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765A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Google Patents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765A
KR20120028765A KR1020100090790A KR20100090790A KR20120028765A KR 20120028765 A KR20120028765 A KR 20120028765A KR 1020100090790 A KR1020100090790 A KR 1020100090790A KR 20100090790 A KR20100090790 A KR 20100090790A KR 20120028765 A KR20120028765 A KR 2012002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bent
bent steel
concret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206B1 (ko
Inventor
박금성
배규웅
허병욱
이상섭
곽명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2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04B5/29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the prefabricated parts of the beams consisting who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가 절곡강판형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층고 절감이 가능한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 및 한 쌍의 웨브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단에서 연장된 2개의 측면과, 각각의 측면 끝 부분에 연장된 연결 단부로 구성되어 한쪽 면이 개방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바닥면이 거치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양쪽에 매달리고 연결 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 및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이들과 합성되면서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Composite beam using built-up beam of profiled steel and deck plate}
본 발명은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플레이트가 절곡강판형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층고 절감이 가능한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보 공법은 크게 철골 보가 콘크리트로 완전하게 감싸진 형태의 매입형 합성보와 철골 보의 상부에 합성 슬래브를 시공하여 모멘트 성능을 극대화시킨 노출형 합성보로 대별할 수 있다.
매입형 합성보의 경우 규준에서 정한 피복 두께를 만족하면 별도의 전단연결재가 없어도 완전합성 거동을 하지만 시공성 및 경제성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국내의 경우 적용 예가 많지 않다.
노출형 합성보는 철골 보의 상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시공하여 모멘트 성능을 극대화시킨 방식으로 높은 내하성능 및 강성을 가지면서 경량으로 비교적 장스팬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철골 보의 상부에 슬래브를 시공하기 때문에 층고가 증가하고 내화피복, 철골 보 상부 압축 플랜지 및 웨브의 국부좌굴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바닥 슬래브를 철골 보의 춤 내에 시공 가능하도록 바닥 슬래브를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혹은 속 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하고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철골 보의 하부 플랜지 폭이 확대된 비대칭 철골 보로 구성되는 슬림 플로어(Slim Floor)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철골 보를 이용한 슬림 플로어 공법이 가지는 층고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면서 콘크리트와의 합성으로 큰 내하성능과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를 이용한 합성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 및 한 쌍의 웨브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단에서 연장된 2개의 측면과, 각각의 측면 끝 부분에 연장된 연결 단부로 구성되어 한쪽 면이 개방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바닥면이 거치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양쪽에 매달리고 연결 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 및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이들과 합성되면서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가 제공된다.
이때, 고정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에 대하여 윗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상부 플랜지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부분에 평행하도록 꺾어져 연장되는 홈 형성 부분으로 구성되고, 홈 형성 부분에 상부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되고 고정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여 웨브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춤 내에 데크플레이트를 매다는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층고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재료인 아연도금 강판의 인장강도 등 물리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절곡강판형 강재 보에 매다는 형태로 종래 보 위에 거치하는 형태에 비해 단부에서 발생하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국부좌굴 방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현장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수렴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단연결재가 필요 없어 물량 감소 및 시공성 증가,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d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 그리고 3b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도 2a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b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2c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2d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내부에 역T자형의 콘크리트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강판을 절곡한 강재 보의 춤 내에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를 매다는 형태로 결합하고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와 바닥판을 일체로 형성한 합성보를 제시한다. 아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다음 이들 부재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합성보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 1a, 1b를 참조하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는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s1)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11)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s1)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s2)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12,12) 및 한 쌍의 웨브(12,12)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13,13)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구성된 것이다.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s1)은 높이에 비해 폭이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s2)은 폭에 비해 높이가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s2)의 폭이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s1)의 폭보다 작게 구성되어 제1, 2 콘크리트 수용공간(s1,s2)은 전체적으로 역T자형을 이룬다. 이같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는 역T자형의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콘크리트와 합성된 합성보는 휨을 받은 부재로써 효율적인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하부 플랜지(11)는 내부에 폭이 큰 직사각형 형태의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s1)을 형하기 위해 수평한 바닥부(111), 바닥부(111)의 양끝단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한 한 쌍의 수직부(112), 한 쌍의 수직부(112)의 각 끝단에서 바닥부(111)와 평행하게 내측으로 절곡한 한 쌍의 수평부(113)를 가지는 단면형상이 된다. 한 쌍의 웨브(12,12)는 각각 수평부(113)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한 쌍의 상부 플랜지(13,13)는 각각 한 쌍의 웨브(12,12)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하부 플랜지(11)의 바닥부(111) 및 수평부(113)와 평행을 이룬다.
