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04B1 -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04B1
KR102493204B1 KR1020210176531A KR20210176531A KR102493204B1 KR 102493204 B1 KR102493204 B1 KR 102493204B1 KR 1020210176531 A KR1020210176531 A KR 1020210176531A KR 20210176531 A KR20210176531 A KR 20210176531A KR 102493204 B1 KR102493204 B1 KR 102493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ipe
loosening
join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면 정
Original Assignee
해면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면 정 filed Critical 해면 정
Priority to KR102021017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는, 파이프 간 결합이 간단하고 결합상태가 풀리지 않아 결합력이 지속됨으로써 프레임의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는,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상호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조인트는, 중심부는 복수의 파이프 결합부위 외측 직교면을 형성하고,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며, 중심부 모서리에는 나선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구; 제1체결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체결구의 내측면에 맞춰지며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는 제2체결구; 및 나선공에 나선 삽입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고, 제2체결구는, 중심부 모서리 외측에 체결나사의 선단면에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A Prefabricated Fram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 수납함 제조를 위해 패널과 패널을 벽체 형태로 구성하는 데 있어 패널을 거치하고 고정하는 프레임 형성을 위해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직교 연결하고 파이프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파이프 길이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 파이프 간 결합이 간단하고 결합상태가 풀리지 않아 결합력이 지속됨으로써 프레임의 견고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널과 패널을 직교 결합시켜 가구, 수납함 등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장치를 제조하는 데 있어, 다수의 파이프를 결합하여 전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한 뒤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패널을 장착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조립식 방법이 다수의 제작방법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파이프 간 결합부위에 장착되어 파이프와 파이프가 직교 결합하도록 연결하고, 연결된 상태에서 파이프와 결합장치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면서 전체적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수납함의 형태로 틀을 갖추게 되면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는 벽체 형상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 패널을 장착시키면 패널을 벽체로 하고 파이프를 뼈대로 하는 수납함, 가구 등이 조립식으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발명에서는 결합장치의 구조 및 결합원리가 범용적 특징을 갖지 못하여 파이프의 길이와 단면의 형태를 결합장치에 맞춰 정확히 재단하고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프레임 제작 공장에서 사전에 파이프를 절단하고 절단면에 맞는 결합장치를 제작한 뒤 시공현장에 보내어 설치가 이뤄지게 하는데 현장에서 설계의 변경이나 사전에 잘못된 정보의 교류 등의 문제가 빈번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서, 기 제작되어 공급된 파이프와 결합장치가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지 못하고 공장에서 재가공, 재시공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공사기간의 연장, 시공의 어려움, 각종 비용 등 경제적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이에 파이프 단면 형태 및 단면적만 일정하면 어느 경우에나 결합장치를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끼워서 간단하게 나사를 조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때 적용되는 원리는 직교 형태로 겹쳐지는 두 개의 커플러가 결합장치로 조합된 상태에서 결합장치의 각 방향 선단을 파이프에 끼워 결합하고 난 후 두 개의 커플러 사이가 이격되도록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벌어지게 하고 이 상태를 고정시키면 두 개의 커플러의 벌어진 선단이 파이프 내측 면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효과를 이루면서 단단히 맞춰지며 끼워져 결합장치와 다수의 파이프가 고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커플러 간 고정 나사는 헐거워지게 되고 이에 의해 커플러와 커플러 사이를 밀어내는 이격 상태가 느슨해지면서 그 간격이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수의 파이프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프레임이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
이의 방지를 위해 결합장치의 커플러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즉 커플러와 파이프가 타이트하게 결합된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플러의 형태를 복잡하게 구현하거나 밴드와 같이 복수의 커플러를 연결하는 추가 부재가 구성되는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결합장치의 제작이 어려워지게 되고 밴드의 장력이 저하되면 새로운 밴드로 교체해야 단단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미 설치되어 사용 중인 프레임에서 파이프 결합을 해체하고 밴드를 교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서 파이프 결합이 수월하고 한 번 결합되면 인위적으로 해체하지 않는 한 결합상태가 임의로 느슨해져 프레임의 견고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프레임의 개선된 결합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642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가구, 수납함 제조를 위해 패널과 패널을 벽체 형태로 구성하는 데 있어 패널을 거치하고 고정하는 프레임 형성을 위해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직교 연결하고 파이프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파이프 길이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으면서 파이프 간 결합이 간단하고 결합상태가 풀리지 않아 결합력이 지속됨으로써 프레임의 견고한 조립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는,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상호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조인트는, 중심부는 복수의 파이프 결합부위 외측 직교면을 형성하고,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며, 중심부 모서리에는 나선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구; 제1체결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체결구의 내측면에 맞춰지며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는 제2체결구; 및 나선공에 나선 삽입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고, 제2체결구는, 중심부 모서리 외측에 체결나사의 선단면에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는, 내측 각 면마다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돌출되어 각 면을 삼분하는 복수의 가이드; 및 내측 각 모서리에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가 모서리를 따라 통로를 형성하는 4개의 삽입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는, 3방향으로 직교되며 3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되, 제1다리부는 2개의 제1패널이 ㄴ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각 제1패널의 선단과 모서리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삽입바가 복수 형성되고, 제2다리부는 3개의 제2패널이 ㅅ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내측 모서리에 대향 설치된 제2패널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 단면의 제2삽입바가 형성되며, 각 삽입구의 내경은 제1삽입바 및 제2삽입바의 외경에 대응되어 밀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사이에 부착되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되, 풀림방지부재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의 상호 결합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풀림방지판이 직교 결합되고 중심부는 나선공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체결구는, 제1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풀림방지판에 대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파이프의 단면 형태와 크기가 동일하기만 하면 복수의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장치의 구조와 방법은 동일하여 조립 방식으로 전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며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조립식 가구 제조가 수월해진다.
