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707Y1 -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707Y1
KR200283707Y1 KR2020020013465U KR20020013465U KR200283707Y1 KR 200283707 Y1 KR200283707 Y1 KR 200283707Y1 KR 2020020013465 U KR2020020013465 U KR 2020020013465U KR 20020013465 U KR20020013465 U KR 20020013465U KR 200283707 Y1 KR200283707 Y1 KR 200283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sect screen
frame
torsion spring
window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달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 사무소 도시건축
Priority to KR2020020013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707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망을 갖춘 창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가로창틀과 한쌍의 세로창틀로 이루어진 창틀부재와, 이 창틀부재에 맞물리게 끼워져 죄우로 미닫을 수 있는 창부재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일단이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단에 부착되고, 방충망을 능동적으로 되감을 수 있도록 탄발력을 갖는 토숀스프링 장치와; 상기 방충망과 상기 창부재 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이음부재; 및 토숀스프링 장치 및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의 일단이 직립으로 고정안착되도록 세로창틀에 형성된 하우징과, 방충망의 상ㆍ하단부가 인입된 채 유동되도록 가로창틀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이 더 포함된 창틀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Window structure having a rewinding web apparatus}
본 고안은 방충망을 갖춘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등과 같은 다세대 주택 건설시 방충망은 일괄적으로 창 구조물에 설치되는데, 이들의 착탈이 곤란하여 해충의 출현이 거의 없는 계절에도 끼우고 있어야 하고, 항시 외관으로 드러나 있으므로 방충망 면에 이물질이 쉽게 끼게되어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창 구조물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하거나 권취기능을 부가하여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쓸수 있는 방충망 기구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들또한 종래 창 구조물과는 별도의 물품이므로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작업을 통해 방충망을 창 구조물에 끼워야 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 기존의 창부재 및 창틀부재와는 사이즈 및 형상에 대한 호환이 떨어지므로 방충망 부재를 창부재 및 창틀부재와 독립된 물품으로 만들어 활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방충망 기구가 창부재 및 창틀부재에 덧대어진 것 같아 매우 조잡하거나 깔끔한 외관을 기대할 수 없고, 그 설치또한 치밀하지 못하여 해충을 막는다는 방충망의 본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창부재와 분리된 방충망 기구는 필요에 따라 창부재에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 구조물의 설치시 별도의 방충망 설치작업이 불필요하고, 미관상 부담이 없으며, 방충망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방충망과 창부재 간의 치밀한 연결이 가능하여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된 창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견축용 창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X 부위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인 권취식 방충망 기구와 창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창 구조물 110 ; 창부재
120 ; 창틀부재 123 ; 가이드홈
127 ; 하우징 131 ; 방충망
132 ; 이음부재 133 ; 걸림턱
140 ; 회전롤 141, 141` ; 토숀스프링장치
150 ; 고정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쌍의 가로창틀과 한쌍의 세로창틀로 이루어진 창틀부재와, 이 창틀부재에 맞물리게 끼워져 죄우로 미닫을 수 있는 창부재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일단이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단에 부착되고, 방충망을 능동적으로 되감을 수 있도록 탄발력을 갖는 토숀스프링 장치와;
상기 방충망과 상기 창부재 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이음부재; 및,
토숀스프링 장치 및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의 일단이 직립으로 고정안착되도록 세로창틀에 형성된 하우징과, 방충망의 상ㆍ하단부가 인입된 채 유동되도록 가로창틀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이 더 포함된 창틀부재;
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가이드홈의 직상방으로 가이드편이 돌출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창 구조물을 이루는 한쌍의 가로창틀(120a)과 한쌍의 세로창틀(120b)로 이루어진 창틀부재(120)와, 이 창틀부재(120)에 맞물리게 끼워져 죄우로 미닫을 수 있는 창부재(110)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후술할 토숀스프링 장치(140, 140`: 도 4 참조)를 양단에 부착한 회전롤(140 : 도 4 참조)이 삽입고정되는 하우징(127)이 세로창틀(120b)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 상에는 한쪽 세로창틀(120b)에만 상기 하우징(127)이 형성되고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필요에 따라 양쪽 모두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27)이 형성되면 종래 창틀부재에 비해 다소 돌출되는 부분이 생기거나 측면폭이 다소 커지는데, 이러한 돌출부위는 미관을 위해 옥외로 항하게 하고, 측면폭의 증가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으므로 실내에서 볼 땐 종래 창부재와 별반 차이를 못 느끼게 된다.
