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15B1 -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15B1
KR101638115B1 KR1020140086852A KR20140086852A KR101638115B1 KR 101638115 B1 KR101638115 B1 KR 101638115B1 KR 1020140086852 A KR1020140086852 A KR 1020140086852A KR 20140086852 A KR20140086852 A KR 20140086852A KR 101638115 B1 KR101638115 B1 KR 10163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ir
opening
frame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006A (ko
Inventor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미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미나
Priority to KR102014008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는 덮개 프레임과, 덮개 프레임의 후단 부근의 힌지 축 상에 위치하여 좌우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 핀 쌍과, 덮개 프레임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과, 덮개 프레임이 매립되는 매립 공간의 후방 코너부의 좌우 벽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힌지 핀 쌍을 가이드 장공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과, 매립 공간의 전방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을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열림시에는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 에지가 후방 벽체에 닿는 순간부터는 힌지 핀 쌍이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 위치에서 열림 위치 힌지공 위치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닫침시에는 착탈식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에 힌지 핀 쌍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에 상기 걸림 브래킷이 락킹되게 한다. 그러므로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도 코너부에서 틈새를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Buried Cover, and Light Ceiling Shee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 하부면이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칭 실링 시스템(stretching ceiling system)은 천장에 프레임을 고정시킨 다음, 프레임의 사이즈에 맞는 합성수지 시트를 팽팽하게 당겨서 장착시킨 다음에 합성수지 시트에 열을 가하여 더욱 팽팽하게 곧게 펴지도록 하는 천장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스트레칭 실링 시스템은 "Barrisol"이라는 상품명으로 상용화 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트레칭 실링 시스템은 다양한 색깔과 질감선택이 가능하고, 시공시 먼지나 파티클이 비산하지 않아 개보수시 기존 천장의 철거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엘이디 조명과 조합하여 실내 간접조명을 위한 광 천장 시스템으로 활용되고 있다.
광 천장 시스템에서는 광원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개폐 덮개가 요구된다.
종래의 천정 매립형 조명장치들은 천장 베이스 면 보다 돌출된 덮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돌출 구조는 시야를 제한하므로 시원하고 넓은 시각적 느낌을 제한한다.
또한 종래의 천정 매립형 조명장치들의 개폐 덮개의 힌지 구조는 레일 및 링크 부재들의 조합으로 구조가 복잡하므로 코스트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천장에 매달아 조립하여야 하므로 시공상 매우 불편하다. 또한 조립된 이후에는 나사 조임 등에 의해 분해작업이 난해하여 착탈이 쉽지 않다. 또한 코너부 설치시에는 주변 벽체에 의해 개폐 덮개의 개폐 동작시에 회전동작이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개패 덮개의 출현이 요구되었다.
