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23Y1 -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 Google Patents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23Y1
KR200496823Y1 KR2020220002948U KR20220002948U KR200496823Y1 KR 200496823 Y1 KR200496823 Y1 KR 200496823Y1 KR 2020220002948 U KR2020220002948 U KR 2020220002948U KR 20220002948 U KR20220002948 U KR 20220002948U KR 200496823 Y1 KR200496823 Y1 KR 200496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prevention device
sagging
pip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춘남
Original Assignee
(주)동방파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방파스텍 filed Critical (주)동방파스텍
Priority to KR2020220002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9Elongate hinges, e.g. piano-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05Y2900/6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덕트에 설치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하면을 지지하도록 받쳐 도어가 패널에 걸려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를 제공하도록,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되고, 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된 반대측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와, 상기 도어가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4면에 여유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힌지구멍와 연통하는 패널힌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도어힌지구멍과 패널힌지구멍을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패널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의 하면 또는 패널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이 설치된 반대측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받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Pipe duct cover in which the prevention device for drooping door is included}
본 고안은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덕트에 설치된 도어가 시간이 경과되면 자중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을 억제하도록 도어처짐방지로 도어를 받쳐 지지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외에 또는 옥외에는 위생ㆍ냉난방 따위의 급배수를 하기위한 도관을 사용하도록 소화전이나 양수기 등이 매립된 상태로 시공되는 파이프덕트(Pipe Duct 일명: PD커버)가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덕트의 재질은 내구성을 갖춘 철 재질로 형성되어 부식을 방지하도록 방청도색 하고, 그 파이프덕트의 개구부를 마감하는 도어 및 패널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며, 이러한 도어와 패널은 외부로 노출되어 주변과 디자인적으로 어울릴 수 있도록 분체도장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는 패널을 사각틀 형상으로 짜맞춘 상태에서 힌지축을 이용하여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덕트 내부에 설치된 시설을 이용할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선행기술의 일례로 본원 출원인의 선등록 한 특허 제1941212호(명칭: 패널도엉커버 제조용 지그플레이트 및 그를 이용한 패널도어커버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었고, 또한 선행기술의 다른 일례로 특허 제2437260호(명칭: 건출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가 개시되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을 이용하여 파이프덕트 커버를 제작하여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이용하여 설치된 파이프덕트 커버는 시간이 경과되면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어 미관상 수려하지 않는 문제점과 더불어, 도어 개방 시, 패널에 접촉되어 용이하게 회전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즉, 상기 도어가 용이하게 개폐되도록 도어와 패널 사이에 여유틈새가 설계되는데, 도어의 하중을 힌지축으로만 지지함으로써, 힌지축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의 반대측은 자중에 의한 큰 하중이 발생되어 여유틈새로 처지게 되고, 이렇게 도어가 쳐져 패널에 맞닿으면 큰 마찰력으로 도어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 된 것으로, 파이프덕트에 설치된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하면을 지지하도록 받쳐 도어가 패널에 걸려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벽체 내부에 설비된 도관을 보호하는 파이프덕트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덕트커버에 있어서,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되고, 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된 반대측 전면에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와, 상기 도어가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4면에 여유틈새를 두고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힌지구멍와 연통하는 패널힌지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과, 상기 도어힌지구멍과 패널힌지구멍을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패널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과, 상기 도어의 하면 또는 패널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이 설치된 반대측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받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처짐방지구는 도어의 하면에서 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된 반대측 하면에 제1처짐방지구로 형성되거나, 또는 패널의 상면에서 패널도어힌지구멍이 형성된 받대측 상면에 제1처짐방지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도어의 하면 또는 패널 상면에서 제1처짐방지구의 반대측에 제2처짐방지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처짐방지구의 높이는 제1처짐방지구의 높이보다 비교적 낮게 형성되어, 도어 폐쇄 시 높이가 낮은 제2처짐방지구는 도어 또는 패널에 간섭없이 통과한 후, 힌지축이 설치된 도어 또는 패널의 반대측 일단 하면을 높이가 높은 제1처짐방지구가 우선 받치며, 시간이 경과하여 도어의 자중으로 제1처짐방지구가 눌려 처지게 되면 제2처짐방지구가 받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처짐방지구는 평면상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도어 하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는 측면상 패널로 진입 시 맞닿는 일측은 만곡진 안내부로 형성되어 도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내부의 최하단에는 패널의 상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 상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는 측면상 도어가 진입 시 맞닿는 일측은 만곡진 안내부로 형성되어 도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내부의 