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615B1 -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615B1
KR101261615B1 KR1020100102631A KR20100102631A KR101261615B1 KR 101261615 B1 KR101261615 B1 KR 101261615B1 KR 1020100102631 A KR1020100102631 A KR 1020100102631A KR 20100102631 A KR20100102631 A KR 20100102631A KR 101261615 B1 KR101261615 B1 KR 10126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r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rai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054A (ko
Inventor
박상연
Original Assignee
박상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연 filed Critical 박상연
Priority to KR102010010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6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구된 연동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일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연동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연동공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DEVICE FOR ROTATING SUPPORTER, RAIL ASSEMBLY AND ROLL-DRIVEN SCREE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충망이 롤에 권취되거나 롤에서 풀려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와, 그의 레일 어셈블리, 및 레일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지지체 선회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의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충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먼저, 고정형 방충망은 창호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창호의 개방이 그에 의해 제한되기도 한다. 또한, 방충망이 항상 펼쳐져 있기 때문에 먼지 등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에 의해 망의 구멍이 막히게 되어 환기성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롤 스크린(Roll screen)형 방충망이 새로운 형태로서 도입되었다. 롤 스크린형 방충망은 방충 기능이 필요할 경우에만 창호를 막고, 방충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창호를 막지 않도록 두루 마리식으로 감아 올려서 창호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롤 스크린형 방충망은 롤을 사용하는 점에서 롤 구동형 방충망으로 불려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과의 공간적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게 작동하면서 방충망을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지체 선회 모듈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구된 연동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일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연동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연동공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가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의 상기 베이스에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준 그루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일 단부를 이루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타 단부를 이루는, 연장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공은 상기 복수의 지지체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각도를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 모서리에 상기 중앙부에 대해 연결되어, 상기 중앙부와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이 일 면이 개구된 형태가 되게 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가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는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이동편;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시 상기 이동편이 걸려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는 평탄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중앙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는, 내부 중공부를 가진 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측면 중 일부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이상의 지지체 선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걸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대응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 선회 모듈을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 면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가 선회되어 세워진 때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는, 탄성적으로 감겨지는 롤이 설치된, 카세트; 일 단부는 상기 롤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롤에 감겨지거나 상기 롤로부터 풀려지도록 구동되는, 방충망; 상기 카세트의 양단부들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되는 방충망의 양단부를 안내하며, 제9항에 따르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방충망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이 상기 카세트에서 멀어진 일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에 의하면, 지지체를 선회 구동하는 슬라이더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되므로, 슬라이더가 외부 구성과 공간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서 지지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하우징 내부 공간에 슬라이더를 삽입하는 구조에 의해, 이들 간의 조립이 간단해져서 제작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충망 장치의 방충망(200)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방충망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지지체(750)가 누운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지지체(750)가 회전하여 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를 채용한 레일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충망 장치는, 카세트(100)와, 방충망(200)과, 핸들(300)과, 레일 어셈블리(400)와, 고정 유닛(500)과, 연결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카세트(100)는 대체로 내부가 빈 봉의 형태일 수 있다. 카세트(100)는 직선 형태를 가짐으로써, 창문 틀 등에 설치되기에 알맞다.
방충망(200)은 와이어(Wire)가 격자 구조로 엮여진 망일 수 있다. 와이어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들이 엮여서 한정하는 메쉬홈으로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방충망(200)의 일 부분은 카세트(100)에 연결되고 타부분은 핸들(300)에 연결된다.
핸들(300)은 카세트(100)에 대하여 멀어진 위치(도 1 참조)와, 근접한 위치(도 2 참조)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핸들(300)은 카세트(100)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00)는 카세트(100) 및 핸들(300)의 인접한 단부들을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레일 어셈블리(40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들일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00)는 방충망(200)의 양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 유닛(500)은 핸들(300)과 레일 어셈블리(400)에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고정 유닛(500)은 핸들(300)이 전개 위치(도 1 참조)에 고정되게 한다. 핸들(30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530)는, 핸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충망 장치는 창문의 개폐와 연동되어 작동하지는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카세트(100)나 핸들(300)이 창문에 고정되지 않고, 창틀에 고정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방충망 장치의 방충망(200)이 수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핸들(300)은 카세트(100)와 접촉하는 상태이다. 이는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유닛(500)이 해제됨에 따라, 핸들(300)이 카세트(100)를 향하여 이동된 결과이다.
