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365B1 - 무지주 천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지주 천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365B1
KR100369365B1 KR10-1999-0037972A KR19990037972A KR100369365B1 KR 100369365 B1 KR100369365 B1 KR 100369365B1 KR 19990037972 A KR19990037972 A KR 19990037972A KR 100369365 B1 KR100369365 B1 KR 10036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ceiling
fixed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078A (ko
Inventor
김천희
Original Assignee
김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098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3071A/ko
Application filed by 김천희 filed Critical 김천희
Priority to KR10-1999-003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3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3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connection means at the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 시킴과 아울러 점검구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상기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점검구의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무지주 천정 시스템{Non-Suspension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천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 함과 아울러 점검구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천정골조에 판넬(Panel)을 고정시킴에의해 천정을 마련하게 된다. 이때, 천정골조와 천정과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필요에따라 상하수도 배관, 전기배관 및 공조배관등이 설치되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결부하여 종래 천정구조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천정구조물은 콘크리트(Concrete;10)에 실장된 앵커(Anchor;2)와, 앵커(2)에 자신의 일측이 체결된 볼트(4)와, 볼트(4)의 타측에 접속된 행거(Hanger;8)와, 볼트(4)와 행거(8)를 체결시키는 너트(6)와, 행거(8)에 수납된 캐링(Carrying;12)과, 캐링(12)과 직교하도록 체결된 M-바아(14)와,M-바아(14)에 체결된 판넬(16)을 구비한다. 앵커(2)는 천정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콘크리트(10)에 실장되어 있다. 앵커(2)에 자신의 일측이 고정된 볼트(4)의 타측에는 행거(8)가 체결되어 있다. 이때, 너트(6)는 행거(8)와 볼트(4)의 결속력을 견고하게 한다. 행거(8)에 수납된 캐링(12)들과 직교하게 M-바아(14)들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앵커(2), 볼트(4), 행거(8), 캐링(12), M-바아(14)는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천정골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천정구조물은 천정을 형성하기위한 천정골조를 필요로 하므로 천정골조비용 및 시공비용이 증가함과 아울러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M-바아(14)에 판넬(16)을 체결나사(20)로 고정시킴에의해 천정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앵커(2)가 실장된 콘크리트(10)와 판넬(16) 사이의 공간(이하 "천정공간"이라 한다)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되게 된다. 이러한 배관들을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점검하기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22)를 마련해야한다. 천정에 점검구(22)를 마련하기위해서는 M-바아(14)에 점검구용 프레임(18)을 배치하고 고정시킨다. 이어서, 점검구용 프레임(18)의 내측에 판넬(16)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점검구(22)는 별도의 점검구 프레임(18)을 사용하므로 천정의 미관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천정의 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 예를들면, 광케이블망 구축하기 위한 통신선로를 새로이 설치할 경우 상기 천정을 이루는 골조와 광케이블간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천정골조 모두를 제거한후 새로 천정공사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공조설비를 새로이 설치할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와같이 천정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시 상당한 공사기간과 설치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점검구 설치를 용이하도록 구성된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정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점검구가 형성된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고정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가변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적용되는 판넬들의 보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
도 10은 도 9의 E-E'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a는 도 9의 F-F'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b는 도 9의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가변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가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
도 16a은 도 15의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6b는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a는 도 15의 K-K'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b는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고정형프레임, 판넬지지부 및 합성수지판넬의 체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정을 도시한 저면도.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혼합형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92 : 앵커 4,94 : 볼트
6,96 : 너트 8 : 행거
10,52 : 콘크리트 구조물 12 : 캐링
14 : M-바아 16,32 : 판넬
18 : 점검구용 프레임 20,54 : 체결나사
22,56 : 점검구 34 : 판넬보강부
40 : 고정형 프레임 42 : 고정편
46 : 수납날개 48 : 힌지
50 : 가변형 프레임 57 : 고정부재
58,68 : 제1 및 제2 고정턱 60 : 혼합형 프레임
64 : 몸체부 70 : 합성수지 천정판넬
