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93B1 - 중심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중심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993B1
KR102653993B1 KR1020220088414A KR20220088414A KR102653993B1 KR 102653993 B1 KR102653993 B1 KR 102653993B1 KR 1020220088414 A KR1020220088414 A KR 1020220088414A KR 20220088414 A KR20220088414 A KR 20220088414A KR 102653993 B1 KR102653993 B1 KR 10265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central axis
shaft
axis
adjustm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0971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다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솔루션 filed Critical (주)다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8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93B1/ko
Publication of KR2024001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2Gear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05Y2201/718Bevelled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축조절케이스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 내에 구성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중심축부는 숫나사부와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부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중심축회전방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숫나사부에는 베벨기어1부와 결합 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1부의 몸체부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베벨기어1부의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구성하고 이에 직각으로 베벨기어2부의 베벨기어와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2부의 지지축인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와 결합하며,
상기 베벨기어2부와 고정결합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지지하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상기 베벨기어2부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1부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상기 중심축부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창틀에 문의 고정과 해제를 반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문의 상기 중심축부를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문의 좌우방향에 상기 중심축부의 해제와 고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심축조절장치{central axis adjusting device}
본원발명은 자유롭게 용이하게 문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발명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등록특허 10-1121466호의 기술로 도11에 따르면 방충망용 잠금 및 해제장치(50)가 적용되는 롤러형 방충망은, 기존과 같이 하단에 파지 가능한 손잡이대(60)가 결합된 방충망(40)이 권회될 수 있도록 한 축봉과 스프링 권회수단이 내재된 하우징이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과 나란하도록 새시부재가 하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이들 하우징과 새시부재는 좌,우로 나란하게 이격된 수직의 레일부재(30)(30')에 의해 결합 고정된 프레임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대(60)에는 양측 끝단으로부터 출몰되는 잠금키(71)(71')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레일부재(30)(30')의 하단 내측으로는 상기 잠금키(71)(71')가 걸려 고정되거나 이탈되는 걸림구(31)(31')가 결합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구(31)(31')에 대한 잠금키(71)(71')의 걸림에 따른 전개상태의 방충망(40)에 대한 잠금 또는 걸림구(31)(31')로부터 잠금키(71)(71')가 이탈됨에 따라 전개상태의 방충망(40)이 하우징 내 축봉으로 권회되는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대(60)의 양측 끝단에는 방충망(40)의 하단 양측에 대한 고정 및 손잡이대(60) 끝단의 마감 그리고 잠금키(71)(71')의 원활한 출몰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더(61)(61')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대(60)의 내측에는 가이드몸체(7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몸체(70)의 양측으로는 잠금키(71)(71')를 갖는 슬라이더(72)(7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의 슬라이더(72)(72')는 가이드몸체(70)에 결합되어진 회전체(80)에 동시에 힌지 결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일측의 슬라이더(72)(72')는 가이드몸체(70)에 대하여 하트캠 걸림수단(9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의 슬라이더(72)(72')는 가이드몸체(70)에 대하여 스프링(1)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121466(2012.03.16)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261615(2013.05.07)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0474246(2005.03.10)
본원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간단한 도구에 의하여 문의 회전축을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문을 어느 방향으로 열것인가를 이동하는 창문에 구성한 베벨기어축을 회전시켜서 회전축이 해제되거나 고정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축조절케이스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 내에 구성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중심축부는 숫나사부와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부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중심축회전방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숫나사부에는 베벨기어1부와 결합 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1부의 몸체부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베벨기어1부의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구성하고 이에 직각으로 베벨기어2부의 베벨기어와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2부의 지지축인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와 결합하며,
