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784Y1 - 문짝 설치용 경첩 - Google Patents

문짝 설치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784Y1
KR200180784Y1 KR2019990027837U KR19990027837U KR200180784Y1 KR 200180784 Y1 KR200180784 Y1 KR 200180784Y1 KR 2019990027837 U KR2019990027837 U KR 2019990027837U KR 19990027837 U KR19990027837 U KR 19990027837U KR 200180784 Y1 KR200180784 Y1 KR 200180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astening
door
outer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복한
Original Assignee
배복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복한 filed Critical 배복한
Priority to KR2019990027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 설치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과 외측의 프레임 사이에 체결블록이 구비되고,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이들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가 내측프레임을 관통하여 대응결합되기 위한 삽입관부가 돌출형성되고, 체결블록에는 상기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상에서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경첩의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체결부재의 개수가 감소됨으로 인해 작업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짝 설치용 경첩{The hinge device for hinge doors.}
본 고안은 문짝 설치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내부와 외부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첩에서, 이들의 조립시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외부측에서 은폐시켜 외부에서의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에 설치되는 문짝들은 목재나 철재 또는 유리나 합성수지재등으로 된 다양한 재질과 그 형태 및 크기에 있어서 각양각색의 제품들이 선보여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짝들은 거의 대부분이 건축구조물에 문틀을 설치하고, 문틀에 경첩을 이용하여 문짝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짝이 개폐가능하도록 한 것이 주된 형태이다.
도 1은 이러한 일반적인 문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문짝(4)의 설치구조는 문틀(5)과, 이 문틀(5)의 내주 상측에서 고정장착되는 고정브래킷(1)과, 이 고정브래킷(1)과 힌지축(3)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브래킷(1)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문짝(4)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된 회전브래킷(2)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짝의 설치구조에서 경첩부분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면은 고정브래킷과 회전브래킷이 각 구성 부재의 형태만이 다를 뿐이므로 대표적인 형태의 브래킷으로 도시하고 부호 10으로 표시할 것임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경첩구조는 공간의 내부측에 구비되는 내측프레임(11)과, 내측프레임(11)과는 일정간격으로 구비된 외측프레임(14)과, 내, 외측프레임(11, 14)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결합시키는 체결블록(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블록(15)에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공(16)이 다수개 (도면에서는 2개)형성되며, 이 체결공(16)과 대응되는 내, 외측프레임(11, 14)의 부분에는 통공(12)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통공(12)을 관통하고 체결공(13)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13)를 장착시켜 내, 외측프레임(11, 14)과 체결블록(15)이 일체화되도록 한다.
상기 경첩은 외부인이 볼트를 풀고 경첩을 분해하여 문짝을 경첩에서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인의 침입을 막는 방범의 기능을 잃게 되어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첩은 체결블록과 외측프레임이 볼트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볼트머리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요인이 된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경첩은 내, 외측에서 볼트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여 작업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볼트등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경첩의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하고 미관이 수려해지도록 하며, 체결부재의 개수를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문짝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문짝 설치용 경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문짝 설치용 경첩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문짝 설치용 경첩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문짝 설치용 경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브래킷 21: 내측프레임 22: 외측프레임
23: 볼트 24: 삽입관부 25: 체결홈
26: 체결블록 27: 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내측과 외측의 프레임 사이에 체결블록이 구비되고,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이들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가 내측프레임을 관통하여 대응결합되기 위한 삽입관부가 돌출형성되고, 체결블록에는 상기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첩의 구조는 바닥면에 매립된 플로어 힌지에 문짝이 힌지결합될 때, 문짝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적용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경첩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표현된 경첩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3에서의 도면은 고정브래킷과 회전브래킷이 각 구성 부재의 형태만이 다를 뿐이므로 대표적인 형태의 브래킷으로 도시하고 부호 20으로 표시할 것임을 밝혀둔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경첩은 내, 외측프레임(21, 22)과 내, 외측프레임(21, 22)의 사이에 구비되는 체결블록(25)과, 상기 내, 외측 프레임(21, 22)과 체결블록(15)을 일체화하기 위해 내측프레임(2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인 볼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프레임(21)에는 볼트(23)가 관통되기 위한 통공(12)이 다수개(도면에서는 2개) 형성된다.
상기 외측프레임(22)은 그 내측면에 내측프레임(21)의 통공(27)과 동일한 선상에 체결홈(25)이 형성된 삽입관부(24)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체결블록(26)에는 외측프레임(21)의 삽입관부(24)가 삽입되는 통공(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부(24)는 체결블록(26)의 두께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되어 체결블록(26)의 양측면이 내, 외측프레임(21, 22)의 각 내면과 모두 접촉된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경첩에서 삽입관부(24)는 볼트(23)와의 체결구간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내측프레임(21)을 관통하여 체결된 하나의 볼트(23)에 의해 내, 외측프레임(21, 22)과 체결블록(26)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23)의 머리는 외측프레임(22) 상에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부에서 경첩을 분해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볼트(23)는 기존의 내, 외측에서 결합되는 볼트(23)의 구비개수에 비해 1/2의 개수로 감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이는 문틀이 배제되어 바닥면에 매립된 힌지축(30)에 문짝(4)이 직접 힌지결합될 경우에 원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의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경첩은 문짝(4)의 하단부 모서리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외측프레임상에서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경첩의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체결부재의 개수가 감소됨으로 인해 작업비용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측과 외측의 프레임 사이에 체결블록이 구비되고, 체결부재의 체결에 의해 이들이 일체화되도록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체결부재가 내측프레임을 관통하여 대응결합되기 위한 삽입관부가 돌출형성되고, 체결블록에는 상기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의 구조는 문짝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설치용 경첩.
KR2019990027837U 1999-12-10 1999-12-10 문짝 설치용 경첩 KR200180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37U KR200180784Y1 (ko) 1999-12-10 1999-12-10 문짝 설치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837U KR200180784Y1 (ko) 1999-12-10 1999-12-10 문짝 설치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84Y1 true KR200180784Y1 (ko) 2000-05-15

Family

ID=1960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837U KR200180784Y1 (ko) 1999-12-10 1999-12-10 문짝 설치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7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948A (en) Kick resistant door assembly
US5570917A (en) Home security interlocking hinges and striker plates
RU2001129495A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для термоакустических окон
CA2561334A1 (en) A joint frame for the frames of doors and windows
CA2324665A1 (en) Access door incorporating a dual pivoted fastening bracket
AU2003224127A1 (en) Assembly comprising a door leaf and hinges, and a shower stall
WO2008117913A1 (en) Door hinge
KR200180784Y1 (ko) 문짝 설치용 경첩
US20070205616A1 (en) Home security hinge and striker plate system
US6173754B1 (en) Window covering system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JPH0317376A (ja) 連窓サッシ
AU2016429038B2 (en) Mounting assembly for door or window and door or window assembly employing same
KR200189707Y1 (ko) 강화유리출입문의 자물쇠 결합구조
KR200367887Y1 (ko) 장식판이 설치된 도어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JP3137602B2 (ja) 連窓サッシ
KR200372609Y1 (ko) 조립식 문틀
KR20100043598A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JPS588860Y2 (ja) アルミサッシ取付用付加サッシ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CN114508287A (zh) 一种门窗及建筑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20010090221A (ko) 도어용 경첩
KR200246016Y1 (ko) 절곡부를 가진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