72 : 상판 74 : 하판
76 : 숫접속부 78 : 암접속부
84 : 판넬 지지부 86 : 연결부재
98 : 행거크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상기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판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정을 위한 골조를 구성하여 판넬과 체결되는 판넬지지수단(84)과,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판넬지지수단(84)을 체결하는 연결부재(86)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과,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고정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혼합형 프레임(60)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사용한 천정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Fix Type Frame;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판넬(32)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천정공간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될 경우, 이를 점검하기위한 점검구(56)가 마련되어진다. 이러한, 점검구(56)는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Variable Type Frame;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결부하여 고정형 프레임(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넬(32)은 양측에 마련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편(42)과, 몸체부(47)의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과, 상기 수납날개(46)의 측면에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고정턱(58)과, 상기 몸체부(47)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2 고정턱(68)을 구비한다. 체결나사(54)를 이용하여 고정편(42)을 벽면에 고정함에 의해 고정형 프레임(40)을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벽면에 고정된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46)와 몸체부(47)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하 "판넬수납공간" 이라 한다)에 판넬(32)이 수납되어 진다. 이 경우, 판넬(32)의 양측 끝부분은 수납날개(46)와 중첩되어 가리워지므로 천정의 저면은 도 3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은 후술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57)의 이동시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벽면의 상부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설치하기 위한 변형된 구조가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정편(42)을 몸체부(47)의 아래쪽에 형성함으로써 상부 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형 프레임(40)은 고정편(42)의 위치가 변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형 프레임(40)에서 고정편(42)의 위치변화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도 5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가변형 프레임(5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도 3의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형성할 경우 적어도 판넬(32)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야만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의 양측에 수납된 판넬이 점검구(56)를 이루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편(42)과, 몸체부(47)의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형성된 힌지(Hinge;48)와, 수납날개(46)의 측면에서 신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57)를 수납하는 제1 고정턱(58)과, 몸체부(47)의 일단에서 신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재(57)를 수납하는 제2 고정턱(68)을 구비한다. 수납날개(46)와 몸체부(47)의 교차지점에는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47)의 하부에는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할수 있는 여유공간(즉, 유격)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따라, 수납날개(46)를 도 7의 (a)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경우, 판넬(32)은 수납날개(46)에서 이탈되므로 점검구(56)가 개방되어진다. 이 경우, 점검구(56)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변형 프레임(50)의 길이에 대응하여 점검구(56)의 크기를 정할수 있다. 또한, 가변형 프레임(50)과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46)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천정의 저면은 차이가 나지않게 된다.
한편, 가변형 프레임(50)에 판넬이 수납된후 가변형 프레임(50)의 수납날개(46)는 상기 고정부재(57)를 수납함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검 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수납날개(46)를 개폐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납날개(46)의 개폐를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이 수납날개(46)와 고정편(4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납날개(46)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고정부재(57)를 제1 및 제2 고정턱(58,68)에 수납한후 가변형 프레임(50)과 고정형 프레임(40)의 걸친지점에 고정부재(57)를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키면 고정되게 된다. 반면에, 수납날개(46)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재(57)를 인접한 고정형 프레임(50)의 고정턱으로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부재(57)의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하게 되어 수납날개(46)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점검구(56)가 형성되므로 천정의 미관은 훼손되지 않을뿐 아니라 종래의 점검구(56)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감된다.
또한,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상기 판넬(70)은 점검구(56)의 개방을 위해 이에 해당하는 판넬(70)은 암접속부(78)를 체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의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도 6의 (b)와같이 판넬(70)의 위치를 이동함에 의해 점검구가 개방되게 된다.