둘째, 공장에서 파이프를 최대한 길게 생산한 뒤 시공현장에 제공하면 현장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형상에 맞춰 파이프를 절단한 뒤 결합장치에 끼워 연결하고 나사를 조이기만 하면 완성되므로 공장에서의 제조와 현장에서의 적용성 등 작업공정이 원활하고 비용 경제적이며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셋째,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개수에 따라 2방향, 3방향, 4방향, 5방향 등 다양한 타입의 결합장치가 동일한 원리 및 구조로 제작되어 공급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프레임 형태에 따른 확장성이 좋고 일관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조인트를 구성하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사이에 풀림방지부재를 덧대어 함께 조여주는 것으로 복수의 체결구가 이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인트와 파이프 간 풀림이 방지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1실시예에 따른 3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1실시예에 따른 3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2실시예에 따른 4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2실시예에 따른 4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부재와 3방향 조인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부재와 4방향 조인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방향 조인트를 내측 및 외측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방향 조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5방향 조인트를 내측 및 외측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5방향 조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인트 중 일부 방향에 파이프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도시한 사진도면이다.
도 1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 및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나사선단부와 제2고정입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1실시예에 따른 3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1실시예에 따른 3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2실시예에 따른 4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중 제2실시예에 따른 4방향 조인트 및 파이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부재와 3방향 조인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부재와 4방향 조인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방향 조인트를 내측 및 외측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2방향 조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5방향 조인트를 내측 및 외측에서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5방향 조인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조인트 중 일부 방향에 파이프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도시한 사진도면이고, 도 12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 및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나사선단부와 제2고정입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파이프(100)를 연결하고, 연결 상태를 고정하여 단단히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수납장 등을 만드는 전체 뼈대, 즉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로 다수의 파이프(100)가 직교 연결되면서 전체적인 프레임이 갖춰지면 복수의 파이프(100)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평면 공간에 패널을 장착함으로써 장롱, 수납장 등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다수의 파이프(100)와 조인트(200)를 포함한다.
파이프(100)는 사각형 단면을 지니는데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지니면서 총 4개의 면이 직교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관 형태의 파이프(100)일 수 있다.
파이프(100)는 사각형 단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로부터 내측 각 면마다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110)가 파이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각 면마다 2개의 가이드(110)가 파이프(100)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높이를 유지하며 돌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파이프(100)는 내측 각 면마다 2개의 가이드(110)씩, 4개면 총 8개의 가이드(110)가 형성되는데, 각 가이드(110)는 서로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일정 수준만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일면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110)는 일면을 삼분하게 되는데, 일 실시예로서 2개의 가이드(110)가 일면을 삼등분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이프(100) 내측 각 면은 어느 면이나 가이드(110)에 의해 구분되는 동일한 너비의 안내통로가 각 3개씩 형성되고, 파이프(100)의 모서리 내측을 기준으로 인접한 면 각각에 가장 인접하게 구성되는 2개의 가이드(110)는 서로 선단이 저촉되지 않으면서 2개의 가이드(110)와 2개의 면으로 둘러싸이는 통로로써 삽입구(120)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구(120)는 후술하게 될 제1삽입바(211b) 또는 제2삽입바(221b)가 끼워지면서 파이프(100)와 조인트(200)가 결속되는 공간으로써 기능을 하게 되는데, 파이프(100)는 4개면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므로 삽입구(120) 또한 모서리를 낀 상태에서 4개가 형성된다.
조인트(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100)를 상호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기능을 하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3방향 조인트(200)가 기본 실시예이며, 제2실시예는 4방향 조인트(200), 제3실시예는 5방향 조인트(200), 제4실시예는 2방향 조인트(20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이자 제1실시예로써 3방향 조인트(200)는, 하나의 조인트(200)가 직교하는 3차원 방향으로 뻗도록 연장되면서 각 연장부에 파이프(100)가 결속되면 최대 3개의 파이프(100)가 직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장치이며, 제2실시예로써 4방향 조인트(200)는 최대 4개의 파이프(100)가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이다.
조인트(200)는 중심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체결구가 서로 겹쳐지면서 형성되는 하나의 결합장치로써, 외측에 배치되는 제1체결구(210)와 내측에 배치되는 제2체결구(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3방향 조인트(2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체결구(210)는 제1다리부(211) 및 나선공(212)을 포함한다.
