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45Y1 - 책상 프레임 - Google Patents
책상 프레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945Y1 KR200492945Y1 KR2020200001026U KR20200001026U KR200492945Y1 KR 200492945 Y1 KR200492945 Y1 KR 200492945Y1 KR 2020200001026 U KR2020200001026 U KR 2020200001026U KR 20200001026 U KR20200001026 U KR 20200001026U KR 200492945 Y1 KR200492945 Y1 KR 2004929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frame
- connection
- frame part
- fastening
- pre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47B2013/022—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with detachable connection of a tubular le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레임은, 대향된 수평 프레임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양단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부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이웃한 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연결부를 삽입하기 전에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1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부를 삽입한 다음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2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하여 제1, 2 가압 변형돌기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고, 수평 프레임부의 전후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아 체결부로 체결하여도 수평 프레임부의 양측면이 벌어지지 않으며, 연결부의 고정 위치가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연결부를 삽입하기 전에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1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부를 삽입한 다음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2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하여 제1, 2 가압 변형돌기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고, 수평 프레임부의 전후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아 체결부로 체결하여도 수평 프레임부의 양측면이 벌어지지 않으며, 연결부의 고정 위치가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책상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간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책상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조립식 책상 또는 가구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는 책상 등을 판매자가 조립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였지만, 최근에는 인터넷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배송 시, 운반 및 설치 공간의 제약 등의 이유로 프레임 또는 다리와 상판이 각각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조립 및 분리 가능한 조립식 책상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이 가능한 가구에 적용되는 프레임과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59774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받침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의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 프레임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 내에 연결부가 견고하게 결합 가능한 책상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프레임은, 대향된 수평 프레임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양단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부, 및 상기 수평 프레임부와 상기 연결 프레임부의 이웃한 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에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체결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몸체의 양단에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내벽면과 대응되도록 측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상하면을 상기 몸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가압하여 상기 몸체가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변형돌기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를 삽입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 변형돌기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를 삽입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프레임은 대향된 수평 프레임부(11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양단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부(12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와 상기 연결 프레임부(120)의 이웃한 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1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134)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를 고정시키는 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높이를 달리하여 두 개가 체결되고, 이와 같이 체결된 각각의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일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이웃하는 타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상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두 개의 체결부(1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며, 이와 같이 체결된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타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11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연결부(114)의 몸체(114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가압하여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의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는 중앙에 체결공(1146)이 형성된 몸체(1142); 및 상기 몸체(1142)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114)가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서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돌기(114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돌기(1144)는 상기 몸체(1142)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의 전면에는 상기 제1가압 변형돌기(11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압부(115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1150)는 체결공(1146)과 동심을 갖는 위치에 체결부(1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압 경사면(1152); 및 양단에 가압 경사면(1152)의 벌어짐 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1154);를 구비하여, 체결부(134)의 체결 과정에서 체결부(134)의 단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함으로써, 체결부(134)의 체결 동작에 의하여 연결부(114)를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가압 변형돌기(1122)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 변형돌기(112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한 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프레임은 대향된 수평 프레임부(11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양단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부(12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와 상기 연결 프레임부(120)의 이웃한 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1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134)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를 고정시키는 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높이를 달리하여 두 개가 체결되고, 이와 같이 체결된 각각의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일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이웃하는 타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상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두 개의 체결부(1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며, 이와 같이 체결된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타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11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연결부(114)의 몸체(114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가압하여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의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는 중앙에 체결공(1146)이 형성된 몸체(1142); 및 상기 몸체(1142)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114)가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서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돌기(114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돌기(1144)는 상기 몸체(1142)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의 전면에는 상기 제1가압 변형돌기(11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압부(115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1150)는 체결공(1146)과 동심을 갖는 위치에 체결부(1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압 경사면(1152); 및 양단에 가압 경사면(1152)의 벌어짐 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1154);를 구비하여, 체결부(134)의 체결 과정에서 체결부(134)의 단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함으로써, 체결부(134)의 체결 동작에 의하여 연결부(114)를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가압 변형돌기(1122)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 변형돌기(112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한 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상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연결부를 삽입하기 전에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1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한 상태에서 연결부를 삽입한 다음 수평 프레임부의 대향된 상하면에 제2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하여 제1, 2 가압 변형돌기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고, 수평 프레임부의 전후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아 체결부로 체결하여도 수평 프레임부의 양측면이 벌어지지 않으며, 연결부의 고정 위치가 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에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연결부에 가압부를 구비하여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 양측벽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에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연결부에 가압부를 구비하여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 양측벽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수평 프레임부에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에서 연결부에 가압부를 구비하여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평 프레임부의 내부 양측벽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100)은 수평 프레임부(110), 연결부(114), 연결 프레임부(120) 및 수직 프레임부(130)를 포함하며, 수평 프레임부(110), 연결 프레임부(120) 및 수직 프레임부(130)는 사각 파이프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수평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양단에 한 쌍의 연결 프레임부(120)가 위치되어 책상 상판(도면에 미도시)이 올려지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수평 프레임부(110)가 책상 프레임(100)의 전후에 위치되고, 연결 프레임부(120)가 책상 프레임(100)의 좌우에 위치된다.
