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468B1 -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468B1
KR101839468B1 KR1020170168039A KR20170168039A KR101839468B1 KR 101839468 B1 KR101839468 B1 KR 101839468B1 KR 1020170168039 A KR1020170168039 A KR 1020170168039A KR 20170168039 A KR20170168039 A KR 20170168039A KR 101839468 B1 KR101839468 B1 KR 10183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coupled
mounting groove
ro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순
박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to KR102017016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음부재의 장착홈에 탄성스프링을 장착하여 조절봉의 과부하를 방지하므로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웜기어의 파손 방지로 인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막음부재에 스토퍼부재를 결합하여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제품의 안정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control device of tension for a roll screen}
본 발명은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막음부재의 장착홈에 탄성스프링을 장착하여 조절봉의 과부하를 방지하므로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웜기어의 파손 방지로 인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막음부재에 스토퍼부재를 결합하여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제품의 안정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실내로 침입하는 해충을 차단하도록 창문 또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케이싱 내에 축봉에 감겨진 비틀림 스프링의 탄력으로 방충망을 탄력적으로 감거나 풀어내도록 한 롤 방충망 제품들이 개발되어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롤 방충망은 비틀림 스프링의 탄력이 약하면 권취속도가 느려서 방충망을 천천히 감아 올리게 되거나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비틀림 스프링의 탄력이 강하면 권취속도가 빨라져서 방충망을 급속히 감아올려서 방충망의 하단부에 부설된 손잡이가 케이싱에 충돌을 일으켜 고장률의 원인이 되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롤 방충망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206002호로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이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몸체프레임, 회전부재, 지지축, 텐션스프링, 막음부재, 텐션조절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음부재에는 관통공과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조절부재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단면이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절봉이 장착부에 억지끼움으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은 웜휠을 감은 상태에서결합해야 하므로 텐션조절이 힘들고 롤 방충망의 결합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롤 방충망이 풀려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결합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10-1598002호로 롤 방충망의 권회속도 조절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제2커버부재에 조절봉과 연결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2커버부재의 일측에 제1커버부재를 결합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롤 방충망의 권회속도 조절장치는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조립이 원활하지 못해 시공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웜휠의 회전으로 롤 방충망을 권취시 텐션스프링의 지지력이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과부하가 발생하여 기어가 깨지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텐션조절부재의 고유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제품의 상품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206002호(2012.11.22. 등록) 대한민국 특허 제10-1598002호(2016.02.22. 등록)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막음부재의 장착홈에 탄성스프링을 장착하여 조절봉의 과부하를 방지하므로 웜기어의 파손 방지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음부재에 스토퍼부재를 결합하여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는,
측면과 하부가 개방되어 롤 방충망이 삽입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롤 방충망이 권취되며 내부에 장착된 축봉에 텐션스프링이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는 막음부재;
상기 막음부재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며 조절봉의 회전시 탄력있게 동작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이 삽입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웜기어가 형성되어 연결부재의 웜휠과 맞물리는 조절봉;
상기 막음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축봉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일측 외주면에 웜휠이 형성되어 조절봉의 웜기어와 맞물리는 연결부재;
상기 막음부재의 일측에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멈춤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과 직교되는 전방 상부에는 조절봉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홈은 막음부재의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스프링은 회전부재에 장착된 텐션스프링보다 탄성복원력이 강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재는 막음부재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부재에 형성된 끼움홀에 결합되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에 장착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되며 조절봉의 지지돌기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핀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에 의하면, 막음부재의 장착홈에 탄성스프링을 장착하여 조절봉의 과부하를 방지하므로 내부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웜기어의 파손 방지로 인한 제품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에 의하면, 막음부재에 스토퍼부재를 결합하여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조절봉이 결합된 부분의 평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절봉이 결합된 부분의 평단면도이다.