제1다리부(211)는 파이프(100) 간 결합부위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복수의 다리로 형성되고, 제1다리부(211)가 각 파이프(100)에 내삽되면 중심부가 파이프(100) 사이에 남아 노출되면서 파이프(100) 간 결합부위의 육면체 외측을 형성한다.
나선공(212)은 제1다리부(211)의 각 다리부가 모이는 중심부 모서리를 관통하는 통공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나선공(212)의 내주면을 타고 체결나사(230)가 나선 결합되어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나선공(212)의 외측면 즉 제1다리부(211)의 모서리 외측은 체결나사(230)의 나선 회전 조절을 위해 절삭된 형태로써 절삭면(21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공(212)과 체결나사(230)는 절삭면(213)의 정 중앙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1다리부(211)는 제1패널(211a) 및 제1삽입바(211b)로 구성된다.
제1패널(211a)은 조인트(200) 중심부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널빤지 형 패널로써 2개의 제2패널(221a)이 상호 ㄴ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제1삽입바(211b)는 육면체 기둥 형상으로써 총 3개가 구비되는데 제1패널(211a)의 각 선단에 각 1개씩 구성되고 제1패널(211a)의 절곡된 모서리에 1개가 구성되는데, 제1패널(211a)과 제1삽입바(211b)는 서로 모서리가 붙는 형태로 결합되고 제1삽입바(211b)는 제1패널(211a)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제1삽입바(211b)는 제1패널(211a)의 중심부 및 선단 모서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부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제1삽입바(211b)는 파이프(100) 삽입구(120)에 대응되는 외경과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1삽입바(211b)의 외경이 삽입구(120) 내측에 밀착되되 삽입과 분리가 수월하도록 미세한 차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구(220)는 제1체결구(210)에 대응되는 3방향 형상으로 제1체결구(210)의 내측면에 맞춰지며 상호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2체결구(220)는 제2다리부(221) 및 제2고정면(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다리부(221)는 제1다리부(2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가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상호 직교하며 형성되는데 제1다리부(211)의 내측면에 제2다리부(221)가 얹히는 형상으로 결합이 되고나면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의 각 다리의 너비 및 길이가 일치되면서 합체된 상태에서의 조인트(200)는 서로 직교하는 3방향으로 갈래 형성된 단일체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제2다리부(221)는 제2패널(221a)과 제2삽입바(2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패널(221a)과 제2삽입바(221b)는 그 형상이 상술한 제1패널(211a)과 제1삽입바(211b)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다리부(221)는 3개의 제2패널(221a)이 ㅅ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면서 형성되는데, 3개의 제2패널(221a) 중 2개의 패널은 제1패널(211a)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2개의 패널 중심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ㅅ자를 형성하는 3번째 제2패널(221a)의 선단에는 사각형 단면의 제2삽입바(221b)가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이때 제2삽입바(221b)는 모서리가 제2패널(221a)의 선단 평면에 얹힌 상태로 구비된다.
제2삽입바(221b)는 파이프(100)의 4개 삽입구(120) 중 제1삽입바(211b)가 삽입되지 않는 내측 삽입구(120)에 대향 삽입될 수 있으며, 제2삽입바(221b)의 단면 및 외경은 제1삽입바(211b)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면(222)은 제2체결구(220)의 중심부 모서리 외측, 즉 3방향으로 나누어진 제2다리부(221)의 중심부 외측에서 절삭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제2고정면(222)은 제1체결구(210)를 관통하는 체결나사(230)의 선단면에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면서 체결나사(230)가 제1체결구(210)를 통과하여 제1체결구(210) 방향으로 나선이동하며 나오게 되면 제2고정면(222)과 수직하게 만나게 되면서 체결나사(230)가 제2체결구(220)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체결나사(230)는 나선공(212)에 대응되는 길이와 직경으로서 나선공(212) 내에 나선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체결나사(230)의 중심부는 육각형 중공으로 형성되어서 절삭면(213)에서 체결나사(230)의 중심부를 향하여 육각 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체결나사(230)는 나선공(212)을 따라 제1체결구(210)의 중심부 모서리를 따라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포개어 합체한 후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가 맞닿은 상태로 복수의 파이프(100)에 각각 끼우게 되면 제1삽입바(211b)와 제2삽입바(221b)가 파이프(100)의 삽입구(120)에 삽입이 되면서 조인트(200)가 복수의 파이프(100)를 연결하면서 직교 결합하는 프레임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렇게 프레임 형태를 갖추고 나서 육각 렌치를 절삭면(213)으로부터 체결나사(230)에 삽입시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체결나사(230)가 제1체결구(210)에서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체결구(220)를 밀어내게 되고, 제2체결구(220)는 제2다리부(221)가 파이프(100) 내측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1체결구(210)로부터 제2체결구(220)를 밀어낼수록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는 파이프(100) 내측과 강하게 밀착이 되면서 조인트(200)와 복수의 파이프(100)는 강한 결속 상태를 이루게 되고 조립식 프레임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200)는 결합할 수 있는 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따라 2방향, 3방향, 4방향, 5방향 조인트(200)로 구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중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3방향 조인트(200)에 대해 위에서 설명했으며, 4방향 조인트(200)는 제2실시예, 2방향 조인트(200)는 제3실시예, 5방향 조인트(200)는 제4실시예가 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파이프(100) 형상은 동일하고 다만 조인트(200)의 형상에 있어 다리부의 개수 및 직교 방향만 차이가 나는 것으로써, 여기서는 제2실시예, 즉 4방향 조인트(200)에 대해 상술한 제1실시예, 즉 3방향 조인트(200)와의 연계점에 대해 부연 설명하고 그에 따라 제3 내지 제4실시예의 설명을 갈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4방향 조인트(200)로써 하나의 조인트(200)에 총 4개 방향에서 총 4개의 파이프(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 파이프(100)는 상호 직교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구(210)의 제1다리부(211)는 제1실시예의 3방향 조인트(200)와 달리 중심부로부터 4개 방향으로 직교하여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제2체결구(220)의 제2다리부(221) 또한 제1다리부(211)에 대응되면 4개 방향으로 직교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는 상호 포개져 겹침 결합된다.
