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744B1 - 책상용 지지 프레임 - Google Patents

책상용 지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744B1
KR101597744B1 KR1020150161144A KR20150161144A KR101597744B1 KR 101597744 B1 KR101597744 B1 KR 101597744B1 KR 1020150161144 A KR1020150161144 A KR 1020150161144A KR 20150161144 A KR20150161144 A KR 20150161144A KR 101597744 B1 KR101597744 B1 KR 10159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ixing
coupled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15016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용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판의 하부 전후방에 결합되는 받침 프레임; 상기 상판의 하부 양측부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 결합돌기와, 상기 상부 결합돌기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정합에 의해 결합되는 측부 결합부와, 상기 측부 결합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이 밀착 및 접합되는 프레임 융착부로 이루어진 상부 지지부와,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용 지지 프레임{Desk for support frames}
본 발명은 책상용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단순화하여 프레임들 간의 간편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책상의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시 볼트 체결이 없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결합부들 간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기간 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으로 상판 아래에 네 개의 다리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상판의 양측에 다리 역할을 하는 판재를 수직으로 세운 구조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다리와 상판이 영구적으로 결합된 구조의 책상은 운반이 어렵고, 부분 파손시에도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넉다운(knock-down) 방식의 가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책상의 경우에도 상판과, 다리를 이루는 프레임 구조물을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의 책상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넉다운 방식의 책상에서 상판은 주로 원목 또는 가공된 목재로 이루어지고, 다리를 이루는 프레임은 주로 철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판과 다리 프레임, 그리고 다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판과 다리 프레임의 밀착성과 체결력이 약할 경우, 책상이 좌우 또는 전후로 흔들리는 등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책상에 비틀림 하중이 가해질 경우, 하중이 볼트 체결부에 집중되어 체결부가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고려될 수 있겠으나, 생산자 입장에서는 다리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들의 형상이 복잡해 지거나 다양해 질 경우, 생산성이나 자재 수급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3684호에는, 책상의 상판 하부에 상판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판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 1 다리 프레임 및 제 2다리 프레임과; 상기 제 1 다리 프레임와 제 2 다리 프레임를 연결하며 상판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판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은 'T'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 제1 및 제2다리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면, 그 연결부위에서의 결합력이 저하되면서 책상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프레임 구조체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제1 및 제2다리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 사이의 결합 부분이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결합 후에도 어느 정도의 틈이 발생하면서 결합부에 대한 결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다리 프레임과 연결 프레임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결합을 할 수밖에 없어 종래의 책상 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368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단순화하여 프레임들 간의 간편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의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시 볼트 체결이 없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결합부들 간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기간 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판의 하부 전후방에 결합되는 받침 프레임; 상기 상판의 하부 양측부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 결합돌기와, 상기 상부 결합돌기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정합에 의해 결합되는 측부 결합부와, 상기 측부 결합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이 밀착 및 접합되는 프레임 융착부로 이루어진 상부 지지부와,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돌기의 상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고정 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부 결합판과, 상기 상부 결합판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소정의 라운딩부를 이루고, 상기 제1접촉부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내측단부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측부 연결부와, 상기 측부 연결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접촉부와 결합되도록 소정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측부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접촉부의 선단부측에 결합되는 내측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결합판에는 내면측에 상기 상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장착되며, 이 지지부재와 함께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지지턱의 후방으로 소정의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 조절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 프레임은 상기 상판과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홀에 스크류 형상의 체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구성된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밀착홈이 더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밀착홈과, 상기 제1밀착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단순화하여 프레임들 간의 간편한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책상의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시 볼트 체결이 없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결합부들 간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기간 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각 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각 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는 상판(110)의 하부에 고정 결하되어 이 상판(110)과 상판(110)에 구비되는 각종 사물들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판(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판(110)을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120), 받침 프레임(120)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130), 고정 프레임(130)의 전후방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판(100) 및 프레임 