수직 프레임부(1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수평 프레임부(110)와 연결 프레임부(120)의 이웃한 단부마다 각각 직립 설치되면서 책상 프레임의 4개의 다리 부분이 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부(130)는 양측 연결 프레임부(120)과 평행한 대향면 하측에 하부 연결 프레임(140)이 각각 연결되고, 하부 연결 프레임(140)과 하부 연결 프레임(140)의 대향면 중앙에 지지 프레임(142)이 연결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부(130)는 수평 프레임부(110) 방향인 대응면에 2개의 관통공(132)이 형성되고, 연결 프레임부(120) 방향인 대응면에 수평 프레임부(110) 방향인 대응면에 형성된 2개의 관통공(132) 사이에 위치하도록 1개의 관통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부(130)의 상단에 마감되는 캡(C)은 체결부(134)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이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연결부(114)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직 프레임부(130)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134)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수평 프레임부(110)에 수직 프레임부(130)를 고정시킨다.
이때, 연결부(114)는 횡단면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체결공(1146)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몸체(1142)의 양단에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내벽면과 대응되도록 측면돌기(1144)가 형성된다.
측면돌기(1144)는 연결부(114)를 수평 프레임부(110)의 개구(112)에 삽입할 때 수평 프레임부(110)의 개구(112)에 형성된 대향된 내벽면과 평행하므로 연결부(114)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되면서, 연결부(114)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체결공(1146)은 몸체(1142)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반대면이 돌출되므로 몸체(1142)의 두께대비 좀 더 길게 나사산을 형성 가능하다.
더욱이, 연결부(114)는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몸체(114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가압하여 몸체(1142)의 상, 하단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부(114)는 몸체(1142)의 상, 하단이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프레스 등에 설치된 펀치(10)에 의해 가압하여 변형되면서 형성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연결부(114)는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상하면에 제1 가압 변형돌기(1122)를 형성한 상태에서 삽입하여 몸체(1142)의 배면 상하단이 제1 가압 변형돌기(1122)에 지지되게 한 다음,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상하면에 제2 가압 변형돌기(1124)를 형성하여 몸체(1142)의 전면 상하단이 제2 가압 변형돌기(1124)에 지지되게 하므로 이 과정에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부(114)는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 내부뿐만 아니라 연결 프레임부(120)의 양단 내부에도 구비되되, 수평 프레임부(110)와 동일하게 연결 프레임부(120)의 상하면에 제1, 2 가압 변형돌기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114)의 전면에 설치하여 체결부(134)의 체결 과정에서 체결부(134)의 단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150)를 부가 설치 가능하다. 이때, 가압부(1150)는 제1 가압 변형돌기(112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를 위해, 가압부(1150)는 연결부(114)의 체결공(114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체결공(1146)과 동심을 갖는 위치에 체결부(1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압 경사면(1152)이 형성되고, 양단에 가압 경사면(1152)의 벌어짐 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11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부(134)가 체결공(1146)에 체결되고 체결공(1146)을 통과한 체결부(134)의 단부가 가압 경사면(1152)을 벌리는 과정에서 양측의 가압돌기(1154)를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 방향으로 변형시켜 가압돌기(1154)가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에 가압 상태로 밀착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책상 프레임(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에 연결부(114)를 고정시키기 위해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프레스 등에 설치된 펀치(10)에 의해 가압하여 제1 가압 변형돌기(1122)가 변형에 의해 형성되게 한다[도 6(a), 도 6(b) 참조].