먼저, 프레임(110)은 양측면과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롤 방충망(10)을 권취시키는 회전부재(120)가 길이방향으로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롤 방충망(10)을 물거나 감아올리게 되며, 상기 회전부재(120)의 내측에는 축봉(121)이 설치되고, 상기 축봉(121)의 외주면에는 텐션스프링(미도시)이 축봉(121)을 감싸듯이 결합되어 일단은 축봉(121)에 장착되고 타단은 회전부재(120)에 장착되어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막음부재(130)가 결합되어 프레임(110)을 폐쇄시키게 되며, 상기 막음부재(130)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부재(12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삽입공(131)이 관통되되, 상기 삽입공(131)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160)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웜휠(161)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막음부재(130)의 삽입공(131) 일측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끼움홀(132)이 형성되며, 상기 막음부재(130)의 전방으로는 장착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33)은 후단부와 양측은 폐쇄되고 전방으로만 개구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장착홈(133)은 삽입공(13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장착홈(133)에는 탄성스프링(140)이 장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40)은 회전부재(120)에 장착된 텐션스프링(미도시)의 탄성복원력보다 강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133)에 탄성스프링(14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133)에 조절봉(150)이 장착된다.
상기 조절봉(150)은 선단부 외주면에 웜기어(151)가 형성되며, 상기 웜기어(151)의 후단부에는 지지돌기(152)가 환형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조절봉(150)에는 막음부재(130)의 전방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봉(15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홈(15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막음부재(130)에 조절봉(150)이 장착되면, 상기 막음부재(130)에 형성된 삽입공(131)에 연결부재(16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연결부재(160)의 일측 외주면에는 웜휠(161)이 형성되어 삽입공(13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60)의 축은 회전부재(120)의 축봉(121)에 결합된다.
상기 웜휠(161)이 형성된 연결부재(160)의 일측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6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구홈(1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60)가 삽입공(131)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막음부재(130)의 일측에 스토퍼부재(170)를 위치시킨다.
상기 스토퍼부재(170)에 형성된 고정후크(171)를 상기 삽입공(131)의 양측에 형성된 후크결합공(171')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후크(171)가 막음부재(130)에 탄력있게 고정됨과 동시에 멈춤돌기(172)는 끼움홀(132)에 결합되어 조절봉(150)에 형성된 지지돌기(152)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서 조절봉(150)이 장착홈(133)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막음부재(130)에는 상기 조절봉(150)의 지지돌기(152)를 한번 더 지지하여 보강하는 지지핀(180)이 결합된다.
상기 막음부재(130)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일측면에 장착홈(133)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공(181)이 형성되어 장착홈(133)과 연통되며, 상기 결합공(181)에 판상형의 지지핀(18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지지핀(180)이 조절봉(150)의 지지돌기(152)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조절봉(15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회전부재(120)의 텐션스프링 탄력에 의하여 축봉(121)이 역회전하려는 성향이 있으나, 상기 축봉(121)이 결합된 연결부재(160)에 일체로 형성된 웜휠(161)과 조절봉(150)의 중간에 일체로 형성된 웜기어(151)가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축봉(121)이 역회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막음부재(130)의 전방으로 노출된 조절봉(150)의 조절홈(153)에 공구를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봉(150)에 형성된 웜기어(15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웜기어(151)와 맞물린 연결부재(160)의 웜휠(16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봉(121)에 감겨진 텐션스프링의 탄력이 약하게 조절되고, 상기와 같이 텐션스프링의 탄력이 약하게 조절되면 회전부재(120)의 권취속도가 감속되어 롤 방충망(10)을 천천히 감아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반대로 막음부재(130)의 전방으로 노출된 조절봉(150)의 조절홈(153)에 공구를 삽입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봉(150)에 형성된 웜기어(151)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웜기어(151)와 맞물린 연결부재(160)의 웜휠(16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봉(121)에 감겨진 텐션스프링의 탄력이 강하게 조절되고, 상기와 같이 텐션스프링의 탄력이 강하게 조절되면 회전부재(120)의 권취속도가 증속되어 롤 방충망(10)을 빠르게 감아 올릴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절봉(150)의 조작으로 회전부재(120)의 텐션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절봉(150)을 과도하게 회전시켜 텐션스프링의 탄력이 한계점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축봉(121)에 결합된 연결부재(16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의 한계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조절봉(150)을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봉(150)이 웜휠(161)에 안내되어 장착공(133) 내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장착공(133)에 삽입된 탄성스프링(14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절봉(150)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조절봉(150)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조절봉(150)의 웜기어(151)가 연결부재(160)의 웜휠(161)과 맞물리면서 웜기어(151)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텐션 조절장치
