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598A -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 Google Patents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598A
KR20100043598A KR1020080102689A KR20080102689A KR20100043598A KR 20100043598 A KR20100043598 A KR 20100043598A KR 1020080102689 A KR1020080102689 A KR 1020080102689A KR 20080102689 A KR20080102689 A KR 20080102689A KR 20100043598 A KR20100043598 A KR 20100043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iddle frame
coupling member
window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035B1 (ko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0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2Butt type joints with at least one frame member cut off square; T-shap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창호를 구성하는 미들프레임과, 상기 미들프레임이 조립되는 프레임의 공틀부간을 결속시키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수의 나사공을 갖는 고정용 플랜지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틀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는 철물과 같은 별도의 보조고정수단이나 이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과 커버의 특정부위를 불가피하게 재가공해야 하는 불편도 없어 작업공수가 절감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고정성 측면에서는 더욱 더 긴밀하고 안정적이며, 외관품위도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창호, 미들프레임, 공틀부, 조이너, JOINER, 결합부재

Description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MIDDLE FRAME JOINER OF WINDOWS-DOORS ASSEMBLY}
본 발명은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트와 턴이 가능한 창호에 사용되는 미들프레임 결합용 부재인 조이너(Joiner)의 구조 개선을 통해 보다 견고한 고정성을 확보하면서 외관품위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창호란 창(Window)과 문(Door)의 총칭으로서, 창은 주로 채광, 환기 등의 목적에 사용되며, 문은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창호는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밀성, 단열성, 수밀성, 방음성, 내풍압성 등이 높아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창호는 주거 문화의 변화에 맞춰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고층 아파트를 비롯한 주상복합 건물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시스템 T/T 창호가 개발된 바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시스템 T/T 창호란 창틀(Window Frame) 사이에 멀리 언(Mullion)과 트랜섬(Transom)을 결합하여 창짝(Sash)으로 고정창(Fix Window)과 여닫이창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창호를 말하는데, 이때 여닫이창은 틸트 및 턴(Tilt & Turn)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 T/T 창호에서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통 미들프레임(Middle Frame)(10)과 프레임(20)간의 결합은 도시된 형상의 조이너(Joiner)(30)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프레임(20)중 폭이 넓은 공틀부(22)에는 외관품위상 스크류(=VIS:나사못) 결합부를 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조이너(30)만으로는 고정성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보조고정부재로 'ㅗ' 형상 혹은 '+' 형상의 철물(40)을 추가로 부착하여 미들프레임(10)의 단부와 프레임(20)의 공틀부간 틈새 벌어짐(즉, 들뜸) 현상을 막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철물(40)을 사용하게 되면 제품의 외관품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커버(50)를 더 구비하여야 하고, 커버(50)를 구비한다고 하더라도 철물(40)의 구조상 프레임(20)의 일부분(ⓐ) 및 커버(50)의 일부분(ⓑ)을 불가피하게 따내야 하므로 외관품위의 향상은 기대 이하일 수 밖에 없으며, 또한 상기 ⓐ,ⓑ을 또다시 가공해야 하는 불편도 감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시스템 T/T 창호 등에서 사용되는 미들프레임과 프레임간의 결합시 사용되는 조이너의 구조를 개선하여 철물과 같은 별도의 보조고정수단이나 이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구비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프레임과 커버의 특정부위를 불가피하게 재가공해야 하는 불편도 없이 간편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성을 갖고 외관품위도 향상된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창호를 구성하는 미들프레임과, 상기 미들프레임이 조립되는 프레임의 공틀부간을 결속시키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수의 나사공을 갖는 고정용 플랜지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틀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높이차 두고 더 낮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하단 외측면 양측에는 상기 공틀부의 단부와 접촉되는 유동방지턱이 돌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는 철물과 같은 별도의 보조고정수단이나 이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과 커버의 특정부위를 불가피하게 재가공해야 하는 불편도 없어 작업공수가 절감되며, 작업효율이 향상되고, 고정성 측면에서는 더욱 더 긴밀하고 안정적이며, 외관품위도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예시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하단 외테두리에 일체로 부착된 고정용 플랜지(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나사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플랜지(110)에도 나사 고정을 위한 나사공(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일측면에는 연장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도 4에 도시된 프레임(200)에 접합될 미들프레임(3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특히, 상기 연장부(120)의 단부 하단 양측면에는 상기 몸체(1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130)이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유동방지턱(130)은 상기 프레임(200)의 공틀부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배치될 때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120)는 설치의 편의성은 물론 재료 절감 차원에서 상기 몸체(100)와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120)도 상기 몸체(100)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상기 연장부(120)의 내부 바닥면에는 나사공(122)이 형성될 수도 있고,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결합부재(조이너)가 고강도를 갖는 메탈이나 강화 플라스틱류가 아니기 때문에 스크류 체결시 나사공이 존재할 경우 그 작업의 용이성은 있을 것이나 나사공이 없는 경우라도 스크류 체결작업에 지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120)에서는 스크류 체결시 고정용 플랜지(110)에 체결 되는 스크류와 반대방향으로 스크류가 체결되게 되는데, 이때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셔(14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이너(Joiner)인 결합부재를 미들프레임(300)에 다수의 스크류로 나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나사 고정된 미들프레임(300)을 프레임(200)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는 자연스럽게 상기 프레임(200)의 공틀부까지 연장배치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몸체(100)와 연장부(120)가 상기 프레임(200)의 공틀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응되게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몸체(100)의 주변에 형성된 고정용 플랜지(110)에서는 미들프레임(300)에서 프레임(200) 쪽을 향해 나사 체결하도록 하고, 상기 연장부(120)에서는 프레임(200)의 바닥으로부터 미들프레임(300)을 향해 나사 체결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부(120)에서는 연장부(120)의 바닥을 파고 올라오는 형태로 나사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200)의 바닥면과 스크류 헤드부 사이에는 와셔(140)를 개재시켜 풀림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동시에 상기 연장부(120)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유동방지턱(130)은 프 레임(200)의 공틀부 끝단에 거의 간격없이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연장부(120)를 포함한 몸체(100), 즉 본 발명 결합부재의 유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구조를 갖춤으로써 종래 발생되었던 외관품위 하락을 막고, 미들프레임(300)과 프레임(200)간의 긴밀한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이너의 사용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예시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인 조이너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몸체 110....고정용 플랜지
120....연장부 130....유동방지턱
140....와셔 200....프레임
300....미들프레임