제2실시예의 제1다리부(211) 및 제2다리부(221) 또한 제1패널(211a)과 제1삽입바(211b), 제2패널(221a)과 제2삽입바(221b)가 결합되면서 다리부를 형성한다.
다만 4방향 조인트(200)는 일자형 다리부 중심에 직각형 다리부가 결합된 형태로 4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지니면서 일자형 다리부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2개의 패널이 ㄴ자형을 이루며 3개의 제1삽입바(211b)가 결합된 형상을 지니고 이에 대응되는 제2다리부(221) 또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패널(221a)이 ㅅ자 형상을 이루고 1개의 제2삽입바(221b)가 부착되면서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의 결합형태는 제1실시예의 결합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4방향 조인트(200)의 직각형 다리부는 3개의 패널이 ㄷ자 형을 이루고 ㄷ자의 절곡된 2개의 모서리에 2개의 제1삽입바(211b)가 모서리로 대향되며 각각 부착되고, 제2체결구(220)의 제2다리부(221)는 상기 형상과 동일하되 대칭되는 위치로 형성되어, 직각형 다리부의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가 결합되면 그 단면은 패널의 사각형 각 모서리 외측으로 총 4개의 삽입바가 모서리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써 4방향 조인트(200)는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가 결합되면 일자 방향으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다리부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일자 방향 다리부 중심에 접하는 직각 방향으로는 제2실시예의 개별 형상으로써 상술한 바 대로 패널의 모서리 외측에 4개의 삽입바가 둘러싸며 부착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각 다리부에 최대 4개의 파이프(1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파이프(100) 결합 후 체결나사(230)의 나선이동을 통해 조인트(200)와 파이프(100)를 단단히 결속시키는 과정 및 원리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는 제3 내지 제4실시예에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각 실시예의 조인트(200)는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의 다리부 형상만 다를 뿐 체결나사(230), 나선공(212), 제2고정면(222)의 형태와 결합관계, 작동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2방향 조인트(200)는 2개의 파이프(100)를 직교 결합시키는 직각 형태이며, 따라서 제1체결구(210) 및 제2체결구(220) 또한 직각 형태로 형성된다.
제3실시예의 제1체결구(210)는 제1다리부(211)가 3개의 패널이 ㄷ자 형상을 형성하고 절곡된 모서리와 ㄷ자 개방면 패널 선단에 각각 제1삽입바(211b)가 모서리 결합됨으로써 총 4개의 제1삽입바(211b)가 사각형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제2체결구(220)는 제2다리부(221)만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삽입바(221b)가 없으며 다만 제2다리부(221) 선단에 소정 길이의 돌기판(223)이 돌출 형성되고 제1다리부(211) 또한 직각 절곡된 내측면을 따라 결합안내판(21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가 결합되면 상기 돌기판(223)과 결합안내판(215)이 맞닿게 되면서 다리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다리부 개수 감소에 따른 지지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5방향 조인트(200)는 십자가 방향으로 4방향에 총 4개의 파이프(100)가 결합되고 중심부에는 바둑판 형상의 육면체가 구비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전,후,좌,우 방향으로만 파이프(100)가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는 파이프(100)가 결합될 수 없으므로 제작하고자 하는 가구의 전체 조립식 프레임에서 최상단, 최하단, 좌우측면 등 가장 바깥쪽 면을 형성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제4실시예의 제1체결구(210)는 제1다리부(211)가 일자형 다리부로써 십자가 형태로 동일 평면상에 구성되고, 제2체결구(220) 또한 제1다리부(211)에 대응되는 십자가 형태로 형성되는데, 제1패널(211a) 및 제1삽입바(211b), 제2패널(221a) 및 제2삽입바(221b)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직각형 다리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실시에서는 제1다리부(211) 및 제2다리부(221)가 일자형 다리부와 직각형 다리부로 형성되고 각 형태의 다리부는 상이한 구조로 패널과 삽입바가 형성되는 것이었던데 반해, 제4실시예의 제1다리부(211) 및 제2다리부(221)는 4개 방향 모두 동일한 형태의 패널과 삽입바 결합구조를 가지며 그 형상은 상술한 제2실시예의 직각형 다리부의 형상과 동일하다.
