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41Y1 -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 Google Patents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41Y1
KR200377241Y1 KR20-2004-0032989U KR20040032989U KR200377241Y1 KR 200377241 Y1 KR200377241 Y1 KR 200377241Y1 KR 20040032989 U KR20040032989 U KR 20040032989U KR 200377241 Y1 KR200377241 Y1 KR 200377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r
window frame
bar
wall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철
Original Assignee
린수건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수건창산업(주) filed Critical 린수건창산업(주)
Priority to KR20-2004-0032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15Frames mad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 중에서 적어도 제1수평바아(5)의 외측면에는 건물의 벽체(1)에 형성된 개구부(3)의 둘레벽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턱(10,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 및 제1수직바아(5,15)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1창문레일(7)이 형성된 창틀에 있어서, 한 쌍의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2창문레일(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는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상부돌출편(3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1)는 상기 제1수평바아(10)의 제1창문레일(7)을 향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하부돌출편(38)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수평바아(5)의 지지턱(10)과 벽체(1) 사이에는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걸림턱(36)이 끼워지는 단차부(24))가 형성된 단면 형태의 지지플레이트(20)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돌출편(36)을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단차부(24)에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10)의 하부돌출편(38)을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5)의 제1창문레일(7)에 끼움 결합하여 벽체(1)에 원터치식으로 보조창틀을 설치하도록 된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Window frame with subsidiary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창틀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보조창틀을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물이나 구식주택, 아파트, 빌라 또는 단독주택과 같은 건축물에는 창틀이 설치되어, 이 창틀의 안쪽면에 창문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추후에 방음이나 단열 효과 등을 높이고자 창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창문을 다중으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미 축조된 건축물에 창문을 추가로 설치할 경우, 이미 벽체에 설치된 창틀을 뜯어내고 창문을 이중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새로운 다중창용 창틀을 벽체에 재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창틀에 보조창틀을 추가로 설치하여 이 보조창틀에 창문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창틀은 대부분 기존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서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조창틀에 외력이 작용하면 기존 창틀에서 쉽게 이탈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건물 실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밀리는 외력이 작용하면, 창틀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창틀은 창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비스와 같은 다수개의 체결구를 일일이 체결하여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번거로우면서도 작업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창틀을 수직 방향으로 끼워서 설치할 경우에도 별도의 체결구 등을 체결하여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 소요가 많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보조창틀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보조창틀을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 중에서 적어도 제1수평바아(5)의 외측면에는 건물의 벽체(1)에 형성된 개구부(3)의 둘레벽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턱(10,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 및 제1수직바아(5,15)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1창문레일(7)이 형성된 창틀에 있어서, 한 쌍의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2창문레일(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는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상부돌출편(3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는 상기 제1수평바아(10)의 제1창문레일(7)을 향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하부돌출편(38)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수평바아(5)의 지지턱(10)과 벽체(1) 사이에는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걸림턱(36)이 끼워지는 단차부(24))가 형성된 단면 형태의 지지플레이트(20)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돌출편(36)을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단차부(24)에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의 하부돌출편(38)을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5)의 제1창문레일(7)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건물의 벽체(1)에 원터치식으로 보조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한 쌍의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수평바아(5)의 외측면에는 건물의 벽체(1)에 형성된 개구부(3)의 둘레벽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턱(10,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 및 제1수직바아(5,15)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1창문레일(7)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보조창틀을 상기 제2수평바아(30)에 형성된 돌출편(36,38)과 상기 제1상부수평바아(50)의 지지턱(10)과 벽체(1) 사이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20)를 매개로 원터치식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부수평바아(5)의 지지턱(10)과 벽체(1)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편부(22)와, 이 삽입편부(2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벽체(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된 단차부(24)를 갖는 단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평바아(30)와 제2수직바아(40)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다. 상기 제2수평바아(30)와 제2수직바아(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절취되어 서로 맞닿도록 연결되어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2수평바아(30)와 제2수직바아(4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창문레일(33)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2수평바아(30) 중에서 제2상부수평바아(30)는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하향으로 절곡된 상부돌출편(36)이 형성되어, 이 상부돌출편(36)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단차부(24)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는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하향 절곡된 단면 형태의 하부돌출편(38)이 형성되어, 이 하부돌출편(38)이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5)의 창문레일(7)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돌출편(36)을 상기 지지브라켓(20)의 단차부(24)에 수직 방향으로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의 하부돌출편(38)을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5)의 제1창문레일(7)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보조창틀을 건물의 벽체(1)에 원터치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조창틀에 외력, 즉, 건물의 실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창틀에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플레이트(20)가 보조창틀을 수평 방향으로 밀어내는 외력에 견딜 수 있는 보강재의 역할을 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창틀 설치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비스 등을 체결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장점이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바아(15)의 지지턱(12)과 벽체(1) 사이에 상기 지지플레이트(20)를 삽입하고, 상기 제2수직바아(40)에도 상기 지지플레이트(60) 방향으로 절곡된 돌출편(4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좌우측 지지플레이트(20)에 제2수직바아(40)의 돌출편(43)을 끼워서 상기 제2수직바아(40)도 벽체(1)에 원터치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플레이트(20)가 보조창틀의 수평 방향 외측으로 밀리는 외력에 대해 한 번 더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제2수평바아와 제2수직바아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보조창틀을 적어도 창틀의 제1상부수평바아와 벽체 사이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창틀의 제1하부수평바에 형성된 제1창문레일에 원터치식으로 끼워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창틀이 외력에 의해 창틀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브라켓도 외력에 견디는 보강재의 역할을 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조창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비스를 일일이 체결하는 작업 등이 불필요하므로,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신속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제1수평바아 15. 제1수직바아
20. 지지플레이트 30. 제1수평바아
36. 상부돌출편 38. 하부돌출편
40. 제2수직바아

