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61Y1 - 현관문 구조물 - Google Patents

현관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361Y1
KR200183361Y1 KR2019990019317U KR19990019317U KR200183361Y1 KR 200183361 Y1 KR200183361 Y1 KR 200183361Y1 KR 2019990019317 U KR2019990019317 U KR 2019990019317U KR 19990019317 U KR19990019317 U KR 19990019317U KR 200183361 Y1 KR200183361 Y1 KR 200183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front door
hing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고
Original Assignee
유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신 filed Critical 유영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3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현관문, 문틀, 문틀의 주변에 설치되는 세로 장식틀과 가로 장식틀을 주물로 형성하고, 세로 장식틀과 가로 장식틀을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기존 현관문의 배후면에 덧대었던 문틀을 제거함과 동시에 현관문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는 문틀과 현관문을 치밀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현관문의 제작시간과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변형이 방지되고, 방풍 기능이 향상된 현관문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문틀과 세로 장식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문틀과 상기 세로 장식틀은 이들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문틀 연장부와 측면 연장부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세로 장식틀과 가로 장식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세로 장식틀과 상기 가로 장식틀은 이들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면 연장부와 가로 장식틀 연장부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현관문의 배면 주변부에는 결합 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되고, 현관문의 후미에서 문틀 양각테의 말단부에는 결합 돌기와 접촉이 가능한 쇼울더가 수직하게 절곡하여 연장된다.

Description

현관문 구조물{Front door structure}
본 고안은 현관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관문, 문틀, 문틀의 주변에 설치되는 세로 장식틀과 가로 장식틀을 주물로 형성하고, 기존의 현관문 배후면에 덧대었던 문틀을 제거함과 동시에 현관문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는 문틀과 현관문을 치밀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현관문의 제작시간과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변형이 방지되고, 방풍 기능이 향상된 현관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현관문을 제작함에 있어서, 현관문의 장식판은 주물로서 별도로 생산하고 현관문과 문틀 및 그 외주연에 형성하는 장식무늬는 알루미늄 샤시를 사출성형하여 만든후 장식판에 맞게 재단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제작방식으로 인하여 현관문에 요구되는 육중함과 위압감을 느낄 수 없을 뿐만아니라, 가볍고 단순한 느낌이 들며, 현관문이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형을 일으켜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현관문의 고장 및 손상이 유발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알루미늄 샤시를 재단하여 현관문을 제작함으로써, 현관문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연결부위간에 유격이 생겨서 자주 수리를 해야 하였고, 현관문이 많은 부품을 조립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현관문의 제작시간이 길어지며 결합부위가 너무 많아서 자체무게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게다가,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현관문은 견고성을 상실하게 되으로, 현관문을 닫았다 하더라도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에는 미비한 실정이어서 불순한 동기를 가진 외부인이 용이하게 현관문을 통하여 침입하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1999년 1월 19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특허 제 190234호에는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현관문의 조립을 최소화함으로써 현관문의 제작시간과 제작 단가를 줄이도록 하였고, 현관문을 일체로 주물형성하여 부품의 조립부위를 최소화시켜서 현관문의 변형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 따른 현관문에서는, 현관문의 배후면에 덮개판을 덧대고 다수의 체결 보울트를 이용하여 결합하였기 때문에 이들 결합 부위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완전하게 해결되지는 못하였고, 문틀과 현관문 사이의 틈새로 바람이 많이 들어오게 되어 방풍기능이 좋지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현관문 배후면에 덧대었던 문틀을 제거함과 동시에 현관문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는 문틀과 현관문을 치밀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제작시간과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가 용이하며 변형이 방지되고 방풍 기능이 향상된 현관문 구조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구조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선 Ⅴ-Ⅴ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현관문 상부 경첩과 문틀 상부경첩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현관문 하부 경첩과 문틀 하부경첩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관문 11 : 현관문 상부경첩
12 : 문 양각테 13 : 현관문 하부경첩
15 : 결합 돌기 17 : 현관문 테두리
20 : 문틀 21 : 문틀 상부경첩
22 : 쇼울더 23 : 문틀 하부경첩
24 : 문틀 연장부 25 : 문틀 양각테
30 : 세로 장식틀 32a : 측면 연장부
32b : 상면 연장부 40 : 가로 장식틀
42 : 가로장식틀 연장부 50a,50b : 힌지축
52 : 고정핀 54 : 상부 베어링
