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163Y1 - 롤스크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롤스크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163Y1
KR200460163Y1 KR2020100005000U KR20100005000U KR200460163Y1 KR 200460163 Y1 KR200460163 Y1 KR 200460163Y1 KR 2020100005000 U KR2020100005000 U KR 2020100005000U KR 20100005000 U KR20100005000 U KR 20100005000U KR 200460163 Y1 KR200460163 Y1 KR 200460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haft
chain
large diameter
clutch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774U (ko
Inventor
육태오
Original Assignee
육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태오 filed Critical 육태오
Priority to KR2020100005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163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1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러에 스크린을 감고 풀어서 창문에 스크린을 치거나 걷는 롤스크린에서,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1)는, 지지브래킷(10), 클러치(20), 클러치스프링(30), 체인드럼(40), 구슬체인(50) 및 클러치커버(60)를 포함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로서,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은, 상기 체인드럼(40)과 접하는 플랜지부(23), 상기 플랜지부(23)에 연이여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 축부(24), 및 상기 대직경 축부(24)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 축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은 상기 대직경 축부(24)의 둘레에 끼워지는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 및 상기 소직경 축부(25)의 둘레에 끼어지는 1개 이상의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3)에 의한 상기 롤러(4)의 회전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에 대한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의 장착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스크린 구동장치{Driving Device of Roll Screen}
본 고안은 롤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에 스크린을 감고 풀어서 창문에 스크린을 치거나 걷는 롤스크린에서,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창문에는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외부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양을 하게 되는 바, 롤스크린(롤 블라인드)은 커튼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차양 장치의 하나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롤스크린은, 창문 상단에 설치된 롤러에 스크린을 감거나 풀어서 스크린으로 창을 치거나 닫는 구조의 차양 장치이다.
이런 롤스크린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나, 종래의 롤스크린은 그 사이즈 차이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는 다양한 롤러의 회전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규격이 다른 롤스크린마다 서로 다른 구동장치를 마련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관련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 롤스크린 구동장치는, 구동장치의 핵심구성인 클러치와 클러치커버의 조립구조가 클러치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롤러가 스크린의 하중에 의해 휘게 되면, 상기 조립구조가 롤러에 접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롤스크린의 사이즈가 다양하고 그로부터 롤러의 회전부하가 서로 다른 것에 관련하여, 이런 다양한 롤러의 회전부하에 맞게 구동장치를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마련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관련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롤스크린 구동장치의 핵심구성인 클러치와 클러치커버의 조립구조가 클러치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롤러가 스크린의 하중에 의해 휠 때 상기 조립구조가 롤러에 접하여 쉽게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롤스크린의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는, 지지브래킷, 클러치, 클러치스프링, 체인드럼, 구슬체인, 및 클러치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래킷은, 롤스크린의 롤러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브래킷 중에 하나로서, 일측에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는, 그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래킷에 대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클러치스프링은, 양단에 양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의 축의 둘레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탄성력에 의해 타이트하게 삽입되며, 외력으로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양단 돌기를 근접시키면 직경이 커져 상기 축의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체인드럼은, 상기 클러치의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양단 돌기가 걸리는 걸림편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스프링을 벌려서 상기 클러치스프링이 상기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구슬체인은, 상기 체인드럼에 형성된 체인블록에 감기고, 당기면 상기 체인드럼이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커버는, 상기 클러치의 상기 축을 포위하여 상기 체인드럼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롤스크린에서 스크린이 감고 풀리는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와 일체로 회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의 특징에 따라, 상기 클러치의 상기 축은, 상기 체인드럼과 접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연이여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 축부, 및 상기 대직경 축부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 축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스프링은 상기 대직경 축부의 둘레에 끼워지는 대직경 클러치스프링, 및 상기 소직경 