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68Y1 -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68Y1
KR200398768Y1 KR20-2005-0020362U KR20050020362U KR200398768Y1 KR 200398768 Y1 KR200398768 Y1 KR 200398768Y1 KR 20050020362 U KR20050020362 U KR 20050020362U KR 200398768 Y1 KR200398768 Y1 KR 200398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tension
control shaft
roll scree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석
Original Assignee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20-2005-0020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으로 스프링의 텐션을 증가 및 감소시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분실 및 파손의 염려가 전혀 없어 경제적이며, 조절손잡이의 조절홈으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회전하므로 어느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스프링의 텐션을 적절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양끝에 하측 방향으로 걸림턱(11)을 갖는 스프링(10)이 내부에 설치되고 한쪽 외면 양측에 삽입홈(21)을 갖는 고정관(20)과; 상기 스프링(10)의 걸림턱(11) 사이에 결합되며 후방 외면에 결합홈(31)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스프링(10)의 텐션을 조절하는 회전돌기(3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조절축(30)과; 상기 조절축(30)이 삽입된 고정관(20)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이 설치되는 회전체(40)와; 상기 조절축(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며 중심부분에 전방으로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조절홈(52)을 갖는 조절손잡이(50);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Roll screen of tension adjuster}
본 고안은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에 결합된 회전돌기를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회전토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스프링의 텐션을 증가 및 감소시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조절손잡이의 조절홈으로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어 어느 누구나 적은 힘으로 스프링의 텐션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스크린은 창문이나 도어의 틀 상측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외주면에 스크린이 감겨 있고 그 끝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권취관을 설치한 후, 손잡이을 하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권취관 내부에 설치된 권취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크린이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린에는 컴퓨터 실사로 다양한 사진, 그림 등이 표현되어 장식 용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가족 사진을 넣어 창문 또는 벽에 액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스크린의 스크린이 권취관으로 감겨 올라 갈때, 권취스프링의 탄성 정도에 따라 스크린이 순간적으로 말려 올라가 사용자를 놀라게 함과 동시에 손잡이가 상측에 부딪치면서 심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그 반대로 장시간 사용시 권취관 내부에 설치된 권취스프링의 텐션이 약해져 스크린이 감겨 올라갈때 신속하게 올라가지 않고 서서히 올라가거나, 심한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롤스크린은 텐션이 약해진 권취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텐션을 조절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롤스크린이 대체로 창문이나 도어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어 매번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텐션을 조절하는 도구가 분실 및 훼손된 경우에는 추가로 구입 비용이 들어가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탄성이 느슨하거나 약해진 권취스프링의 텐션을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여 조절할 수 있는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손잡이로 조절할 수 있는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고정관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으로 회전돌기를 갖는 조절축을 결합하고, 조절축으로 조절손잡이를 설치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텐션 조절장치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양끝에 걸림턱(11)을 갖는 스프링(10)이 내부에 설치된 고정관(20)과, 후방에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회전돌기(3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조절축(30)과, 조절축(30)이 삽입된 고정관(20) 내부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권취관(90)이 설치되는 회전체(40)와, 상기 조절축(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고 중심에 결합돌기(51)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조절홈(52)을 갖는 조절손잡이(5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관(20)은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22)을 가지며 한쪽 외면 양측으로 고정부재(60)의 고정돌기(61)가 체결되는 삽입홈(21)을 장공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 공간(22)으로 양쪽 끝에 하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1)이 형성된 스프링(10)이 삽입한다. 이때, 스프링(10)의 외면과 고정관(20)의 내면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축(30)은 후방 외면 중앙에 육각형의 결합홈(31)을 형성하고 그 전방 외주면에는 회전하면서 스프링(10)의 장력을 증감토록 하는 회전돌기(3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전방에 고정링(36)이 설치되는 홈(33)을 형성하고 그 끝단에는 연결축(35)을 형성한다. 그리고 회전돌기(32)와 서로 맞닿도록 조절축(30)의 후방 외주면에 고정돌기(34)를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조절축(30)의 회전돌기(32)와 고정돌기(34)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관(20)의 내부 공간(22)에 설치된 스프링(10)의 전방과 후방에 형성된 걸림턱(11)의 사이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전돌기(3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10)의 장력을 증가 및 감소시키며, 고정돌기(34)는 조절축(3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조절축(30)의 끝단에 설치된 회동부재(7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체(40)는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41)을 가지며 외주면에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90)으로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돌기(42)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체(40)의 내부 공간(41)에는 내부에 조절축(30)이 설치된 고정관(20)을 삽입 결합한다. 이때, 회전체(40)의 한쪽 측면으로 조절축(30)의 홈(33)이 노출되도록 하고 홈(33)으로 고정링(36)을 체결하여 회전체(40) 내부에 고정관(2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관(20)이 회동체(4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동체(40)의 한쪽 측면으로 조절축(3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축(35)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0)의 외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홈(21)으로 고정부재(60)의 고정돌기(61)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상기 조절손잡이(50)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고 한쪽 면 중앙부분에 육각형의 결합돌기(61)를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조절홈(52)을 형성한다.