도 1b에서는 하부 플랜지(11)를 이루는 수평부(113)의 폭과 상부 플랜지(13)의 폭이 같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부 플랜지(13)는 후술하는 것처럼 고정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부(113)의 폭보다 작게 구성되어도 좋다. 하부 플랜지(11)의 폭과 높이 그리고 한 쌍의 웨브(12,12) 사이의 간격과 높이 즉, 제1, 2 콘크리트 수용공간(s1,s2)의 크기는 구조계산에 의해 결정된 보의 단면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바닥부(111), 한 쌍의 수직부(112,112) 및 한 쌍의 수평부(113,113)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11)와 한 쌍의 웨브(12)에 의해 둘러싸인 콘크리트 수용공간(s1,s2)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고 보가 강재와 콘크리트의 합성구조가 되므로 동일 단면에서 보다 큰 강도와 강성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c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d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0)는 데크플레이트(30)를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40)와의 합성작용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단면이 사각형이 되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수평 부분(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 부분(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부분(21)과 수직 부분(22)은 반드시 직각을 이룰 필요가 없고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별개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수평 부분(21)은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면 즉, 상부 플랜지(13)로부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고 그리고 수직 부분(22)은 수평 부분(21)에 연결되어 수평 부분(21)으로부터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20)의 수평 부분(21)은 강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수평 부분(21)이 강재 보(10)에 접합되는 방식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수직 부분(22)은 강재 보(10)와 콘크리트(40) 사이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부재(20a)는 수직 부분(22)이 서로 간격을 가지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2개의 수직 부분(22)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윗쪽으로 향하도록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고정될 수 있다.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가지는 수직 부분(22)의 개수는 2a와 2b에 도시된 것처럼 1개 또는 2개로 제한되지 않으며, 콘크리트(40)와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해 적절하게 증가될 수 있다.
도 2c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재(20b)는 상부 플랜지(13)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21)과 수평 부분(21)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부분(21)에 평행하도록 꺾어져 연장되는 홈 형성 부분(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부분(21)의 한쪽 끝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돌출 부분이 되고 그리고 홈 형성 부분(23)은 상부 플랜지(13)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23a)을 형성하게 된다. 홈 형성 부분(23)의 수평 연장 면에 결합 홀(H)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 부재(20b)는 결합 홀(H)에 체결되는 고정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상부 플랜지(1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d는 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재(20c)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면 즉, 상부 플랜지(13)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 되어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되면 상부 플랜지(13)의 양쪽으로 일부가 돌출된다. 고정부재(12c)는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상부 플랜지(13)의 위쪽 면에 고정될 수 있고, 도 2a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수직 부분(22)과 같이 강재 보(10)와 슬래브 콘크리트(40) 사이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의 기능을 가지는 스터드 볼트(미도시)가 상부 플랜지(13)의 위쪽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도 3a는 데크플레이트의 사시도 그리고 3b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 3b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30)는 전체적으로 한쪽 면이 개방된 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하나의 바닥면(32)과 2개의 측면(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측면(31) 및 바닥면(32)에 콘크리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돌기(E)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측면(31) 끝 부분에 연결 단부(31a, 31b)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 단부(31a)는 측면(31)의 끝 부분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바닥면(32) 방향으로 꺾어져 연장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시 안쪽으로 꺾어져 연장되면서 닫힌 연결 단부(31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연결 단부(31b)는 측면(31)의 끝 부분이 전체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바닥면(32) 방향으로 꺾어져 연장되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시 바깥쪽으로 꺾어져 연장되면서 열린 연결 단부(31b)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 3b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3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보에 적용되는 데크플레이트(3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형상의 연결 단부(31a,31b)를 가질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연결 단부(31a,31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도 3a, 3b에 제시된 데크플레이트(30)는 도 1a, 1b에 제시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도 2a 내지 2c에 제시된 고정부재(20,20a,20b)를 이용하여 도 4a 내지 도 6b에 예시된 것처럼 결합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a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4a, 4b에 도시된 것처럼, 데크플레이트(30)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양쪽에 매달리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를 매달기 위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부 플랜지(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부재(20)가 설치된다. 