Claims (5)

  1. 창호를 구성하는 미들프레임과, 상기 미들프레임이 조립되는 프레임의 공틀부간을 결속시키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외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수의 나사공을 갖는 고정용 플랜지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틀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프레임을 관통한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와 높이차 두고 더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단 외측면 양측에는 상기 공틀부의 단부와 접촉되는 유동방지턱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스크류와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KR1020080102689A 2008-10-20 2008-10-20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KR10107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689A KR101075035B1 (ko) 2008-10-20 2008-10-20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689A KR101075035B1 (ko) 2008-10-20 2008-10-20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598A true KR20100043598A (ko) 2010-04-29
KR101075035B1 KR101075035B1 (ko) 2011-10-21

Family

ID=42218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689A KR101075035B1 (ko) 2008-10-20 2008-10-20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36B1 (ko) * 2010-07-19 2012-03-22 안건형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CN107060576A (zh) * 2017-05-15 2017-08-18 苏州亨然铝业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中腰的门窗框和中腰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471Y1 (ko) * 1998-01-14 2000-03-02 이평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DK1035294T3 (da) 1999-03-05 2004-09-06 Hans Dieter Grotefeld Tværpostforbindersæt
KR200261570Y1 (ko) * 2001-10-12 2002-01-23 주식회사샤인 창틀프레임 연결구조
KR200426906Y1 (ko) 2006-07-10 2006-09-18 주식회사 신한 지. 앤. 에이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636B1 (ko) * 2010-07-19 2012-03-22 안건형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CN107060576A (zh) * 2017-05-15 2017-08-18 苏州亨然铝业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中腰的门窗框和中腰安装方法
CN107060576B (zh) * 2017-05-15 2023-08-01 苏州亨然铝业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中腰的门窗框和中腰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035B1 (ko) 201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75B2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CA2324665A1 (en) Access door incorporating a dual pivoted fastening bracket
KR101075035B1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KR20110133693A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1917584B1 (ko) 난간
JP2987293B2 (ja) ビルディングの外壁
JP4594723B2 (ja) 複合サッシの枠体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JP3355525B2 (ja) サッシ窓用窓枠の上枠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JPH07116888B2 (ja) 連窓サッシ
KR200394727Y1 (ko) 폐 합성수지 폼을 이용한 방화문
JP3137602B2 (ja) 連窓サッシ
JP6386617B2 (ja) トイレブースのパネル体取り付け構造
JP7225035B2 (ja)
KR200457569Y1 (ko) 시스템 창호의 결합 구조
JP6647928B2 (ja) 建具
JP6113635B2 (ja) 障子の支持構造
JP3340972B2 (ja) 化粧額縁付き窓枠
JP6407050B2 (ja) 断熱サッシ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JP7492429B2 (ja) 建具
GB252019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hower enclosures
JP6675034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