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398Y1 - 보조창틀 - Google Patents

보조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398Y1
KR200323398Y1 KR20-2003-0016108U KR20030016108U KR200323398Y1 KR 200323398 Y1 KR200323398 Y1 KR 200323398Y1 KR 20030016108 U KR20030016108 U KR 20030016108U KR 200323398 Y1 KR200323398 Y1 KR 200323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all
auxiliary
auxiliary window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철
Original Assignee
린수건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수건창산업(주) filed Critical 린수건창산업(주)
Priority to KR20-2003-0016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에 다중으로 창문을 설치하여 소음 방지와 단열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기축조된 건물의 외벽면에 추가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보조창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 벽체(1)의 개구부(3)에 설치되는 창틀(15, 20)의 벽체(1) 외측 돌출부(18)에 연결되어 창문을 다중으로 형성하기 위한 보조창틀(30, 35)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틀(30, 35)의 내측단에는 상기 창틀(15, 20)의 돌출부(18)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34)와 벽체(1)의 외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8)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창틀(30, 35)은 그 내측단의 삽입결합부(34)가 상기 창틀(15, 20)의 돌출부(18)에 끼워져 이 삽입결합부(34)와 돌출부(18)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40)에 의해 창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창틀(30, 35)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조창틀{a subsidiary window frame}
본 고안은 보조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체에 다중으로 창문을 설치하여 소음 방지와 단열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기축조된 건물 벽체의 외벽면에 추가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보조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창고 또는 단독주택 등의 건축물의 벽체는 단열용이나 방음용 내장재의 양면에 금속판 또는 석고판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50mm에서 100mm 정도 두께의 경량 패널로 축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경량 패널로 축조된 건물의 벽체에 창틀을 설치하고, 이 창틀에 창문을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두께가 50mm에서 100mm 정도로 비교적 얇은 경량 패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축조하는 경우, 이중 이상의 창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틀의 두께가 200mm 또는 그 이상의 두께가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창틀을 경량 패널로 이루어진 벽체에 설치하고, 이 창틀의 안쪽에 이중 이상으로 창문을 설치하게 되면, 건물 벽체의 외벽면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중과, 이 돌출된 부분에 설치된 외창의 하중을 벽체가 견디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안정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중 이상의 창문을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경량 패널로 이루어진 건물의 경우 창문의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벽체 외벽면에 추가로 창문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소음 방지와 단열 기능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나 벽돌 등으로 축조된 중량 건물이라 하더라도 창문이 단일층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술한 소음 방지와 단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미 축조 완료된 건물 벽체의 외벽면에 창문을 추가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벽체에 내장 설치되어 있는 기존 창틀에 별도의 외장창틀을 결합하고, 이 외장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등을 설치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이미 축조 완료된 건물 벽체의 외벽면에 창문을 추가로 설치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벽체의 외벽면으로 노출 설치되는 지지대 등으로 인하여 건물의 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벽체에 다중으로 창문을 설치하여 소음 방지와 단열 기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기축조된 건물의 외벽면에 추가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보조창틀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창틀이 창틀에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창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30. 수직바아 18. 돌출부
20, 35. 수평바아 34. 삽입결합부
40. 고정수단
본 고안에 따르면, 건물 벽체(1)의 개구부(3)에 설치되는 창틀(15, 20)의 벽체(1) 외측 돌출부(18)에 연결되어 창문을 다중으로 형성하기 위한 보조창틀(30, 35)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틀(30, 35)의 내측단에는 상기 창틀(15, 20)의돌출부(18)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34)와 벽체(1)의 외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8)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창틀(30, 35)은 그 내측단의 삽입결합부(34)가 상기 창틀(15, 20)의 돌출부(18)에 끼워져 이 삽입결합부(34)와 돌출부(18)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40)에 의해 창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창틀(30, 35)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창틀(30, 35)에는 보조창틀(30, 35)의 선단부 둘레면과 지지부(38)를 연결하는 지지리브(5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창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창틀이 창틀에 결합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창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5, 20)은 한 쌍의 수직바아(15)와 한 쌍의 수평바아(2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수직바아(15)와 수직바아(20)의 양단부가 각각 45°로 절취되어, 이 절취된 면이 서로 맞닿도록 연결되어 건물 벽체(1)의 개구부(3)에 내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창틀(15, 20)은 건물벽체(1)의 개구부(3)와 접촉되는 면에 직각 방향으로 한 쌍의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되어, 이 한 쌍의 걸림턱(13)이 벽체(1)의 개구부(3) 둘레벽에 걸려지기 때문에, 벽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창틀(15, 20)의 전단에는 벽체(1)의 외벽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15, 20)의 안쪽면에는 창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창문레일(12)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창틀(30, 3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 한 쌍의 수직바아(35)와 한 쌍의 수평바아(3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창틀(30, 35)의 수평바아(30)와 수직바아(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각각 45°로 절취되어, 이 절취면이 서로 맞닿도록 연결되어 사각의 창문이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보조창틀(30, 35)을 이루는 수직바아(35)와 수평바아(30)는 그 내측단에 상기 창틀(15, 20)의 전단 돌출부(18)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34)와 건물 벽체(1)의 외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5)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창틀(30, 35)의 안쪽면에는 창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창문레일(36)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15, 20)의 실외측 걸림턱(13)을 절단하고, 상기 보조창틀(30, 35)의 삽입결합부(34)를 창틀(15, 20)의 벽체(1) 외측 돌출부(18)에 끼우고, 상기 삽입결합부(34)와 돌출부(18)를 관통하도록 나사못이나 피스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수단(40)을 결합하여 보조창틀(30, 35)을 창틀(15, 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창틀(30, 35)의 삽입결합부(34)에는 지지부(55)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 지지부(55)가 벽체(1)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55)는 보조창틀(30, 35)의 삽입결합부(34)에서 직각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벽체(1)의 개구부(3) 둘레벽에 밀착되어, 상기 창틀(15, 20)과 보조창틀(30, 35)이 건물의 실내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창틀(30, 35)의 하중과 보조창틀(30, 35)에 설치되는 창문의 하중을 벽체(1)로 분산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5)가 하중을 벽체(1)로 분산시켜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상기 보조창틀(30, 35)을 별도의 지지대 등을 대지 않고도 기존 창틀(15, 20)에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창틀(30, 35)의 바깥면에는 보조창틀(30, 35)의 선단부 둘레면과 지지부(38)를 연결하는 지지리브(5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55)도 보조창틀(30, 35)의 하중과 이 보조창틀(30, 35)에 설치된 창문의 하중을 벽체(1)의 상부와 벽면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보조창틀(30, 35)을 기존 창틀(15, 20)에 연결 설치하였을 때, 구조적인 안정화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38)는 물론 지지리브(55)가 보조창틀(30, 35)의 하중과 이 보조창틀(30, 35)에 설치된 창문의 하중을 벽체(1)로 분산시켜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벽체(1)의 두께가 50mm에서 100mm 정도의 경량 패널로 축조된 건물이라 하더라도 처음 시공되는 건물은 물론 기존 건물에도 상기 보조창틀(30, 35)을 벽체(1)의 외벽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창문을 이중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지지부(38)와 지지리브(55)가 보조창틀(30, 35)과 창문의하중을 벽체(1)로 분산시켜 안정화시키므로, 별도의 지지대 등을 대지 않고도 건물 벽체(1)의 외벽면에 보조창틀(30, 35)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창틀(30, 35)은 건물 벽체(1)에 이중 이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소음 방지와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 축조 완료된 기존 건물의 창틀(15, 20)에 연결 설치하여 건물 벽체(1)의 외벽면에 추가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지지대와 같은 별도의 시설없이 기존 창틀(15, 20)에 연결하여 창문을 다중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지지대 등의 설치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과 작업 시간 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건물의 미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설명안된 도면부호 9a는 보조창틀(30, 35)의 둘레면과 지지리브(55)를 연결하는 보강리브(9a)이고, 도면부호 11a는 창틀(15, 20)의 걸림턱(13)이 형성된 면과 창문레일(12)이 형성된 면을 연결하는 보강리브(11a)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보조창틀은 건물 벽체에 이중 이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음 방지와 단열 효과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경우 이미 축조 완료된 건물의 외벽면에 추가적으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대와 같은 별도의 시설없이 건물 벽체의 외벽면에 추가로 창문을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번거로움과 작업 시간 낭비 및 미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건물 벽체(1)의 개구부(3)에 설치되는 창틀(15, 20)의 벽체(1) 외측 돌출부(18)에 연결되어 창문을 다중으로 형성하기 위한 보조창틀(30, 35)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틀(30, 35)의 내측단에는 상기 창틀(15, 20)의 돌출부(18)에 끼워지는 삽입결합부(34)와 벽체(1)의 외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8)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창틀(30, 35)은 그 내측단의 삽입결합부(34)가 상기 창틀(15, 20)의 돌출부(18)에 끼워져 이 삽입결합부(34)와 돌출부(18)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40)에 의해 창틀(15)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창틀(30, 35).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틀(30, 35)에는 보조창틀(30, 35)의 선단부 둘레면과 지지부(38)를 연결하는 지지리브(5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창틀.
KR20-2003-0016108U 2003-05-23 2003-05-23 보조창틀 KR200323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108U KR200323398Y1 (ko) 2003-05-23 2003-05-23 보조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108U KR200323398Y1 (ko) 2003-05-23 2003-05-23 보조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398Y1 true KR200323398Y1 (ko) 2003-08-14