최상단에는 도어의 하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도어처짐방지구와 맞닿는 도어의 하면 또는 패널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폐쇄 시 도어처짐방지구 받침부의 일부를 정위치에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레일형상으로 형성된 정위치수용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위치수용홈은, 도어의 회전 시 간섭없이 도어처짐방지구가 진입하도록,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은 전광후협 형상의 사다리꼴 레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어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 레일로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후단에는 진입한 도어처짐방지구가 걸려 도어가 정위치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의 하면 또는 패널의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를 형성함으로써, 설치된 도어가 자중으로 시간의 경과로 여유틈새로 처지지 않고 최초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마관상 수려하면서도 도어가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처짐방지구를 구성하는 제1처짐방지구의 높이보다 제2처짐방지구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형성함으로써, 도어 폐쇄 시 힌지축과 원거리에 위치한 제1처짐방지구는 도어를 지지하고, 이후 시간의 경과 및 도어의 사용과 자중에 의해 제1처짐방지구의 높이가 낮아지면 제2처짐방지구가 제1처짐방지구가 받는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도어를 받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힌지축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처짐방지구가 제1처짐방지구와 높이가 동일하면 도어 개폐 시, 힌지축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도어의 일측은 패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도어 회전에 간섭되기 때문에 이러한 간섭을 해결하기 위해서 힌지축 근거리에 배치되는 제2처짐방지구의 높이를 낮춰 이러한 접촉 간섭을 억제하고, 이후 시간이 경과되어 제1처짐방지구의 높이가 낮아지면 그 때 비로소 도어를 제1처짐방지구와 함께 분산 지지하여 받치게 된다.
더불어, 도어처짐방지구의 측단면을 만곡진 안내부와 최하단에 받침부로 형성함으로써, 도어가 안내부를 따라 상승한 후 받침부에 도달하면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받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폐쇄 시, 도어처짐방지구가 정위치수용홈에 안내됨으로써, 잦은 개폐 사용으로 도어의 자세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더불어 정위치수용홈을 사다리꼴 레일 또는 곡면 레일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회전하는 도어와 함께 회전반경을 갖는 도어처짐방지구가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고, 진입된 후에는 스토퍼에 걸려 도어가 정위치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덕트커버에 도어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하면에 도어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하면에 도어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가 힌지축으로 패널에 설치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하면에 도어처짐방지구의 제1,2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의 제1,2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의 제1,2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려 파이프덕트 내부가 노출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의 제1,2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정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도어처짐방지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어가 힌지축으로 패널에 설치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처짐방지구의 높이가 제1,2처짐방지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처짐방지구의 평면형상으로써, (a)는 사각형, (b)는 원형, (c)는 타원형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하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의 안내부와 받침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 상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의 안내부와 받침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위치수용홈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정위치수용홈의 평면형상으로써, (a)는 사다리꼴 레일 (b)는 곡률 레일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와 저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파이프덕트커버(10)는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크게, 상기 파이프덕트(20)를 개폐하는 도어(100)와, 상기 파이프프덕트의 개방된 전방을 폐쇄하여 마감하는 패널(200)과, 상기 도어(100)가 패널(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힌지축(300)과, 상기 도어(100)가 하방향으로 처짐을 방지하는 도어처짐방지구(40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덕트(20)는 벽체 내부에 설비되는 도관을 보호하도록 건물 벽면에 설치되고, 개방된 전면에는 본 고안의 파이프덕트커버(10)가 설치되어, 내부에 설비된 장비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100)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면과 하면 일측에 각각 관통하는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되고, 그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반대측 전면에 손잡이(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상기 손잡이(120)의 밀거나 당기면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도어(100)가 회전하면서 파이프덕트(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패널(200)은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파이프덕트(20)의 개구된 전면을 폐쇄하여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00)가 설치되는 부분은 개구되도록 설계적으로 짜맞춰 형성되고, 이렇게 상기 도어(100)가 설치되는 부분의 패널(200)에서 상기 도어힌지구멍(110)과 대응하는 부분에 연통하는 패널힌지구멍(210)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300)은 연통한 도어힌지구멍(110)과 패널힌지구멍(210)을 관통설치하여 도어(100)가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구된 패널(200)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0)가 설치된 패널(200) 4면 사이에는 도어(100)가 패널(200)에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약 2mm 정도의 간격을 갖는 여유틈새(220)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첨부된 도면 도 12와 같이, 평면상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한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도어(100)가 자중에 의해 하측 여유틈새(220)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도어(100) 하면에 구성되는 제1실시례와 패널(200) 상면에 구성되는 제2실시례를 제공한다.
