즉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웨브부(130)에서 수직부재(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140)는 제2 플랜지부(12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스터드 공간(S)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터드(210)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며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내향절곡부(141)는 제2 플랜지부(120)의 단부에서 제1 스터드(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내향절곡부(141)는 스터드 공간(S)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플랜지의 단부에서 제1 스터드(2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밀착부(142)는 내향절곡부(141)의 단부에서 웨브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1 스터드(210)에 밀착된다. 밀착부(142)는 스터드 공간(S)에 배치되고, 내향절곡부(141)에서 웨브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제1 스터드(210)의 스터드 공간(S)을 향하는 면에 면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142)는 제1 스터드(210)에 밀착되어 제1 스터드(210)를 지지하거나 가압하도록 구비될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100)는 절곡된 형상에 의해 제1 플랜지와 밀착부(142)가 제1 스터드(210)의 단부를 양 측면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부(110)와 밀착부(142)가 제1 스터드(210)에 밀착됨으로써 수직부재(200)의 상하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200)는 나사못 등의 별도의 고정부재로 고정하지 않아도 수직부재(200)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비교예로써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100')을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사이에 삽입되게 설치하는 경우(도 7의 좌측도면 참조)와,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100')의 일부를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사이에 삽입되게 설치하는 경우(도 7의 우측도면 참조)를 고려할 수 있다.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을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사이에 모두 삽입하는 경우는 차음성능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으나, 수직부재(200)와 밀착되게 시공되지 못하여 별도의 나사못 작업이 필요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결클립(300)의 위치에 따라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사이가 벌어지는 등 그 폭이 일정하지 않아 현장에서 별도로 고정작업을 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의 일부를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사이에 삽입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중 하나가 ㄷ 자 형상의 경량철골과 마찰력에 의해 자립되는 형태이나, 실제 현장에서는 바닥 슬라브(20)의 평활도 문제에 의해 일률적인 마찰력 확보가 어려워 수직부재(200)가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자립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현장에서는 천장 슬라브(20)의 처짐을 흡수하도록 수평부재(100)와 수직부재(200) 사이가 이격되게 시공하기 때문에 경량철골(100')에 의한 고정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비교예와 같은 형상의 경량철골(100')에 의해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를 지지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경량철골(100')은 시공성과 생산성이 뛰어난 반면 차음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경량철골(100')은 차음성능이 뛰어난 반면 시공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수직부재(200)를 수평부재(100)에 설치하는 경우 제1 스터드(210)의 상, 하단부가 제1 플랜지와 밀착부(142)에 의해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도 수직부재(200)가 수평부재(10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동시에 차음성능 또한 상기한 비교예들과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스터드(220)에서 제1 스터드(21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1)이라 하고 제1 스터드(210)에서 제2 스터드(220)를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D2)이라 한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제1 플랜지부(110)는 제1 스터드(210)의 제1 방향(D1)을 향하는 면에 밀착되고, 밀착부(142)는 제1 스터드(210)의 제2 방향(D2)을 향하는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는 제1 스터드(2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제2 플랜지부(120)도 제2 스터드(220)의 제1 방향(D1)을 향하는 면에 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수평부재(100)와 수직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착부(142)가 제1 스터드(210)를 가압하도록, 수평부재(100)와 수직부재(2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가 이루는 각도(θ)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부재(100)를 제작할 때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일례로 90도 내지 135도 사이)이 되도록 절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착부(142)와 제1 플랜지 사이에 제1 스터드가 삽입되면, 밀착부(142)가 전체적으로 제1 스터드(210)를 가압하게 되므로, 밀착부(142)의 지지력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부재(200)를 흔들림없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반면,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례로 0도 내지 90도)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경우 내향절곡부(141)의 단부가 제1 스터드(210)에 밀착될뿐 밀착부(142)는 제1 스터드(21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인 경우 또한 밀착부(142)가 제1 스터드(210)를 지지할뿐 가압하는 힘은 없거나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 또는 직각인 경우 밀착부(142)가 제1 스터드(210)를 가압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 밀착부의 고정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랜지부(110)는 제2 플랜지부(12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플랜지부(110)의 길이가 제2 플랜지부(120)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h 참조, 일례로 h는 1-10mm)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랜지부(120)의 단부를 수평하게 연장한 가상의 선보다 더 돌출된 제1 플랜지부(110)의 영역(h 참조)을 가이드영역이라 할 때, 제1 스터드(210)는 제1 플랜지부(110)와 밀착부(142) 사이에 시공 시 단부가 가이드영역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스터드(210)의 단부가 가이드영역에 맞닿으면서 시공되므로, 제1 스터드(210)를 