구조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 프레임(120)은 상판(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판(110)의 전후방측에 위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에 고정 프레임(130)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부재(150)의 일면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또한, 받침 프레임(120)은 상판(110)과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볼트가 관통 및 체결되는 체결홀(122)이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이 체결홀(122) 사이에는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24)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판(110)과 받침 프레임(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 프레임(130)은 상판(110)의 양측 단부측에 위치하여 고정볼트에 의해 상판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판 고정공(132)이 형성되고, 이 상판 고정공(132)의 외측, 다시말해 고정 프레임(130)의 단부측에는 지지 프레임(140)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부(230)가 형성된다.
고정부(230)는 상부 결합판(231), 밀착부(233), 측부 연결부(235), 안착부(237) 및 내측 밀착부(239)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판(231)은 고정 프레임(130)의 양측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지지부(240)를 이루는 상부 결합돌기(241)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부 결합판(231)은 상부 결합돌기(214)의 상측 단부가 내측 선단부에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결합이 이루어진 후, 각각의 선단부들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결합판(231)에는 내면측에 상부 결합돌기(214)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부를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밀착부(233)은 상부 결합판(231)의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라운딩부를 이루며, 그 하부면이 상부 지지부(240)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제1접촉부(243)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측부 연결부(235)는 밀착부(233)의 내측단부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240)의 측부 결합부(245)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 프레임(130) 및 지지 프레임(140)의 수직한 면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안착부(237)는 측부 연결부(235)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140)의 제2접촉부(247)와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130) 및 지지 프레임(140)의 수직한 면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내측 밀착부(239)는 측부 연결부(235)의 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측부 연결부(235)를 연결하며,지지 프레임(140)의 제2접촉부(247)의 선단부측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130)은 상부 결합판(231)을 통해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면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밀착부(233), 측부 연겹루(235) 및 안착부(237)에 의해 지지 프레임(1400의 수직한 면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내측 밀착부(239)를 통해 고정 프레임(130)의 하부면에 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정 프레임(130)과 지지 프레임(140) 간의 결합 면적으로 최대화하여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프레임(140)은 고정 프레임(130)에 형성된 각 구성요소들과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이 고정 프레임(130)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고정 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상부 지지부(240)와, 지면으로부터 채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60)로 이루어진다.
상부 지지부(240)는 상부 결합돌기(241), 제1접촉부(243), 측부 결합부(245), 제2접촉부(247), 프레임 융착부(249)로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돌기(241)는 지지 프레임(140)의 상측 단부에 상향 연장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130)의 상부 결합판(231)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 결합판(231)의 내면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이 상부 결합판(231)의 선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1접촉부(243)는 상부 결합돌기(24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130)의 밀착부(233)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측부 결합부(245)는 측부 연결부(235)와 결합될 수 있도록 이 측부 연결부(23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접촉부(243)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측부 연결부(235)와의 정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측부 결합부(245)의 하측 단부측에는 안착부(237) 삽입되는 제2접촉부(247)가 형성된다.
프레임 융착부(249)는 제2접촉부(247)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130)의 고정부(230) 하부면에 밀착되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부(230)와 접합이 이루어지면서 고정 프레임(130)과 지지 프레임(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부 지지부(26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재(160)가 장착되며, 이 지지부재(160)와 함께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턱(262) 및 지지턱(262)의 후방으로 소정의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6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 조절공(26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정 프레임(130) 및 지지 프레임(140)은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이 완료되면,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서로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 프레임(130) 및 지지 프레임(1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와 상부 지지부(240) 간의 보다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부(230)의 상부 결합판(231)에 다단으로 구성된 제1고정돌기(33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 구성되고, 이 제1고정돌기(330)의 이격된 사이에 제1밀착홈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 지지부(240)의 상부 결합돌기(241)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3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230)와 상부 지지부(240)의 결합시 제1고절돌기(330)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밀착홈(322)이 형성되고, 이 제2밀착홈(322)의 일측으로 제1밀착홈(312)에 삽입 및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340)가 형성되어 고정부(230)와 상부 지지부(240) 간의 접촉면적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고, 제1 및 제2고정돌기(330, 340)들 간의 결합에 의해 더욱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책상용 지지 프레임은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를 단순화하여 프레임들 간의 간편한 결합이 가능하고, 책상의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 간의 결합시 볼트 체결이 없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결합부들 간의 긴밀하고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장기간 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상판 120: 받침 프레임
130: 고정 프레임 140: 지지 프레임
150: 연결부재 160: 지지부재
230: 고정부 240: 상부 지지부
260: 하부 지지부