한편, 벽면의 상부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 가변형 프레임(50)을 설치하기 위한 변형된 구조가 도 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정편(42)의 위치를 아래쪽으로 형성함에 의해 상부 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편(42)의 위치가 변하는 것 외에는 가변형 프레임(5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형 프레임(50)에서 고정편(42)의 위치변화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은 도 7의 (a)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면을 갖는 판넬(32)은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판넬(32)은 길이방향으로 처짐이 낮은 자체 평탄도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 경우, 판넬(32)과 판넬(32) 사이에는 판넬보강부(34)를 장착시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된 판넬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판넬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판넬바닥면(32a)에 자체 하중에 의한 중력(이하 "자중"이라 한다)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인접하는 판넬(32)들의 작용점(32c)은 서로 접촉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중력은 작용점(32c)에 의해 절곡부(32b)를 수평방향(예를들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 경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절곡부(32b)는 판넬보강부(3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판넬(32)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판넬보강부(34)에 의해 절곡부(32c)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인접하는 판넬(32)간의 접촉을 강화시키므로 판넬(32)의 결속을 강화시키게 된다. 또한,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판넬(32)에는 점검구(56)의 개방을 위해 판넬보강부(34)를 장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면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숫접속부(76)가 마련되어 있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암접속부(78)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암접속부(78)에 숫접속부(76)가 삽입됨에 의해 결합된 상기 판넬(70)의 폭방향 양측을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각각 수납시킴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상기 판넬(70)은 길이 방향으로 자체평탄도를 가져야 하지만 비교적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는 큰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판넬(70)의 상부에는 제1 또는 제2 보강부재(33 또는 35)를 사용하게 된다. 제1 또는 제2 보강부재(33 또는 35)는 상기 판넬(70)의 상부 에 길이방향으로 부착 또는 삽입되어 자중에 의한 판넬(70)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보강부재(33)는 상기 판넬(70)의 상부에 돌기형태로 신장되어 형성된 안착돌기쌍(33a)과, 안착돌기쌍(33a)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커버(33b)를 구비한다. 안착돌기쌍(33a)은 판넬(70)에 일체화된 형태를 갖도록 판넬(7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보강커버(33b)가 안착돌기쌍(33a)을 감싸도록 삽입하여 강한 결속력을 가지게 되며 삽입 보강커버의 자체평탄도로 인해 판넬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보강부재(33)의 형태는 도 8의 (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착돌기를 감싸는 형태로 포함할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보강부재(35)는 판넬(70)의 표면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진 한쌍의 후킹레일(35a)과 이들 후킹레일들(35a)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폴(35b)을 구비한다. 보강폴(35b)은 하단의 양쪽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진 I자 형태를 가진다. 일례로, 도 8의 (b) 우측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이 삼각형인 보강막대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 보강 폴(35b)의 하단의 양쪽 에지부들 각각에는 라운드부(3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라운드부(35c) 각각은 후킹 레일(35a)의 안쪽 하단부에 형성되어진 요홈부(35d)에 안착됨으로써 보강 폴(35b)가 후킹 레일들(35a)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나아가, 후킹 레일들(35a) 각각의 상단부는 보강 폴(35b)의 경사면의 중앙부를 압압하여 보강 폴(35b)의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앵커, 볼트, 행거, 캐링, M-바아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천정시공을 위한 공정을 단순화 함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시공후 별도의 추가공사 발생시 예를들면, 광케이블 매설, 공조설비 설치시 필요한 천정부분만을 제거한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이 짧아질뿐만 아니라 추가공사 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4를 결부하여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판넬(32)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천정공간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배관들이 내장될 경우, 이를 점검하기위한 점검구(56)가 마련되어진다. 이러한, 점검구(56)는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결부하여 고정형 프레임(4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E-E'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넬(32)은 양측에 마련된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되어 천정을 이루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수납날개(46)와 대향하도록몸체부(47)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49)를 구비한다.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몸체부(47)를 벽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수납날개(46)와 이에 대향하는 장식부(49) 간에 형성된 공간(이하 "판넬수납공간" 이라 한다)에 판넬(70)이 수납되어 진다. 