그리고 조절손잡이(50)는 결합돌기(61)를 조절축(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어 조절축(30)의 조절돌기(3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스프링(10)의 장력을 증가 및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축(30)의 연결축(35)으로 외면에 권취스프링(72)이 결합되고, 그 끝단에 스프링 탄성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구(73)가 설치된 회전축(71)를 갖는 회동부재(70)를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반대쪽에는 공지의 어저스터(adjuster)(81)를 설치하고 그 한쪽 면에 결합부재(60)를 설치한다.
그리고 어저스터(81)의 중심축(81a)으로는 스크린의 상승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부재(80)를 설치한다. 이는 전방으로 외면에 나사산을 갖는 고정축(82)이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84)를 설치하고, 고정축(82)의 한쪽에는 전후로 회전하는 감속너트(83)를 결합한다.
상기 회동부재(70)와 감속부재(80)는 이미 공지된 부분이며, 상기 어저스터(81)와 회동체(40)의 외주면에 설치된 결합돌기(42)로 외주면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권취관(90)을 고정 설치하고, 연결부재(6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판(62)으로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틀이나 문틀 및 창틀의 상측으로 롤스크린을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조절축(30)의 연결축(35)에 연결 설치된 권취스프링(72)의 장력을 조절하려면,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50)를 손으로 잡고 화살표 방향인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관(2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0)의 걸림턱(11) 사이에 밀착되어 있던 회전돌기(32)가 회전하고 고정돌기(34)는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회전돌기(32)가 스프링(10)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되고, 그 힘에 의해 스프링(10)이 늘어나면서 고정관(20)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조절축(30)의 연결축(35)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부재(70)의 회전축(71)은 회전돌기(32)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권취스프링(71)을 감아주게 되어 스프링의 텐션을 증가시킨다.
또한, 롤스크린은 대체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손으로 직접 조절손잡이(50)를 잡을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드라이버 등을 조절홈(52)으로 삽입한 후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의 텐션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권취스프링(72)의 텐션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조절손잡이(50)를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의 텐션을 감소시킨다.
