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837A -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 Google Patents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837A
KR20020030837A KR1020000061102A KR20000061102A KR20020030837A KR 20020030837 A KR20020030837 A KR 20020030837A KR 1020000061102 A KR1020000061102 A KR 1020000061102A KR 20000061102 A KR20000061102 A KR 20000061102A KR 20020030837 A KR20020030837 A KR 2002003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wall
mol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770B1 (ko
Inventor
송영준
이성대
하도수
정인식
나진형
Original Assignee
송영준
엠에이디자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준, 엠에이디자인(주) filed Critical 송영준
Priority to KR10-2000-006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7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임의의 세부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파티션을 나사와 같은 별도의 결합요소가 필요 없이 각 구성 프레임의 측면 또는 끝단에 원형으로 구성된 요철(凹凸)형식의 삽입돌기 및 돌기삽입홈에 의해 그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파티션이 설치될 위치와 용도에 따라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지지력 보강을 위한 내벽과 스터드 및/또는 보강대와 같은 보강재가 삽입될 수도 있는 구조를 가진 각각의 프레임에 의해 결합/조립되고, 상기 조립된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조립된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공사의 흔적을 감추어 주며 장식의 기능을 가진 몰딩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Prefab frame for wall}
본 발명은 파티션(Partition)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해체된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파티션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사무실은 하나의 커다란 실내공간을 기존 건물의 구조를 해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대로 몇 개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은 설치물로 고정되는 고정식과, 조립 및 해체가가능한 조립식으로 구분되어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파티션은 합판이나 철판 등을 이용해 사각 판체형으로 구비되는 일정 크기의 패널(Panel)부재와, 상기 패널부재들을 좌/우로 연결하여 조립토록 함과 동시에 이들 패널부재들을 고정시켜 주는 금속재질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와 프레임은 고정볼트나 또는 별도의 여러 가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걸레받이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이에 맞는 프레임의 크기를 공급처에서 미리 설정하여 제조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처의 크기에 맞는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사용 공간의 규격에 맞추어 특별히 주문생산해야만 하는 등 사용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프레임을 각 규격별로 제조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금형이 요구됨은 물론, 이에 따른 금형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벽과 파티션의 접합부분에 별도의 몰딩작업 및 도색작업을 해야하는 등의 부가적인 공정과 부품수가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와 프레임은 이미 규격화 된 고정틀로 형성됨으로써 부피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워 운반 및 보관에 따른 물류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숙련공이 아니면 설치가 매우 힘이 드는 등 설치에 따른 작업성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는 패널부재와 프레임의 크기가 생산처에서 이미 정해진 상태로 공급되는 것임으로써 한번 사용한 파티션을 분해하여 다른 위치에 변경하여 설치할 경우, 그 높이와 넓이 등을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용의 호환성 및 재활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더구나, 종래의 파티션은 그 일부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고장부분만을 별도로 교체사용하기가 어려운 등 사후 관리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도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티션용 프레임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파티션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티션 부품의 단순화와 파티션 설치시 부가적으로 소요되던 몰딩 및 도색 등의 공정이 필요 없는 파티션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여 한번 사용한 파티션을 분해하여 다른 위치에 높이와 넓이 등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변경하여 재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그 일부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고장부분만을 별도로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사후 관리의 호환성 및 재활용성이 좋은 파티션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천정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과 몰딩의 결합을 도시한 절개단면사시도
도 2a,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바닥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3a,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바형 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4a,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가로바형 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5a,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문틀세로바형 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6a,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천정문틀프레임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7a,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기존에 시설된 벽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벽체몰딩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8a, 도 8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기존에 시설된 벽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걸레받이형 몰딩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삽입돌기2 : 돌기삽입홈
15 : 내벽17 : 벽체홈
35 : 스터드고정축45 : 연결철판
53 : 경첩보호턱55 : 보강대
65 : 걸림턱100 : 천정몰딩