이러한 이동 중에, 방충망(200)은 카세트(100) 내로 수납된다. 이는, 방충망(200)을 감기 위해 발휘되는 힘이, 카세트(100) 내에서 발휘됨에 따른 것이다.
이상의 방충망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방충망 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카세트(100)는, 몸체(110)와, 롤(120)과, 스프링(130)과, 커버(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방충망(200)의 폭에 대응하여 연장하는 구조체이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110)의 일 부분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으로 방충망(200)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몸체(110)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롤(120)은 몸체(1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속이 빈 채로 연장하는 원통체일 수 있다. 롤(120)에는 방충망(20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상단(210)이 연결된다. 롤(120)은 방충망(200)을 감기 위한 것으로서, 방충망(200)의 폭에 대응하여 길이가 결정될 것이다.
스프링(130)은 탄성력을 축적하거나 발산하기 위한 부재이다. 예를 들어, 방충망(200)이 롤(120)에서 풀리도록 당겨지면, 스프링(130)은 인장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방충망(200)이 롤(120)에 감겨지는 동안에, 스프링(130)은 축적된 탄성력을 발산하여 방충망(200)이 롤(120)에 감겨지도록 하는 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130)은,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Torsional spring)일 수 있다. 스프링(130)은 샤프트(142) 등과 함께 롤(120)의 중공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140,150)는 몸체(110)의 양단부를 덮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커버(140)에는, 스프링(130)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체(141)와, 스프링(13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관통하여 스프링(130)을 지지하는 샤프트(14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커버(150)에는 지지축(151)이 돌출 형성되고, 지지축(151)은 고정체(155)에 선회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체(155)는 샤프트(142)의 자유단에 결합 된다.
방충망(200)의 상단(210)은 롤(120)에 감겨진다. 방충망(200)의 하단(220)은 핸들(300)에 고정된다.
핸들(300)은 내부에 방충망(200)의 하단(220)을 고정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중공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300)의 측면에는 커버(310)가 결합되고, 이러한 커버(310)에는 고정 유닛(500)의 일부인 고정 돌기(510)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00) 내로는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레일 어셈블리(400) 내에는 또한, 고정 유닛(500)의 일부인 수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520)는 고정 돌기(510)를 수용하여, 그들이 서로 결합되어 핸들(300)이 일 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연결대(600)는 레일 어셈블리(400)의 하단에 결합 될 수 있다.
이상의 레일 어셈블리(4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400)는, 프레임(410)과, 수용벽(420)과, 지지턱(430)과, 지지체 선회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10)은 내부에 중공부(H)를 가진 채로 길이 방향(본 도면이 그려진 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부재일 수 있다. 프레임(410)의 측면 중 일 부분은 위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다. 이렇게 개방된 부분(O)을 통해서는, 방충망(200)과 핸들(300)의 가장자리 부분들이 중공부(H)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서로 대응되는 제1 면(411)과 제2 면(412)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411)과 제2 면(412)이 서로 대략 평행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면(411)에는 수용벽(42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벽(420)은 제1 면(411)에 대하여 일정 각도(α)만큼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도(α)는 대략 65°내지 8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범위는, 방충망(200)이 중공부(H) 밖으로 당겨질 때 지지체(750)가 그에 저항하여 버티는 힘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수용벽(42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윤곽에 대응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412)에는 지지턱(43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430)은 지지체(75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지지턱(430)은 지지체(750)의 기립 시에 방충망(200)을 기준으로 지지체(750)와 대칭되게 배열된다.
지지체 선회 모듈(700)은 한 쌍의 수용벽(420) 사이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립 디바이스(700)의 연장 방향은 프레임(41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립 디바이스(700)의 지지체(750)는 일 축(A)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기립된다. 기립된 지지체(750)의 자유단은, 방충망(200)의 메쉬 홈을 관통한 채로 지지턱(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충망(200)의 가장자리 영역이 레일 어셈블리(400)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방충망(200) 고정을 위한 지지체(750)의 기립은, 핸들(300)이 걸이부(790)를 가압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부(790)는 탄성체(795, 도 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300)의 탄성체(795)의 탄성력에 반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체 선회 모듈(700)는, 슬라이더(710)와, 지지체(750)와, 하우징(770)과, 걸이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7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재이다. 슬라이더(710)는 대체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고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슬라이더(710)는 서로 결합되는 베이스(720)와 커버(7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720)의 중앙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부(72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721)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베이스(72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72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730)의 상부에는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기준 그루브(731)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720)와 커버(730)는 스냅핏(snap-fit) 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는, 구체적으로, 베이스(7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723)와, 체결 돌기(723)에 대응하여 커버(7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홈(733)을 포함할 수 있다. 스냅핏 구조에 의해, 베이스(720)와 커버(730)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지지체(750)는 슬라이더(710)와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750)는 베이스(720)의 복수의 개구부(721)에 대응하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지체(750)들은 개구부(721)들만큼 서로에 대해 이격될 것이다.