Claims (6)

  1. 상판의 하부 전후방에 결합되는 받침 프레임; 상기 상판의 하부 양측부에 결합되며, 양측 단부에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부와 수직하게 결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향 연장 형성되는 상부 결합돌기와, 상기 상부 결합돌기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정합에 의해 결합되는 측부 결합부와, 상기 측부 결합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의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이 밀착 및 접합되는 프레임 융착부로 이루어진 상부 지지부와,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 프레임; 상기 받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하부 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결합돌기의 상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고정 프레임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상부 결합판과,
    상기 상부 결합판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소정의 라운딩부를 이루고, 상기 제1접촉부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내측단부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측부 연결부와,
    상기 측부 연결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접촉부와 결합되도록 소정의 홈의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부와,
    상기 측부 연결부의 단부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접촉부의 선단부측에 결합되는 내측 밀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판에는 내면측에 상기 상부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장착되며, 이 지지부재와 함께 책상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지지턱의 후방으로 소정의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높이 조절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은
    상기 상판과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홀에 스크류 형상의 체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구성된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1고정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제1밀착홈이 더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제2밀착홈과, 상기 제1밀착홈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지지 프레임.
KR1020150161144A 2015-11-17 2015-11-17 책상용 지지 프레임 KR10159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44A KR101597744B1 (ko) 2015-11-17 2015-11-17 책상용 지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44A KR101597744B1 (ko) 2015-11-17 2015-11-17 책상용 지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744B1 true KR101597744B1 (ko) 2016-03-07

Family

ID=5554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144A KR101597744B1 (ko) 2015-11-17 2015-11-17 책상용 지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885A (ko)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펀잇쳐스 조립식 책상 프레임
KR20200002318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KR200492945Y1 (ko) 2020-03-25 2021-01-07 문득영 책상 프레임
KR102603544B1 (ko) * 2023-01-05 2023-11-16 고영신 싱크대 상판 보강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684A (ko)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KR200470612Y1 (ko) * 2012-10-24 2013-12-31 서원호 조립식 테이블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20866B1 (ko) * 2013-10-18 2014-07-18 장근대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684A (ko)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KR200470612Y1 (ko) * 2012-10-24 2013-12-31 서원호 조립식 테이블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20866B1 (ko) * 2013-10-18 2014-07-18 장근대 책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885A (ko) 2016-07-01 2018-01-10 주식회사 펀잇쳐스 조립식 책상 프레임
KR20200002318A (ko)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네오퍼스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KR200492945Y1 (ko) 2020-03-25 2021-01-07 문득영 책상 프레임
KR102603544B1 (ko) * 2023-01-05 2023-11-16 고영신 싱크대 상판 보강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744B1 (ko) 책상용 지지 프레임
KR101240343B1 (ko) 사각 다리 프레임을 구비한 책상
KR20140121496A (ko) 조립식 책상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397547B1 (ko)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200492567Y1 (ko) 테이블 프레임 결합 구조체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101571264B1 (ko) 가구 조립용 브래킷
KR101460581B1 (ko) 조립식 선반
KR20130000056U (ko) 탁자 프레임 체결구조
JP6580827B2 (ja) 天板付き家具
US20220007843A1 (en) Interlocking means and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10041314A (ko) 선반 지지체
JP5670702B2 (ja) 間仕切構成体
KR20200002318A (ko)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KR101440045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101308647B1 (ko) 가구용 프레임 다리구조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KR200337325Y1 (ko) 조립식 평상
KR101348225B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KR20210063778A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100805214B1 (ko) 테이블 다리조립체
KR102306170B1 (ko) 다용도 코너 브라켓
KR102650061B1 (ko) 철재 선반
KR10144003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