다음으로, 수평 프레임부(110)의 개구(112)에 연결부(114) 몸체(1142)의 배면 상하단이 제1 가압 변형돌기(112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도 6(c), 도 6(d) 참조].
이때, 연결부(114)는 몸체(1142)의 양단에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내벽면과 대응되도록 측면돌기(1144)가 형성되므로 수평 프레임부(110)의 개구(112)에 삽입할 때 틀어지지 않으면서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프레스 등에 설치된 펀치(10)에 의해 가압하여 제2 가압 변형돌기(1124)가 변형에 의해 형성되게 한다[도 6(e) 참조].
여기서, 제2 가압 변형돌기(1124)가 연결부(114) 몸체(1142)의 두께만큼 앞쪽에 형성되게 하여 몸체(1142)의 상, 하단이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연결 프레임부(120) 역시 그 내부 양단에 연결부(114)를 수평 프레임부(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시킨다.
그 후에,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에 연결 프레임부(120)를 사각틀 형태로 조합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부(110)와 연결 프레임부(120)의 이웃한 단부마다 각각 수직 프레임부(130)를 직립시킨 후 수직 프레임부(130)의 외측에서 관통공(132)을 통해 관통하는 체결부(134)를 체결하여 체결부(134)의 단부가 연결부(114)의 체결공(1146)에 각각 체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에 의해 연결부(114)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체결부(134)의 체결시 수평 프레임부(110)와 수직 프레임부(130)를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책상 프레임 110: 수평 프레임부
1122, 1124: 제1, 2 가압 변형돌기 114: 연결부
1142: 몸체 1144: 측면돌기
1146: 체결공 120: 연결 프레임부
130: 수직 프레임부
1122, 1124: 제1, 2 가압 변형돌기 114: 연결부
1142: 몸체 1144: 측면돌기
1146: 체결공 120: 연결 프레임부
130: 수직 프레임부
Claims (4)
- 대향된 수평 프레임부(11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대향된 양단에 위치되는 연결 프레임부(120);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와 상기 연결 프레임부(120)의 이웃한 단부에 연결되는 수직 프레임부(130); 및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양단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의 외측에서 관통하는 체결부(134)에 의해 나선 체결되면서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상기 수직 프레임부(130)를 고정시키는 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높이를 달리하여 두 개가 체결되고, 이와 같이 체결된 각각의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일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이웃하는 타면에 체결되는 체결부(134)는 상기 수직프레임부(130)의 외측 일면에 체결되는 두 개의 체결부(134) 사이에 위치하도록 체결되며, 이와 같이 체결된 체결부(134)의 헤드부는 수직프레임부(130)의 상기 외측 타면을 가압하면서 노출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11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상하면을 연결부(114)의 몸체(1142)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가압하여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제1, 2 가압 변형돌기(1122, 1124)의 사이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는 중앙에 체결공(1146)이 형성된 몸체(1142); 및 상기 몸체(1142)의 양단에서 각각 직각으로 연장 절곡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부(114)가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서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측면돌기(1144);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돌기(1144)는 상기 몸체(1142)의 양끝단으로부터 상기 수직프레임부(13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직각으로 절곡형성된 것이며,
상기 연결부(114)의 전면에는 상기 제1가압 변형돌기(112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압부(1150)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1150)는 체결공(1146)과 동심을 갖는 위치에 체결부(13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가압 경사면(1152); 및 양단에 가압 경사면(1152)의 벌어짐 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하도록 가압돌기(1154);를 구비하여, 체결부(134)의 체결 과정에서 체결부(134)의 단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 대향면을 가압함으로써, 체결부(134)의 체결 동작에 의하여 연결부(114)를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벽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제1 가압 변형돌기(1122)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하기 전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압 변형돌기(1124)는 상기 수평 프레임부(110)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114)를 삽입한 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프레임.