지지체(750)는 몸체(751)와, 몸체(751)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몸체(751)에 결합되는 연장핀(752)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751)에는, 연장핀(75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5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핀(752)은 몸체(751)에 수직하게 배열되어, 지지체(750)는 전체적으로 'T'자에 가까운 형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는, 몸체(751)를 지지체(750)의 일 단부로, 연장핀(752)[구체적으로는 연장핀(752)의 자유단]을 타 단부로 지칭하기도 한다. 몸체(751)는 수용 공간(722) 내에 선회 가능하게 수용되게 배치된다. 연장핀(75)은 개구부(721)을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돌출부(753)는 커버(730)의 기준 그루브(731)에 삽입되어서 일정한 위치[주로 커버(730)의 폭방향을 따르는 중앙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770)은 슬라이더(710)와 유사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부재이다. 하우징(770)은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를 가져서, 그의 내부 공간에는 슬라이더(71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게 된다. 하우징(770)에 대한 슬라이더(710)의 삽입 시의 각도의 정렬을 위해서는, 하우징(770)과 슬라이더(710) 중 적어도 하나에 정렬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렬 유닛은 슬라이더(710)의 커버(7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수용홈(735)과, 하우징(770)의 내면에 돌출되어 수용홈(7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7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유닛에 의해, 하우징(770) 내로 슬라이더(710)를 삽입 시에, 지지체(750)의 연장핀(752)이 연동공(771) 내에 삽입되도록 간단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77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위에 언급한 연동공(771)이 하나 이상 개구된다. 이러한 연동공(771)에는, 지지체(750)의 연장핀(752)이 삽입된다. 연장핀(752)의 자유단은 슬라이더(710)가 하우징(770)의 (도면상 좌측으로의) 이동 시 연동공(771)의 상향 경사진 부분(773)을 타고 오르면서 회전되어 기립되도록 연동공(771) 내에 배치된다.
걸이부(790)는 슬라이더(71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720)의 일 단부에서 베이스(72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재일 수 있다. 걸이부(790)는 베이스(7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된 후에 베이스(7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걸이부(790)는 레일 어셈블리(400)의 프레임(410) 또는 연결대(600)에 지지되는 탄성체(79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지지체(750)가 누운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더(710)에 대하여 하우징(770)은 거의 완전하게 중첩된 배치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탄성체(795)가 걸이부(790)를 지지하는 정도를 설정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지지체(750)는 일 단부[몸체(751)]가 슬라이더(710)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 지지체(750)의 연장핀(752)은, 베이스(720)의 개구부(721)을 관통한 채로 하우징(770)의 연동공(771)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연장핀(752)의 자유단은 하우징(770)의 상면 위로 돌출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도면과 같이 지지체(750)가 누운 경우는, 도 1과 같이 방충망(200)이 전개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실현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2와 같이 방충망(200)이 감겨 있거나, 또는 전개를 위해 핸들(300)이 카세트(100)로부터 멀어지는 중에 전개 상태가 되기 전까지, 나아가 핸들(300)이 카세트(100)를 향해 이동된 후에서부터 방충망(200)이 감겨지는 중의 경우 등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지지체(750)가 기립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방충망(200)이 전개되면서 핸들(300)이 카세트(100)로부터 멀어질 때(도 1 참조), 핸들(300)은 고정 유닛(500)에 의해 고정되는 중에 걸이부(790)를 가압하게 된다.
걸이부(790)는 핸들(300)의 힘에 의해 탄성체(795)의 탄성력을 이기고서 하강 방향(D)으로 이동될 것이다. 걸이부(79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710) 역시 하강 방향(D)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더(710)의 이동에 의해, 하우징(770)과 슬라이더(710)는 서로 간에 완전히 중첩된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전환된다. 다시 말해서, 슬라이더(710)의 일 부분이 하우징(770)의 외부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710) 이동 시에, 지지체(750)의 연장핀(752)은 연동공(771)의 경사진 부분(773)을 타고서 올라서 기립하게 된다. 이러한 기립은 연장핀(752)이, 연동공(771)과의 상호 작용 시에, 몸체(751)를 중심으로 선회됨에 기인한다.