Family

ID=4933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108U KR200323398Y1 (ko) 2003-05-23 2003-05-23 보조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49B1 (ko) 2005-07-26 2007-03-28 조병권 창문용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949B1 (ko) 2005-07-26 2007-03-28 조병권 창문용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592152B1 (ko)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JP201411868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外装材の取付け構造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JPH0497048A (ja) 化粧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401591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30012422A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69692Y1 (ko)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101071107B1 (ko) 체결 돌기를 활용한 커튼월 시스템의 체결 구조
KR20220005732A (ko) 고성능 메탈 유닛 판넬
KR200322796Y1 (ko) 창문용 프레임
JPH10299222A (ja) 外壁の化粧構造
KR102346399B1 (ko) 하지철물 일체형 메탈 유닛 판넬
KR200377241Y1 (ko)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JPH11141238A (ja) 改装サッシ
JPH11241478A (ja) タイルの取付け装置
KR200326614Y1 (ko) 창문용 프레임
JPS5911578Y2 (ja) 嵌殺しパネル付窓
JP2022006877A (ja) 天井用骨材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JP4864919B2 (ja) カーテンウオール
KR200372505Y1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용 판넬
EP1640519A2 (en) Corner member and a load transmission member
KR200252271Y1 (ko) 창문틀용새시구조
JP2573281Y2 (ja) サッシ用外装枠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