200 : 바닥몰딩300 : 외장몰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파티션용 프레임은 기능적인 형상을 가진 각각의 서브프레임이 원형의 요철(凹凸)에 의해 결합/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된 프레임의 가장자리에는 몰딩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티션용 프레임은 각각 서로 요철결합하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실내의 천정에 접하는 천정프레임과; 바닥면에 접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천정프레임과 바닥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바형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형 프레임 중 2개의 프레임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가로바형 프레임과; 실내 천정 근방에서 상기 천정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천정문틀프레임과; 일끝단이 상기 바닥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끝단이 상기 천정문틀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문틀세로바형프레임과; 벽체에 결합되는 제 1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 1 서브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며 요철결합하는 제 2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벽체몰딩(70) 및 걸레받이용몰딩(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프레임은 합성수지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견고하고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프레임(1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천정상부프레임(11)과 천정하부프레임(13), 천정몰딩(100)으로 구성된다.상기 천정프레임(10)의 천정상부프레임(11)은 천정과 접하거나 천정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천정프레임의 변형방지와 천정상/하부프레임(11)(13)간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내벽(15)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프레임의 천정하부프레임(13)에는 유리판 또는 기타 벽체를 끼울 수 있는 벽체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천정상/하부프레임(11)(13)이 조립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천정을 받쳐주는 역할과 아울러 공사의 흔적을 감추어 주며 장식의 기능을 가진 천정몰딩(100)이 끼워져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각 프레임들과 몰딩의 결합방법은 도 1b에서 부분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각 구성 프레임의 측면 또는 끝단에 삽입돌기(1) 및/또는 돌기삽입홈(2)이 구성된, 즉 열쇠와 자물쇠의 결합방법과 유사한 요철(凹凸)형식의 결합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삽입돌기(1)와 돌기삽입홈(2)은 바람직하게는 둥근 형태를 가지며 이는 결합되는 두 프레임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c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된 천정프레임(10)의 결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합방법은 이하 설명되는 프레임들간의 결합과 몰딩의 결합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프레임(2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바닥상부프레임(21)과 바닥하부프레임(23) 및 바닥몰딩(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20)의 바닥상부프레임(21)은 유리판 또는 기타 벽체를 끼울 수 있는 벽체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벽체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상부프레임(21)의 벽체홈(17) 하단에서 양방향 대각선으로 하향돌출된 내벽(15)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하부프레임(23)은 바닥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의 바닥면과 수직면이 형성하는 모서리에 상기 바닥상부프레임(21)의 내벽(15)의 끝단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바닥상/하부프레임(21)(23)이 조립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공사의 흔적을 감추어 주고 장식의 기능을 가지며 아울러 바닥청소시 벽체를 보호하고 물청소 등에 의한 얼룩발생을 방지해주는 걸레받이 역할의 바닥몰딩(200)이 끼워져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바형 프레임(3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좌측(또는 우측)프레임(31),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 및 외장몰딩(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또는 우측)프레임(31)과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은 중앙에 유리와 같은 벽체를 끼울 수 있는 벽체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또는 우측)프레임(31)과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이 조립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외장몰딩(300)이 조립된다. 상기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은 상기 좌측(또는 우측)프레임(31)과 조립되지 않고 석고보드등과 같은 벽체와의 결합에 사용될 수도 있는 바, 이때 상기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의 내부에는 석고보드등의 벽체 삽입시에 벽체와 상기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과의 결합력을 높이고, 상기 세로바형 프레임(30)의 지지력을 높여주며, 상기 천정프레임(10) 및 바닥프레임(20)과의 나사연결을 위한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된 한글 "??"자형의 스터드(Stud)(미도시)의 고정을 위한 스터드 고정축(35)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에 의한 벽체와 상기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과의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몰딩(300)이 조립되는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의 양측면에서 벽체와 스터드를 관통하는 여러개의 나사홈을 뚫은 후 나사로 고정하여 벽체와 상기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바형 프레임(4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상기 도 3a, 3b에서 사용된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을 가로상부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상기 도 1a, 도 1b에서 사용된 천정하부프레임(13)을 가로하부프레임으로 사용하며 외장몰딩(300) 및 연결철판(45)이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가로상부프레임으로 사용되는 우측(또는 좌측)프레임(33)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는 상기 세로바형 프레임(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철판(45)이 철판고정축(41)에 고정되어 있는 바, 나사 등과 같은 결합요소로서 상기 세로바형 프레임(30)과 결합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세로바형 프레임(5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문틀세로프레임(51)과 외장몰딩(300) 및 경첩보호턱(53)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첩보호턱(53)은 상기 문틀세로프레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문틀과 문이 접하는 부분으로의 바람 또는 기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경첩(57)의 외부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문틀세로프레임(51)의 내부에는 벽체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스틸과 같은 금속재질의 보강대(55)가 삽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경첩보호턱(53)의 내부공간을 통해 나사와 같은 결합요소로써 상기 문틀세로프레임(51)과 보강대(55)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대(55)에 의한 벽체와 상기 문틀세로프레임(51)과의 결합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몰딩(300)이 조립되는 양측면에서 벽체와 보강대(55)를 관통하는 여러개의 나사홈을 뚫은 후 나사로 고정하여 벽체와 상기 문틀세로프레임(51)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문틀프레임(6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문틀상부프레임(61)과 문틀하부프레임(63) 및 천정몰딩(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틀상부프레임(61)은 천정과 접합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는 상기 문틀프레임(60)의 변형방지와 문틀상/하부프레임(61)(63)간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내벽(15)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문틀하부프레임(63)은 문을 닫을 때 문이 닫히는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걸림턱(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벽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벽체공간(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문틀상/하부프레임(61)(63)이 