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210A - 창틀 결합식 캣타워 - Google Patents

창틀 결합식 캣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210A
KR20200079210A KR1020190173615A KR20190173615A KR20200079210A KR 20200079210 A KR20200079210 A KR 20200079210A KR 1020190173615 A KR1020190173615 A KR 1020190173615A KR 20190173615 A KR20190173615 A KR 20190173615A KR 20200079210 A KR20200079210 A KR 2020007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main frame
window frame
c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662B1 (ko
Inventor
권주석
Original Assignee
권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주석 filed Critical 권주석
Publication of KR2020007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창틀 결합식 캣타워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의 폭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메인홈이 형성된 하부메인프레임과 상부메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홈을 따라 창틀의 높이에 맞게 슬라이딩되고, 그 내부에 이동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 및 이동플레이트를 매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키는 복수개의 캣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캣선반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홈에 대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캣선반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창틀과의 상대적 면접촉에 의해 그 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 결합식 캣타워{WINDOW FRAME COMBINED TYPE CAT TOWER}
본 발명은 창틀 결합식 캣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는 애완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로서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일측에는 애완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캣타워 중 조립식 형태의 캣타워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227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캣타워는 벽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 유닛을 사용자가 하나씩 벽면에 고정하며, 서로 다른 플레이트 유닛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 유닛 사이에 체결부재를 삽입하고, 플레이트 유닛의 전면 체결공에 블럭부재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립식 캣타워는 사용하지 않는 벽면이 존재하야 하며, 벽면을 기반으로 플레이트 유닛 고정되어야 하므로 방의 중간에 설치가 불가능하고, 조립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는 도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창틀을 수선 혹은 변경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창틀의 높이에 따라 변경 가능한 캣타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고양이가 놀 수 있는 선반의 높이 혹은 위치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는 캣타워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62275호
이에 본 발명은 1)기존 창틀을 변형하지 않은채 간단한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2)창틀의 높이에 맞게 변경가능하고, 3)간단하고 견고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캣타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창틀 결합식 캣타워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의 폭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메인홈이 형성된 하부메인프레임과 상부메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홈을 따라 창틀의 높이에 맞게 슬라이딩되고, 그 내부에 이동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 및 이동플레이트를 매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키는 복수개의 캣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캣선반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홈에 대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캣선반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창틀과의 상대적 면접촉에 의해 그 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창틀의 높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그 체결 과정이 종래 장치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동시에 견고해 지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창틀의 높이에 맞게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메인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메인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이 체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캣선반에 이동플레이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캣선반에 이동플레이트가 체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캣선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메인프레임마감구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메인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이 체결된 상태와 메인프레임마감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메인프레임마감구가 체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메인프레임마감구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모서리마감부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모서리마감부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모서리마감부에 의해 창틀과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는 모서리마감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7은 4군데에서 모서리마감부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이 다양한 창틀에서 적용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연결구의 사시도,
도 21은 연결구가 수직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연결구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과 도 24는 방묘창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창틀 결합식 캣타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크게 메인프레임(100), 이동프레임(200), 캣선반(300) 및 이동플레이트(31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폭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메인홈(H)이 형성된 하부메인프레임(110)과 상부메인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하며, 메인홈(H)을 따라 창틀의 높이에 맞게 슬라이딩되고, 그 내부에 이동홈(S)이 형성된 이동프레임(200)을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부메인프레임(120)과 하부메인프레임(110) 내부에는 소정 길이의 메인홈(H)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메인프레임(110)과 상부메인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이동프레임(200)이 위치하여, 이동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구현할 수 있다.
해당 구성으로 인해 이하 설명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플레이트와 창틀이 상대적으로 면접촉하는 넓이가 증가되어 견고한 고정 기능이 수행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별도의 추가 부품을 통해 창틀에 수평압력을 가하는 경우 그 체결력이 보강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절곡진 플레이트와 창틀과의 면접촉 되는 넓이가 증가하여 견고한 고정력이 이루어진다.