제4실시예도 마찬가지로 체결나사(230)가 제1체결구(210)에서 제2체결구(220)로 이동하면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를 결속시키는 원리로 구성되는데, 다만 제4실시예는 절곡된 다리부, 즉 직각형 다리부가 없으므로 체결구 중심부에 모서리가 없고 평면을 형성하므로, 나선공(212)과 체결나사(230)는 체결구 중심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결속력 증대 효과를 위해서는 제1다리부(211)의 각 다리부 중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나선공(212)과 체결나사(230)가 각각 구비되고 각 체결나사(230)를 나선이동시키면 제2다리부(221)의 각 다리부가 밀려 이동하면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를 결속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라 조인트(200)의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 사이에는 풀림방지부재(240)가 삽입 장착되고, 제1체결구(210)의 제1다리부(211) 소정 위치에는 풀림방지부재(240)에 대향되는 지지돌기(2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풀림방지부재(240)는 제1다리부(211) 및 제2다리부(221)의 너비의 수용되는 너비를 가진 판상의 풀림방지판(241)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연결된 중심부는 절곡된 각도를 지니는데,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의 상호 결합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면에 대응되도록 직교 결합하여 형성됨으로써, 풀림방지부재(240)가 제1체결구(210) 내측에 얹히게 되면 제1다리부(211)의 각 갈래 다리부에 그대로 수용이 되고, 풀림방지부재(240) 위에 제2체결구(220)를 얹고 기본 실시예와 같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결합시키게 되면 풀림방지부재(240)는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 사이에 안착되며 끼움 장착이 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100)를 결합하고 체결나사(230)를 나선 회전시키면 체결나사(230)는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면은 가압에 따라 제2체결구(220)의 제2고정면(222)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체결구(220)가 밀려나면서 파이프(100) 내에서 단단히 끼워지게 되어 조인트(200)와 파이프(100)의 강한 결속이 이뤄지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다만 이때 풀림방지부재(240)는 중심부가 가압되면서 제2체결구(220)에 밀착되되 정 중앙이 강하게 눌리게 되므로, 다수 방향으로 갈래 형성된 풀림방지판(241)은 중심부와는 반대로 선단으로 갈수록 제2체결구(220)에 들뜨게 되면서 제1체결구(210) 방향으로 접하게 되는 구조가 된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체결나사(2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파이프(100) 내측에서 최대한 이격시키면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를 결속시키고 체결나사(230)와 나선공(212)이 나선 결합된 상태이므로 그 결속 상태가 유지되는 원리가 적용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결나사(230)가 타 방향으로 점차 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렇게 되면 조인트(200)와 파이프(100)의 결속이 약화되면서 조립식 프레임 전체가 흔들리고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생길 수 있다.
이의 방지를 위해 추가 실시예로써 풀림방지부재(240)가 적용될 수 있는데 체결나사(230)를 돌려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이 가압되면서 제2체결구(220)를 가압하게 되어 기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가 강하게 결속되는 것에 더하여, 풀림방지부재(240)의 각 선단, 즉 풀림방지판(241)은 제1체결구(210)를 강하게 밀어내는 방향으로 접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은 제2체결구(220)를 밀고, 풀림방지부재(240)의 선단 풀림방지판(241)은 제1체결구(210)를 밀면서, 체결 나사의 나선 결합 상태에 의한 지지력에 풀림방지부재(240)가 제1체결구(210) 및 제2체결구(220)에 척력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와 근접되는 것을 막게 됨으로써, 조인트(200)와 파이프(100)는 시간이 경과해도 결속 상태가 느슨하게 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제1다리부(211)에는 풀림방지판(241)에 대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214)가 각 다리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나사(230)가 풀림방지부재(240) 중심면을 가압하면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꺾이는 풀림방지판(241)은 지지돌기(214)에 의해 다시 제1체결구(210) 방향으로 꺾이는 형상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지돌기(214)가 풀림방지판(241) 선단에 대향 형성될 수 있고, 풀림방지판(241)이 제1체결구(210)를 향하며 꺾일수록, 다시 풀림방지판(241)의 선단은 지지돌기(214)에 의해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꺾이면서 제2체결구(220)에 접하여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돌기(214)가 형성된 상태에서 풀림방지부재(240)가 가압되면,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부와 풀림방지판(241) 선단은 제2체결구(220)를 가압하고, 풀림방지판(241)의 중심은 제1체결구(210)를 가압하는 형상이 되면서, 풀림방지부재(240)는 모두 3군데 지점에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동시에 가압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가 근접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게 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조인트(200)와 파이프(100) 간 결속력 약화 위험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풀림방지부재(240)의 형상은 2개의 풀림방지판(241)이 브이(V)자 형태로 접합된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풀림방지판(241)이 ㅅ자 형태로 접합된 구성일 수도 있으며, 4개의 풀림방지판(241)이 십자가 형태로 접합된 구성일 수도 있다.