상기 베벨기어2부와 고정결합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지지하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상기 베벨기어2부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1부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상기 중심축부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창틀에 문의 고정과 해제를 반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문의 상기 중심축부를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문의 좌우방향에 상기 중심축부의 해제와 고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중심축조절장치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부의 상기 숫나사부와 봉형상의 영역사이에 방지턱부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1부의 몸체가 더이상 봉형상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부가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방지턱부에 걸치면서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된 중심축요동방지부를 숫나사부를 통하여 삽입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벨기어1부의 베벨기어몸체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베벨기어요동방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몸체부를 둘러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베벨기어몸체부는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여유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의 일측에 구성된 머리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자홈, 십자홈 또는 각형의 머리부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의 타측에는 부싱부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측에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측에는 고정핀부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심축회전방지부는 상기 중심축부를관통하는 고정홀부에 삽입하여 중심축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홀부에 상기 중심축회전방지부를 삽입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가 각형으로 이루어져 대각선방향의 크기와 맞도록 구성하여 상기 중심축회전방지부가 회전이동하지 못하되,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부에서 봉형상으로 구성된 부분에 이동부를 결합구성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심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에 요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방향에서 이동부록킹부를 상기 요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부록킹부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이 원할하도록 간극부를 구성하되,
상기 요홈부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간극부의 주위에 나사결합부를 구성하여 상기 간극부를 축소시킴으로 상기 요홈부에 반경이 큰 상기 이동부록킹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에 이동방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로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요홈부와 상기 이동방지부 사이에 구성한 이동방지몸체부에 이동부요동방지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이동부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나사결합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 고정볼트체결홀부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간극부의 간극을 축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회전롤러가 구성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롤러축삽입부에는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좌우로 구분되어 구성하고 회전롤러결착볼트를 사용하여 좌우에 구성되어 레일을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부틀에 좌우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좌우의 레일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롤러의 중앙부위에 베어링부를 구성하여 창문틀에서 좌우로 회전하는데 원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창문틀의 문지방의 레일홈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이동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이동돌출부는 하부의 가로창틀의 레일홈부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효과는 간단한 도구에 의하여 문의 회전축을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하여 문을 어느방향으로 열 것인가를 이동하는 창문에 구성한 베벨기어축을 간단한 도구로 회전시켜서 회전축이 해제되거나 회전축이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a 내지 도 1j는 좌우로 중심축부를 옮겨서 구성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a는 축조절케이스부에 회전롤러가 중심축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고정볼트체결홀부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c는 도2b에서 중심축부가 돌출된 부분을 보이는 도이다.
도2d는 도2a의 길이방향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a는 도2a에서 축조절케이스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3b는 중심축부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베벨기어부를 중심으로 본 구성도이다.
도3c는 도3b의 분해도를 표시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a는 이동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도4b는 이동부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c는 부싱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d는 이동부록킹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5a는 베벨기어2부 및 그를 지지하는 부속품을 보이는 도이다.
도5b는 베벨기어2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a는 중심축부와 중심축회전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b는 중심축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c 및 도6d는 베벨기어1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e는 베벨기어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7a 및 도7b는 축조절케이스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8은 축조절케이스마개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9a,9b는 하부에 창문틀이 있는 레일의 사이를 왕복하는 것을 보이는 레일이동돌출부는 보이는 도이다.
도10a,10b는 하부에 창문틀이 없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1은 배경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a 내지 도 1j는 좌우로 중심축부를 옮겨서 구성하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2a는 축조절케이스부에 회전롤러가 중심축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2b는 도2a의 길이방향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도3a는 도2a에서 축조절케이스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도3b는 중심축부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베벨기어부를 중심으로 본 구성도이다.
도3c는 도3b의 분해도를 표시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도4a는 이동부의 구성을 보이는 도이다. 도4b는 이동부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c는 부싱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4d는 이동부록킹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5a는 베벨기어2부 및 그를 지지하는 부속품을 보이는 도이다.