이때, 장식부(49)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천정의 가장자리부분을 미려하게 장식하게 된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4를 결부하여 가변형 프레임(5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도 9의 F-F'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점검구를 형성할 경우 적어도 판넬(70)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어야만 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의 양측에 수납된 판넬이 점검구(56)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12b를 참조하면, 도 9의 G-G'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다. 이 경우, 판넬(70)의 양측은 고정형 프레임(40')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6의 (b)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점검구를 형성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변형 프레임(50')은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70)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수납날개(46)와 대향되도록 몸체부(47)에 고정됨과 아울러, 가변형 프레임(50')의 미관을 수려하도록 하는 장식부(49)와, 몸체부(47)에 형성되어 장식부(49)를 수납하는 장식부 수납홈(51)을 구비한다.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몸체부(47)을 벽면에 고정시킴에 의해 가변형 프레임(50')을 체결하게 된다. 장식부 수납홈(51)에 장식부(49)를 삽입함에 의해 장식부(49)가 몸체부(47)에 고정된다. 이를위해, 장식부 수납홈(51)에는 수납턱(5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장식부 상단(49a) 말미에는 수납턱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납날개(46)와 장식부 상단(49a) 사이의 공간에 판넬(70)이 수납되게 된다. 장식부(49)의 일측은 장식부 수납홈(51)에 삽입되고, 장식부(49)의 하부는 가변형 프레임의 좌·우 주변에 기설치된 고정형 프레임의 고정홈(55)에 고정되게 된다. 도 14와 결부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를 갖는 장식부(49)에는 상기 몸체부(47)에 연결된 고정홈(55)에 삽입되어 장식부(49)를 고정하는 고정막대(53)들이 이동레버(59)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막대(53)들 사이에는 스프링(57)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따라, 고정막대(53)들은 평상시에는 고정홈(55)에 삽입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이동레버(59)를 안쪽으로 이동할 경우 고정홈(55)에서 이탈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이동레버(59)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장식부(49)를 고정홈(55)에서 이탈시킨후 장식부 수납홈(51)에서 인출함에 의해 장식부(49)를 분리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장식부(49)를 가변형 프레임(50')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이의 역순으로 조립하면 된다. 장식부(49)를 분리 개방하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납되어 있던 판넬(70)은 수납날개에서 이탈되므로 점검구(56)가 개방되어진다. 이 경우, 점검구를 형성하기위해 적어도 판넬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제1 실시예의 장점과 더불어 고정형 프레임(40') 및 가변형 프레임(50')의 각각에 장식부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수려한 미감을 제공할수 있게된다.
도 15 내지 도 18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바와같이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Fix Type Frame;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합성수지 또는 기타 소재의 판넬(70)을 수납시키게 된다. 점검구(56)를 형성할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판넬(70)의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Variable Type Frame;50)에 수납됨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도 15의 H-H'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형 프레임(40)의 수납날개에는 상기 판넬(70)이 수납되어 있으며, 고정편(42)에는 상기 판넬(70)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천정을 구성하는 판넬(70)과 체결되는 판넬지지부(8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도 16b를 참조하면, 도 16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암접속부(78)를 판넬(70)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하게 된다. 판넬(70)의 길이방향으로 암접속부(78)에 숫접속부(76)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판넬(70)이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결합된 상기 판넬(70)의 폭방향으로 양측을 고정형 프레임(40) 또는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관하여 도 18을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상기 판넬(70)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천정을 위한 골조를 구성하여 판넬(70)과 체결되는 판넬지지부(84)와, 상기 고정형 프레임(40)과 상기 패널지지부(84)를 접속시키는 연결부재(86)와, 천정을 이루는 판넬(70)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수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한다. 먼저, 상기 판넬지지부(84), 연결부재(86) 및 고정형 프레임(40)의 체결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재(86)의 일측은 고정편(42)에 체결되고 타측은 판넬지지부(84)에 체결되게 된다. 이를위해, 고정편(42), 연결부재(86)의 일측, 판넬지지부(84)에는 체결홈(40a,80a,84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넬지지부(84)와 연결부재(86)의 체결시 판넬지지부(84)가 체결되는 길이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절하도록 연결부재(86)의 타측에는 길이조절홈(8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판넬(70)과 판넬지지부(84)의 체결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70)의 암결합부(78)와 판넬지지부(84)를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판넬지지부(84)에 체결된 판넬의 암결합부(78)에 또 다른 판넬의 숫결합부(76)를 삽입함에 의해 판넬들이 결합되어 고정형 프레임(40) 간에 수납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판넬(70)을 무지주 천정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검구(56)룰 형성할 경우에는 적어도 판넬(70)의 폭방향 일측은 가변형 프레임(5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a 및 도 17b를 결부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56)에 해당하는 판넬(70)에는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않아 판넬지지부(84)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양단에 마련된 가변형 프레임의 수납날개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점검구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점검구(56)를 형성하기위해 다수개의 고정된 판넬중 가변형 프레임에 수납된 판넬의 형성이 나타나 있다. 