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471Y1 -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471Y1
KR200174471Y1 KR2019980000318U KR19980000318U KR200174471Y1 KR 200174471 Y1 KR200174471 Y1 KR 200174471Y1 KR 2019980000318 U KR2019980000318 U KR 2019980000318U KR 19980000318 U KR19980000318 U KR 19980000318U KR 200174471 Y1 KR200174471 Y1 KR 200174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luminum chassis
transverse member
coupling member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089U (ko
Inventor
이평화
Original Assignee
이평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화 filed Critical 이평화
Priority to KR2019980000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4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0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알루미늄 새시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할 때 프레스 가공 및 수가공을 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결합구조체는, 횡부재의 채널에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와, 이들 삽입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한 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해 주고 횡부재와 삽입후 유동을 방지하여 주는 다수의 가이드 홈과, 상기한 삽입부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제공한다.
상기한 결합구는 일측면에 홈을 보유하며, 이 홈에 횡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은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면 위아래로 횡부재와 종부재가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본 고안은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부재와 종부재로 형성된 알루미늄 새시를 프레스 가공 및 수가공을 하지 않고서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창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구조물을 설치한 후, 이 구조물에 창호 또는 문틀을 설치하고 설치된 문틀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의 슬라이드 도어나 출입문 등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다수의 횡부재와 종부재로 이루어지는데, 각각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작 조립 설치함에 있어서는, 횡부재에 형성된 채널에 종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종부재의 일측단을 프레스작업 또는 수작업으로 절단하고 끼워 맞춰 용접하거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조립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조립시공비가 상승하였고, 종부재를 커팅하여 횡부재에 결합한 후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결합부위가 견고성을 갖지 못하고 일측으로 일그러지는 취약성과,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하여 방음 및 방풍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새시 가공시 프레스나 고속 회전하는 커터 등을 이용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내재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횡부재와 종부재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새시의 구조물을 조립 설치할 때, 상기한 횡부재와 종부재를 직교 방향으로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가 정확하게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방음 및 방풍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프레스 가공 및 수가공을 행하지 않고서도 새시를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가공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없으며, 자재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조립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횡부재의 채널에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부와, 이들 삽입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한 삽입부의 삽입을 안내해 주며 횡부재와 삽입 후 유동을 방지하여 주는 다수의 가이드 홈과, 상기한 삽입부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갖는 결합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결합구조체는 일측면에 홈을 보유하며 이 홈에 횡부재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은 플랜지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면 위아래로 횡부재와 종부재가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횡부재가 하중을 받게 되어도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를 설치하기 위한 상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를 이용하여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 구를 조립시공하기 위한 상태의 분해사시도로서, 횡부재(2)와 종부재(4)는 결합부재(6)에 의해 서로 조립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횡부재(2)와 종부재(4)는 어떠한 창틀이나 창에 사용될 수 있는 알루미늄 새시이다.
상기한 결합부재(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형상에 다수의 삽입부(8,10,12)가 형성되며, 이 삽입부(8,10,12)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가이드 홈(14,16)이 마련되고, 또 이들 삽입부(8,10,12)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6)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8)와, 이 연장부(18)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2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8)와 플랜지(20)는 횡부재(2) 또는 종부재(4)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한 결합부재(6)에 형성된 삽입부(8,10,12)는 횡부재(2)의 저면에 형성된 제1,2채널(22,24)과 측면공간(26)으로 긴밀하게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6)에 형성된 가이드 홈(14,16)은, 횡부재(2)에 형성된 스페이서(28,30)가 긴밀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한 결합부재(6)에 형성된 삽입부(8,10,12)와 가이드 홈(14,16)의 길이와 폭은 횡부재(2)에 형성된 제1,2채널(22,24)과 측면공간(26)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한 결합부재(6)의 일측면에는 홈(32)이 마련되는데, 이 홈(32)에 횡부재(2)의 측면판(34) 끝단 부에 형성된 돌기(36)가 걸리게 되어 상기한 결합부재(6)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6)에 형성된 플랜지(20)는, 횡부재(2)의 상부채널(38)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측면판(40) 끝단 부의 돌기(42)와 면접촉을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결합부재(6)에 형성된 홈(32)과 플랜지(20)가 횡부재(2)에 형성된 돌기(36,42)와 결합되거나 면접촉을 하게 되므로, 상기한 횡부재(2)가 하중을 받게 되어도 외형이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부재(6)는 삽입부(8,12)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뚫려진 나사구멍(44)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횡부재(2)와 결합부재(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구멍(44)에 나사(46)를 체결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횡부재(2)와 결합부재(6)를 나사결합 하기 위하여 상기한 결합부재(6)의 아래쪽으로 공간부(48)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한 횡부재(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종부재(4)는, 상기한 결합부재(6)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50)를 갖고 있으며, 이 결합부재(6)는 종부재(4)의 공간부(50)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연장부(51)를 갖는다.