Claims (1)

  1. 한 쌍의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평바아(5)와 제1수직바아(15) 중에서 적어도 제1수평바아(5)의 외측면에는 건물의 벽체(1)에 형성된 개구부(3)의 둘레벽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턱(10,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 및 제1수직바아(5,15)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1창문레일(7)이 형성된 창틀에 있어서, 한 쌍의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가 사각틀 형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수평바아(30) 및 제2수직바아(4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제2창문레일(33)이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는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상부돌출편(3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는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10)의 제1창문레일(7)을 향하는 면에 하향 연장되는 하부돌출편(38)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수평바아(5)의 지지턱(10)과 벽체(1) 사이에는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걸림턱(36)이 끼워지는 단차부(24))가 형성된 단면 형태의 지지플레이트(20)가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제2상부수평바아(30)의 상부돌출편(36)을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단차부(24)에 끼움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하부수평바아(30)의 하부돌출편(38)을 상기 제1하부수평바아(5)의 제1창문레일(7)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건물의 벽체(1)에 원터치식으로 보조창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KR20-2004-0032989U 2004-11-22 2004-11-22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KR200377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89U KR200377241Y1 (ko) 2004-11-22 2004-11-22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89U KR200377241Y1 (ko) 2004-11-22 2004-11-22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41Y1 true KR200377241Y1 (ko) 2005-03-11

Family

ID=4367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89U KR200377241Y1 (ko) 2004-11-22 2004-11-22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54B1 (ko) 2007-05-01 2007-12-07 태성이엔씨(주)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WO2011072301A2 (en) * 2009-12-11 2011-06-16 2Fl Enterprises, Llc Window 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54B1 (ko) 2007-05-01 2007-12-07 태성이엔씨(주)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WO2011072301A2 (en) * 2009-12-11 2011-06-16 2Fl Enterprises, Llc Window 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WO2011072301A3 (en) * 2009-12-11 2011-10-06 2Fl Enterprises, Llc Window remedi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KR101772493B1 (ko) 구조 부재 바(bar)의 호환이 가능한 커튼 월 시스템
KR101163094B1 (ko) T-브라켓용 결로방지패드
KR200377241Y1 (ko)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KR101401591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JP5516843B2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1870420B1 (ko) 건축용 루버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KR100376097B1 (ko) 칸막이판용 상부 채널 지지체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JPS6120950Y2 (ko)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KR100369365B1 (ko) 무지주 천정 시스템
KR102295509B1 (ko) 체결식 보강 스터드
JPS5942437Y2 (ja) ベランダ、バルコニ−等の手摺
KR100582700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CN211647764U (zh) 一种平开窗的边框结构
KR960005793Y1 (ko) 건축물 천정의 몰딩 체결장치
CN211370020U (zh) 一种门柱
KR101044076B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JPH02327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