상기 본 고안의 간단한 조작으로 스프링의 텐션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조작으로 스프링의 텐션을 증가 및 감소시켜 작업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조절손잡이가 조절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분실 및 파손의 염려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절손잡이의 조절홈으로 별도의 드라이버 등을 삽입한 후에 회전시켜 누구나 적은 힘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스프링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관 내부로 조절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 스프링 11: 걸림턱
20: 고정관 21: 삽입홈
30: 조절축 31: 결합홈
32: 회전돌기 33: 홈
34: 연결축 35: 고정링
40: 회전체 50: 조절손잡이
51: 결합돌기 52: 조절홈
60: 고정부재 61: 고정돌기
62: 고정판

Claims (1)

  1. 롤스크린에 있어서,
    양끝에 하측 방향으로 걸림턱(11)을 갖는 스프링(10)이 내부에 설치되고 한쪽 외면 양측에 삽입홈(21)을 갖는 고정관(20)과;
    상기 스프링(10)의 걸림턱(11) 사이에 결합되며 후방 외면에 결합홈(31)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스프링(10)의 텐션을 조절하는 회전돌기(3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조절축(30)과;
    상기 조절축(30)이 삽입된 고정관(20)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이 설치되는 회전체(40)와;
    상기 조절축(30)의 결합홈(31)에 결합되며 중심부분에 전방으로 결합돌기(5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조절홈(52)을 갖는 조절손잡이(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KR20-2005-0020362U 2005-07-13 2005-07-13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398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62U KR200398768Y1 (ko) 2005-07-13 2005-07-13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62U KR200398768Y1 (ko) 2005-07-13 2005-07-13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68Y1 true KR200398768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62U KR200398768Y1 (ko) 2005-07-13 2005-07-13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6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8B1 (ko) 2010-12-15 2011-07-20 (주) 코인씨앤엠 반자동 롤 스크린의 장력조절구
KR101050864B1 (ko) 2010-12-15 2011-07-20 (주) 코인씨앤엠 장력조절구를 갖는 반자동 롤스크린
KR101206002B1 (ko)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KR101425274B1 (ko) * 2012-09-28 2014-08-01 함석일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101440248B1 (ko) 2013-11-01 2014-09-17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권취속도 조절장치
KR101717047B1 (ko) * 2016-12-26 2017-03-27 곽재석 롤 블라인드의 스프링 장력 사전 구속장치
KR101839468B1 (ko) 2017-12-08 2018-03-16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KR20180087963A (ko) 2017-01-26 2018-08-03 김상익 블라인드의 복원스프링 탄력 조절장치
KR20210154430A (ko) 2020-06-12 2021-12-21 김상익 블라인드 구동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8B1 (ko) 2010-12-15 2011-07-20 (주) 코인씨앤엠 반자동 롤 스크린의 장력조절구
KR101050864B1 (ko) 2010-12-15 2011-07-20 (주) 코인씨앤엠 장력조절구를 갖는 반자동 롤스크린
KR101206002B1 (ko)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KR101425274B1 (ko) * 2012-09-28 2014-08-01 함석일 권취형 방충 장치용 권취 카세트, 그를 구비하는 권취형 방충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텐션 조절 어셈블리
KR101440248B1 (ko) 2013-11-01 2014-09-17 정장훈 롤러식 스크린의 권취속도 조절장치
KR101717047B1 (ko) * 2016-12-26 2017-03-27 곽재석 롤 블라인드의 스프링 장력 사전 구속장치
WO2018124432A1 (ko) * 2016-12-26 2018-07-05 곽재석 롤 블라인드의 스프링 장력 사전 구속장치
KR20180087963A (ko) 2017-01-26 2018-08-03 김상익 블라인드의 복원스프링 탄력 조절장치
KR101839468B1 (ko) 2017-12-08 2018-03-16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롤 방충망의 텐션 조절장치
KR20210154430A (ko) 2020-06-12 2021-12-21 김상익 블라인드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8768Y1 (ko) 롤스크린의 텐션 조절장치
US8695681B2 (en)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US8887792B2 (en) Winder
US5054533A (en) Wind-shield blind system
US20110139381A1 (en)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US20170159359A1 (en) Spring operated roller blind system with tension spring adjusting mechanism and locking element for said system
HU217934B (hu) Rugós kapcsolószerkezet
JPH04254687A (ja) ブラインド等の巻き上げ装置
KR100323891B1 (ko)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US6032718A (en) Adjustable sunshade for an automobile
JPS6132076Y2 (ko)
US20120000615A1 (en) Sunshade
US20150020984A1 (en) Adjustable window blind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464163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WO2016029249A1 (en) Improved winder
US20060162878A1 (en) Window blind with a resistance-providing unit
US20200355028A1 (en) Stop Structure for Cordless Roller Shade
KR100426019B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20162Y1 (ko) 롤 스크린의 결합구조
AU2012101288A4 (en) Scrolling device for curtain
JP3544511B2 (ja) 吊掛装置
KR200475152Y1 (ko) 커튼용 스크롤링 장치
KR200373362Y1 (ko) 롤스크린 감속장치
KR100406942B1 (ko) 창문용 괘정장치
KR100316234B1 (ko)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