기립된 지지체(750)의 연장핀(752)은, 방충망(200)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게 경사진 상태로 방충망(200)의 메쉬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연장핀(752)이 방충망(200)에 대하여 수직하지 않은 각도(α, 도 4 참조)를 유지하게 됨에 의해, 방충망(200)은 프레임(410)에서 이탈하려고 할 때, 연장핀(752)을 타고서 몸체(751) 측으로 내려와서 견고하게 걸리게 될 수 있다.
핸들(300)이 걸이부(790)를 가압한 상태는, 고정 유닛(500)이 핸들(300)을 고정시킴에 의해 유지된다. 조작 레버(530)를 돌려서 핸들(3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걸이부(790)가 탄성체(795)에 탄성력에 의해 하강 방향(D)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710)는 하우징(770)과 다시 중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770)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또한 지지체(750)가 다시 누운 상태가 되게 한다(도 6의 상태).
도 8은 도 5의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체 선회 모듈(700')은 앞선 실시예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과 달리, 슬라이더(7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710')는 전체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단면을 가지고서 하나의 부재로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750')는 슬라이더(710')의 상부 영역(725')에 형성된다. 지지체(750')의 일 단부(751')는 상부 영역(725')에 고정되고 타 단부(752')는 연동공(771)을 향해 상부 영역(725')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한다. 이러한 지지체(750')는, 상부 영역(725')의 일 부분들을 파내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의해, 슬라이더(710')와 지지체(750') 간의 조립을 위한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슬라이더(710')의 중간 영역에는 상부 영역(725')으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는 계단부(715')가 형성될 수 있다. 계단부(715')에 대응하여, 가이드(775')는 하우징(770)의 중간 영역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5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지지체 선회 모듈(700")에 관한 분해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면, 지지체 선회 모듈(700")은 앞서의 실시예들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 선회 모듈(700")은, 베이스(720")와 커버(730")로 구성되는 슬라이더(710")와, 지지체(750")와, 하우징(770")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0")는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판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720")의 종단면은 하우징(770")의 내부 공간(I)에 대응하도록 사다리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720")의 주면(main surface)에는 지지체(750")의 타단부(752")가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개구부(721")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720")의 일 단부에는 걸이부(79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7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791")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791")에는 탄성체(795")가 배치된다. 탄성체(795")의 일 단부에는 이동편(796")이 연결되고, 이러한 이동편(796")은 오목부(791")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커버(730") 역시 베이스(720")와 같은 이유로 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770")의 형태에 대응하여, 커버(730")의 단면은 베이스(720")의 단면보다 폭이 클 수 있다. 커버(730")의 상면에는 지지체(750")가 형성된다.
지지체(750")는 일 단부(751")가 커버(730")의 상면에 연결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구현을 위해, 커버(730")의 일 부분을 잘라내서 지지체(750")의 타단부(752")가 자유단이 되게 할 수 있다. 지지체(750")는 개구부(721") 및 연동공(771")에 대응하여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될 것이다.
하우징(7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전체적으로 'U'자 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770")에는 연동공(771")이 형성되고, 연동공(771")의 일 단부 영역에는 경사부(773")가 형성된다. 하우징(770")은, 구체적으로, 대체로 평탄한 중앙부(777")와, 중앙부(777")의 양 모서리에서 중앙부(777")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한 쌍의 날개부(7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부(777")와 한 쌍의 날개부(778")에 의해, 일 면이 개구된 내부 공간(I)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777")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 부분에는, 이동편(796")에 대응하는 고정편(775")이 돌출 형성된다. 고정편(775")은 슬라이더(71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 시, 이동편(796")이 걸려지도록 한다. 슬라이더(710")의 이동 중에 이동편(796")의 이동은 제한됨에 따라, 탄성체(795")는 압축되게 된다. 슬라이더(71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체(795")는 원래와 같이 이완된 형태로 돌아가고 고정편(775")은 이동편(796")과 가볍게 접촉한 상태로 돌아간다.