110: 프레임 120: 회전부재
121: 축봉 130: 막음부재
131: 삽입공 132: 끼움홀
133: 장착공 140: 탄성스프링
150: 조절봉 151: 웜기어
152: 지지돌기 160: 연결부재
161: 웜휠 170: 스토퍼부재
171: 고정후크 172: 멈춤돌기
180: 지지핀 181: 결합공

Claims (6)

  1. 측면과 하부가 개방되어 롤 방충망이 삽입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장착되어 롤 방충망이 권취되며 내부에 장착된 축봉에 텐션스프링이 장착되는 회전부재;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는 막음부재;
    상기 막음부재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며 조절봉의 회전시 탄력있게 동작하여 과부하를 방지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탄성스프링이 삽입된 장착홈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웜기어가 형성되어 연결부재의 웜휠과 맞물리는 조절봉;
    상기 막음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축봉에 장착되어 회전하며 일측 외주면에 웜휠이 형성되어 조절봉의 웜기어와 맞물리는 연결부재;
    상기 막음부재의 일측에 연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멈춤돌기가 조절봉의 지지돌기를 지지하여 조절봉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재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멈춤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과 직교되는 전방 상부에는 조절봉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막음부재의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회전부재에 장착된 텐션스프링보다 탄성복원력이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막음부재에 형성된 후크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막음부재에 형성된 끼움홀에 결합되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재에 장착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에 결합되며 조절봉의 지지돌기 외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KR1020170168039A 2017-12-08 2017-12-08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KR101839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39A KR101839468B1 (ko) 2017-12-08 2017-12-08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039A KR101839468B1 (ko) 2017-12-08 2017-12-08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468B1 true KR101839468B1 (ko) 2018-03-16

Family

ID=61910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039A KR101839468B1 (ko) 2017-12-08 2017-12-08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71B1 (ko) * 2023-07-05 2023-10-05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블라인드 창의 장력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768Y1 (ko) 2005-07-13 2005-10-18 곽재석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KR101206002B1 (ko)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KR101540658B1 (ko) 2014-10-08 2015-07-30 이성규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101598002B1 (ko) 2015-08-03 2016-03-02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롤 방충망의 권회속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768Y1 (ko) 2005-07-13 2005-10-18 곽재석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KR101206002B1 (ko)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KR101540658B1 (ko) 2014-10-08 2015-07-30 이성규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101598002B1 (ko) 2015-08-03 2016-03-02 휴먼이지텍 주식회사 롤 방충망의 권회속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71B1 (ko) * 2023-07-05 2023-10-05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블라인드 창의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408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US7931069B2 (en) Active tension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KR101206002B1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AU2010100124A4 (en) A Winder
US8955542B2 (en) Pressure relief valve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KR20180012452A (ko) 미세먼지 차단망이 구비된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KR101839468B1 (ko)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JP5284238B2 (ja) スクリーン装置
CN107580562B (zh) 用于卷绕系统的装置及用于车辆顶部的卷绕系统
US9616735B2 (en) Vehicle roll shade device
KR100946957B1 (ko)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EP1134450B1 (en) Air damper used in glove box of automobile
JP2010031481A (ja) ブラインド
KR200460163Y1 (ko) 롤스크린 구동장치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KR20120041056A (ko) 태엽 스프링 구동형 방충망 장치 및 그의 롤 구동 유닛
KR100671712B1 (ko) 롤러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KR101540658B1 (ko)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20039877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US20220049547A1 (en) Roller Blind Apparats
KR20039877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US20200123849A1 (en) Winding apparatus for roller blinds
KR200389446Y1 (ko) 방충망의 승하강 속도조절이 자유로운 방충망장치
KR20210067347A (ko) 스프링 장력의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