축부의 둘레에 끼어지는 1개 이상의 소직경 클러치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의 특징에 따라, 상기 스크린에 의한 상기 롤러의 회전부하의 크기에 맞게, 상기 클러치의 상기 축에 대한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장착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의 다른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의 구동장치는, 상기 클러치커버 쪽에 있는 상기 클러치의 축의 내경에 형성된 환형 걸림턱; 및 상기 클러치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의 내경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환형 걸림턱에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의 특징에 따라, 상기 환형 걸림턱과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결합이 상기 클러치커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클러치커버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인드럼은, 상기 대직경 축부를 감싸고 외주에 상기 체인블록이 형성된 대직경 드럼, 및 상기 소직경 축부를 감싸는 소직경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은, 상기 대직경 클러치스프링의 양단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대직경 드럼에 돌출 형성된 제1 걸림편과, 상기 소직경 드럼의 외주 일부를 상기 소직경 클러치스프링의 양단 돌기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취하여 노출된 변에 의해 형성된 제2 걸림편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는, 상기 클러치의 축에 상기 대직경 축부와 상기 소직경 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대직경 축부에는 상기 대직경 클러치스프링을, 그리고 상기 소직경 축부에는 1개 이상의 상기 소직경 클러치스프링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에 의한 상기 롤러의 회전부하의 크기에 맞게 상기 클러치에 대한 상기 클러치스프링의 장착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롤러의 회전부하가 서로 다른 다양한 롤스크린에 대해 여러 종류의 구동장치를 마련할 필요 없이 하나의 구동장치만을 마련하고 장착되는 클러치스프링의 개수를 조절하여 롤러의 회전부하를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는, 상기 클러치커버와 상기 클러치를 결함함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축의 내경에 형성된 환형 걸림턱에, 상기 클러치커버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를 강제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결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그 결합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상기 클러치커버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결합구조가 롤러에 접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가 적용된 롤스크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가 적용된 롤스크린의 부분절취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클러치와 클러치스프링의 조립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클러치와 클러치스프링의 조립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클러치와 클러치스프링의 다양한 사용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클러치, 클러치스프링, 체인드럼 및 클러치커버의 조립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롤스크린 구동장치에 적용된 예시적인 체인드럼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1)는, 종래의 일부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지지브래킷(10), 클러치(20), 클러치스프링(30), 체인드럼(40), 구슬체인(50) 및 클러치커버(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래킷(10)은, 롤스크린(2)의 양단을 지지하는 브래킷으로서, 롤스크린(2)의 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한쪽의 지지브래킷(10)에만 설치되므로, 본 고안에서의 지지브래킷(10)은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쪽의 지지브래킷을 의미한다. 지지브래킷(10)에는 일측으로 회전제한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제한돌기(11)는 여기에 결합된 클러치(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클러치(20)는, 그 대략 중심에 축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축공(21)에 상기 회전제한돌기(11)가 삽입되며, 이로써 클러치(20)는 지지브래킷(10)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된다. 도시된 구체예는 축공(21)의 둘레에 톱니(21a)를 형성하여 회전제한돌기(11)가 끼워지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은, 일정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으로서, 그 양단은 밖으로 절곡하여 돌기(31)로 되어 있다. 클러치스프링(30)은 클러치(20)의 축(22) 둘레에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탄성력에 의해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클러치스프링(30)은 축(22) 둘레를 조이고 있어서 축(22)의 둘레를 회전할 수 없다. 이런 상태에서 후술하는 구슬체인(50)을 돌려 외력을 가하면, 클러치스프링(3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양단 돌기(31)가 서로 근접되면서 클러치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게 되고, 결국 클러치스프링(30)은 축(22)의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이 장착된 상태의 상기 클러치(20)는 상기 체인드럼(40) 속에 끼워진다. 체인드럼(40)에는 클러치스프링(30)의 양단 돌기(31)가 걸리는 걸림편(41)과 후술하는 구슬체인(50)이 감기는 체인블록(42)이 구비된다. 이로써 후술하는 구슬체인(50)을 돌려 체인드럼(40)을 회전시키면 걸림편(41)이 양단 돌기(31)를 가압하여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클러치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면서 축(22)에서 공회전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구슬체인(50)은 구슬(51)을 엮어 이은 체인이며, 체인드럼(40)의 일측(도면에서 좌측)에 확장 형성된 체인블록(42)의 둘레에 감긴다. 체인블록(42)의 둘레에는 인접한 구슬(51)의 간격에 해당하는 격실(42a)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실(42a)에 하나의 구슬(51)이 수용된 상태로 구슬체인(50)이 감겨 있어서 구슬체인(50)을 당겨 내리면 체인드럼(4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커버(60)는 클러치(20)의 축(22)을 포위하면서 체인드럼(40)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클러치커버(60)는 롤스크린(2)에서 스크린(3)이 감고 풀리는 롤러(4)에 일단이 결합되어 롤러(4)와 일체로 회전한다.