조립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천정을 받쳐주는 역할과 아울러 공사의 흔적을 감추어 주며 장식의 기능을 가진 천정몰딩(100)이 끼워져 있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몰딩(7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기존에 이미 시설되어 있는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도 1 및 도 6에서 사용되는 천정몰딩(100)을 그대로 이용하며, 기존의 벽체에 나사 및/또는 접착제와 같은 결합요소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몰딩부착부(75)와 조립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걸레받이형몰딩(80)의 조립단면도 및 분리단면도로서 기존에 이미 시설되어 있는 벽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도 2에서 사용되는 바닥몰딩(200)을 이용하며, 기존의 벽체에 나사 및/또는접착제와 같은 결합요소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는 걸레받이형몰딩부착부(85)와 조립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각각의 몰딩은 그 내부의 여유공간을 이용할 수도 있는 바, 몰딩의 내부공간으로 전선 또는 통신선등의 각종 배선을 통과시킬수도 있으며 그 외부에 콘센트 또는 스위치 등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프레임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용도와 응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과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기 각 프레임에 결합되는 몰딩은 그 용도의 특성상 결합되는 프레임의 사용용도와 위치 또는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몰딩의 외형이 곡선을 가지거나 또는 삼각형태를 가지는 등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파티션 조립에 있어서 필요로 하던 많은 부품을 간소화하여 조립에 따른 몰딩 및 도색 등의 공정감소와 이에 따른 인력 및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감소와 구조의 단순화로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조립과 해체가 간단하여 한번 사용한 파티션용 프레임을 분해하여 다른 위치에 높이와 넓이 등을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변경하여 재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파티션용 프레임의 구조에 있어서는 그 일부가 고장나거나 파손될 경우 고장부분만을 별도로 교체사용이 가능하여 사후 관리의 호환성 및 재활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실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실내 파티션용 프레임에 있어서,
    실내의 천정에 접하는 천정프레임(10)과;
    바닥면에 접하는 바닥프레임(20)과;
    상기 천정프레임(10)과 바닥프레임(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바형 프레임(30)과;
    상기 복수개의 세로바형 프레임(30) 중 2개의 프레임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가로바형 프레임(40)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 프레임은 각각 서로 요철결합하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파티션용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 천정 근방에서 상기 천정프레임(10)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천정문틀프레임(60)과;
    일끝단이 상기 바닥프레임(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끝단이 상기 천정문틀프레임(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문틀세로바형프레임(50)
    을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천정문틀프레임(60)과 상기 문틀세로바형프레임(50)은 각각 서로 요철결합하는 복수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 파티션용 프레임
  3. 벽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서브프레임(75)(85)과;
    상기 제 1 서브프레임과 서로 마주보며 요철결합하는 제 2 서브프레임(100)(200)
    을 포함하는 몰딩용 프레임
KR10-2000-0061102A 2000-10-17 2000-10-17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038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102A KR100381770B1 (ko) 2000-10-17 2000-10-17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102A KR100381770B1 (ko) 2000-10-17 2000-10-17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941U Division KR200225503Y1 (ko) 2000-10-17 2000-10-17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837A true KR20020030837A (ko) 2002-04-26
KR100381770B1 KR100381770B1 (ko) 2003-05-01

Family

ID=1969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102A KR100381770B1 (ko) 2000-10-17 2000-10-17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7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98B1 (ko) * 2011-09-29 2012-01-30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KR101529009B1 (ko) * 2014-11-06 2015-06-15 이청종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9850656B2 (en) 2014-09-02 2017-12-26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17625B (sv) * 1977-03-10 1981-03-30 Svenska Flaektfabriken Ab Skarvanordning for veggar, luckor och liknande
JP4099685B2 (ja) * 1998-10-21 2008-06-11 ビーエスドアー 株式会社 パネル等の連結機構
GB2346905B (en) * 1999-02-19 2002-10-23 Joinwide Invest Ltd Method of partitioning office spa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98B1 (ko) * 2011-09-29 2012-01-30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의 연결장치
US9850656B2 (en) 2014-09-02 2017-12-26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9920521B2 (en) 2014-09-02 2018-03-20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10577795B2 (en) 2014-09-02 2020-03-03 Chung Jong Lee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29009B1 (ko) * 2014-11-06 2015-06-15 이청종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770B1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160056662A (ko) 주거형 컨테이너 구조물의 조립구조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JPH08135053A (ja) 間仕切壁ユニット及びパネル連結用ジョイント
KR200269692Y1 (ko) 확장가변형 창호의 창틀구조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KR200380138Y1 (ko) 복합패널 조립체
KR200279948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JPH10299222A (ja) 外壁の化粧構造
KR0129212Y1 (ko) 조립식 욕실용 벽체와 그 조립용 브라켓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JP3625368B2 (ja) 内装システムの隅構造
JP2012077574A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KR200479423Y1 (ko) 조립식 벽 판넬의 연결 브라켓
KR200175299Y1 (ko) 벽 일체형 유니트 욕실구조
KR200323398Y1 (ko) 보조창틀
KR20030081915A (ko) 조립식 창틀
KR200352403Y1 (ko) 옹벽 모서리 마감용 패널구조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JP2002371717A (ja) ユニットルームにおける床パネルと壁パネルとの組み付け構造および床パネルとドア枠との組み付け構造
KR20090059246A (ko) 자성체를 이용한 경량벽체 시스템과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