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150Y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150Y1
KR200266150Y1 KR2020010036371U KR20010036371U KR200266150Y1 KR 200266150 Y1 KR200266150 Y1 KR 200266150Y1 KR 2020010036371 U KR2020010036371 U KR 2020010036371U KR 20010036371 U KR20010036371 U KR 20010036371U KR 200266150 Y1 KR200266150 Y1 KR 200266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re door
front plate
reinforcing bar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필
Original Assignee
최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필 filed Critical 최강필
Priority to KR2020010036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150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화문은 앞판과 뒷판이 보강대와 일체를 이루도록 밴딩작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밴딩작업은 별도의 절곡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과, 상기 절곡기에 의한 밴딩작업은 방화문을 일정한 규격으로 일정량이상 생산하는 작업에는 적합하나 요즘과 같이 개성을 중시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소량생산하는 작업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앞판(20)과 뒷판(22) 사이에 사각틀 형상의 보강대(24)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24)는 양측의 리브(26)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앞판(20)과 뒷판(22)의 일측면의 단부는 서로 중첩하도록 절곡부(28)(29)를 형성하며, 뒷판 (22)의 결합단부(30)와 절곡부(28)(29) 및 보강대(24)의 수직면(32)에는 등간격의 결합홀(34)을 형성하여 비스(36)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앞판과 뒷판의 상·하단 밴딩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다양한 규격의 소량생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Fire-proof door}
본 고안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방화문의 앞판과뒷판 사이에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는 보강대를 비스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서, 방화문 제작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소량으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물화재시 방화문이 일정시간만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더라도 인명을 구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방화문은 예시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강판을 절단·절곡하여 이루어진 직사각형상의 앞판(1)과 뒷판(2), 상기 앞판(1)과 뒷판(2) 사이에 설치되는 직사각틀 형상의 보강대(3), 상기 보강대(3)의 일측 상·하단에 설치되어 문틀에 힌지결합되는 피봇(4)(4´)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앞판(1)과 뒷판(2)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상부절곡단(5)(6)과 하부절곡단(5´)(6´)이 형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일측단에는 측부절곡단(7)과 측부결합단 (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대(3)는 양측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리브(9)가 형성되어 단면상 "∪"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한 쌍의 수직·수평보강대 (10)(11)로 이루어져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면서 직사각형상의 틀을 이루며, 보강대(3)의 내측에는 단열 및 흡음작용을 하는 하니콤(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방화문은 예시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앞판(1)과 뒷판(2) 사이에 직사각형상의 틀인 보강대(3)가 설치되어 지는데, 이때 보강대(3)를 이루고 있는 수평보강대(11)에는 앞판(1)과 뒷판(2)의 상부절곡단(5)(6)과 하부절곡단(5´)(6´)이 절곡기에 의 밴딩작업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고, 앞판(1)의 측부절곡단(7)에 뒷판(2)의 측부결합단(8)이 끼워져 일체를 이루게 되어 보강대(3)와 앞판(1)과 뒷판(2)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앞판(1)과 뒷판(2)에 일체를 이루게 되는 보강대(3)의 일측 상·하단에 피봇(4)(4´)이 보울트결합에 의해 설치되고, 보강대(3)에 설치된 피봇 (4)(4´)은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문틀에 설치된 피봇홀에 끼워져 방화문이 피봇(4)(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방화문을 열고 닫을 때, 방화문의 앞판(1)과 뒷판(2)은 보강대(3)와 일체를 이루고 있어 보강대(3)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상·하단의 피봇(4)(4´)이 방화문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은 앞판과 뒷판이 보강대와 일체를 이루도록 밴딩작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밴딩작업은 별도의 절곡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과, 상기 절곡기에 의한 밴딩작업은 방화문을 일정한 규격으로 일정량이상 생산하는 작업에는 적합하나 요즘과 같이 개성을 중시하여 다양한 규격으로 소량 생산하는 작업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방화문이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방화문의 앞판과 뒷판 사이에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는 보강대를 비스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체를 이루게 함으로서, 방화문 제작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다양한 규격의 소량생산을 할 수 있는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앞판과 뒷판 사이에 사각틀형상의 보강대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는 양측의 리브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앞판과 뒷판의 일측면의 단부는 서로 중첩하도록 절곡부를 형성하며, 뒷판의 결합단부와 절곡부 및 보강대의 수직면에는 등간격의 결합홀을 형성하여 비스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앞판과 뒷판이 비스에 의해 보강대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방화문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방화문의 일부분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앞판, 22 - 뒷판,
24 - 보강대, 26 - 리브,
28.29 - 절곡부, 30 - 결합단부,
32 - 수직면, 34 - 결합홀,