클러치커버(60)와 롤러(4)의 일체 회전 결합을 위해, 롤러(4)의 내경에 일정 폭의 철부(4a)를 형성하고, 클러치커버(60)의 외주면에 철부(4a)에 대응하는 크기의 요부(60a)를 형성할 수 있고, 양자는 요철결합에 의해 일측이 회전하면 타측도 회전하게 된다. 즉, 클러치커버(60)는 클러치(20)의 축(22)을 감싸는 작용과 함께, 체인드럼(40)의 회전력을 롤러(4)에 전달하여 스크린(3)이 감기고 풀리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롤스크린(2)은, 인위적으로 구슬체인(50)을 당기지 않는 평상시에는, 스크린(3)의 하중에 의해 롤러(4)가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롤러(4)에 가해진 회전력이 클러치커버(60)를 통해 체인드럼(40)에 전달되고, 체인드럼(40)의 걸림편(41)과 클러치스프링(30)의 양단 돌기(31)의 걸림에 의해 클러치스프링(30)에 전달되지만, 클러치스프링(30)이 클러치(20)의 축(22)의 둘레를 강하게 조이고 있으면서 클러치(20)가 지지브래킷(10)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 있으므로, 결국 클러치커버(60)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롤러(4)는 회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스크린(3)은 감기거나 풀리지 않고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구슬체인(50)을 당기면, 체인드럼(40)이 회전하면서 체인드럼(40)의 걸림편(41)이 클러치스프링(30)의 양단 돌기(31)를 서로 근접시켜 클러치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게 하고, 클러치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는 순간 클러치스프링(30)이 클러치(20)의 축(22)에 구속되지 않고 공전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클러치스프링(30)과 체인드럼(40)과 클러치커버(60)가 회전함으로써 클러치커버(60)에 구속된 롤러(4)가 회전되면서 스크린(3)을 원하는 방향으로 감거나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구슬체인(50)의 당김을 멈추면, 클러치스프링(30)이 클러치(20)의 축(22)을 다시 타이트 하게 감아서 롤러(4)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체인커버(70)로 체인드럼(40)에 감긴 구슬체인(50)의 둘레를 감싸주어 구슬체인(50)이 제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1)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과 작용의 구동장치에 대해서, 상기 클러치(20)를 개량한 것이다.
롤스크린은(2)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좌우의 폭과 상하의 길이가 매우 다양하고, 따라서 롤스크린(2)은 그 사이즈에 따라 적용되는 롤러(4)의 길이와 스크린(3)의 크기가 매우 다양한바, 이런 롤스크린(2)의 사이즈 차이는 롤러(4)에 가해지는 회전부하에 큰 편차를 가지게 한다.
롤러(4)의 회전부하는 클러치스프링(30)의 탄성력이 직접적으로 지탱하므로, 구동장치(1)에 사용되는 클러치스프링(30)은 가해지는 롤러(4)의 회전부하의 크기에 맞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즉, 롤스크린(2)의 사이즈가 클수록(롤러의 회전부하가 크면) 탄성력이 더 강한 클러치스프링(30)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롤스크린 기술분야에서는 롤스크린(2)의 다양한 사이즈에 대응하여 다양한 구동장치(클러치스프링의 탄성력이 서로 다른 다양한 구동장치)를 마련하여, 롤스프린(2)의 사이즈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여러 종류의 구동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그만큼의 비용도 더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1)에 적용되는 클러치(20)는, 도1 내지 도6, 특히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축(22)이 한 종류의 클러치스프링(30)만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서로 다른 직경의 클러치스프링(30)을 장착할 수 있고, 그 개수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즉, 클러치(20)의 축(22)은, 체인드럼(40)에 접하는 플랜지부(23), 플랜지부(23)에 연이여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 축부(24), 대직경 축부(24)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 축부(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의 플랜지부(23)는 체인드럼(40)에 삽입된 축(22)이 체인드럼(40)의 대응하는 면에 접하여 그 위치가 세팅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되는 클러치스프링(30)은, 대직경 축부(24)의 둘레에 끼워지는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과 소직경 축부(25)의 둘레에 끼어지는 바람직하게 1개 내지 3개의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대직경 축부(24)는 체인드럼(40)의 폭 내에 위치하는 축부이므로, 그 폭을 더 크게 하는 것에 제한이 있으며, 따라서 대직경 축부(24)에는 1개의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이 삽입된다.