도5b는 베벨기어2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a는 중심축부와 중심축회전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b는 중심축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c 및 도6d는 베벨기어1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6e는 베벨기어요동방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7a 및 도7b는 축조절케이스부를 보이는 도이다. 도8은 축조절케이스마개부를 보이는 도이다.도9a,9b는 하부에 창문틀이 있는 레일의 사이를 왕복하는 것을 보이는 레일이동돌출부는 보이는 도이다. 도10a,10b는 하부에 창문틀이 없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먼저 도1a 내지 도 1j는 좌우로 중심축부를 옮겨서 구성하는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a 내지 도1g까지는 우측에 중심축부가 삽입되어 우측으로 열린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h 및 도1i는 좌측에 중심축부가 삽입되어 좌측으로 열린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g의 세로창틀(10)에 기재된 본원발명에서는 지지축머리부(262)를 시계방향인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축부가 오른쪽상부에 구성된 상부고정홀(30)에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인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축부가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측으로 이동하여 중심축부(210)가 고정된 상부고정홀(30)에서 해제가 되는 것이다.
도1a 내지 도1d에 접이식문에 좌우측에 두개씩 4개가 구성된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e 및 도1f 하부고정홀(40)과 상부고정홀(30)이 구성되어있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1a 내지 도1d는 세로창틀과 가로창틀로 구성된 문은 벽체부착세로1틀(1)과 근접하여 중심축부가 상부고정홀과 하부고정홀에 삽입되어있는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도1h 및 도1i는 벽체부착세로2틀(1a)에 근접하여 중심축부가 상부고정홀과 하부고정홀에 삽입되어있는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지지축머리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중심축부를 해제 및 고정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벽체부착세로1틀(1), 벽체부착세로2틀(1a) 및 벽체부착가로1틀(2),벽체부착가로2틀(2a)을 벽체로부터 이격시켜서 문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원발명은 간단한 공구에 의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문의 방향을 바꿀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도면7a,7b에 의하여 설명하면 우선 축조절케이스부(300)를 구성한다.
축조절케이스부는 도면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8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여 향후에 중심축부(210)와 관련된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 내부에 중심축부(21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부(210)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중심축부(210)로 문을 고정하고 해제하여 문을 어느방향을 중심으로 열고 닫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한번공사를 한 후에는 창틀을 벽으로부터 인출하여 문의 방향을 바꾸게 되는 불리함을 본원발명에서는 해결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벽과 일체가 된 매설된 벽창틀지지부에 중심축부조절부가 있는 것이 아니라 창문틀에 구성되어있어 언제라도 중심축부의 방향을 바꿀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좌우 한쌍씩 각각 두개를 두어 총4개가 필요하다.
도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부(210)는 숫나사부(215)와 봉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중심축부(210)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중심축회전방지부(220)를 구성한다.
도2a 내지 도면3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중심축회전방지부(220)은 축조절케이스부(30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숫나사부(215)에는 베벨기어1부(240)와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베벨기어1부(240)의 몸체부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242)로 구성되어 상기 중심축부(210)에 구성한 숫나사부(215)와 나사결합하여 베벨기어1부의 회전에 의하여 숫나사부를 회전시켜 중심축부(21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여 최종적으로는 베벨기어부로 인하여 중심축부(210)를 바꾸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동부록킹부(170)를 이동부(110)의 요홈부(113)에 결착하기 위하여 축조절케이스부(300)에 삽입된 이동부록킹부(170)를 고정볼트체결홀부(354)를 통하여 고정볼트(172)를 체결하여 간극부(173)가 좁혀지도록 구성하여 이동부(110)가 축조절케이스부(300) 내부에 견고하게 파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나사결합부에 고정볼트(172)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에 고정볼트체결홀부(354)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간극부(173)의 간극을 축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5a,5b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베벨기어1부(240)의 상부에는 베벨기어(245)를 구성하고 이에 직각으로 베벨기어2부(270)의 베벨기어(275)와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베벨기어2부(270)의 지지축인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를 횡단하여 지지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베벨기어2부(270)와 고정결합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를 지지하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상기 베벨기어2부(27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1부(240)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상기 중심축부(210)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고정된 창틀에 문의 고정과 해제를 반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문의 상기 중심축부(210)를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문의 좌우방향에 상기 중심축부(210)의 해제와 고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중심축조절장치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부(210)의 상기 숫나사부(215)와 봉형상의 영역사이에 방지턱부 (212)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1부(240)의 몸체가 더이상 봉형상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6b에 의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중심축부(210)가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방지턱부(212)에 걸치면서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된 중심축요동방지부(230)를 숫나사부(215)를 통하여 삽입구성하는 것이다.