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026U KR200492945Y1 (ko) | 2020-03-25 | 2020-03-25 | 책상 프레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026U KR200492945Y1 (ko) | 2020-03-25 | 2020-03-25 | 책상 프레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945Y1 true KR200492945Y1 (ko) | 2021-01-07 |
Family
ID=7413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026U KR200492945Y1 (ko) | 2020-03-25 | 2020-03-25 | 책상 프레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945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991B1 (ko) * | 2022-06-07 | 2023-05-30 | (주)돌핀 | 내부가 빈 각형 프레임 사이의 나사 체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텀블러용 세척기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 |
KR102679501B1 (ko) * | 2024-04-04 | 2024-07-01 |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 비틀림 및 뒤틀림 방지기능을 갖춘 가구의 메인 프레임 결합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0684B1 (ko) * | 2012-09-17 | 2014-05-29 | (주)토템 |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
KR101597744B1 (ko) | 2015-11-17 | 2016-03-07 | (주)캠퍼스라인 | 책상용 지지 프레임 |
KR20160002648U (ko) * | 2015-01-21 | 2016-07-29 | 박철종 | 조립식 보조 테이블 |
KR20190000913U (ko) * | 2017-10-11 | 2019-04-19 | 이정복 | 조립식 책상프레임 |
-
2020
- 2020-03-25 KR KR2020200001026U patent/KR200492945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0684B1 (ko) * | 2012-09-17 | 2014-05-29 | (주)토템 | 가구용 금속프레임 조립구조 |
KR20160002648U (ko) * | 2015-01-21 | 2016-07-29 | 박철종 | 조립식 보조 테이블 |
KR101597744B1 (ko) | 2015-11-17 | 2016-03-07 | (주)캠퍼스라인 | 책상용 지지 프레임 |
KR20190000913U (ko) * | 2017-10-11 | 2019-04-19 | 이정복 | 조립식 책상프레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991B1 (ko) * | 2022-06-07 | 2023-05-30 | (주)돌핀 | 내부가 빈 각형 프레임 사이의 나사 체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텀블러용 세척기를 위한 프레임 구조물 |
KR102679501B1 (ko) * | 2024-04-04 | 2024-07-01 |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 비틀림 및 뒤틀림 방지기능을 갖춘 가구의 메인 프레임 결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2945Y1 (ko) | 책상 프레임 | |
KR970054919A (ko) | 암형 전기 단자 | |
AU2023202206B2 (en) | Prefabricated shelf | |
CA2000415C (en) | Support unit for home appliances | |
US20050040300A1 (en) | Contractible table leg structure | |
KR200494494Y1 (ko) |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 |
KR102703831B1 (ko) | 조립식 프레임 | |
KR200219509Y1 (ko) |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 연결부재 | |
CN110985873A (zh) | 立柱型材 | |
KR20100004908U (ko) | 발코니형 받침대 | |
CN217771931U (zh) | 一种保证圆管同心不歪斜机构 | |
KR102683707B1 (ko) |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 |
CN204902430U (zh) | 一种冰箱顶部照明结构 | |
KR102659430B1 (ko) | 철재 선반 | |
KR102493204B1 (ko) |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 |
KR200193533Y1 (ko) | 스틸박스 | |
JP2607459Y2 (ja) | パイプクリップ | |
KR200225182Y1 (ko) | 압착 접합식 파이프 제조장치용 내부받침구 | |
JPS5930803Y2 (ja) | オ−ブン | |
KR101782027B1 (ko) |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 |
TW202302967A (zh) | 角鋼連接件 | |
KR200318042Y1 (ko) | 문살용 파이프 | |
KR20010025828A (ko) | 스틸 도어 조립방법 | |
JPH0432487Y2 (ko) | ||
KR200181073Y1 (ko) | 파마용 가열기의 조립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