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57B1 -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 Google Patents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57B1
KR102625257B1 KR1020210053363A KR20210053363A KR102625257B1 KR 102625257 B1 KR102625257 B1 KR 102625257B1 KR 1020210053363 A KR1020210053363 A KR 1020210053363A KR 20210053363 A KR20210053363 A KR 20210053363A KR 102625257 B1 KR102625257 B1 KR 10262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roller
insect screen
insertion protrus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278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다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다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53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5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세로바;
상기 세로바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가로바;
상기 상부가로바를 이동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기 상부가로바 사이를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이동롤러부를 구성하되,
상기 이동롤러부의 이동롤러측면몸체부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의 일측에 방충망파지결합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방충망을 일체로 결합되도록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Moving roller device combining insect screen}
본원발명은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0442692(2004.08.02)에서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방충망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롤러식 방충망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0), 그물망(20) 및 가이드(3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에는, 도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20)의 상단이 고정되어 그물망(20)을 감고 풀어서 하우징(10)에 대해 수납 및 인출되도록 하는 회전롤러(11) 와, 상기 회전롤러(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12), 및 상기 회전롤러(11)와 상기 축(12) 사이에 스프링고정체(13A)에 의해 결합되어 그물망(20)이 회전롤러(11)로부터 풀리면 탄성을 축적하고 축적된 탄성에 의해 그물망(20)이 회전롤러(11)에 감기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13)을 포함한다.
또한, 도11a와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양단에는 이를 도어프레임(2)이나 인근 벽면(이하 도어프레임이라 한다)에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고정구(14)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구(14)로서는 하우징(10)을 도어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 하우징(10)의 측면에 고정된 커버(15)와 상기 커버(15)와 동일평면상으로 신장된 제1체결부(16) 및 상기 커버(15)에 수직인 평면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된 제2체결부(17)를 포함한 고정구(14)를 사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0442692(2004.08.02) 대한민국특허청실용신안등록번호 20-0300465(2003.01.14)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0474246(2005.03.10)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이동롤러부가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로는사용자가 방충망장치를 이동할 때 또는 보관시에 별도의 압력을 가하지 않는 한 삽입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세로바;
상기 세로바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가로바;
상기 상부가로바를 이동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기 상부가로바 사이를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이동롤러부를 구성하되,
상기 이동롤러부의 이동롤러측면몸체부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의 일측에 방충망파지결합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방충망을 일체로 결합되도록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의 타측에 구성하는 삽입돌기1부;
상기 삽입돌기1부와 이격되어 구성하는 삽입돌기2부;
상기 삽입돌기1부와 상기 삽입돌기2부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에는 대응되는 각각에 삽입1홀과 삽입2홀에 결합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부는 이동롤러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삽입돌기1부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할 때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2홀과 결합할 때에 더이상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삽입돌기2부는 경사부가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두쌍의 롤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1홀과 삽입2홀 사이에 추가로 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와 상기 지지대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부 및 상기 삽입돌기2부의 각각의 좌우에는 슬릿부를 구성하여 탄성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 보다 하방향으로 더 길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삽입을 시작할 때 탄성이 더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개의 연결체로 이루어진 캐터필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로 구성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날개지지2부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로 연속되게 구성되되,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를 구성하며,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를 구성하고,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와 연결회전돌기부를 구성하며,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를 순차적으로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와 연결회전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에 의하여 결합구성되고,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안내지지부는 중앙부에 슬릿부를 구성하여,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의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캐터필러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호형요부에 상기 제2연결체의 제2가이드호형부가 삽입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체 및 상기 제2연결체가 상기 연결회전홀부를 중심으로 제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연결체들이 직각되는 상기 지지대로 진출이동할 때 상기 연결체의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의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회전홀부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결회전돌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접이홈부는 호형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접이홈부의 호형의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체를 45도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터필러장치는 직각으로 구성된 손잡이를 지지하고 방충망을 결합하는 지지대를 통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의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되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상기 지지대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가 이동하는 것을 연결해주도록 구성하는 접속결합부를 가지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캐터필러가 상기 지지대로 진입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하부에 캐터필러안내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의 내부에는 접속결합안내돌기부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상기 연결체의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속결합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는 지지대결합부를 단차지도록 구성하고 방충망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결합부와 결합하도록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와 상기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의 하단부에 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로는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이동롤러부가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발명의 두번째 효과로는사용자가 방충망장치를 이동할 때 또는 보관시에 별도의 압력을 가하지 않는 한 삽입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제1a도는 방충망 장치를 보이는 전체도이다.
제1b 내지 제2도는 지지대의 상부에서 이동롤러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3a 도 및 제3b 도는 이동롤러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4a 도 내지 제4c도는 이동롤러부에 구성된 돌기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 내지 제 5c도는 이동롤러부가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의 돌기부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보이는 전체도이다.