중심축요동방지부(230)는 도면7b에서 축조절케이스부(300)의 공간부와 알맞게 결합되도록 하여 회전할 수 없이 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축조절케이스부(300)의 일단부에는 축삽입부(310)가 구성되어있고 세로창틀(10)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세로축고정용홀부(320,330)를 통하여 볼트로 체결하여 세로창틀(10)과 고정시킨다.
축조절케이스부(300)의 타단부에는 상부면부(352)와 하부면부(351)로 구성되고 베벨기어2부지지축부홀부(353)이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타단부의 단부는 도면8의 축조절케이스마개부(360)로 커버링하여 마무리한다.
도면6c 내지 도면6e에 의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베벨기어1부(240)의 베벨기어몸체부(243)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베벨기어요동방지부(250)를 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몸체부(243)를 둘러싸도록 구성한다.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250)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베벨기어몸체부(243)는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25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부를 여유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베벨기어요동방지부(250)에 구성된 고정바닥부(255)는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공간부에서 가장넓은 부위에 안착하고 나머지 부분도 요철부의 길이가 조절되어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5a.5b에 의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의 일측에 구성된 머리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자홈 , 십자홈 또는 각형의 머리부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의 타측에는 부싱부(280)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측에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외측에는 고정핀부(290)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가 마찰력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베벨기어2부지지축부(260)에는 고정평면부(264)를 두어 베벨기어2부(270)의 홀부에 평면부로 구성된 회전방지평면부(274)와 결합하여 회전할 때에 회전축인 베벨기어2부지지축부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6a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중심축회전방지부(220)는 본원발명에서는 핀으로 구성하여 상기 중심축부(210)를 관통하는 고정홀부(213)에 삽입구성하여 중심축부(2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홀부(213)에 핀을 삽입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가 각형으로 이루어져 대각선방향의 크기와 맞도록 구성하여 핀이 회전이동하지 못하되,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d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중심축부(210)에서 봉형상부(212)로 구성된 부분에 이동부(110)를 결합구성한다.
상기 이동부(110)는 상기 중심축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1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110)에 요홈부(113)를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방향에서 이동부록킹부(170)를 상기 요홈부(113)에 삽입한다.
상기 이동부(110)의 단부에는 원뿔형상으로 경사부(112)가 되어있어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에 이동부(110)를 삽입하고 내부에서 이동부록킹부(170)를 억지끼움맞춤으로 힘을 가하면 간극부(173)로 인하여 삽입이 원할하여진다.
즉, 상기 이동부록킹부(170)는 상기 요홈부(113)에 삽입이 원할하도록 간극부(173)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요홈부(113)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간극부(173)의 주위에 나사결합부를 구성하여 고정볼트(172)로 고정홀부(171)에 삽입하여 상기 간극부(173)를 축소시킴으로 상기 요홈부(113)에 반경이 큰 상기 이동부록킹부(170)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110)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110)에 이동방지부(117)를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300)의 내부로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요홈부(113)와 상기 이동방지부(117) 사이에 구성한 이동방지몸체부(114)에 이동부요동방지부(180)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이동부(110)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110)의 단부에는 회전롤러(120,130)가 구성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부(115)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롤러축삽입부(115)에는 상기 회전롤러(120,130)가 삽입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홀부(116)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롤러(120,130)는 좌우로 구분되어 구성하고 회전롤러결착볼트(150)를 사용하여 좌우에 구성되어 레일을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롤러(120,130)는 상부틀에 좌우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좌우의 레일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롤러(120,130)의 중앙부위에 베어링부(140)를 구성하여 창문틀의 좌우로 레일상에서 회전하는데 원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회전롤러를 하부틀에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회전롤러는 상부틀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도면9a,9b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부(110)의 단부에는 창문틀의 문지방의 레일홈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이동돌출부(118)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이동돌출부(118)는 하부의 가로창틀의 레일홈부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면10a,10b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부의 가로창틀이 없을 경우에 레일이 없음으로 이동부는 특별한 형상이 없이 원통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도면10a는 좌측 또는 우측문틀모서리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중심축부(21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창문축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교체할 경우에는 용이하게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하여 창문의 여는 방향과 회전중심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중심축조절장치는 창문이 두개있는 경우에는 좌우에 각각 상하로 구성하여 4개가 필요하다.