밀착부(142)와 제1 플랜지부(110) 사이에 정확하게 겨냥하여 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수직부재(200)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 제1 플랜지부(110)가 제2 플랜지부(120)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한 가이드 영역이 없을 경우, 제1 스터드(210)를 시공시 제1 스터드(210)의 하단부를 제1 플랜지부(110)와 밀착부(142) 사이에 정확하게 겨냥하여 시공하여야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내향절곡부(141)의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폭은 스터드 공간(S)의 제1 방향(D1)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 구조물(1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스터드 공간(S)의 폭도 증가하면서 내향절곡부(141)의 폭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스터드 공간(S)의 제1 방향(D1)의 폭에 따라 웨브부(130)의 폭이 다양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과 같이 수직부재(200)가 수평부재(100)에 결합된 후에도, 제2 플랜지와 내향절곡부(141) 및 밀착부(142)로 둘러싸인 공간(S1)은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이 공간(S1)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스터드 공간(S)의 폭이 증가하는 경우 제2 플랜지와 내향절곡부(141) 및 밀착부(142)로 둘러싸인 공간(S1)도 커지므로 이 공간(S1)을 통해 전기 배선 등을 가로로 시공할 수 있어서 설비 시공성이 개선되는 효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웨브부(130)와 내향절곡부(141)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관통홀이 관통될 수 있다. 즉 수직부재(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 및 밀착부(142)를 제외한 부분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진동의 전달경로가 복잡해져서 차음성능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홀이 형성되지 않은 기존의 수평부재의 차음성능은 Rw+C 61인 반면, 타공홀이 형성된 본 발명의 수평부재(100)는 Rw+C 63의 차음성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Rw+C'는 'Reduction Weighting + C스펙트럼'으로 차음성능의 단일 수치값의 단위일 수 있다.
다만, 제1 플랜지부(110)와 제2 플랜지부(120) 및 밀착부(142)는 수직부재(200)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결합력과 지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타공홀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소리가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2 패널(32)의 좌측에서 발생한 소음(소리에너지)이 공기중으로 전달되어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고, 전환된 운동에너지가 제2 패널(32)을 진동시킨다. 진동은 매질의 역할을 하는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 및 수평부재(100)를 통해 이와 접촉된 제1 패널(31)을 진동시킨다. 이러한 진동은 제1 패널(31)의 우측 공간의 공기에 운동에너지를 전달하고 소리에너지로 전환되어 귀를 자극하는 소음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터드(210)와 제2 스터드(220)를 이격시키고 수평부재가 제1 및 제2 스터드의 양단을 감싸도록 설치하지 않으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서 소음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웨브부(130)와 내향절곡부(141)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관통홀이 타공되면, 매질의 역할을 하는 웨브부(130)와 내향절곡부(141)의 전체 단면이 줄어들게 되어 진동 저감 효과가 있고, 관통홀이 타공되지 않은 경우 직선으로 전달되던 진동이 관통홀로 인해 복잡한 경로로 전달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평부재(100)는,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210,220)를 포함하는 수직부재(2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고정하는 수평부재(100)에 있어서,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130), 웨브부(130)의, 2개의 상기 스터드(210,220)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200)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110)와, 상기 웨브부(130)의, 2개의 상기 스터드(210,220)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210,220)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S)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120)와, 상기 제2 플랜지(120)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S)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210,220)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고정부(140)는 내향절곡부(141)와 밀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에 따르면 제1 스터드와 제2 스터드를 이격시키고 이를 연결클립으로 연결하여 진동 전달경로를 줄이고, 추가적으로 수평부재가 제1 스터드와 제2 스터드의 외측 양단부를 감싸지 않음으로써 차음성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제1 플랜지부와 밀착부가 수직부재의 일부인 제1 스터드의 단부를 양측면에서 지지하고 밀착 고정할 수 있고, 제2 스터드는 제1 스터드와 연결클립으로 연결되어 자립가능하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벽체 구조물
20: 슬라브
30: 벽체부
31: 제1 패널
32: 제2 패널
100: 수평부재
100': 경량철골
110: 제1 플랜지부
120: 제2 플랜지부
130: 웨브부
140: 지지고정부
141: 내향절곡부
142: 밀착부
200: 수직부재
210: 제1 스터드
220: 제2 스터드
230: 스터드볼트
300: 연결클립
S: 스터드 공간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Claims (7)

  1.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를 포함하는 수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재는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벽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터드와 상기 제1 스터드에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터드와의 사이에 상기 스터드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스터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스터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내향절곡부를 포함하는 벽체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부는 상기 내향절곡부의 단부에서 상기 웨브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터드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벽체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부가 상기 제1 스터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내향절곡부와 상기 밀착부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벽체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제2 플랜지보다 길게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부와 상기 내향절곡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관통홀이 관통되는 벽체 구조물.