가령 제1실시예의 경우는 브이자 형 또는 ㅅ자 형 풀림방지부재(24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실시예의 경우는 ㅅ자형 또는 십자가 형 풀림방지부재(24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인트(200)의 각 다리부에 모두 대응되는 형상의 풀림방지부재(240)가 적용될 수 있다.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부는 제2체결구(220)의 제2고정면(222)에 대응되는 절곡 형태여서 체결나사(230)가 풀림방지부재(240) 중심부를 가압할 때 중심부가 제2고정면(222)에 밀착되면서 가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풀림방지판(241)은 각 다리부 내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각 다리부 형상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일자형 평평한 판상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로써 조인트(200)가 최소 2방향에서 최대 5방향으로 형성되고 파이프(100)가 각 방향에서 결합되면서 프레임을 갖출 수 있는 구조인데, 이때 조인트(200)에 형성된 각 방향 중 일부 방향에만 파이프(100)가 결합되고 특정 방향에는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라면, 체결나사(230)가 제1체결구(210)를 관통한 후 체결나사(230)의 선단이 제2고정면(222)에 닿으면서 제2체결구(220)를 가압하게 될 때 상기 파이프(100)가 연결되지 않은 특정방향으로는 제2체결구(220)에 걸리는 게 없으므로 가압이 이뤄질수록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는 이격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조인트(200) 중 파이프(100)가 연결된 방향으로는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체결구(220)가 체결나사(230)에 의해 밀려나는 힘은 제2다리부(221)에 전달되고 제2다리부(221)는 파이프(100) 내측면과 맞대응 하게 되어 파이프(100)를 고정하는 힘으로 작용하지만, 파이프(100)가 연결되지 않은 방향에 형성된 제2다리부(221)는 맞대응 하는 물체가 없으므로 체결나사(230)에 의해 가압될수록 외부로 밀려나게 되면서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은 방향의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는 틀어져 비뚤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결합 노출 부위의 미적인 저하는 물론 파이프(100)가 결합된 부위에 미 결합 부위의 틀어진 힘이 전달되어 장기적으로 결속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도 11의 (a) 내지 (c)는 상술한 예로써 파이프(100) 미 결합 방향에서의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 간 틀어짐 현상을 촬영한 사진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4방향 조인트(200)를 예로 든 것이며,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100)가 결합된 좌측은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 반해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은 우측 및 하측 방향으로는 원형의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틀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 및 또 다른 추가 실시예로써 체결나사(230)의 선단에는 나사선단부(230a)가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제2고정면(222) 부위에는 제2고정입구부(222a)가 형성되어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아도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로써 나사선단부(230a)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고정입구부(222a)는 오목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풀림방지부재(240)와 체결나사(230)가 접하는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부에는 체결나사(230)가 통과될 수 있는 풀림방지공(242)이 통공 형성될 수 있어서, 체결나사(230)의 선단이 풀림방지공(242)을 통과한 후 제2고정입구부(222a)에 결합이 될 수 있다.
이때 풀림방지공(242)의 너비는 나사선단부(230a)의 너비에 대응되되 체결나사(230) 중심 부분의 직경보다는 작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체결나사(230)가 풀림방지공(242)을 통과한 뒤 제2고정입구부(222a)에 결합이 되어지되 체결나사(230)의 몸통 부분은 풀림방지공(242)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체결나사(230)를 조일수록 체결나사(230)의 나사선단부(230a)는 제2고정입구부(222a)에 밀착이 되고 풀림방지부재(240)는 체결나사(230)의 몸통에 밀리면서 가압이 이뤄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로써 풀림방지부재(240)가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다수의 지점에서 밀어내는 효과를 그대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풀림방지부재(240) 및 지지돌기(214)의 구성으로 인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의 결속력은 강화되면서, 제2고정입구부(222a)와 나사선단부(230a)의 결합을 통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가 밀착되게 되므로 파이프(100)가 체결되지 않은 방향에 구비된 제1,제2다리부(211,221)도 서로 들뜬 채 벌어지지 않고 틀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체결나사(230)가 나선공(212)을 통과한 후 제2고정면(222)에 닿을 때 나사선단부(230a)가 제2고정입구부(222a)에 맞춤 끼움되면서 제2체결구(220)에 결합되는 상태가 되므로 체결나사(230)가 제2체결구(220)를 밀어내지 않고 상호 결합된 형태로 조이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므로 파이프(100) 미 결합 방향의 다리부(211,221)는 틀어지지 않고 