두개이상의 복수개의 창문이 구성되어도 좌우가장자리에 있는 세로틀에 각각 2개씩 총4개의 중심축조절장치로 좌우에 원하는 방향에 수시로 드라이버 또는 간단한 도구 등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중심축을 변경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매우편리한 구성의 발명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벽체부착세로1틀 1a:벽체부착세로2틀 2:벽체부착가로1틀
2a:벽체부착가로2틀
10:세로창틀 20:가로창틀 30:상부고정홀 40:하부고정홀
110:이동부 112:경사부 113:요홈부
114: 이동방지부몸체부 115:회전롤러축삽입부
116:회전롤러축삽입홀부 117:이동방지부 118:레일이동돌출부
120,130 :회전롤러 140:베어링부 150:회전롤러결착볼트
170:이동부록킹부 171:고정홀부 172:고정볼트 173:간극부 175:부싱부
180:이동부요동방지부
210:중심축부 212:방지턱부 213:고정홀부 215:숫나사부
220:중심축회전방지부 230:중심축요동방지부
240:베벨기어1부 242:암나사부 243:베벨기어몸체부 245,275:베벨기어
250:베벨기어요동방지부 255:고정바닥부
260:베벨기어2부지지축부 262:지지축머리부 264:고정평면부
270:베벨기어2부 274:회전방지평면부 280:부싱부 290:고정핀부
300:축조절케이스부 310:축삽입부 320,330:세로축고정용홀부
351:하부면부 352:상부면부 353:베벨기어2부지지축부홀부
354:고정볼트체결홀부 360:축조절케이스마개부

Claims (15)

  1. 창틀에 안착구성되는 창문;
    상기 창문의 외부를 구성하는 창문구성틀;
    상기 창문구성틀의 세로축 상하부 내부에 구성되는 축조절케이스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 내에 구성하는 중심축부;
    상기 중심축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중심축부의 일부는 숫나사부로 구성되고 나머지부는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축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로부터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중심축부에 중심축회전방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숫나사부에는 기어부가 연결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중심축부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숫나사부를 이루는 상기 중심축부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창틀에 상기 창문구성틀의 고정과 해제를 반복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창문구성틀의 세로축 상하부 외부에서 상기 기어부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창문구성틀의 세로축 내부에 구성된 상기 중심축부가 상기 창틀에 해제와 고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베벨기어1부로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1부의 몸체부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로 구성되어 상기 숫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며,
    상기 베벨기어1부의 상부에는 베벨기어를 구성하고 이에 직각으로 베벨기어2부의 베벨기어와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2부의 지지축인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와 결합하며,
    상기 베벨기어2부와 고정결합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지지하는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상기 베벨기어2부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베벨기어1부가 회전하면서
    나사결합된 상기 중심축부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중심축부의 해제와 고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의 상기 숫나사부와 봉형상의 영역사이에 방지턱부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1부의 몸체가 더이상 봉형상의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가 요동하지 않도록 상기 방지턱부에 걸치면서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된 중심축요동방지부를 숫나사부를 통하여 삽입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1부의 베벨기어몸체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베벨기어요동방지부를 구성하되, 상기 베벨기어몸체부를 둘러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의 공간에 맞도록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는 회전하지 않으면서 상기 베벨기어몸체부는 상기 베벨기어요동방지부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여유있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의 일측에 구성된 머리부에는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자홈 , 십자홈 또는 각형의 머리부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의 타측에는 부싱부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측에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측에는 고정핀부를 구성하여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서 상기 베벨기어2부지지축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중심축회전방지부는 상기 중심축부를관통하는 고정홀부에 삽입하여 중심축부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정홀부에 상기 중심축회전방지부를 삽입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가 각형으로 이루어져 대각선방향의 크기와 맞도록 구성하여 상기 중심축회전방지부가 회전이동하지 못하되,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부에서 봉형상으로 구성된 부분에 이동부를 결합구성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심축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에 요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방향에서 이동부록킹부를 상기 요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부록킹부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이 원할하도록 간극부를 구성하되,