도시된 구체예의 소직경 축부(25)는 대직경 축부(24)로부터 길게 신장되어 있고, 여기에 바람직하게 1개 내지 3개의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물론 소직경 축부(25)의 사이즈와 관계가 있는 부분의 체인드럼(40)과 클러치커버(60)의 사이즈를 더 길게 변경시키면 소직경 축부(25)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적용할 필요성은 크지 않지만, 소직경 축부(25)를 더 길게 형성하여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을 4개 이상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클러치(20)에는, 롤러의 회전부하에 따라,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과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 중에 어느 한 개의 스프링만을 장착할 수도 있다. 도5는 1개 내지 4개의 클러치스프링(30)을 여러 가지 조합으로 선택하여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대직경 축부(24)와 소직경 축부(25) 사이의 단차부(24a)는 해당부분의 체인드럼(40)의 두께에 대응하여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과 인접한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인드럼(4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클러치(20)와 클러치스프링(30)의 구조에 맞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인드럼(40)은, 도1 및 도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20)의 대직경 축부(24)를 감싸는 대직경 드럼(43)과 소직경 축부(25)를 감싸는 소직경 드럼(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블록(42)은 대직경 드럼(43)의 외주에 형성한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1)는, 축(22)에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클러치스프링(30)을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체인드럼(40)의 걸림편(41)도 이런 서로 다른 크기의 클러치스프링(30)의 장착에 부합하도록 형성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체인드럼(40)에는 제1 걸림편(41a)과 제2 걸림편(41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걸림편(41a)은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의 양단 돌기(31)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직경 드럼(43)에 중심 쪽으로 돌출 형성한다. 제1 걸림편(41a)의 아래쪽에 있는 돌출편(41c)들은 체인드럼(40)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제2 걸림편(41b)은, 소직경 드럼(44)의 외주 일부를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의 양단 돌기(31)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취하여 이때 노출된 양변이 걸림편(41)으로서 작용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체인드럼(40)의 걸림편(41)의 구성에 따라,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의 양단 돌기(31)는 제1 걸림편(41a)에 걸리고,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의 양단 돌기(31)는 제2 걸림편(41b)에 걸리게 되며, 구슬체인(50)을 당겨 체인드럼(40)을 회전시키면 제1 걸림편(41a)과 제2 걸림편(41b)이 각각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과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의 양단 돌기(31)를 근접시켜 그 직경이 커지도록 하여 클러치스프링(30)이 축(22)의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1)의 특징에 따라, 단지 하나의 구동장치만을 마련하고, 스크린(3)에 의한 롤러(4)의 회전부하의 차이에 대해서는 클러치(20)에 대한 클러치스프링(30)의 장착 개수를 가변시킴으로써 대응할 수 있으며, 이로써 롤스크린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게 여러 종류의 구동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을 없애고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 구동장치(1)의 다른 특징은, 상기한 종래의 구성과 작용의 구동장치에 대해서, 클러치(60)와 클러치커버(60)의 조립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종래의 구동장치의 경우 클러치와 클러치커버의 조립구조가 클러치커버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스크린(2)의 롤러(4)가 스크린(3)의 하중에 의해 휨 변형을 받을 때, 클러치와 클러치커버의 노출된 조립구조가 롤러의 내주면에 접하면서 쉽게 마모되고, 결국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1)는 클러치(60)와 클러치커버(60)의 조립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클러치커버(6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클러치커버(60) 쪽(도면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클러치(20)의 축(22)에는, 즉 소직경 축부(25)에는, 그 내경에 환형 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클러치커버(60)의 측면(61)에는 내측으로 축(22)을 향하여 걸림돌기(6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62)는 축(22)의 내경에 강제 삽입되면서 환형 걸림턱(26)에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따라서, 클러치커버(60)의 걸림돌기(62)를 축(22)의 내경에 삽입한 상태에서 강제로 밀어 넣으면 걸림돌기(62)가 축(22)의 환형 걸림턱(26)에 찰칵하고 걸리면서 클러치(60)와 클러치커버(60)는 서로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면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환형 걸림턱(26)과 걸림돌기(62)의 걸림결합에 따라, 클러치(20)와 클러치커버(60)의 결합구조는 클러치커버(60) 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롤러스크린(2)의 롤러(4)가 휨 변형을 일으켜도 클러치(20)와 클러치커버(60)의 결합구조가 파손될 염려가 없다.