즉, 점검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판넬은 체결나사를 사용치 아니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앵커, 볼트, 행거, M-바아를 사용하지 않는 천정구조를 가짐으로써 천정시공을 위한 공정을 단순화 함과 아울러, 시공비용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판넬의 자체평탄도를 유지하기위한 보강재를 판넬지지부로 대체하여 설치한후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판넬을 판넬지지부에 고정하여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을 사용한 천정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천정을 설치할 공간이 자체평탄도를 지닌 합성수지 또는 기타소재의 판넬(70)의 길이보다 수배 내지 수십배 큰 광역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천정구조를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판넬(70)과 판넬(7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형 프레임(Hybrid Type Frame;60)을 설치하게 된다. 또는 고정형 프레임(40)과 고정형 프레임(4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혼합형 프레임(60)을 설치하게 된다.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의 일측변의 길이(d)가 적어도 상기 판넬(70) 길이의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이 되고 이와 수직으로 인접한 일측변의 길이도 상기와 같이 광역일 경우, 콘크리트(52)로 둘러싸인 벽에 고정형 프레임(40)을 장착시킨후, 고정형 프레임(40)들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60)을 배치시키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과 혼합형 프레임(60), 혼합형 프레임(60)과 혼합형 프레임(60) 간의 거리는 상기 판넬(70)의 자체평탄도를 유지할수 있는 범위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고정형 프레임(40)과 혼합형 프레임(60), 혼합형 프레임(60)과 혼합형 프레임(60)의 사이에 상기 판넬(70)을 수납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점검구(56)를 형성할 경우 상기 고정형 프레임(40) 및 혼합형 프레임(60)은 가변형 프레임(50) 으로 대체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혼합형 프레임(60)을 콘트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위해 콘크리트(52)에 실장된 앵커(92)와, 앵커(92)에 자신의 일측이 체결된 볼트(94)와, 볼트(94)의 타측에 접속된 행거크립(98)과, 볼트(94)와 행거크립(98)를 체결시키는 너트(96)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행거크립(98)에는 혼합형 프레임의 고정편(42')이 수납되게 된다. 이때, 고정형 프레임(40) 및 가변형 프레임(5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1을 결부하여 혼합형 프레임(6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혼합형 프레임(60)은 행거크립(98)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고정편(42')과, 몸체부(64)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의 수납하는 제2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와 제2 수납날개(46")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를 구비한다. 고정편(42)은 행거크립(98)에 수납됨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게 된다. 제1 수납날개(46') 또는 제2 수납날개(46")와 몸체부(64) 사이에는 판넬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판넬(70)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제2 수납날개(46")는 힌지에 의해 위치를 가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점검구(56)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따라, 혼합형 프레임(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판넬(70)을 수납하도록 몸체부(64)의 하부에 제1 수납날개(46')를 2개 형성할수도 있으며 점검구(56)를 형성하도록 몸체부(64)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수납날개(46")를 형성할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혼합형 프레임(6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혼합형 프레임(60)에 점검구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고정턱(58,68)이 제1 및 제2 수납날개(46',4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턱들(58,68)에 고정부재(57)를 수납한후 고정부재(57)를 빗장처럼 걸쳐놓음에 의해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혼합형 프레임(60)에 걸쳐놓은 고정부재(57)를 인접한 혼합형 프레임(60)에 형성된 고정턱들(58,68) 쪽으로 빗장을 옮기듯이 이동시킨후,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가변함에 의해 점검구(56)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의 일측변의 길이(d)가 상기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 이상이 되고 이와 수직으로 인접한 일측변의 길이도 상기와 같이 광역인 공간에 천정을 형성하기 위해 적용이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구조에서 캐링, M-바아를 사용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앵커, 볼트, 행가의 사용수량도 종래의 사용수량에 비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고정형프레임과 고정형프레임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을 사용함에 의해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에 달하는 광역공간에 판넬을 연장하여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천정골조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별도의 점검구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수려한 미관을 유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판넬의 자체평탄도가 낮은 판넬을 판넬지지수단에 체결함에 의해 자체평탄도가 유지되는 천정을 형성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고정형프레임과 고정형프레임 사이에 혼합형 프레임을 사용함에 의해 판넬길이의 수배 내지 수십배에 달하는 광역공간에 판넬을 연장하여 수납함에 의해 천정을 형성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지주 천정 시스템은 시공후 추가공사 발생시 필요한 부분의 천정만을 제거한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시공기간이 짧아질뿐만 아니라 추가공사 비용을 저감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 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3)