    상기 요홈부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간극부의 주위에 나사결합부를 구성하여 상기 간극부를 축소시킴으로 상기 요홈부에 반경이 큰 상기 이동부록킹부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 이동방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의 내부로 더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요홈부와 상기 이동방지부 사이에 구성한 이동방지몸체부에 이동부요동방지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이동부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에 고정볼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축조절케이스부에 고정볼트체결홀부를 구성하여 상기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간극부의 간극을 축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회전롤러가 구성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부를 구성하고,
    상기 회전롤러축삽입부에는 상기 회전롤러가 삽입되도록 회전롤러축삽입홀부를 구성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좌우로 구분되어 구성하고 회전롤러결착볼트를 사용하여 좌우에 구성되어 레일을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는 상부틀에 좌우로 길이방향으로 구성된 좌우의 레일을 타고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의 중앙부위에 베어링부를 구성하여 창문틀에서 좌우로 회전하는데 원할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는 창문틀의 문지방의 레일홈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이동돌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이동돌출부는 하부의 가로창틀의 레일홈부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심축조절장치.
KR1020220088414A 2022-07-18 2022-07-18 중심축조절장치 KR10265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14A KR102653993B1 (ko) 2022-07-18 2022-07-18 중심축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414A KR102653993B1 (ko) 2022-07-18 2022-07-18 중심축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71A KR20240010971A (ko) 2024-01-25
KR102653993B1 true KR102653993B1 (ko) 2024-04-04

Family

ID=8972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414A KR102653993B1 (ko) 2022-07-18 2022-07-18 중심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7736B2 (ja) * 1996-08-08 1999-07-28 株式会社末廣産業 吊り戸用走行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ストッパー部材
KR100474246B1 (ko) 2003-01-22 2005-03-1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방충망장치용 안내레일
KR101261615B1 (ko) 2010-10-20 2013-05-07 박상연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KR101121466B1 (ko) 2011-07-13 2012-03-16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롤러형 방충망의 잠금 및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971A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3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двери или другого подобного закрывающего элемента с поворотно-скользящим перемещением
EP0883726A1 (de) Schiebetüranlage
DE202013102822U1 (de) Türbauteil
US20060180283A1 (en) Transportable safety barrier
KR102653993B1 (ko) 중심축조절장치
EP2859829A1 (en) Door assembly
KR102081330B1 (ko) 폴딩도어 구조
DE19510941C2 (de) Wandhalterung für einen Sanitärgegenstand
KR101739932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2625257B1 (ko)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KR10211034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절첩식 방충망 도어
KR102625517B1 (ko) 잠금부결합장치
KR20080003141U (ko) 방충겸용 방범문의 프레임 유격 조절 구조
DE202019001846U1 (de) Magnetischer Türschließer
DE102016213394B4 (de) 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als Insektenschutz
KR102653592B1 (ko) 도어 닫힘 방지 경첩
KR100873735B1 (ko) 강화유리 도어용 잠금장치
KR102176425B1 (ko) 접이식문 경첩장치 및 레일이동부접이식문경첩장치와 그를 이용한 접이식문
KR102522760B1 (ko) 접이식 도어
KR200341239Y1 (ko) 폴딩 도어
CN110409983B (zh) 门栏组件和门栏限位方法
KR102559197B1 (ko) 잠금장치를 갖는 길이 가변형 방범창
KR102239967B1 (ko) 도어용 잠금 핸들
ITMI20110528A1 (it) Cerniera migliorata per porte tagliafuoco
WO2000009842A1 (de) Raumsparende bzw. behindertengerechte tü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