공개 특허 10-2009-0031340, 10-2011-0016599, 10-2011-0128628, 10-2012-0069921, 10-2013-013477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 마감 디자인 설계가 자유롭고 시공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면서도 착탈이 가능한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너부 설치가 용이하도록 벽체와 덮개 사이의 간격이 좁고 90도 이상으로 회동이 가능한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는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는 덮개 프레임과, 덮개 프레임의 후단 부근의 힌지 축 상에 위치하여 좌우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 핀 쌍과, 덮개 프레임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과, 덮개 프레임이 매립되는 매립 공간의 후방 코너부의 좌우 벽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힌지 핀 쌍을 가이드 장공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과, 매립 공간의 전방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을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열림시에는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 에지가 후방 벽체에 닿는 순간부터는 힌지 핀 쌍이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 위치에서 열림 위치 힌지공 위치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닫침시에는 착탈식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에 힌지 핀 쌍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에 상기 걸림 브래킷이 락킹되게 한다. 그러므로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도 코너부에서 틈새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 각각은 상부에지, 하부 에지, 전방에지 및 후방에지를 가진 수직 베이스 판과, 수직 베이스 판의 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닫침 위치 힌지공과, 수직 베이스 판의 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열림 위치 힌지공과, 수직 베이스 판의 닫침 위치 힌지공으로부터 열림 위치 힌지공까지 연장되어 힌지 핀이 닫침 위치 힌지공과 열림 위치 힌지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공과, 힌지 핀 쌍의 힌지 핀이 착탈 가능하도록 수직 베이스 판의 상부에지에서 가이드 장공까지 연통된 개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구를 통하여 착탈이 용이하므로 시공 및 유지 보수시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에서 힌지 핀 지지 브래킷의 가이드 장공은 열림위치 힌지공의 중심이 닫침위치 힌지공의 중심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 핀 지지 브래킷은 수직 베이스 판의 후방에지 근방, 상부에지와 닫침 위치 힌지공 사이에 형성된 고정 나사공을 구비한 것이 코너부 설치시 틈새를 최소화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천장 조명 시스템은 전방 벽체, 후방 벽체, 우측 벽체 및 좌측 벽체로 한정된 천장 매립 공간에 설치된다. 천장 조명 시스템은 매립 공간에 설치된 광원과, 후방 벽체에 인접한 코너부의 상기 좌우 벽체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된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과, 전방 벽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부재와,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좌우 힌지 핀 쌍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닫침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부재에 의해 락킹되고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착탈식 개폐 덮개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탈식 개폐 덮개의 하부면은 닫침 위치에서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그러므로 돌출부분이 없으므로 시각적으로 시원하고 넓은 천정 마감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탈식 개폐 덮개는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프레임들의 결합에 의해 중앙에 개구부를 갖고 일정 높이를 가진 덮개 프레임과, 덮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개구부를 덮는 투광 시트와,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힌지 결합되도록,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의 상측 후방 근처의 힌지 축상에 각각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 핀 쌍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에 결합되도록, 전방 프레임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브래킷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프레임들 각각은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투광시트를 결합하기 위한 제1시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프레임들 각각은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모헤어가 각각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모헤어는 틈새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광원의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프레임들 각각은 상부면에 투광시트와 다른 투광시트를 결합하기 위한 제2시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광시트를 이중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장 조명 시스템은 전방 벽체, 후방 벽체, 우측 벽체 및 좌측 벽체로 한정된 천장 매립 공간에 시공된다. 시공방법은 힌지 핀 쌍, 투광시트 및 걸림 브래킷이 장착된 착탈식 개폐 덮개를 준비하고, 천장 매립 공간 내에 광원을 설치한 다음에 우측 및 좌측 벽체에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을 장착하고, 전방벽체에 락킹 부재를 고정시키고, 준비된 착탈식 개폐 덮개의 힌지 핀 쌍을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힌지 결합하여 완료한다. 따라서 준비된 착탈식 개폐 덮개를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걸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착탈식 개폐덮개는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매립형 개폐식 광 천장 시트 판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넓고 시원한 천장 마감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탈이 용이하므로 시공시 작업의 편리함과 청소 및 유지 보수시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매립형 이면서도 벽체와 덮개 사이의 간격이 좁으므로 코너부 설치가 용이하고 덮개가 90도 이상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 구조가 간단하여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전면에서 바라본 닫침 상태의 상태도.
도 3은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닫침 상태의 상태도.
도 4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락킹 해제 상태의 상태도.
도 5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열림 상태의 상태도.
도 6은 도 1의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 중 우측 브래킷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의 단면도.
도 8은 하나의 매립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착탈식 개폐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하나의 매립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착탈식 개폐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천장 조명 시스템의 시공 순서도.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장 조명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전면에서 바라본 닫침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닫침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락킹 해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의 좌측면에서 바라본 열림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장 조명 시스템(100)은 천장 매립 공간(10)에 설치된다. 천장 매립 공간(10)은 천장 베이스 면(20)으로부터 상방으로 형성된 공간으로 전방 벽체(12), 후방 벽체(14), 우측 벽체(16) 및 좌측 벽체(18)로 한정된다. 천장 조명 시스템(100)은 광원(110),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 락킹 부재(130), 및 착탈식 개폐 덮개(140)를 포함한다.