도면에서 다수 개의 고정 부재(20)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윗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고정부재(20)의 배치 간격 또는 고정 위치는 데크플레이트(30)의 구조 또는 결합 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고정 부재(20)의 돌출 부분에 바닥면(32)이 걸쳐지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데크플레이트(30)의 바닥면(32)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부 플랜지(13)의 면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데크플레이트(30)는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고정 부재(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부재(20)를 통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매단 뒤에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내부 콘크리트 수용공간(s1,s2)과 데크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40)가 타설되어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도 5a는 도 2b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5a, 5b에 도시된 것처럼, 데크플레이트(30)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양쪽에 매달리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를 매달기 위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부 플랜지(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부재(20a)가 설치된다. 고정부재(20a)의 배치 간격 또는 고정 위치는 데크플레이트(30)의 구조 또는 결합 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30)는 고정 부재(20a)의 돌출 부분에 바닥면(32)이 걸쳐지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데크플레이트(30)의 바닥면(32)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상부 플랜지(13)의 면과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데크플레이트(30)를 고정부재(20a)를 통해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매단 뒤에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의 내부 콘크리트 수용공간(s1,s2)과 데크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40)가 타설되어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도 6a는 도 2c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도 2c에 제시된 다수 개의 고정 부재(20b)는 일정 간격으로 상부 플랜지(1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20b)는 데크플레이트(30)를 강재 보(10)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고정 부재(20b)의 홈 형성 부분(23)에 상부 플랜지(13)의 일부가 삽입되고 그리고 고정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부재(20b)는 상부 플랜지(13)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20b)의 수평 부분(21)의 일부가 상부 플랜지(13)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20b)는 클램프 방식으로 상부 플랜지(13)에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부 플랜지(13)에 콘크리트(40)와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한 스터드 볼트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웨브(12) 사이가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부재(20b)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여 웨브(12)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7a는 도 2d에 제시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데크플레이트를 강재 보에 매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는 합성 후 단면도이다.
도 7a, 7b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고정부재(20c)는 일정 간격으로 상부 플랜지(1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20c)는 데크플레이트(30)를 강재 보(10)에 매달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고정부재(20c)는 용접에 의해 상부 플랜지(13)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0c)의 일부가 상부 플랜지(13)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고정부재(20c)는 상부 플랜지(13)의 윗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고정부재(20c)의 배치 간격 또는 고정 위치는 데크플레이트(30)의 구조 또는 결합 방식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20c)의 위쪽 면에 콘크리트(40)와의 합성효과를 높이기 위한 스터드 볼트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20c)는 데크플레이트(30)를 매달아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조립형 강재 보(10)의 양쪽 웨브(12)의 벌어짐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크플레이트(30)가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매달린 형상이 되어 그 춤 내에 위치하여 층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곡강판형 강재 보(10)에 데크플레이트(30)를 매다는 형태로 설치하고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이들을 일체로 형성, 합성하는 방식으로써 별도의 보, 슬래브 거푸집이 불필요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 등 가설재가 불필요하거나 최소화되므로 공사비 절감 및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데크플레이트의 구성재료인 아연도금 강판의 인장강도 등 물리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고 절곡강판형 강재 보에 매다는 형태로 종래 보 위에 거치하는 형태에 비해 단부에서 발생하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국부좌굴 방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현장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수렴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단연결재가 필요 없어 물량 감소 및 시공성 증가,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절곡강판형 강재 보 11: 하부 플랜지
111: 바닥부 112: 수직부
113: 수평부 12: 웨브
13: 상부 플랜지 20,20a,20b: 고정부재
21: 수평 부분 22: 수직 부분
23: 홈 형성 부분 30: 데크플레이트
31: 측면 32: 바닥면
40: 콘크리트

Claims (5)

  1. 내부에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부 플랜지와 제1 콘크리트 수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콘크리트 수용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한 쌍의 웨브 및 한 쌍의 웨브의 상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연장되어 고정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를 갖도록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강판형 강재 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