56 : 하부 베어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주물로 제조되고, 정면과 배면 상에 문 양각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정면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현관문 상부 경첩과 현관문 하부 경첩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배면 주변부에 결합 돌기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현관문; 주물로 제조되고, 전면 내측 주변부에는 문틀 양각테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 양각테의 말단부에는 쇼울더가 상기 문틀 양각테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현관문 쪽으로 절곡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현관문과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현관문 상부 경첩과 상기 현관문 하부 경첩에 대응하도록 일측 상부와 하부에 문틀 상부경첩과 문틀 하부경첩이 각각 부착된 사각형상의 문틀; 주물로 제조되고, 상기 문틀의 양측면 상에 일체로 연결하여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세로 장식틀; 그리고 주물로 제조되고, 상기 문틀과 상기 세로 장식틀의 상부면 상에 일체로 연결하여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가로 장식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현관문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문틀과 상기 세로 장식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문틀과 상기 세로 장식틀은 상기 문틀과 상기 세로 장식틀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문틀 연장부와 측면 연장부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세로 장식틀과 상기 가로 장식틀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세로 장식틀과 상기 가로 장식틀은 상기 세로 장식틀과 상기 가로 장식틀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면 연장부와 가로 장식틀 연장부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현관문, 문틀, 문틀의 주변에 설치되는 가로 장식틀과 세로 장식틀을 주물로 형성하고, 세로 장식틀과 가로 장식틀을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기존의 현관문 배후에 덧대었던 문틀을 제거함과 동시에 현관문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는 문틀과 현관문을 치밀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현관문의 제작시간과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현관문의 설치가 용이하며, 변형이 방지된다. 게다가, 현관문과 문틀 사이의 틈새가 제거되어 방풍 기능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구조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이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10)은 주물로 제조되며, 현관문(10)의 중앙부위에는 문 개구부(19)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문 개구부(19) 내에는 주물로 제조되고 각종 문양을 갖는 문 장식재(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진다. 이와는 달리, 문 개구부(19)를 형성함이 없이, 현관문(10) 상에 각종 문양을 직접 새겨넣을 수도 있다. 현관문(10)의 정면과 배면에서 문 개구부(19) 주위에는 문 양각테(12)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다. 현관문(10)의 전면 일측 중간부위에는 손잡이(14)가 장착되고, 현관문(10)의 배면 일측 중간부위에는 손잡이(14)와 기계적으로 통합된 도어록(16)이 장착된다.
현관문(1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는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현관문 하부 경첩(13)이 각각 부착된다. 이때, 현관문 상부 경첩(11)의 일단부와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일단부는 현관문(10)의 전면상에 용접하여 고정된다. 또한, 현관문 상부 경첩(11)의 타단부와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타단부는 문틀(20) 쪽으로 연장되고,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위치에 대응하여 문틀(20)에 용접하여 고정된 문틀 상부경첩(21)과 문틀 하부경첩(23)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의해, 현관문(10)은 문틀(20)에 개폐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5는 현관문 상부 경첩과 문틀 상부경첩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문틀 상부경첩(21)은 이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축 관통공(18a,28a) 내에 배치되는 상부 힌지축(50a)에 의해서 연결된다. 상부 힌지축(50a)은 상부 힌지축(50a)의 상부를 관통하여 문틀(20)에 삽입되는 고정핀(52)에 의해서 문틀(20)에 고정되며, 상부 힌지축(50a)의 외측 주변부에는 다수의 상부 베어링(54)이 배치된다. 즉, 상부 베어링(54)은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문틀 상부경첩(21)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베어링 삽입공(19a,29)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상부 힌지축(50a)은 힌지축 관통공(18a,28a) 내에서 베어링(54)에 의하여 유연하게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부 힌지축(50a)은 힌지축 관통공(28a) 아래에 형성된 통공(28c)에 의해서 아래에서 위로 분해가 가능하다.
도 6은 현관문 하부 경첩과 문틀 하부경첩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취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문 하부 경첩(13)과 문틀 하부경첩(23)은 이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축 관통공(18b,28b)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하부 힌지축(50b)에 의해서 연결된다. 하부 힌지축(50b)의 일단부는 현관문 하부 경첩(13)에 형성된 힌지축 관통공(18b)내에 고정된다. 이때, 하부 힌지축(50b)의 외측 주변부에는 다수의 하부 베어링(56)이 배치된다. 즉, 하부 베어링(56)은 현관문 하부 경첩(13)을 관통하여 형성된 베어링 삽입공(19b)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하부 힌지축(50b)은 하부 베어링(56)에 의해서 유연하게 회전운동하면서 현관문(10)의 하중을 지지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현관문(10)은 주물로 제조되어 현관문(10)의 외측 주변부에 배치되는 사각형상의 문틀(20) 상에 위치한다. 문틀(20)의 전면과 배면에서 현관문(10) 근접위치에는 문틀 양각테(25)가 각각 돌출하여 형성된다. 문틀(20)의 배면에 돌출된 문틀 양각테(25)의 말단부에는 쇼울더(22)가 문틀 양각테(25)에 대하여 수직하게 현관문쪽으로 절곡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즉, 쇼울더(22)는 직사각형상으로 제공되는 현관문 출입구 주위에서 일정길이만큼 현관문 출입구 쪽으로 연장된다.