제7a 도 내지 제7c도는 캐터필러의 단위인 연결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8a 도 내지 제8d도는 캐터필러가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9a 내지 제9g도는 접속결합부 및 접속결합부와 캐터필러의 결합부분을 보이는 도이다.
제10a 내지 제10c도는 캐터필러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보이는 도이다.
제10d도는 지지대와 접속결합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11a도 내지 제11b도는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 1a 내지 도5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방충망을 설치하기 위하여 두개의 세로바(300)와 상기 세로바(300)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가로바(400)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가로바(400)를 이동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도록 지지대(200)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200)가 상기 상부가로바(400) 사이를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 이동롤러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롤러부(100)의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와 상기 지지대(200)가 결합한다.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의 일측에 방충망파지결합부(140)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방충망을 일체로 결합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의 타측에 구성하는 삽입돌기1부(150)를 구성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지지대(200)의 내부에 삽입할 때에 원할하게 들어가도록 테이퍼형태의 경사도를 가진다.
한번 결합하면 별도로 삽입돌기1부(150)를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결합을 해제하지 않는 한 쉽사리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돌기1부(150)와 이격되어 삽입돌기2부(160)를 구성한다.
이렇게 2중으로 상기 이동롤러부(100)와 지지대(200)의 상부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삽입돌기1부(150)와 상기 삽입돌기2부(160)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200)에는 대응되는 각각에 삽입1홀(250)과 삽입2홀(260)에 결합 구성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삽입2홀(260)은 사각형의 홀로 구성하였다.
상기 삽입돌기1부(150)는 이동롤러부(100)의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삽입돌기2부(160)는 상기 삽입돌기1부(150)의 하부에 구성된다.
상기 삽입돌기2부(160)는 상기 지지대(200)의 상부에서 결합할 때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2홀(260)과 결합할 때에 더이상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삽입돌기2부(160)는 경사부가 없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이격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롤러부(100)는 두쌍의 롤러를 구성하는 것으로 롤러1부(110)와 롤러2부(120)를 각각 2개씩 구성하여 상부가로바(400)에서 이동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1홀(250)과 삽입2홀(260) 사이에 추가로 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와 상기 지지대(200)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3중으로 이격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1부(150) 및 상기 삽입돌기2부(160)의 각각의 좌우에는 슬릿부(152,162)를 구성하여 탄성이 있도록 구성하여 지지대(200)의 하부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돌기2부(160)는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 보다 하방향으로 더 길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200)에 삽입을 시작할 때 탄성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테이퍼형태로 구성되지 않아서 적당한 접촉력으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이격되지 않도록 운반시에는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하기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동롤러측면몸체부(130)를 지지대(200)에 삽입할 때에 결합단차부(135)까지 삽입되도록 하며 결합부(170)의 구성에 나사홀부(270)의 나사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다.
도6 내지 도10d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다수개의 연결체(1000)로 캐터필러장치(1)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체(1000)는 일측면에 구성한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타측면에 접촉지지날개2부(1400)로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0)보다 각각 내측으로 단차되어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0)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0)로 연속되게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0)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를 구성한다.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0)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0)의 단부에서는 각각 가이드호형부(1920a,1940a)를 구성한다.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0) 및 상기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0)에는 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접이돌기부(1150)와 연결회전돌기부(1250)를 구성한다.
단부에 근접되는 곳에 상기 가이드접이돌기부(1150)를 구성하고 이격되어 상기 연결회전돌기부(1250)를 순차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접이홈부(1100)와 연결회전홀부(1200)를 구성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0)의 하부에서 연결이음부(1500)에 의하여 결합구성된다.
상기 접촉지지날개1부(1300)와 상기 접촉지지날개2부(1400)의 상부에서 각각 안내지지부(1600)를 구성한다.
상기 안내지지부(1600)는 중앙부에 슬릿부(1700)를 구성한다.
각각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2000)의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회전홀부(120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상기 제2연결체(2000)의 제2연결회전돌기부(2250)를 삽입하여 직각구성되는 지지대(4000)의 내부로 진출되도록 캐터필러장치(1)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0)가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0)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에 상기 제2연결체(2000)의 제2가이드호형부(2920a,2940a)가 삽입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체(1000) 및 상기 제2연결체(2000)가 상기 연결회전홀부(1200)를 중심으로 제한되도록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연결체들(1000, 2000)이 직각되는 상기 지지대(4000)로 진출이동할 때 복수의 연결체들(1000,2000)이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2연결체(2000)의 상기 제2가이드접이돌기부(215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회전홀부(1200)에 삽입되는 상기 제2연결회전돌기부(225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0)는 호형의 구성을 갖는 것이다.