광원(110)은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전구 타입 엘이디 램프, 면 타입 엘이디 램프 또는 형광등의 다양한 조명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직관형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를 사용한다.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은 우측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a)과 좌측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b)을 포함한다.
도 6은 도 1의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 중 우측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측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a)은 금속 재질로 수직 베이스 판(122), 전방 스페이스 및 지지 판(124), 후방 스페이스 판(126), 하방 스페이스 판(128)을 포함한다. 수직 베이스 판(122)의 선단에는 전방 스페이스 및 지지 판(124)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방 스페이스 판(126)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방 스페이스 판(128)이 일체로 형성된다. 수직 베이스 판(122)의 하단 근처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가이드 장공(122a)이 형성된다. 수직 베이스 판(122)의 중앙에는 가이드 장공(122a)의 중간 부분에서 상단까지 연통된 개구(122b)가 형성된다. 가이드 장공(122a)의 선단부는 열림 위치 힌지공(122c)으로 제공되고 후단부는 닫침 위치 힌지공(122d)으로 제공된다. 즉 가이드 장공(122a)은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열림 위치에서는 힌지 핀(146a)이 열림 위치 힌지공(122c)에 위치하고, 닫침 위치에서는 힌지 핀(146a)이 단침 위치 힌지공(122d)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한다. 가이드 장공(122a)은 열림시에는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단침 위치 힌지공(122d) 위치에서 열림위치 힌지공(122c) 위치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은 가이드 장공(122a)을 따라 힌지핀이 일점에 고정하지 않고 두 힌지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후단과 후방벽체(14)의 간섭이 있더라도 열림위치로 힌지 핀 쌍(146)이 밀려서 이동됨으로써 90도 이상으로 원활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개구(122b)는 힌지핀이 착탈 가능하면서도 열림 위치 및 닫침 위치에서는 힌지 핀 쌍(146)을 잡아주도록 가이드 장공(122a)의 길이 보다 좁은 개구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개구(122b)는 힌지 핀(146a)이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수직 베이스 판(122)의 상단과 닫침 위치 힌지공(122d) 사이에 나사공(122e)이 형성된다. 나사공(122e) 둘레에 링 스페이서(122f)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공(122e)의 형성은 수직 베이스 판(122)의 후단이 매립 공간(10)의 후방 벽체(14)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치 구조는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후단과 후방 벽체(14) 사이의 틈새(150)를 최소화할 수 있다.
락킹 부재(130)는 일예로 상품명 "원터치 캐치"(주식화사 부영금속사의 BY3-51)로 전방 벽체(12)에 고정 설치된다. 락킹 부재(130)는 전방 벽체(12)에 고정된 락킹 몸체(132)와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선단에 고정된 걸림 브래킷(134)을 포함한다. 락킹 부재(130)는 상용화된 제품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착탈식 개폐 덮개(140)는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 제1투광시트(144), 제2투광시트(145), 힌지핀 쌍(146) 및 모헤어(148)를 포함한다.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은 전방 프레임(142a), 후방 프레임(142b), 우측 프레임(142c), 좌측 프레임(142d)을 사각틀 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은 수직면(142e), 수평면(142f), 빗면(142g)을 포함한다. 수직면(142e)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1시트 고정홈(149a), 모헤어 설치홈(149b) 및 힌지핀 설치홈(149c)이 형성된다. 수평면(142f)에는 프레임 조립홈(149d) 및 제2시트 고정홈(149e)이 각각 형성된다.
전방 프레임(142a), 후방 프레임(142b), 좌측 프레임(142c), 우측 프레임(142d)들의 프레임 조립홈(149d)에 "L"자형 금속편이 삽입되고 나사로 조립되어 사각틀 형태로 조립된다.