모아진 형태를 유지하고, 파이프(100)가 결합된 방향의 다리부(211,221)는 풀림방지부재(240)에 의해 조인트(200)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써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선단부(230a)는 톱니가 볼록한 타원형 선단부를 회전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제2고정입구부(222a)는 상기 나사선단부(230a)의 톱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타원형의 톱니가 회전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체결나사(230)가 제2고정면(222)에 닿을 때 나사선단부(230a)의 톱니가 제2고정입구부(222a)의 톱니와 맞물리면서 상호 결속이 이뤄지게 되므로, 체결나사(230)가 제2체결구(220)를 밀어낼수록 제2고정입구부(222a)에 더욱 강하게 결속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서, 이 상태에서는 파이프(100)가 연결되지 않은 방향의 제1다리부(211) 및 제2다리부(221)도 서로 밀어내어 틀어지지 않고 결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은 방향의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는 서로 딱 들어맞는 구조를 유지하게 되어 파이프(100)가 결합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의 미적인 형상이 온전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파이프(100)가 결합된 부위에 비 대칭적 힘을 전달하여 조인트(200)와 파이프(100) 간 장기 결속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또 다른 추가 실시예 또한 전술한 다른 추가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풀림방지공(242)이 형성된 풀림방지부재(240)가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및 기능과 효과는 다른 추가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 및 또 다른 추가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각 다리부(211,221)의 모든 방향에 파이프(100)가 모두 결합하든, 아니면 일부 방향에만 파이프(100)가 결합하든 상관 없이, 조인트(200)와 파이프(100) 간 결속력은 극대화되면서, 미 결합 방향의 다리부(211,221)는 틀어짐 없이 꼭 맞는 형상을 유지하여 수려한 외관을 갖출 수 있게 되어, 조립의 편의성, 공고한 결속력은 물론 미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조립식 프레임의 형태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벽체로써 장착되는 벽체 패널은 테두리 각 면을 따라 파이프(100)가 결합되어 벽체 패널을 거치하게 되고, 각 파이프(100)의 상호 접합 부위에는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가 결합되어 파이프(100)와 파이프(100)를 상호 결합하고 단단하게 결속하게 된다.
이때 접합되는 프레임이 3개라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방향 조인트(200)를 사용하고, 프레임이 4개라면 제2실시예의 4방향 조인트(200) 및 제4실시예의 5방향 조인트(200)를 사용하며, 프레임이 2개라면 제3실시예의 2방향 조인트(200)를 사용한다.
조인트(200) 유형이 결정되었으면 우선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라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대향 맞춤하여 하나의 조인트(200)를 형성한 후에, 제1다리부(211)와 제2다리부(221)의 결합 부위에 맞춰 파이프(100)를 끼우게 되면 제1삽입바(211b)와 제2삽입바(221b)가 파이프(100)의 각 삽입구(120)에 삽입되면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 간 결합이 이뤄진다.
이후 결속 과정으로써 제1체결구(210)에 내장된 체결나사(230)에 맞춰 외측에서 육각 렌치를 삽입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나사(230)는 나선공(212)을 타고 나선 회전이동하면서 제2체결구(2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체결구(220)를 밀어내면서 파이프(100) 내부에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 사이가 최대한 멀어지게 하여 그 힘으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가 강하게 결속되게 하며, 체결나사(230)는 나선공(212)에 나선 결합된 상태이므로 풀림이 방지되어 상기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결나사(230)와 나선공(212)의 나선 결합이 점차 풀려지게 되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의 거리도 가까워지면서 조인트(200)와 파이프(100) 간 결속력도 약화될 수 있는데, 이의 방지를 위해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결합할 때 그 사이에 풀림방지부재(240)를 삽입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나사(230)를 일 방향 회전하면 풀림방지부재(240)의 중심부와 선단은 제2체결구(220)를 가압하고 풀림방지판(241)의 중앙 부위는 제1체결나사(230)를 압박하게 되면서 풀림방지가 총 3군데 지점에서 제1체결구(210)와 제2체결구(22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하게 되어 체결나사(230)에 더하여 조인트(200)와 파이프(100)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유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의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10)는 파이프(100)와 조인트(200)가 간단한 조합과 결속작업으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파이프(100)를 공장에서 사전에 재단한 상태로 현장에 제공할 필요 없이 공장에서는 최대한 길게 생산하여 현장에 공급하면 현장에서는 제작하고자 하는 프레임 크기에 맞춰 파이프(100)를 절단하고 그에 맞는 조인트(200)를 선택하여 결합시키고 체결나사(230)를 조여주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절차로 공정이 진행된다.