우선 제1실시례의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도어(100)의 하면에서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반대측 하면에 제1처짐방지구(41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어(100)는 패널(200)과 힌지축(300)으로 일측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자중이 크게 발생되는 부분은 힌지축(300)과 같은 연결수단이 없는 타측이기 때문에 도어(100)의 해당하는 하면을 제1처짐방지구(410)가 받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만약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가 힌지축(300)과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다면 자중이 크게 발생하는 타측이 지렛대원리에 의해 더 들려져 처짐현상이 극대화되는 역효과가 발생하게 된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는 후술할 패널(200)에 형성되는 도어처짐방지구(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 제2실시례의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첨부된 도면 도 5와 같이, 패널(200)의 상면에서 패널힌지구멍(210)이 형성된 반대측 하면에 제1처짐방지구(4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도어(100) 또는 패널(200)이 대응하는 어느 한 위치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그 형성위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도어(100)와 패널(200) 중 어느 한 부분에 되어 도어(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써, 상기 개폐되는 작동으로 도어(100)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패널(200)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도어(100)의 하면에 도어처짐방지구(400)가 형성된 경우에는 사전에 설비된 파이프덕트커버(10)에서 도어(100)를 교체만으로도 동일한 처짐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한 것으로 작업자 이러한 이유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10과 같이, 상기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의 상면에서 제1처짐방지구(410)가 형성된 반대측 예컨대 손잡이(120)가 형성된 위치에 제2처짐방지구(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처짐방지구(410)는 첨부된 힌지축(300)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2처짐방지구(420)는 힌지축(300)과 원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2처짐방지구(420)는 제1처짐방지구(410)와 더불어 도어(100)의 하중을 양측으로 분산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상기 제2처짐방지구(420)의 높이(H)를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보다 0.1mm~0.15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100) 폐쇄 시 비교적 높게 형성된 제1처짐방지구(410)에 우선 맞닿아 지지되고, 시간이 경과되어 제1처짐방지구(410)가 도어(100)의 자중에 의해 눌려지면 높이(H)가 낮은 제2처짐방지구(420)가 제1처짐방지구(410)와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도어(100)를 받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축(300)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제2처짐방지구(420)가 제1처짐방지구(410)와 높이가 동일하면 도어(100) 개폐 시, 힌지축(300)과 근거리에 위치하는 도어(100)의 일측 하면은 패널(200)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력은 도어(100) 회전에 간섭되어 사용자가 큰 힘으로 밀어 닫아야 하는 문제와 더불어, 마찰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힌지축(300) 근거리에 배치되는 제2처짐방지구(420)의 높이(H)를 낮춰 이러한 접촉 간섭을 억제하고, 이후 시간이 경과되어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가 낮아지면 그 때 비로소 도어(100)를 제1처짐방지구(410)와 더불어 지지하여 받치게 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도어(100) 폐쇄 시, 도어(100)의 하단 또는 패널(200)의 상단을 부드럽게 안내한 후 안착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상기 도어(100) 하면에 도어처짐방지구(400)가 형성된 경우는, 측면상 패널(200)로 진입 시 패널(200) 상단과 최초 맞닿는 일측은 하방향으로 만곡진 안내부(431)가 형성되어, 진입하는 도어(100)가 패널(200) 상단과 접촉된 안내면에 의해서 상승하고, 상기 안내부(431)의 최하단에는 패널(200)의 상면을 받치는 받침부(432)가 형성되어 패널(200)이 받침부(432)에 안착되면 도어(100)의 상승이 멈춘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또는 상기 패널(200) 상면에 도어처짐지구가 형성된 경우는,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측면상 도어(100) 진입 시 도어(100) 하단과 최초 맞닿는 일측은 상방향으로 만곡진 안내부(431)가 형성되어 도어(100)가 안내면을 따라 상승하고, 상기 안내부(431)의 최상단에 형성된 받침부(432)에 도어(100)의 하면이 안착되면 도어(100)의 상승이 멈춘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처지방지구에 형성된 만곡진 안내면에 도어(100) 또는 패널(200)이 맞닿은 후 부드럽게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100)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100)의 하단 또는 패널(200)의 상단이 찍히는 등의 훼손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를 정위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 도 15와 같이,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약 1mm 정도의 깊이를 갖는 오목한 레일형상의 정위치수용홈(4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가 정위치수용홈(440)으로 진입하면 도어(100)의 하면을 받치는 작용효과와 더불어, 좌,우측면에도 소정의 깊이로 걸려지게 됨으로써, 도어(100)가 수평방향으로 자세가 틀어짐을 억제하는 작용효과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100)는 힌지축(30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도어(100) 