전방 프레임(142a), 후방 프레임(142b), 좌측 프레임(142c), 우측 프레임(142d)들의 제1시트 고정홈(149a)에 제1투광시트(144)가 설치되고, 제2시트 고정홈(149e)에 제2투광시트(145)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및 제2투광시트(144, 145)는 예컨대 상품명 "바리솔"의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투광시트(144, 145)는 에지에 형성된 후크 부재, 즉 하푼을 프레임의 시트 고정홈에 끼우면 하푼이 시트 고정홈 내부 공간에서 펼쳐지면서 홈 입구의 걸림 돌기에 하푼 에지가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투광시트(144, 145)의 이중 시트로 구성하였으나 제1투광시트 또는 제2투광시트의 단일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우측 프레임(142c) 및 좌측 프레임(142d)의 후단 근처의 힌지 핀 설치홈(149c)에 힌지 핀(146a, 146b)이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어 힌지 핀 쌍(146)을 형성한다.
전방 프레임(142a), 후방 프레임(142b), 좌측 프레임(142c), 우측 프레임(142d)들의 모헤어 설치홈(149b)에는 모헤어(148)가 설치되어 전방 벽체(12), 후방 벽체(14), 우측 벽체(16), 좌측 벽체(18) 사이의 틈새(150)를 차단한다. 여기서 모헤어(148)는 벽체와 덮개 사이의 간격을 막아 이물질이 매립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들 간격을 통한 빛샘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하부면은 닫침 위치에서 천장 베이스 면(20)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여 베이스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덮개까지 완전 매립된다.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전방 프레임을 한번 밀어 올리면 락킹부재(130)의 락킹이 해제된다. 락킹 해제된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힌지 핀 쌍(146)은 처음에는 닫침위치 힌지공(122d) 위치에서 착탈식 개폐 덮개(140)는 회동된다. 회동에 의해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후방 프레임(142b)의 하단이 후방 벽체(14)에 닿는 순간부터는 착탈식 개폐 덮개(140)가 전방으로 밀려서 힌지 핀 쌍(146)이 가이드 장공(122)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122d) 위치에서 열림 위치 힌지공(122c) 위치로 이동한다. 열림 위치 힌지공(122c) 위치에서 착탈식 개폐 덮개(140)는 매달려 있는 상태로 개방된다. 매달린 상태에서 힌지 핀이 개구(122b)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착탈식 개폐 덮개(140)를 들어 올리면 힌지 핀이 개구(122b)를 통해 힌지 핀 지지 브래킷(120)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므로 착탈식 개폐 덮개(140)를 떼어내어 청소하거나 수리하기 편리하다. 조립시에는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힌지 핀 쌍(146)을 개구(122b)를 통해 가이드 장공(122a)에 삽입시켜서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에 힌지 결합시킨다. 착탈식 개폐 덮개(140)의 닫침시에는 착탈식 개폐 덮개(140)를 열림 위치 힌지공(122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들어 올리다가 후방으로 밀어서 닫침 위치 힌지공(122d)에 힌지 핀 쌍(146)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밀어 올리면 락킹 부재(130)의 락킹 몸체(132)에 걸림 브래킷(134)이 걸려서 락킹된다.
도 8은 하나의 매립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착탈식 개폐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하나의 매립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착탈식 개폐덮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매립 공간(10) 내에 보조 고정 프레임(160)을 설치하고 보조 고정 프레임(160)에 락킹 부재의 락킹 몸체를 설치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천장 조명 시스템의 시공 순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천장 조명 시스템의 시공 순서는 먼저 알루미늄 압출 프레임(142)을 절단하여 전방 프레임(142a), 후방 프레임(142b), 우측 프레임(142c) 및 좌측 프레임(142d)을 형성하고 이들을 조립하여 사각 틀을 형성한 다음에 제1투광시트(144) 및 제2투광시트, 힌지 핀 쌍(146), 모헤어(148), 락킹 부재(130)의 걸림 브래킷(134) 등을 장착하여 착탈식 개폐덮개(140)를 준비한다(S102).