한편, 방충망(131)은 상기 회전롤(140)에 선단이 감기면서 고정되고, 자유단은 창부재(110a)와 이음부재(132)를 매개로 상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창부재(110a)의 개폐시 가로창틀(120a)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23)을 따라 방충망(131)이 좌우로 이동되고, 창부재(110a)가 닫혀지는 경우에는 방충망(131)이 상기 토숀스프링장치(140, 140`)에 의해 하우징(127) 안으로 되감겨져 들어가 외관상 드러나지 않게되며, 다시 창부재(110a)가 열리면 방충망(131)도 같이 따라나오면서 방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음부재(132)는 창부재(110a)로부터 방충망(131)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창부재(110a)와 방춤망(131)이 함께 움직이거나 방충망(131)으로부터 창부재(110a)를 분리하여 창부재(110a)만을 개폐할 수도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이다. 한편, 창부재(110a)와분리된 상기 방충망(131)은 상기 토숀스프링 장치(140, 140`)로인해 능동적으로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127) 내로 감겨져 들어가게 된다.
미설명부호 "110b"는 또다른 창부재로 일반적인 창 구조물은 둘이상의 창부재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인바 이에 의하면, 종래 창부재는 유리(111)와 이 유리(111)를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런 프레임은 한쌍의 세로축프레임(112)과 한쌍의 가로축프레임(11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세로축프레임(112)과 상기 가로축프레임(115)의 일면에는 홈부(114, 116)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중 세로축프레임(112)에 형성된 홈부(114)는 창부재(110a)가 긴밀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하고, 가로축프레임(115)에 형성된 홈부(116)는 상기 창부재가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창틀부재는 세로창틀(120b)과 가로창틀(120a)로 이루어지며, 특히 세로창틀(120b)과 가로창틀(120a)에는 창부재(110a)에 구비된 홈부(114, 116)와 맞물리는 가이드라인(121, 122)을 구비한다.
이상 상기한 창부재와 창틀부재로 이루어진 창 구조물에 상기 방충망(131)으로 감겨진 회전롤(140)과 토숀스프링장치(140, 140`)가 고정 안착되는 소정 크기의 하우징(127)이 상기 세로창틀(120b)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27)의 일측면에는 방충망(131)이 출입하는 출입구(125)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출입구(125)에는 직상방으로 가이드편(126)이 돌출되어 상기 방충망(131)이 일방으로 매끄럽게 출입할 수 있도록하는 동시에, 하우징(127)과 방충망(131) 간의 경계부에 대한 긴밀성을 높여 방충기능을 향상시킨다.
가로창틀(120a)은 하우징(127)에 대응하여 소정크기로 확장되고, 창부재(110a)와의 접촉부에는 가이드홈(123)이 가로창틀(120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이곳으로 방충망(131)이 인입되어 가이드 기능은 물론, 창틀부재(120)와 방충망(131)간 경계부의 긴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23)의 직상방으로 가이드편(124)이 돌출됨으로서 상술한 기능은 더욱 증대된다.
한편, 상기 방충망(131)의 자유단은 상기 창부재(110a)의 소정 위치에서 이음부재(132)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이를 도 3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창부재(110a)와 상기 방충망(131)을 연결하는 수단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에의하면, 상기 이음부재(132)는 상기 세로축프레임(112)에 부착되는 고리형 걸림편(132a)과, 창부재(110a)에 부착되어 상기 걸림편(132a)에 끼워지는 고리형 끼임편(132b)으로 이루어져 창부재(110a)를 좌우로 미닫는 경우 회전력에 대한 탄발성을 갖는 토숀스프링장치에 의해 상기 방충망(131)이 항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걸림편(123a)과 끼임편(132b) 간의 결속력은 충분히 강하지만 그 원리는 단순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음부재(132)로는 바람직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인 권취식 방충망 기구와 창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면, 상기 가로창틀(120a)의 일단과 상기 세로창틀(120b)의 일단이 상호 맞물려 조립되기 전, 상기 하우징(127)의 개구부(127a)로 양단에 토숀스프링장치(141, 141`)가 부착된 회전롤(140)이 방충망(131)이 감겨진채 삽입된다. 이때 상기 토숀스프링장치(141, 141`)에는 리브(141a, 141a`)가 형성되어 지지판(150)에 형성된 고정홈(152)과 상호 맞물리도록 지지판(150)의 안착부(151)로 조적됨으로서, 창부재(110a)의 개폐로 인해 방충망(131)에 가해지는 장력과 상기 토숀스프링장치(141, 141`)에 가해지는 회전력에도 요동없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방충망(131)은 유연한 재질로 되어 쉽게 휠 수 있고, 방충망(131)의 테두리가 고정되지 않으면 약한 외력으로도 그 팽팽함을 잃게되어 창 구조물에서의 깔끔한 활용을 기대할 수 없는데, 본 고안에서는 방충망(131)의 좌ㆍ우 단부만이 창부재(110a)와 회전롤(140)에 의해 각각 고정되고, 방충망(131)의 상ㆍ하 단부는 가이드홈(123; 도 2 참고)으로 인입되지만, 별도로 고정되어진 것은 아니므로 상기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방충망(131)이 가이드홈(123)으로부터 한번 이탈되면 재인입시키기도 곤란하여 방충망(131)의 상ㆍ하 단부가 가이드홈(123)에서 용이하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적당히 마감처리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마감처리를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하는데, 먼저 상기 회전롤(140)에 잘 감길 수 있는 가요성을 가져야하고, 상기 가이드홈(123)으로 인입 되었을때 쉽게 빠지지 않게끔 걸림턱(133)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마감수단에는 상기 방충망(131)의 테두리에 열을 가해 용융하고 다시 