도1에서 체인드럼(40) 쪽으로 클러치커버(60)에 돌출 형성된 플러그(63)는 도7의 체인드럼(40)에 형성된 호형 슬롯(45)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체인드럼(40)과 클러치커버(60)의 조립위치를 세팅하고, 그 유격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구조이다.
1: 본 고안의 구동장치 2: 롤스크린
3: 스크린 4: 롤러
4a: 철부 10: 지지브래킷
11: 회전제한돌기 20: 클러치
21: 축공 22: 축
23: 플랜지부 24: 대직경 축부
25: 소직경 축부 26: 환형 걸림턱
30: 클러치스프링 30a: 대직경 클러치스프링
30b: 소직경 클러치스프링 31: 클러치스프링의 양단 돌기
40: 체인드럼 41: 걸림편
41a: 제1 걸림편 41b: 제2 걸림편
42: 체인블록 43: 대직경 드럼
44: 소직경 드럼 50: 구슬체인
60: 클러치커버 60a: 요부
61: 클러치커버의 측면 62: 걸림돌기

Claims (4)

  1. 일측에 회전제한돌기(11)가 형성된 지지브래킷(10);
    중앙에 형성된 축공(21)에 상기 회전제한돌기(11)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래킷(10)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는 클러치(20);
    양단에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20)의 축(22)의 둘레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탄성력에 의해 타이트하게 삽입되며, 외력으로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양단 돌기(31)를 근접시키면 직경이 커져 상기 축(22)의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클러치스프링(30);
    상기 클러치(20)의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의 양단 돌기(31)가 걸리는 걸림편(41)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을 벌려서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이 상기 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체인드럼(40);
    상기 체인드럼(40)에 형성된 체인블록(42)에 감기고, 당기면 상기 체인드럼(4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슬체인(50); 및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을 포위하여 상기 체인드럼(40)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롤스크린(2)에서 스크린(3)이 감고 풀리는 롤러(4)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4)와 일체로 회전하는 클러치커버(60); 를 포함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은, 상기 체인드럼(40)과 접하는 플랜지부(23), 상기 플랜지부(23)에 연이여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 축부(24), 및 상기 대직경 축부(24)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 축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은 상기 대직경 축부(24)의 둘레에 끼워지는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 및 상기 소직경 축부(25)의 둘레에 끼어지는 1개 이상의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3)에 의한 상기 롤러(4)의 회전부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에 대한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의 장착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
  2. 일측에 회전제한돌기(11)가 형성된 지지브래킷(10);
    중앙에 형성된 축공(21)에 상기 회전제한돌기(11)가 삽입되어, 상기 지지브래킷(10)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는 클러치(20);
    양단에 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20)의 축(22)의 둘레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탄성력에 의해 타이트하게 삽입되며, 외력으로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양단 돌기(31)를 근접시키면 직경이 커져 상기 축(22)의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클러치스프링(30);
    상기 클러치(20)의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의 양단 돌기(31)가 걸리는 걸림편(41)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을 벌려서 상기 클러치스프링(30)이 상기 축(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체인드럼(40);
    상기 체인드럼(40)에 형성된 체인블록(42)에 감기고, 당기면 상기 체인드럼(40)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슬체인(50); 및
    상기 클러치(20)의 상기 축(22)을 포위하여 상기 체인드럼(40)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되고, 롤스크린(2)에서 스크린(3)이 감고 풀리는 롤러(4)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4)와 일체로 회전하는 클러치커버(60); 를 포함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커버(60) 쪽에 있는 상기 클러치(20)의 축(22)의 내경에 형성된 환형 걸림턱(26); 및 상기 클러치커버(60)의 측면(61)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22)의 내경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환형 걸림턱(26)에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62); 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걸림턱(26)과 상기 걸림돌기(62)의 걸림결합이 상기 클러치커버(6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클러치커버(60)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커버(60) 쪽에 있는 상기 클러치(20)의 축(22)의 내경에 형성된 환형 걸림턱(26); 및 상기 클러치커버(60)의 측면(61)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22)의 내경에 강제 삽입되어 상기 환형 걸림턱(26)에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돌기(62); 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걸림턱(26)과 상기 걸림돌기(62)의 걸림결합이 상기 클러치커버(6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클러치커버(60)로부터 돌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드럼(40)은,
    상기 대직경 축부(24)를 감싸고 외주에 상기 체인블록(42)이 형성된 대직경 드럼(43), 및 상기 소직경 축부(25)를 감싸는 소직경 드럼(44)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편(41)은, 상기 대직경 클러치스프링(30a)의 양단 돌기(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대직경 드럼(43)에 돌출 형성된 제1 걸림편(41a)과, 상기 소직경 드럼(44)의 외주 일부를 상기 소직경 클러치스프링(30b)의 양단 돌기(31)에 대응하는 폭으로 절취하여 노출된 양변에 의해 형성된 제2 걸림편(4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 구동장치.