현관문(10)을 닫는 경우, 쇼울더(22)는 현관문(10)의 배면 주변부에 돌출하여 형성된 결합 돌기(15)와 접촉하여 결합 돌기(15)를 지지한다. 이때, 현관문(10)의 테두리(17)는 문틀(20) 전면에 돌출된 문틀 양각테(25) 상에 놓이게 된다. 이에 의해 현관문(10)의 완벽한 닫힘이 보장된다. 따라서, 현관문(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문틀(20)의 양측에는 세로 장식틀(30)이 문틀(20)에 일체로 연결되고, 문틀(20)의 상측에는 가로 장식틀(40)이 문틀(20)에 일체로 연결된다. 문틀(20) 상부 양측에서 가로 장식틀(40)은 세로 장식틀(3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세로 장식틀(30)에는 다수의 세로장식틀 개구부(34)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세로장식틀 개구부(34) 내에는 주물로 제조되고 각종 문양을 갖는 세로 장식재(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진다. 또한, 가로 장식틀(40)에는 다수의 가로장식틀 개구부(44)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가로장식틀 개구부(44) 내에는 주물로 제조되고 각종 문양을 갖는 가로 장식재(도시되지 않음)가 끼워진다.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그 길이의 확장과 축소가 가능하다. 즉, 소비자가 원하는 현관문(10)과 문틀(20)의 크기 및 설치위치에 따라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의 길이를 마음대로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선 Ⅳ-Ⅳ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선 Ⅴ-Ⅴ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장식틀(30)과 문틀(20)의 경계위치에서, 세로 장식틀(30)과 문틀(20)은 세로 장식틀(30)과 문틀(20)의 자유단부에서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측면 연장부(32a)와 문틀 연장부(24)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즉, 세로 장식틀(30)과 문틀(20)은 측면 연장부(32a)와 문틀 연장부(24)를 용접시키거나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하여 함께 체결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세로 장식틀(30)의 길이를 측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늘이거나 줄여서 문틀(2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로 장식틀(40)과 세로 장식틀(30)의 경계위치에서, 가로 장식틀(40)과 세로 장식틀(30)은 가로 장식틀(40)과 세로 장식틀(30)의 자유단부에서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가로장식틀 연장부(42)와 상면 연장부(32b)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즉, 가로 장식틀(40)과 세로 장식틀(30)은 가로 장식틀 연장부(42)와 상면 연장부(32b)를 용접시키거나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함께 체결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가로 장식틀(40)의 길이를 수직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늘이거나 줄여서 세로 장식틀(3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가변적인 길이를 갖는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은 시멘트나 콘크리트 벽면에 마련된 리세스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후 앵커 보울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고정된다.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을 시멘트나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한 후에는,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의 표면을 페인트로 칠하여 이들간의 체결 부위가 겉으로 나타나지 않게 하여 외관을 보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현관문(10), 문틀(20), 문틀의 주변에 설치되는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을 주물로 형성하고, 세로 장식틀(30)과 가로 장식틀(40)을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기존의 현관문 배후에 덧대었던 문틀을 제거함과 동시에 현관문(10)의 전면 양측에 배치되는 문틀(20)과 현관문(10)을 치밀한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현관문(10)의 제작시간과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현관문(10)의 설치가 용이하며, 변형이 방지된다. 게다가, 현관문(10)과 문틀(20) 사이의 틈새가 제거되어 방풍 기능이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주물로 제조되고, 정면과 배면 상에 문 양각테(1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정면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현관문 하부 경첩(13)이 각각 부착되고, 상기 배면 주변부에 결합 돌기(15)가 일정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현관문(10);
    주물로 제조되고, 전면 내측 주변부에는 문틀 양각테(25)가 형성되며, 상기 문틀 양각테(25)의 말단부에는 쇼울더(22)가 상기 문틀 양각테(25)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현관문(10) 쪽으로 절곡하여 일정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현관문(10)과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현관문 상부 경첩(11)과 상기 현관문 하부 경첩(13)에 대응하도록 일측 상부와 하부에 문틀 상부경첩(21)과 문틀 하부경첩(23)이 각각 부착된 사각형상의 문틀(20);
    주물로 제조되고, 상기 문틀(20)의 양측면 상에 일체로 연결하여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세로 장식틀(30); 그리고