제1연결체(1000)와 제2연결체(2000)가 결합될 때에 가이드호형부(1920a,1940a)는 선행되는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와 결합하여 직각으로 이동될때 호형으로 구성된 부분끼리 원할하게 접촉되면서 긴밀하게 회전하는 것이다.
즉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에는 제2가이드호형부(2920a,2940a)가 원할하게 호형 형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다.
가이드호형철부(1350a,1450a)는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로 인하여 외부의 형상인 것이다.
제2가이드호형철부(2350a,2450a)는 가이드호형요부(1350,1450)로 인하여 외부의 형상인 것이다.
내부공간부(1800)는 접속결합부(3000)에 구성된 접속결합안내돌기부(3100)가 삽입되어 캐터필러장치(1)를 원할하게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제2가이드접이홈부(2100)는 후속하는 제3의 가이드접이돌기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제2연결회전홀부(2200)도 후속하는 제3의 연결회전돌기부가 삽입되는 구성이다.
제2접촉지지날개1부(2300)와 제2접촉지지날개2부(2400)의 내측면에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삽입접촉지지날개1부(1920) 및 삽입접촉지지날개2부(1940)가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2가이드호형요부(2350,2450)는 후속되어 연결되는 제3의 가이드호형부가 삽입된다.
호형접촉부(1360,1460)및 제2호형접촉부(2360,2460)는 지지대(4000)로 진입하기 위하여 45각도로 경사될때 가이드호형철부(1350a,1450a)가 접촉하여 더이상 회전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구성이다.
캐터필러안내가이드(3500)부의 경사도를 따라 원할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제2연결이음부(2500), 제2안내지지부(2600) ,제2슬릿부(2700) 및 제2내부공간부(2800)는 제1연결체(1000)의 구성설명에서와 동일하다.
캐터필러이동공간부(3400)은 접속결합부(3000)의 내부공간부(18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곳으로 캐터필러연결체가 이동하는 것이다.
방충망(5000)은 방충망지지부(6000)로 지지하여 지지대(4000)와 결합하는 것이다.
하부지지대(7000)은 캐터필러(1)가 하부에서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접이홈부(1100)의 호형의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체(1000)를 45도로 회전이동되는 것이어서 원할하게 접속결합부(3000)를 통하여 직각으로 구성된 지지대(4000)로 캐터필러장치(1)가 진출입되는 것이다.
캐터필러장치(1)를 이용하여 직각으로 구성된 손잡이(8000)를 지지하고 방충망(5000)을 결합하는 지지대(4000)를 통하여 방충망(5000)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4000)의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1)가 이동되기 위하여,
중공형상의 상기 지지대(4000) 내부로 상기 캐터필러장치(1)가 이동하는 것을 연결해주도록 구성하는 접속결합부(3000)를 가지는 캐터필러장치(1)를 이용한 방충망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접속결합부(3000)는 상기 캐터필러(1)가 상기 지지대(4000)로 진입할 때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하부에 캐터필러안내가이드(350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접속결합부(3000)의 내부에는 접속결합안내돌기부(3100)를 구성하여 복수개의 상기 연결체(1000)의 슬릿부(1700)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안전하고 원할하게 지지대(4000)로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는 캐터필러장치(1)를 이용하여 방충망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결합부(3000)는 상기 지지대(4000)와 결합하는 지지대결합부(3320,3520)를 단차지도록 구성하고 방충망(500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결합부(3320,3520)와 결합하도록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3200)와 상기 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3200)의 하단부에 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3250)를 구성하여 안전하게 방충망(5000)을 결합하여 틈새를 통하여 해충들이 방안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이동롤러부 110:롤러1부 120:롤러2부
130:이동롤러측면몸체부 135:결합단차부 140:방충망파지결합부
150:삽입돌기1부 152,162:슬릿부 160:삽입돌기2부 170:결합부
200:지지대 250:삽입1홀 260:삽입2홀 270:나사홀부
300:세로바 400:상부가로바
1000:제1연결체 1100:가이드접이홈부 1150:가이드접이돌기부
1200:연결회전홀부 1250:연결회전돌기부 1300:접촉지지날개1부
1400:접촉지지날개2부 1350,1450:가이드호형요부
1350a,1450a:가이드호형철부 1360,1460:호형접촉부
1500:연결이음부 1600:안내지지부 1700:슬릿부 1800:내부공간부
1920:삽입접촉지지날개1부 1940:삽입접촉지지날개2부
1920a,1940a:가이드호형부 2000:제2연결체 2100:제2가이드접이홈부
2150:제2가이드접이돌기부 2200:제2연결회전홀부 2250:제2연결회전돌기부
2300:제2접촉지지날개1부 2400:제2접촉지지날개2부
2350,2450:제2가이드호형요부 2350a,2450a:제2가이드호형철부
2360,2460:제2호형접촉부
2500:제2연결이음부 2600:제2안내지지부 2700:제2슬릿부
2800:제2내부공간부 2920a,2940a:제2가이드호형부
3000:접속결합부 3100:접속결합안내돌기부 3200:방충망결합지지결합1부
3250:방충망결합지지결합2부 3320,3520:지지대결합부
3400:캐터필러이동공간부 3500:캐터필러안내가이드 4000:지지대
5000:방충망 6000:방충망지지부 7000:하부지지대 8000:손잡이
1:캐터필러장치

Claims (7)

  1. 세로바;
    상기 세로바의 상부에 구성되는 상부가로바;
    상기 상부가로바를 이동하여 방충망을 개폐하도록 구성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기 상부가로바 사이를 원할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이동롤러부를 구성하되,