상기한 종부재(4)는 끝단면(52,54,56)이 횡부재(2)에 형성된 돌기(36)와 스페이서(28,30)면과 일치되는 폭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종부재(4)의 외측 끝단면(58)은 결합부재(6)에 형성된 플랜지(20)와 면접촉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부재들의 결합은, 먼저 횡부재(2)에 형성된 제1,2채널(22,24)과 측면공간(26)으로 결합부재(6)의 삽입부(8,10,12)를 삽입하면, 이들 삽입부(8,10,12)의 끝단이 상기한 횡부재(2)의 베이스(60)면에 밀착된다.
이때, 결합부재(6)애 형성된 가이드 홈(14,16)의 내측 끝단과 횡부재(2)에 형성된 스페이서(28,30)가 긴밀하게 면접촉을 하게된다.
이러한 결합으로 횡부재(2)와 결합부재(6)는 틈이 발생하지 않아 방음 및 방풍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6)에 마련된 홈(32)에 횡부재(2)의 돌기(32)가 끼워 맞춰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결합부재(6)의 일측단에 형성된 플랜지(20)는 횡부재(2)의 측면판(40)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42)와 면접촉을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조립 설치된 부재들의 유동방지와 견고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렇게 조립된 횡부재(2)와 결합부재(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6)에 마련된 나사구멍(44)에 나사(46)를 삽입하여 횡부재(2)의 베이스(60)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나사(46)를 이용하여 횡부재(2)와 결합부재(6)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한 결합부재(6)의 하단부에 종부재(4)의 공간부(50)를 삽입하여 조립을 행한다.
이러한 결합부재(6)에 결합된 횡부재(2)와 종부재(4)의 결합방식은, 종래의 알루미늄 새시를 프레스 작업과 수작업을 시행한 후 결합하는 것과 비교하여 볼 때 한층 작업이 편리하고 견고하게 조립시공 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횡부재(2)의 돌기(36)와 스페이서(28,30)가 종부재(4)의 끝단면(52,54,56)과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부재(6)의 플랜지(20)면 상하로 상기한 횡부재(2)의 돌기(42)와 종부재(4)의 외측 끝단면(58)이 면접촉을 하여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전혀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횡부재(2)가 결합부재(6)의 위쪽으로 위치하여 연결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부재(4)의 아래쪽으로 횡부재를 설치할 때도 결합부재(6)를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켜 조립 설치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는, 종부재와 횡부재를 프레스작업 이나 수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어 조립 시공비를 줄일 수 있고, 횡부재와 종부재가 정확히 밀착되므로 견고성을 높일 수 있으며,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방음 및 방풍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 및 수가공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으로부터 시공자의 안전성을 보호받을 수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채널 및 스페이서를 갖는 횡부재와, 상기한 채널 및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삽입부 및 가이드 홈을 갖는 결합부재와, 상기한 횡부재와 직교방향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한 결합부재의 연장부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는 종부재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일측면에 횡부재의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일측면에 횡부재의 돌기와 종부재의 끝단면이 면접촉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더욱 포함하는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KR2019980000318U 1998-01-14 1998-01-14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KR200174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318U KR200174471Y1 (ko) 1998-01-14 1998-01-14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318U KR200174471Y1 (ko) 1998-01-14 1998-01-14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89U KR19990034089U (ko) 1999-08-16
KR200174471Y1 true KR200174471Y1 (ko) 2000-03-02

Family

ID=1953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318U KR200174471Y1 (ko) 1998-01-14 1998-01-14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5B1 (ko) * 2008-10-20 2011-10-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CN107575126A (zh) * 2016-07-04 2018-01-12 浙江横店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仿古门窗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916A (ko) * 2002-04-15 2003-10-22 주식회사 대성건업 창틀의 연결구
KR102561160B1 (ko) 2022-05-17 2023-07-28 곽민석 고정밀 기능성 새시 및 새시의 정밀 가공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035B1 (ko) * 2008-10-20 2011-10-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부재
CN107575126A (zh) * 2016-07-04 2018-01-12 浙江横店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铝合金仿古门窗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89U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4471Y1 (ko)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KR101903532B1 (ko) 모듈 창호 시스템
KR200160180Y1 (ko) 이중창용 코너 브라켓트
KR200147399Y1 (ko) 문틀의 결합장치
JP2006219831A (ja) 窓サッシ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JP3409257B2 (ja) 門扉、フェンス等の面体の格子組み構造
KR200162141Y1 (ko) 창틀 골재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0183394Y1 (ko)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JP3026730B2 (ja) 家屋の外壁の構造
KR102558729B1 (ko) 방음판용 프레임
KR94000657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JP4615991B2 (ja) 建物用ドア
JP2584651Y2 (ja) 建物開口部における方立と横枠との接続装置
JP3658532B2 (ja) 出窓
JPH0882176A (ja) 框体における縦框と横框との連結装置
JP2007239277A (ja) 片引き戸の枠構造
JP2707072B2 (ja) 合成樹脂製窓枠
KR200242614Y1 (ko) 창호용 차폐구조
JP3292858B2 (ja) 建具装置
KR200281175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JP4704597B2 (ja) 透かしパネル
JP2917801B2 (ja) 枠体と被支持部材との取り付け構造
KR19990035582U (ko) 슬라이드 도어
JP3409258B2 (ja) 門扉、フェンス等の面体の格子組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