이는 파이프(100)의 단면은 모두 동일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00) 개수에 따른 조인트(200) 유형이 유사한 형태로 각각 제공되고 있으므로 현장에서는 필요한 길이만큼 파이프(100)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진행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뛰어나고 작업공정이 원활하여 비용 경제적이고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조인트(200)는 유사한 형상으로 파이프(100) 결합개수에 맞춰 적용되므로 전체적인 프레임 형태가 일관되고 심플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어 심미적인 우수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100 : 파이프
110 : 가이드
120 : 삽입구
200 : 조인트
210 : 제1체결구
211 : 제1다리부
211a : 제1패널
211b : 제1삽입바
212 : 나선공
213 : 절삭면
214 : 지지돌기
215 : 결합안내판
220 : 제2체결구
221 : 제2다리부
221a : 제2패널
221b : 제2삽입바
222 : 제2고정면
222a : 제2고정입구부
223 : 돌기판
230 : 체결나사
230a : 나사선단부
240 : 풀림방지부재
241 : 풀림방지판
242 : 풀림방지공

Claims (5)

  1.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상호 직교하도록 체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되,
    조인트는,
    중심부는 복수의 파이프 결합부위 외측 직교면을 형성하고,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1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며, 중심부 모서리에는 나선공이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구;
    제1체결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체결구의 내측면에 맞춰지며 중심부로부터 각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다리부가 각 파이프에 내삽되는 제2체결구; 및
    나선공에 나선 삽입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고,
    제2체결구는,
    중심부 모서리 외측에 체결나사의 선단면에 평행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2고정면;을 포함하며,
    파이프는,
    내측 각 면마다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돌출되어 각 면을 삼분하는 복수의 가이드; 및
    내측 각 모서리에 인접한 한 쌍의 가이드가 모서리를 따라 통로를 형성하는 4개의 삽입구;를 포함하며,
    조인트는,
    3방향으로 직교되며 3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되,
    제1다리부는 2개의 제1패널이 ㄴ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각 제1패널의 선단과 모서리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삽입바가 복수 형성되고,
    제2다리부는 3개의 제2패널이 ㅅ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내측 모서리에 대향 설치된 제2패널 상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형 단면의 제2삽입바가 형성되며,
    각 삽입구의 내경은 제1삽입바 및 제2삽입바의 외경에 대응되어 밀착 삽입되며,
    조인트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사이에 부착되는 풀림방지부재;를 포함하되,
    풀림방지부재는,
    상기 제2체결구의 제2고정면에 대응되는 절곡형태를 가지며 상기 나선공에 대응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다수 방향으로 갈래 형성되며,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의 상호 결합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면에 대응되는 복수의 풀림방지판;을 포함하며,
    제1체결구는,
    제1다리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며 풀림방지판에 대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는 풀림방지판의 선단 대응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풀림방지판은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의 너비에 수용되는 너비를 가진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나사는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 사이에 개재된 풀림방지부재의 중심부를 가압하고,
    풀림방지부재는 체결사나의 가압에 따라 중심부가 제2체결구의 제2고정면을 가압하게 되면, 중심부에서 다수 방향으로 갈래 형성된 풀림방지판은 중심부와는 반대로 선단으로 갈수록 제2체결구에서 들뜨게 되면서 중심이 제1체결구 방향으로 접하여 제1체결구를 가압하고, 선단은 지지돌기에 의해 제2체결구 방향으로 꺽이면서 제2체결구에 접해 제2체결구를 가압함으로써 풀림방지부재는 적어도 3군데 지점에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를 동시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6531A 2021-12-10 2021-12-10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KR10249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31A KR102493204B1 (ko) 2021-12-10 2021-12-10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531A KR102493204B1 (ko) 2021-12-10 2021-12-10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204B1 true KR102493204B1 (ko) 2023-01-27

Family

ID=8510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531A KR102493204B1 (ko) 2021-12-10 2021-12-10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132A (ja) * 2005-09-05 2008-01-24 Shigeki Nakamura 管継手
KR20100093188A (ko) * 2009-02-16 2010-08-25 양경호 각형 중공바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120042782A (ko) * 2012-02-20 2012-05-03 이광남 파이프 조인트
KR20170116422A (ko) 2016-04-11 2017-10-19 김용래 조립식 수납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132A (ja) * 2005-09-05 2008-01-24 Shigeki Nakamura 管継手
KR20100093188A (ko) * 2009-02-16 2010-08-25 양경호 각형 중공바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120042782A (ko) * 2012-02-20 2012-05-03 이광남 파이프 조인트
KR20170116422A (ko) 2016-04-11 2017-10-19 김용래 조립식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4808B2 (en) Teardrop and offset notch bridging connector
KR101921006B1 (ko) 볼트 회전 및 슬롯 처짐 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스틸 각관을 이용한 내진성능을 갖는 건축용 무용접 구조물
US6257426B1 (en) Shelf engagement mechanism
US3589755A (en) Prefabricated-wall attachment system
US5297886A (en) Connector bracket
US6203239B1 (en) Wedge plug tubing connector
KR102286870B1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101403211B1 (ko) 초고층형 모듈러 유닛
KR102493204B1 (ko) 조립식 프레임 결합장치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JP2016044538A (ja) 連結固定ブリッジ部材
JP6230804B2 (ja) 組立什器及び組立什器の製造方法
US20040101358A1 (en) Joint for modular frames of furnishing elements such as tables, desks, shelves or the like
JP2021095920A (ja) パイプ取り付け用クランプ
JPH01322042A (ja) 閉鎖形断面柱と鉄骨梁との接合部構造
JP4057020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及び接続部材
KR20200122154A (ko) 축사 건축용 파이프 연결장치
JP3224828U (ja) 交差部金物
JP7154581B2 (ja) 固定金具付き壁
KR100390201B1 (ko) 조립식 진열구조물의 연결구
JP4057797B2 (ja) 角形鋼接合用の変形防止金物とフレームの組立て方法。
KR200497544Y1 (ko) 가구프레임 연결장치
KR20190135784A (ko) 건축용 프레임 연결구
KR200290533Y1 (ko) 파이프구조물의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