하면에 형성되는 도어처짐방지구(400) 또는, 도어(100) 하면에 형성되는 정위치수용홈(440)도 그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은 회전하는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간섭없이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 도 16과 같이,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은 평면상 도어처짐방지구(400)가 진입하는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점차 좁하지는 전광후협의 사다리꼴 레일로 형성하고, 후단은 막힌 스토퍼(441)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을 도어(10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 레일로 형성하고, 후단은 막힌 스토퍼(4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의 형상이 사다리꼴 레일로 형성 경우, 전방이 넓게 형성되는 정위치수용홈(440)으로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간섭없이 진입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의 형상이 곡률 레일로 형성 경우, 회전하는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곡률을 따라 진입하게 되며, 이렇게 진입한 도어처짐방지구(400)가 후방 스토퍼(441)에 걸리면 도어(100)는 진행하지 않고 정위치 즉, 패널(200) 전면과 도어(100) 전면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멈춰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이프덕트커버(10)는 도어처짐방지구(400)를 이용하여 설치된 도어(100)를 받쳐 처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도어처짐방지구(400)를 구성하는 제2처짐방지구(420)의 높이(H)를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도어(100)의 자중으로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가 낮아지면 제2처짐방지구(420)가 제1처짐방지구(410)와 도어(100)의 하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고, 아울러, 도어처짐방지구(400)의 진입을 안내하는 정위치수용홈(440)을 형성함으로써, 도어처짐방지구(400)가 도어(100)의 처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좌측면으로 틀어짐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파이프덕트커버: 10 파이프덕트: 20
도어: 100 도어힌지구멍: 110
손잡이: 120 패널: 200
패널힌지구멍: 210 여유틈새: 220
힌지축: 300 도어처짐방지구: 400
제1처짐방지구: 410 제2처짐방지구: 420
안내부: 431 받침부: 432
정위치수용홈: 440 스토퍼: 441

Claims (9)

  1. 벽체 내부에 설비된 도관을 보호하는 파이프덕트(20)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덕트커버(10)에 있어서,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되고,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반대측 전면에 손잡이(120)가 형성된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가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4면에 여유틈새(220)를 두고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힌지구멍(110)와 연통하는 패널힌지구멍(210)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200)과,
    상기 도어힌지구멍(110)과 패널힌지구멍(210)을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도어(100)가 패널(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300)과,
    상기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100)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300)이 설치된 반대측이 여유틈새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받치는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구성되되,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와 맞닿는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100) 폐쇄 시 도어처짐방지구(400) 받침부(432)의 일부를 정위치에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레일형상으로 형성된 정위치수용홈(440)이 구성되고,
    상기 정위치수용홈(440)은, 도어(100)의 회전 시 간섭없이 도어처짐방지구(400)가 진입하도록, 전방은 넓고 후방으로 갈수록 좁은 전광후협 형상의 사다리꼴 레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어(10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곡률 레일로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후단에는 진입한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걸려 도어(100)가 정위치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4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2. 벽체 내부에 설비된 도관을 보호하는 파이프덕트(20)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파이프덕트커버(10)에 있어서,
    상,하면 일측을 관통하는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되고,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반대측 전면에 손잡이(120)가 형성된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가 내부에 수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4면에 여유틈새(220)를 두고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도어힌지구멍(110)와 연통하는 패널힌지구멍(210)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200)과,
    상기 도어힌지구멍(110)과 패널힌지구멍(210)을 관통 설치되어, 상기 도어(100)가 패널(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300)과,