36 - 비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 사시도이고, 예시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예시도 5 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상기 예시도 3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은 앞판과 뒷판 및 상·하단에 피봇이 설치된 보강대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앞판(20)과 뒷판(22) 사이에 사각틀 형상의 보강대(24)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24)는 양측의 리브(26)를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단면상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앞판(20)과 뒷판(22)의 일측면 단부에는 서로 중첩하도록 절곡부(28)(29)를 형성하며, 뒷판(22)의 결합단부(30)와, 앞판(20)과 뒷판(22)의 절곡부(28)(29) 및 보강 대(24)의 수직면(32)에는 등간격의 결합홀(34)을 형성하여 비스(36)에 의해 일체를이루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40´은 보강대(24)의 일측 상·하단에 보울드결합을 이루는 피봇이고, 42는 보강대(24)의 내측에 설치되어 단열과 흡음작용을 하는 하니콤 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앞판(20)과 뒷판(22)의 일측면(피봇이 위치하는 측면)을 다수절곡시켜서 경사면을 갖춘 절곡부(28)(29)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8)(29)와 면접촉을 이루도록 보강대(24)의 리브(26)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보강대(24)의 수직면(32)과 절곡부(28)(29)에 등간격의 결합홀(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판(20)의 타측면을 이루는 결합단부(30)와 보강대(24)의 수직면(32)에도 등간격을 이루는 결합홀(34)이 형성되어 있어 비스(36)에 의해 보강대(24)에 앞판(20)과 뒷판(22)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보강대(24)는 한 쌍의 수지보강대와 수평보강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직보강대와 수평보강대는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예시도 4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방화문을 이루는 앞판(20)과 뒷판(22)은 양 측면만이 보강대(24)의 수직면(32)과 비스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고, 보강대(24)의 일측 상·하단에 피봇(40)(40´)이 설치되어 도면상 미도시된 문틀의 피봇홀에 끼워져 회전축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피봇(40)(40´)은 도면상 보강대와 보울트결합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나경우에 따라서는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보강대(24)는 예시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보강대(24)의 수직면 (32)은 앞판(20)의 절곡부(28)와 면접촉을 이루고, 또한 뒷판(22)의 결합단부(30)와 면접촉을 이루면서 비스(36)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서 앞·뒷판 (20)(22)과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강대(24)의 양측 리브(26)는 앞·뒷판(20)(22)의 내면과 면접촉을 이루게 되어 앞·뒷판(20)(22)에 외부 압력이 가해져도 일정간격을 이루되도록 지지해 주게되며, 보강대(24)의 내측에는 하니콤(42)이 설치되어 단열과 흡음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5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앞판(20)과 뒷판(22) 사이에 사각틀 형상의 보강대(24)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24)는 양측의 리브(26)가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앞판(20)과 뒷판(22)의 일측면의 단부는 서로 중첩하도록 절곡부(28)(29)를 형성하며, 뒷판 (22)의 결합단부(30)와 절곡부(28)(29) 및 보강대(24)의 수직면(32)에는 등간격의 결합홀(34)을 형성하여 비스(36)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앞판과 뒷판의 상·하단 밴딩작업을 하지 않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특히 다양한 규격의 소량생산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앞판(20)과 뒷판(22) 사이에 사각틀 형상의 보강대(24)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24)는 양측의 리브(26)를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단면상 "∩"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앞판(20)과 뒷판(22)의 일측면 단부에는 서로 중첩하도록 절곡부 (28)(29)를 형성하며, 뒷판(22)의 결합단부(30)와, 앞판(20)과 뒷판(22)의 절곡 부 (28)(29) 및 보강대(24)의 수직면(32)에는 등간격의 결합홀(34)을 형성하여 비스 (36)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KR2020010036371U 2001-11-26 2001-11-26 방화문 KR200266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71U KR200266150Y1 (ko) 2001-11-26 2001-11-26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371U KR200266150Y1 (ko) 2001-11-26 2001-11-26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150Y1 true KR200266150Y1 (ko) 2002-02-27

Family

ID=7305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371U KR200266150Y1 (ko) 2001-11-26 2001-11-26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1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89B1 (ko) * 2013-07-02 2015-04-06 이종택 방화문용 하니콤모듈
KR101697995B1 (ko) * 2016-08-11 2017-01-19 김성관 친환경 부표를 이용한 금속재 뗏목
KR20220144246A (ko) 2021-04-19 2022-10-26 (주)이에스다산 차열 방화문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열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989B1 (ko) * 2013-07-02 2015-04-06 이종택 방화문용 하니콤모듈
KR101697995B1 (ko) * 2016-08-11 2017-01-19 김성관 친환경 부표를 이용한 금속재 뗏목
KR20220144246A (ko) 2021-04-19 2022-10-26 (주)이에스다산 차열 방화문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열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JPH10237998A (ja) 方立式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266150Y1 (ko) 방화문
KR101019219B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3782136B2 (ja) 制御盤筐体
KR100639583B1 (ko) 건축설비 케이스용 커버구조 및 제조방법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JP2714750B2 (ja) 電気錠付フラッシュドア
JP4855426B2 (ja) 建具体
KR200312117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0867182B1 (ko) 복합 개폐식 창호
KR200287652Y1 (ko) 결합 구조의 문틀
JP2005201036A (ja) 周囲枠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RU20630U1 (ru) Брусковая дверь
JP2004251027A (ja) パネル専用排煙窓
JP4518913B2 (ja) サッシの開閉機構
KR200206806Y1 (ko) 조립식 가구
JPH06281185A (ja) 空気調和機の天井パネル
KR20020030837A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JP2001107460A (ja) 建築用金物
JP2001032425A (ja) パネル外壁
KR200332648Y1 (ko) 경첩
KR20230173620A (ko) 개선된 모듈 타입 유니버셜 히든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