    상기 이동롤러부의 이동롤러측면몸체부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의 일측에 방충망파지결합부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방충망을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의 타측에 구성하는 삽입돌기1부;
    상기 삽입돌기1부와 이격되어 구성하는 삽입돌기2부;
    상기 삽입돌기1부와 상기 삽입돌기2부와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에는 대응되는 각각에 삽입1홀과 삽입2홀에 결합 구성하며,
    상기 삽입돌기1부는 이동롤러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삽입돌기1부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지지대와 결합할 때 삽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2홀과 결합할 때에 더이상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상기 삽입돌기2부는 경사부가 없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롤러부는 두쌍의 롤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1홀과 삽입2홀 사이에 추가로 홀을 구성하여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와 상기 지지대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부 및 상기 삽입돌기2부의 각각의 좌우에는 슬릿부를 구성하여 탄성이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2부는 상기 이동롤러측면몸체부 보다 하방향으로 더 길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삽입을 시작할 때 탄성이 더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0210053363A 2021-04-24 2021-04-24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62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63A KR102625257B1 (ko) 2021-04-24 2021-04-24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363A KR102625257B1 (ko) 2021-04-24 2021-04-24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78A KR20220146278A (ko) 2022-11-01
KR102625257B1 true KR102625257B1 (ko) 2024-01-16

Family

ID=8404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363A KR102625257B1 (ko) 2021-04-24 2021-04-24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78B1 (ko) * 2006-11-13 2007-10-25 김기남 롤타입 방충망의 상하 구동장치
KR101357945B1 (ko) 2012-10-25 2014-02-03 정장훈 완충기능을 구비한 방충망의 현수부재
KR101796670B1 (ko) *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101823363B1 (ko) 2016-01-29 2018-01-31 이제택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692B1 (ko) 2002-01-11 2004-08-02 정장훈 롤러식 방충망
KR200300465Y1 (ko) 2002-09-18 2003-01-14 양용선 롤러식 방충망의 슬라이드 안내 장치
KR100474246B1 (ko) 2003-01-22 2005-03-1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KR200484441Y1 (ko) * 2015-04-27 2017-09-06 김태연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78B1 (ko) * 2006-11-13 2007-10-25 김기남 롤타입 방충망의 상하 구동장치
KR101357945B1 (ko) 2012-10-25 2014-02-03 정장훈 완충기능을 구비한 방충망의 현수부재
KR101823363B1 (ko) 2016-01-29 2018-01-31 이제택 모서리 연결부재에 장착된 고정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이 용이한 절첩식 방범 방충용 도어의 고정장치
KR101796670B1 (ko) * 2017-08-21 2017-11-10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278A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464B2 (en) Quick connector for shade structure
US8020328B2 (en) Connecting elements for construction
KR20200079210A (ko) 창틀 결합식 캣타워
US9271551B2 (en) Umbrella rib connector
ES2801651T3 (es) Junta para la conexión angular de miembros de perfil huecos y método que utiliza dicha junta
KR102625257B1 (ko)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625517B1 (ko) 잠금부결합장치
KR102625518B1 (ko) 방충망 파지장치
KR102625250B1 (ko) 손잡이부결합장치
CN209610570U (zh) 一种婴儿床折叠关节结构
KR102653993B1 (ko) 중심축조절장치
KR100535824B1 (ko) 텐트용 폴대
KR101873428B1 (ko) 사다리
JP2015172314A (ja) 建具枠
KR102625252B1 (ko) 캐터필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충망장치
KR20190123525A (ko)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KR100569855B1 (ko) 절첩식 테이블용 지각 경첩
JPH0726536Y2 (ja) 上吊り扉用のレール構造
EP0991452B1 (fr) Piece de connexion
KR102673664B1 (ko) 무인 비행체의 접이식 구조체
KR20110094506A (ko)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KR200494740Y1 (ko) 대형 스크린 장치
KR20160064769A (ko) 폴딩 도어
KR200275359Y1 (ko) 휴대용 텐트의 절첩구조
ES2781185T3 (es) Elemento centrador, particularmente para postes delanteros para marcos en paredes de puertas deslizantes retrác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