도 10은 도 9의 지지체 선회 모듈(700")를 채용한 레일 어셈블리(4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410')은 지지체 선회 모듈(700")에 대응하는 형태의 수용벽(42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수용벽(420')은 하우징(770")의 날개부(778")들에 대응하여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커버(730")의 밑 부분은 프레임(410')에서 보강된 부분(413')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이때, 커버(730")의 밑면과 하우징(770")의 날개부(778")의 밑면은 서로 동일한 평면 위에 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770")이 원형이 아닌 사다리꼴로 형성됨에 의해, 지지체 선회 모듈(700")과 제2 면(412) 사이의 간격(D)은 도 4에서의 간격보다 커지게 될 것이다. 위 간격(D) 내로 핸들(300, 도 3)이 이동함을 고려하면, 상기 간격(D)이 확대되는 지지체 선회 모듈(700")의 구성은 프레임(410')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방충망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카세트 200: 방충망
300: 핸들 400,400': 레일 어셈블리
410, 410': 프레임 420,420': 수용벽
500: 고정 유닛 600: 연결대
700, 700',700": 지지체 선회 모듈 710, 710',710": 슬라이더
720,720": 베이스 730,730": 커버
750, 750',750": 지지체 751,751',751": 몸체
752,752',752": 연장핀 770,770',770": 하우징
790,790": 걸이부 795,796": 탄성체

Claims (18)

  1.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르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구된 연동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상기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일 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연동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연동공에 의해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세워지도록 형성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가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의 위치를 잡아주는, 기준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일 단부를 이루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타 단부를 이루는, 연장핀을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연동공은 상기 복수의 지지체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지지체 선회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각도를 정렬시키는, 정렬 유닛을 더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체 선회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 모서리에 상기 중앙부에 대해 연결되어, 상기 중앙부와 함께 상기 내부 공간이 일 면이 개구된 형태가 되게 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가 관통하여 연장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배치되는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이동편;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시 상기 이동편이 걸려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지지체 선회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평탄하고, 상기 한 쌍의 날개부는 상기 중앙부에 대해 경사지게 배열되는, 지지체 선회 모듈.
  13. 내부 중공부를 가진 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며, 측면 중 일부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지지체 선회 모듈을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걸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대응 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면들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대하여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지지체 선회 모듈을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벽을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면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가 선회되어 세워진 때 상기 지지체의 타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17. 탄성적으로 감겨지는 롤이 설치된, 카세트;
    일 단부는 상기 롤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롤에 감겨지거나 상기 롤로부터 풀려지도록 구동되는, 방충망;
    상기 카세트의 양단부들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되는 방충망의 양단부를 안내하며, 제13항에 따르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방충망이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핸들이 상기 카세트에서 멀어진 일 위치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핸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되는,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KR1020100102631A 2010-10-20 2010-10-20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KR10126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31A KR101261615B1 (ko) 2010-10-20 2010-10-20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31A KR101261615B1 (ko) 2010-10-20 2010-10-20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54A KR20120041054A (ko) 2012-04-30
KR101261615B1 true KR101261615B1 (ko) 2013-05-07

Family

ID=4614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31A KR101261615B1 (ko) 2010-10-20 2010-10-20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71A (ko) 2022-07-18 2024-01-25 (주)다우솔루션 중심축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94U (ko) * 1985-07-11 1987-01-28
JP2002097875A (ja) 2000-09-27 2002-04-05 Sankei Net:Kk ネット開閉枠におけるネット縁の案内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094U (ko) * 1985-07-11 1987-01-28
JP2002097875A (ja) 2000-09-27 2002-04-05 Sankei Net:Kk ネット開閉枠におけるネット縁の案内保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71A (ko) 2022-07-18 2024-01-25 (주)다우솔루션 중심축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54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738B2 (en) Screen device
US11384598B2 (en) Screen device
KR101522342B1 (ko) 롤 방충망 장치
KR101883408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CA2776987C (en) Screen device
KR100946957B1 (ko)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US20080115897A1 (en) Screen Device
US20130118694A1 (en) Screen device
KR101261615B1 (ko) 지지체 선회 모듈, 그를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롤 구동형 방충망 장치
KR200419329Y1 (ko) 잠금장치
EP3049604B1 (en) Element for moving mosquito nets, curtains and the like
KR102426568B1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20120041056A (ko) 태엽 스프링 구동형 방충망 장치 및 그의 롤 구동 유닛
KR101221932B1 (ko) 지지체 기립 디바이스, 그를 구비하는 레일 조립체 및 방충망 조립체
KR101358945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캐터필러 구조
KR101883409B1 (ko) 투헤드 타입의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1636493B1 (ko) 롤 방충망용 핸들 어셈블리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WO2006038302A1 (ja) 横引き網戸
KR20190016794A (ko) 방충망장치
KR200283707Y1 (ko)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JP2012072581A (ja) オーニング装置
JP5496867B2 (ja) 横引き式スクリーン装置
KR101839468B1 (ko)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