    주물로 제조되고, 상기 문틀(20)과 상기 세로 장식틀(30)의 상부면 상에 일체로 연결하여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가로 장식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 상부 경첩(11)의 일단부와 상기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일단부는 상기 현관문(10)의 전면상에 용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현관문 상부 경첩(11)의 타단부와 상기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타단부는 상기 문틀(20)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문틀 상부경첩(21)과 상기 문틀 하부경첩(23)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 상부 경첩(11)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문틀 상부경첩(21)은 이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축 관통공(18a,28a) 내에 배치되는 상부 힌지축(50a)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50a)은 상기 상부 힌지축(50a)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문틀(20)에 삽입되는 고정핀(52)에 의해서 상기 문틀(20)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힌지축(50a)의 외측 주변부에는 다수의 상부 베어링(54)이 배치되고, 상기 상부 베어링(54)은 상기 상부 경첩(11)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문틀 상부경첩(21)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베어링 삽입공(19a,29)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 관통공(28a) 아래에는 통공(28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 하부 경첩(13)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문틀 하부경첩(23)은 이들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 힌지축 관통공(18b,28b) 내에 배치되는 하부 힌지축(50b)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힌지축(50b)의 외측 주변부에는 다수의 하부 베어링(56)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 베어링(56)은 상기 문틀 하부경첩(23)을 관통하여 형성된 베어링 삽입공(19b)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20)과 상기 세로 장식틀(30)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문틀(20)과 상기 세로 장식틀(30)은 상기 문틀(20)과 상기 세로 장식틀(30)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문틀 연장부(24)와 측면 연장부(32a)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세로 장식틀(30)과 상기 가로 장식틀(40)의 결합 부위에서, 상기 세로 장식틀(30)과 상기 가로 장식틀(40)은 상기 세로 장식틀(30)과 상기 가로 장식틀(40)의 자유단부에 계단형상으로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상면 연장부(32b)와 가로 장식틀 연장부(42)간의 결합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장식틀(30)에는 다수의 세로장식틀 개구부(34)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로 장식틀(40)에는 가로장식틀 개구부(44)가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세로장식틀 개구부(34)와 상기 가로장식틀 개구부(44)에는 주물로 제조된 세로 장식재와 가로 장식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구조물.
KR2019990019317U 1999-09-10 1999-09-10 현관문 구조물 KR2001833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737A KR100328649B1 (ko) 1999-09-10 1999-09-10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737A Division KR100328649B1 (ko) 1999-09-10 1999-09-10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361Y1 true KR200183361Y1 (ko) 2000-05-15

Family

ID=19611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737A KR100328649B1 (ko) 1999-09-10 1999-09-10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
KR2019990019317U KR200183361Y1 (ko) 1999-09-10 1999-09-10 현관문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737A KR100328649B1 (ko) 1999-09-10 1999-09-10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28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74B1 (ko) 2023-07-17 2024-02-01 주식회사 성우스타게이트 소대가 배치된 출입문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74B1 (ko) 2023-07-17 2024-02-01 주식회사 성우스타게이트 소대가 배치된 출입문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068A (ko) 1999-12-06
KR100328649B1 (ko)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3361Y1 (ko) 현관문 구조물
KR200385430Y1 (ko) 경첩
JPH0425181Y2 (ko)
KR100190234B1 (ko) 현관문과 현관문 부수부재의 결합방법
KR200312119Y1 (ko) 양개 방화문의 구조
JPH0341223Y2 (ko)
KR0127412Y1 (ko) 현관문의 장식판넬 프레임
JPS6321673Y2 (ko)
KR100493521B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CN215212997U (zh) 一种保险箱复合门板
KR200246016Y1 (ko) 절곡부를 가진 경첩
KR200469600Y1 (ko) 문용 경첩
KR200376960Y1 (ko) 유리문용 프레임
JP6113991B2 (ja) 扉取替方法
KR100388170B1 (ko) 모울드 삽입식 플랩 고정구조
JPS608061Y2 (ja) 取替ドア
JP2590102Y2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通気口用スリーブ
JPS60415Y2 (ja) 欄間部の吊束取付構造
KR2003005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KR200180784Y1 (ko) 문짝 설치용 경첩
JPH0716000Y2 (ja) 電気錠付き門扉
JPH0423195Y2 (ko)
KR200300592Y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JPH0314217Y2 (ko)
JPS62214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