이어서, 천장 매립 공간(10) 내에 광원(110)을 설치한다(S104). 다음에 천장 매립 공간(10)을 이루는 우측 벽체(16) 및 좌측 벽체(18)에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을 나사로 고정하고 락킹 부재(130)의 락킹 몸체(132)를 전방 벽체(12)에 나사로 고정시킨다(S106).
준비된 착탈식 개폐덮개(140)의 힌지 핀 쌍(146)을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120)에 힌지 결합한다(S108).
힌지 결합된 착탈식 개폐덮개(140)를 밀어 올려서 락킹 부재(130)의 걸림 브래킷(134)이 락킹 부재(130)의 락킹 몸체(132)에 락킹되도록 하여 착탈식 개폐덮개(140)로 매립 공간(10)을 덮어서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천장 조명 시스템의 덮개 뿐만 천정 점검구 덮개, 조명 박스 덮개, 벽체 매립형 덮개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에 있어서,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의 후단 부근의 힌지 축 상에 위치하여 좌우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 핀 쌍;
    상기 덮개 프레임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
    상기 덮개 프레임이 매립되는 매립 공간의 후방 코너부의 좌우 벽체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힌지 핀 쌍을 가이드 장공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 및
    상기 매립 공간의 전방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의 걸림 브래킷을 락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 각각은
    상부에지, 하부 에지, 전방에지 및 후방에지를 가진 수직 베이스 판;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닫침 위치 힌지공;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열림 위치 힌지공;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상기 닫침 위치 힌지공으로부터 상기 열림 위치 힌지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힌지 핀이 상기 닫침 위치 힌지공과 상기 열림 위치 힌지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공; 및
    상기 힌지 핀 쌍의 힌지 핀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상부에지에서 상기 가이드 장공까지 연통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열림시에는 상기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 에지가 상기 후방 벽체에 닿는 순간부터는 상기 힌지 핀 쌍이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 위치에서 열림 위치 힌지공 위치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상기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의 닫침시에는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에 상기 힌지 핀 쌍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몸체에 상기 걸림 브래킷이 락킹되게 하는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의 가이드 장공은 열림위치 힌지공의 중심이 상기 닫침위치 힌지공의 중심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은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후방에지 근방, 상기 상부에지와 상기 닫침 위치 힌지공 사이에 형성된 고정 나사공을 구비한 매립형 착탈식 개폐 덮개.
  5. 전방 벽체, 후방 벽체, 우측 벽체 및 좌측 벽체로 한정된 천장 매립 공간에 설치되는 천장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립 공간에 설치된 광원;
    상기 후방 벽체에 인접한 코너부의 상기 좌우 벽체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설치된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
    상기 전방 벽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부재;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좌우 힌지 핀 쌍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닫침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부재에 의해 락킹되고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착탈식 개폐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 각각은
    상부에지, 하부 에지, 전방에지 및 후방에지를 가진 수직 베이스 판;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닫침 위치 힌지공;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전방에지 근방에 형성된 열림 위치 힌지공;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상기 닫침 위치 힌지공으로부터 상기 열림 위치 힌지공까지 연장되어 상기 힌지 핀이 상기 닫침 위치 힌지공과 상기 열림 위치 힌지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 장공; 및
    상기 힌지 핀 쌍의 힌지 핀이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베이스 판의 상부에지에서 상기 가이드 장공까지 연통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의 하부면은 닫침 위치에서 상기 천장 베이스 면과 동일 면을 이루고,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의 열림시에는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의 후방 프레임의 하부 에지가 상기 후방 벽체에 닿는 순간부터는 상기 힌지 핀 쌍이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의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 위치에서 열림 위치 힌지공 위치로 이동하면서 개방되고,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의 닫침시에는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를 열림 위치 힌지공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닫침 위치 힌지공에 상기 힌지 핀 쌍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부재에 락킹되어 닫침 상태를 유지하는 천장 조명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개폐 덮개는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프레임들의 결합에 의해 중앙에 개구부를 갖고 일정 높이를 가진 덮개 프레임;
    상기 덮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개구부를 덮는 투광 시트;
    상기 힌지 핀 지지 브래킷 쌍에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우측 및 좌측 프레임의 상측 후방 근처의 힌지 축상에 각각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 힌지 핀 쌍;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전방 프레임의 상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브래킷을 구비한 천장 매립형 조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투광시트를 결합하기 위한 제1시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천장 조명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프레임들 각각은
    상기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모헤어가 각각 결합된 천장 조명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프레임의 전방, 후방, 우측 및 좌측 프레임들 각각은
    상부면에 상기 투광시트와 다른 투광시트를 결합하기 위한 제2시트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 천장 조명 시스템.