  7. 서로 연결되되 이격되게 배치되는 2개의 스터드를 포함하는 수직부재를 고정하는 수평부재에 있어서,
    수평하게 구비되는 웨브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어느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에 밀착되는 제1 플랜지부;
    상기 웨브부의, 2개의 상기 스터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고 2개의 상기 스터드 사이에 구비된 스터드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스터드 공간에 구비되고 2개의 스터드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고정부를 포함하는 수평부재.
KR1020190098309A 2019-08-12 2019-08-12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215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09A KR102156697B1 (ko) 2019-08-12 2019-08-12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309A KR102156697B1 (ko) 2019-08-12 2019-08-12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697B1 true KR102156697B1 (ko) 2020-09-16

Family

ID=7266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309A KR102156697B1 (ko) 2019-08-12 2019-08-12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514A (ja) * 2003-05-20 2004-12-09 Kiri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ランナー
KR101467936B1 (ko) * 2013-08-08 2014-12-02 주식회사 대한강재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KR20170107949A (ko) * 2017-09-15 2017-09-26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축 구조물용 내화 벽체
KR20180056161A (ko) * 2016-11-18 2018-05-28 상명엔프라(주)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6514A (ja) * 2003-05-20 2004-12-09 Kiri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ランナー
KR101467936B1 (ko) * 2013-08-08 2014-12-02 주식회사 대한강재 Mp-bar 클립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KR20180056161A (ko) * 2016-11-18 2018-05-28 상명엔프라(주)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20170107949A (ko) * 2017-09-15 2017-09-26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축 구조물용 내화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00955A1 (zh) 一种墙体结构
AU20142033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upported architectural design
KR101161112B1 (ko) 패널조립구조체
JP5104764B2 (ja) 建物の天井構造
WO2022000954A1 (zh) 一种龙骨、隔声墙体单元和墙体
JP6676500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及び天井
KR102156697B1 (ko) 수평부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20120028765A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828043B1 (ko) 케이블 트레이
JP5953147B2 (ja) 多重天井構造
JP5505199B2 (ja) 建物の床・天井構造
JP2014125790A (ja) 防振天井パネル、これを備えた天井構成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建築物
KR20130125253A (ko) 절곡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방진 달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방진천장
CN220565501U (zh) 一种钢结构隔墙
JP5696929B2 (ja) 野縁固定金具および既設天井下地における野縁の耐震補強構造
JP5445862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H11310974A (ja) C型鋼製建材の振動防止構造及び防止方法
JP7401352B2 (ja) 遮音パネル、遮音壁及び遮音壁の施工方法
CN210770694U (zh) 一种市政管道安装架
KR20220167704A (ko) 차음 성능이 개선된 건식벽체
JP2000129847A (ja) 床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069340U (zh) 一种布艺尖劈
CN214738947U (zh) 一种建筑用抗震支座
JP5582094B2 (ja) 建物の天井構造
CN214329557U (zh) 可拆卸墙板结构、墙体及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