  1.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 후 점검시 상기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프레임(40)이,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42)과,
    상기 고정편(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프레임(40)이,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상기 수납날개(46)와 대향하도록 상기 몸체부(47)에 형성되어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4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프레임(50)이,
    상기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42)과,
    상기 고정편(4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상기 수납날개(46)와 고정편(42)의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이 수납된 수납날개(46)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고정편(42)에 형성된 제1 고정턱(68)과,
    상기 수납날개(46)에 형성된 제2 고정턱(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형 프레임(50')이,
    몸체부(47)의 일측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수납날개(46)와,
    프레임을 장식하는 장식부(49)와,
    상기 수납날개(46)와 대향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49)를 수납하는 장식부 수납홈(5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과 판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판넬의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판넬 간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판넬보강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넬의 처짐의 방지하는 보강부재(33 또는 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3)가,
    상기 판넬의 상부에 돌기형태로 신장되어 형성된 안착돌기쌍(33a)과,
    상기 안착돌기쌍(33a)을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커버(3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35)가,
    상기 판넬의 표면에 대향하게 형성되어진 한쌍의 후킹레일(35a)과
    상기 후킹레일들(35a)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보강폴(35b, 35c, 35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11.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상기 판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정을 위한 골조를 구성하여 판넬과 체결되는 판넬지지수단(84)과,
    상기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판넬지지수단(84)을 체결하는 연결부재(86)와,
    상기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 후 점검시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12. 벽면에 고정되어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하는 고정형 프레임(40)과,
    천정을 이루는 판넬을 수납한후 점검시 판넬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가변형 프레임(50)과,
    상기 고정형 프레임과 상기 고정형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을 수납하는 혼합형 프레임(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형 프레임(60)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고정편(42)과,
    몸체부(64)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을 수납하는 제1 수납날개(46')와,
    상기 몸체부(64)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판넬의 수납하는 제2 수납날개(46")와,
    상기 몸체부(64)와 제2 수납날개(46") 교차지점에 형성되어 제2 수납날개(46")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힌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천정 시스템.
KR10-1999-0037972A 1999-03-23 1999-09-07 무지주 천정 시스템 KR10036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ko) 1999-03-23 1999-09-07 무지주 천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856 1999-03-23
KR1019990009856A KR19990073071A (ko) 1999-03-23 1999-03-23 무지주천정틀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ko) 1999-03-23 1999-09-07 무지주 천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78A KR20000000078A (ko) 2000-01-15
KR100369365B1 true KR100369365B1 (ko) 2003-01-24

Family

ID=2663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972A KR100369365B1 (ko) 1999-03-23 1999-09-07 무지주 천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5B1 (ko) * 2001-01-04 2004-03-02 장상철 건축물 내벽 마감재 및 그 조립방법
KR100478221B1 (ko) * 2003-01-17 2005-03-23 (주) 청화종합감리공단 건축사사무소 천장 판넬 조립체 및 호형 시공 방법
US7677004B2 (en) * 2007-11-29 2010-03-16 Usg Interiors, Inc. Conformable wide wall ang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078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5698A (en) Partition structures
KR100369365B1 (ko) 무지주 천정 시스템
JPH0913801A (ja) 間仕切り用の開口枠の構造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KR20220140949A (ko) 파티션 받침대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JP6542315B2 (ja) レール状部材
KR101207992B1 (ko) 천정패널 취부구조
KR200377241Y1 (ko) 착탈식 보조창틀이 구비된 창틀
KR200323649Y1 (ko) 막구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걸이장치
JPS5918076Y2 (ja) 防虫網付き面格子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200183385Y1 (ko) 중간 기둥이 개재(介在)된 연창(連窓)
KR20040005737A (ko) 파티션 연결장치
KR200363245Y1 (ko) 조립식 천정패널 고정장치
KR200344582Y1 (ko) 파티션 연결장치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JPH11241575A (ja) 開口枠の取り付け構造
KR200341293Y1 (ko) 개폐식 방범창
KR19990073071A (ko) 무지주천정틀
KR200247087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앵글 프레임
KR0120200Y1 (ko) 커텐 고정용 프레임
KR200344583Y1 (ko) 파티션 연결장치
JP3215605B2 (ja) 間仕切り用の開口枠の施工方法
KR200201604Y1 (ko) 건축물의 창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