  11. 삭제
KR1020140086852A 2014-07-10 2014-07-10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3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52A KR101638115B1 (ko) 2014-07-10 2014-07-10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52A KR101638115B1 (ko) 2014-07-10 2014-07-10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06A KR20160007006A (ko) 2016-01-20
KR101638115B1 true KR101638115B1 (ko) 2016-07-08

Family

ID=5530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852A KR101638115B1 (ko) 2014-07-10 2014-07-10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61B1 (ko) * 2018-07-26 2019-01-17 문철영 조명 기구의 개폐 장치
KR101969678B1 (ko) * 2018-07-26 2019-08-13 문철영 조명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0857B (zh) * 2018-06-06 2020-07-31 东阳市阳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地埋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296A (ja) * 2012-04-27 2013-11-14 Seiwa Electric Mfg Co Ltd 照明器具用蓋体スト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75B1 (ko) * 2005-10-07 2007-05-07 박현룡 탈착식 스트레치 램프 커버장치
KR100901010B1 (ko) 2008-12-12 2009-06-04 주식회사 한빛라이텍 힌지를 이용한 천장 매입형 형광등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2296A (ja) * 2012-04-27 2013-11-14 Seiwa Electric Mfg Co Ltd 照明器具用蓋体ストッパ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61B1 (ko) * 2018-07-26 2019-01-17 문철영 조명 기구의 개폐 장치
KR101969678B1 (ko) * 2018-07-26 2019-08-13 문철영 조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006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101638115B1 (ko) 매립형 착탈식 개패 덮개와 이를 이용한 천장 조명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823363B1 (ko)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KR101350352B1 (ko) 창호용 환기장치
CN210033035U (zh) 用于冰箱的轴套装置及冰箱
AU2013206727B2 (en) Covering device of opening of building
GB2491882A (en) A letterbox assembly featuring interlinked inner and outer flaps facilitating simultaneous opening and closing of the two flaps.
KR101841725B1 (ko) 폴딩도어 구조
KR200473743Y1 (ko) 장식장의 슬라이딩 도어용 외측슬라이더
KR100980264B1 (ko) 조명장치의 시트박스 개폐구조
KR102113490B1 (ko) 천장 히든점검구
KR102331263B1 (ko) 문짝이 간접 조명되는 수납용 가구
JP6353295B2 (ja) 可動ルーバーおよび建具
AU2013101578A4 (en) Shutter
KR101326740B1 (ko) 등기구
JP2007056506A (ja) 引込戸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102086253B1 (ko) 여닫창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WO2014202094A1 (en) Hinge and lock for a sash in a building element
WO2023074237A1 (ja) 戸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引戸装置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KR20080004262U (ko) 양문 여닫이식 천장등
JPH0810148Y2 (ja) 離脱不可能な窓構造
KR20080004263U (ko) 양문 여닫이식 천장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