    바닥면과, 바닥면의 폭방향으로 양쪽 끝단에서 연장된 2개의 측면과, 각각의 측면 끝 부분에 연장된 연결 단부로 구성되어 한쪽 면이 개방된 단면형상을 가지고 고정부재의 돌출된 부분에 바닥면이 거치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폭방향으로 양쪽에 매달리고 연결 단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데크플레이트; 및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내부와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타설되어 이들과 합성되면서 보와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에 대하여 윗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수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 사이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상부 플랜지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부분과 수평 부분의 일정 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다시 수평 부분에 평행하도록 꺾어져 연장되는 홈 형성 부분으로 구성되고, 홈 형성 부분에 상부 플랜지의 일부가 삽입되고 고정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여 웨브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20100090790A 2010-09-15 2010-09-15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22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0A KR101222206B1 (ko) 2010-09-15 2010-09-15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90A KR101222206B1 (ko) 2010-09-15 2010-09-15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65A true KR20120028765A (ko) 2012-03-23
KR101222206B1 KR101222206B1 (ko) 2013-01-16

Family

ID=4613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90A KR101222206B1 (ko) 2010-09-15 2010-09-15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2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98B1 (ko) * 2014-10-23 2015-04-08 강병구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WO2017034354A1 (ko) * 2015-08-25 2017-03-02 (주)센벡스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17037106A1 (de) * 2015-09-01 2017-03-09 Pfeifer Holding Gmbh & Co. Kg Tragbalken für deckensysteme, decken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6758582A (zh) * 2017-01-24 2017-05-31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装配式技术的悬挂式单轨交通钢混组合轨道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362B1 (ko) * 2013-07-09 2015-01-1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2240355B1 (ko) * 2019-12-09 2021-04-13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952U (ja) * 1997-04-28 1997-11-04 文男 川阪 補強兼用スプライスプレート
KR100486448B1 (ko) 2002-12-24 2005-04-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철골구조물에서 h형강보의 상부 플랜지에 데크를결합시킨 층고절감형 바닥구조
KR100592398B1 (ko) * 2004-10-06 2006-06-26 이창남 병목형 상부 플랜지 tsc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98B1 (ko) * 2014-10-23 2015-04-08 강병구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WO2016064090A1 (ko) * 2014-10-23 2016-04-28 주식회사 인비젼코리아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WO2017034354A1 (ko) * 2015-08-25 2017-03-02 (주)센벡스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17037106A1 (de) * 2015-09-01 2017-03-09 Pfeifer Holding Gmbh & Co. Kg Tragbalken für deckensysteme, decken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180291626A1 (en) 2015-09-01 2018-10-11 Pfeifer Holding Gmbh & Co. Kg Supporting beam for ceiling systems, ceil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407910B2 (en) 2015-09-01 2019-09-10 Pfeifer Holding Gmbh & Co. Kg Supporting beam for slab systems, slab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3885506A1 (de) * 2015-09-01 2021-09-29 Pfeifer Holding GmbH & Co. KG Tragbalken für deckensysteme, decken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6758582A (zh) * 2017-01-24 2017-05-31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装配式技术的悬挂式单轨交通钢混组合轨道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206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044B1 (ko) ㄷ자형 부재로 구성된 조립형 강재 보를 이용한 합성보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0945050B1 (ko) 강관 합성거더
KR101942842B1 (ko)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1594974B1 (ko) 복합보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162179B1 (ko) 전단연결재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KR1012222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보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00090229A (ko) 하프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캔틸레버 바닥판 시공방법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191545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621770B1 (ko) 철근일체형 데크플레이트용 중공경량체 모듈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20120006727A (ko) 클램프 형상의 고정 부재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강재 보의 결합 구조 및 그에 따른 합성보
KR101170897B1 (ko) 별도의 내화피복이 필요 없는 층고절감형 합성보 및 그를 이용한 보-슬래브 접합부 구조
KR10124960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KR102204901B1 (ko) 강판 보강 전단벽
JP6218452B2 (ja) 吊り天井の下地構造
KR101637963B1 (ko) 슬림플로어용 하이브리드 합성구조물
KR101509175B1 (ko) 철근 일체형 합성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