KR2020100005000U 2010-05-12 2010-05-12 롤스크린 구동장치 KR200460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00U KR200460163Y1 (ko) 2010-05-12 2010-05-12 롤스크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000U KR200460163Y1 (ko) 2010-05-12 2010-05-12 롤스크린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74U KR20110010774U (ko) 2011-11-18
KR200460163Y1 true KR200460163Y1 (ko) 2012-07-12

Family

ID=4713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000U KR200460163Y1 (ko) 2010-05-12 2010-05-12 롤스크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16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42Y1 (ko) * 2013-03-14 2015-02-04 이-친 타오 커튼용 구동 조립체
KR20190046375A (ko) 2017-10-26 2019-05-07 이신흥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038782B1 (ko) * 2018-12-31 2019-10-30 노인택 블라인드 클러치
WO2023234451A1 (ko) * 2022-06-03 2023-12-07 김상익 한 가닥의 당김줄로 작동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325A1 (ko) * 2018-07-06 2020-01-09 정재헌 클러치모듈 및 이를 적용한 호이스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42Y1 (ko) * 2013-03-14 2015-02-04 이-친 타오 커튼용 구동 조립체
KR20190046375A (ko) 2017-10-26 2019-05-07 이신흥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014109B1 (ko) * 2017-10-26 2019-08-26 이신흥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2038782B1 (ko) * 2018-12-31 2019-10-30 노인택 블라인드 클러치
WO2023234451A1 (ko) * 2022-06-03 2023-12-07 김상익 한 가닥의 당김줄로 작동되는 롤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74U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605B2 (en) Single cord operated clutch for roller blind
KR200460163Y1 (ko) 롤스크린 구동장치
US5927370A (en) Release brake shade operator
WO2008082254A1 (en) Rolling device for roll blind
JP2009114848A (ja) 引張り装置及び該引張り装置が設けられた日よけ幕アセンブリ
WO2006059840A1 (en) Electric roll screen machine
JP5238392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EP4321723A2 (en) Roller shade assembly
US8366033B2 (en) Cord winding device for window covering
AU2013224382B2 (en) Device for rolling up and unrolling a material web onto and from a shaft
KR200439526Y1 (ko) 롤블라인드용 권취장치의 커버
CA2830937C (en) Roller blind clutch cover with anti-jam ball stop feature
KR200445039Y1 (ko) 롤 블라인드
JPS58138887A (ja) ブラインド又はスクリーン用の引っ張り装置
JP6038495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操作装置及び巻取軸のパイプキャップ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CA2824898C (en) Slip clutch for roller shade
EP2549051B1 (en) Blind Control Device of Venetian Blinds
JPS6350385Y2 (ko)
KR102012859B1 (ko) 롤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및 그를 포함하는 롤 블라인드
US20200256124A1 (en) Winding Structure for Cordless Window Covering
CN211314041U (zh) 百叶窗卷绳模组
KR101647483B1 (ko) 롤 블라인드
KR101315603B1 (ko) 와이어 권취용 드럼
JPH11256959A (ja) カーテン回転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