굳히면 테두리 부분이 녹으면서 가이드홈(123)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부피를 갖는 응고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과, 얇은 호일과 같은 부재를방충망(131)의 테두리에 접착시키는 방식등이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창 구조물에 일체로 된 하우징이 옥외로 향하므로 미관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가이드홈으로 인해 방충망과 창 구조물 간의 긴밀성이 보장되어 보다 향상된 방충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방충망을 필요한 경우에만 꺼내어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유용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쌍의 가로창틀과 한쌍의 세로창틀로 이루어진 창틀부재와, 이 창틀부재에 맞물리게 끼워져 죄우로 미닫을 수 있는 창부재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일단이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과;
    상기 회전롤의 양단에 부착되고, 방충망을 능동적으로 되감을 수 있도록 탄발력을 갖는 토숀스프링 장치와;
    상기 방충망과 상기 창부재 간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이음부재; 및,
    토숀스프링 장치 및 회전롤에 감겨진 방충망의 일단이 직립으로 고정안착되도록 세로창틀에 형성된 하우징과, 방충망의 상ㆍ하단부가 인입된 채 유동되도록 가로창틀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이 더 포함된 창틀부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직상방으로 가이드편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KR2020020013465U 2002-05-02 2002-05-02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KR200283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65U KR200283707Y1 (ko) 2002-05-02 2002-05-02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465U KR200283707Y1 (ko) 2002-05-02 2002-05-02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707Y1 true KR200283707Y1 (ko) 2002-07-27

Family

ID=7312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465U KR200283707Y1 (ko) 2002-05-02 2002-05-02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70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37B1 (ko) * 2009-04-09 2011-06-28 문규환 섀시 연동형 방충장치
KR101282736B1 (ko) 2013-04-15 2013-07-05 김태경 자동청소기능을 가진 방충망의 설치구조
KR20160091092A (ko) * 2015-01-23 2016-08-02 고태범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1930728B1 (ko) * 2018-01-23 2018-12-19 문수용 일체형 방충망 창호
DE102019103546A1 (de) * 2019-02-13 2020-08-13 Henry Wolter Sperrvorrichtung für eine Durchgangsöffnung, Tür mit der Sperrvorrichtu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37B1 (ko) * 2009-04-09 2011-06-28 문규환 섀시 연동형 방충장치
KR101282736B1 (ko) 2013-04-15 2013-07-05 김태경 자동청소기능을 가진 방충망의 설치구조
KR20160091092A (ko) * 2015-01-23 2016-08-02 고태범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1672409B1 (ko) 2015-01-23 2016-11-03 고태범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KR101930728B1 (ko) * 2018-01-23 2018-12-19 문수용 일체형 방충망 창호
DE102019103546A1 (de) * 2019-02-13 2020-08-13 Henry Wolter Sperrvorrichtung für eine Durchgangsöffnung, Tür mit der Sperr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4397B2 (en) Pleated screen device based on wire tension system
CA2524941C (en) Winding-up screen device
US6186212B1 (en) Screen device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200283707Y1 (ko) 귄취식 방충망 기구를 갖춘 건축용 창 구조물
KR20210068975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KR101973968B1 (ko) 방충망 원단 지지구조가 구비된 롤방충망
KR200435394Y1 (ko) 별도의 안내레일이 필요없는 안전 방충망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US20060180277A1 (en) Temporary covering for a window
KR101096852B1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JPH08199948A (ja) スクリーン状装置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JP3354586B2 (ja) 組付け網戸装置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KR200496365Y1 (ko) 주름 방충망의 가이드 줄 연결구조
JPH0735118Y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ラダーコードおよび昇降コードとボトムレールの連結装置
KR102610059B1 (ko) 모듈형 기능성망 보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조립체
KR100439670B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JP3143021B2 (ja) 網 戸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220170135A (ko) 미세먼지 차단망을 포함하는 창틀
KR200213288Y1 (ko) 권취식 방충망
JP2604856Y2 (ja) 網 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