    상기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의 상면 중 어느 한 부분에 돌출되어, 장기간 사용으로 도어(100)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300)이 설치된 반대측이 여유틈새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받치는 도어처짐방지구(400)가 구성되되,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도어(100)의 하면에서 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반대측 하면에 제1처짐방지구(410)로 형성되거나, 또는 패널(200)의 상면에서 패널도어힌지구멍(110)이 형성된 받대측 상면에 제1처짐방지구(410)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 상면에서 제1처짐방지구(410)의 반대측에 제2처짐방지구(42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처짐방지구(420)의 높이(H)는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보다 비교적 낮게 형성되어, 도어(100) 폐쇄 시 높이(H)가 낮은 제2처짐방지구(420)는 도어(100) 또는 패널(200)에 간섭없이 통과한 후, 힌지축(300)이 설치된 도어(100) 또는 패널(200)의 반대측 일단 하면을 상기 제2처짐방지구(420)의 높이보다 비교적 높은 제1처짐방지구(410)가 우선 받치며, 시간이 경과하여 도어(100)의 자중으로 제1처짐방지구(410)가 눌려 처지게 되면, 상기 제1처짐방지구(410)의 높이보다 비교적 낮은 제2처짐방지구(420)가 받쳐 지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의 하면 또는 패널(200) 상면에서 제1처짐방지구(410)의 반대측에 제2처짐방지구(42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처짐방지구(400)는 평면상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 하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400)는 측면상 패널(200)로 진입 시 맞닿는 일측은 만곡진 안내부(431)로 형성되어 도어(100)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내부(431)의 최하단에는 패널(200)의 상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432)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00) 상면에 형성된 도어처짐방지구(400)는 측면상 도어(100)가 진입 시 맞닿는 일측은 만곡진 안내부(431)로 형성되어 도어(100)를 상승시키고, 상기 안내부(431)의 최상단에는 도어(100)의 하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432)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8. 삭제
  9. 삭제
KR2020220002948U 2022-12-19 2022-12-19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KR200496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948U KR200496823Y1 (ko) 2022-12-19 2022-12-19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948U KR200496823Y1 (ko) 2022-12-19 2022-12-19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23Y1 true KR200496823Y1 (ko) 2023-05-08

Family

ID=8631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948U KR200496823Y1 (ko) 2022-12-19 2022-12-19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2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62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푸울패널도어의 처짐방지구조
KR20070093297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20090117243A (ko) * 2008-05-09 2009-11-12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KR101554955B1 (ko) * 2014-04-07 2015-09-22 (주)지씨아이글로벌 미닫이식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20210000448U (ko) *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622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푸울패널도어의 처짐방지구조
KR20070093297A (ko) * 2006-03-13 2007-09-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20090117243A (ko) * 2008-05-09 2009-11-12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사물함
KR101554955B1 (ko) * 2014-04-07 2015-09-22 (주)지씨아이글로벌 미닫이식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20210000448U (ko) * 2019-08-16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건축구조물의 파이프 덕트 커버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085A1 (en) Door hinge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200496823Y1 (ko) 도어처짐방지구가 구비된 파이프덕트커버
US6292978B1 (en) Door stop apparatus
KR20210071223A (ko) 방충망 이탈 방지 기구
US7143803B2 (en) Automatic and a manual lift-up ventilated gate for use with an overhead garage door
KR20060116144A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JP3211384U (ja) 建物の扉取付構造
JP6654115B2 (ja) 下枠および建具
JPH0243187Y2 (ko)
JP6470946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KR20130141367A (ko) 자동 개폐창문
CN104100184A (zh) 安全门
WO2006137804A1 (en) Top hung sliding door system for interior use
JP2010246438A (ja) 温室用のドアー装置
KR200391475Y1 (ko) 도어의 열림각을 조정 및 제어할 수 있는 경첩
KR200496027Y1 (ko) 건설 현장용 소음 방지 패널
KR200453615Y1 (ko) 여닫이 창문용 처짐방지장치
CN203961699U (zh) 安全门
KR102601812B1 (ko) 기밀성 향상 및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한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CN210977014U (zh) 一种完全开合式消防栓暗门
KR102510181B1 (ko) 방화문용 하부힌지 구조체
KR1026088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처짐 방지장치
JPH08296362A (ja) 同面片上げ下げ窓
CN209369694U (zh) 一种卷帘门用可调导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