창틀의 높이에 맞게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본 발명의 구조를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도 4는 메인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메인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이 체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에는 길이방향으로 메인홈(H)이 형성되어 있고, 이동프레임(200) 역시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홈(S)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200)은 메인홈(H) 내부로 슬라이딩되고, 이동프레임(200)에 형성된 이동홈(S)에는 너트(N)가 위치하는데, 이 너트(N)를 외부에서 끼움결합할 수 있는 볼트(B)에 의해 이동프레임(200)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도면상에는 이동홈에 너트(N)가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홈 내부에 볼트(B)가 위치되고 외부에 너트(N) 체결되는 구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창틀을 교체하지 않아도, 창틀의 높이에 맞도록 이동프레임(2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메인홈(H)을 따라 이동플레이트(310)를 매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키는 복수개의 캣선반(300)을 포함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복수개의 캣선반(30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캣선반(300)의 높이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캣선반(300)에 이동플레이트(31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이러한 체결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캣선반(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310)는 캣선반(300) 하부면에 연결된채 절곡진 후 연장되어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된 이동플레이트(310)의 일지점에는 볼트(B)가 관통되어 있으며, 관통된 볼트(B)에 체결되는 너트(N)가 메인홈(H)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이동플레이트(310)가 절곡진 후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캣선반(300)의 승하강 운동을 매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 캣선반(300)을 메인홈(H)을 따라 이동시킨 뒤 볼트(B)와 너트(N)에 의한 볼트(B)결합을 통해 캣선반(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볼트(B)와 너트(N)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고, 더 나아가 캣선반(300)의 일종의 너트탭을 가공하여 볼트만으로 체결되는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결국, 이동프레임(200)을 통해 창틀의 다양한 높이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캣선반(300)의 높이 역시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의 연결부위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절단면(A)과 외주면을 감싸는 메인프레임마감구(400)가 체결되고, 메인프레임(100)의 양단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외부면을 감싸는 모서리마감부(5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하 후술할 연결구(600)만으로도 프레임의 절단면이 마감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마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와 같은 마감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여러 프레임들은 그 단면 혹은 모서리가 날카로와 자칫 사용자 혹은 고양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다.
특히, 메인프레임(100)의 절단면(A)이나, 메인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의 연결부위에는 자칫 사용자나 고양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면이 있는바 이를 미연에 차단하기 위해 일종의 마감부재가 개시된다.
도 9은 이러한 메인프레임마감구(40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메인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200)이 체결된 상태와 메인프레임마감구(40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메인프레임마감구(400)가 체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2는 메인프레임마감구(400)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마감구(400)는, 메인프레임(100)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메인프레임(100)의 메인홈(H)에 이동프레임(200)이 체결된 부분이 관통할 수 있는 직사각형상의 마감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 마감홀(410)을 중심으로 일측 양단에는 메인프레임(100)의 절단면(A)을 감싸는 마감단(420)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절단면(A)은 도 10에 도시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이 절단된 면으로 날카로와 자칫 사용자와 고양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마감구(400) 하방에는 메인프레임(1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장돌기(4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연장돌기(430)는 그 갯수와 형상이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프레임의 단면과 프레임에 형성된 다양한 메인홈(H)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마감구(400)가 체결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절단면(A)을 마감한 채 위치하고, 사용자는 볼트(B)와 너트(N) 결합을 통해 이동프레임(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어떠한 창틀의 높이에도 본 발명이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메인프레임마감구(400)와 대응될 수 있는 모서리마감부(500)에 대해서는 이하 구체적으로 다시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메인프레임(100)은 수평프레임(130)과 이 수평프레임(130)의 양 단에서 체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평프레임(130)의 절단면(A)과 수직프레임(140)의 절단면(A)을 각각 면접촉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플레이트(610)와, 경사플레이트(610)에서 수직프레임(140)의 메인홈(H)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620)와, 경사플레이트(610)에서 수평프레임(130)의 메인홈(H)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플레이트(630)로 구성된 연결구(6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연결구(600)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연결구(600)가 수직프레임(140)에 체결된 상태를 도 22는 연결구(600)가 수직프레임(140)과 수평프레임(13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연결구(600)가 개시되는데 연결구(600)는 경사플레이트(610)와 이 경사플레이트(6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620)와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플레이트(630)로 구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ㄱ' 자 형상이다.
이때, 경사플레이트(610)는 수평프레임(130)의 절단면(A)과 수직프레임(140)의 절단면(A)을 각각 면접촉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수평플레이트(630)는 수평프레임(130)의 메인홈(H)에 수직플레이트(620)는 수직프레임(140)의 메인홈(H) 방향으로 삽입된 채 연장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사플레이트(610)는 도면상 450로 구현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 소정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환경 또는 작업환경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그 경사진 각도가 900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서리 부분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이고, 수평 혹은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 자체의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도 발생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창틀의 경우 450 로 구현함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 일정한 길이로 구성된 일반적인 창틀을 본 발명에 적용하기 위해 450 로 절단한 뒤 그 이음부분을 상기와 같은 연결구(600)를 통해 체결할 수 있음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모서리마감부(500)는, 연결구(600)를 외부에서 감싸되, 연결구(6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너트홀(H1)에 끼워진 복수개의 볼트(B)를 연결구(600) 외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N)를 매개로 연결구(600)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모서리마감부(50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모서리마감부(500)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이러한 모서리마감부(500)에 의해 창틀과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는 모서리마감부(500)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7은 4군데에서 이러한 모서리마감부(50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서리마감부(500)는 연결구(600)는 물론이고 모서리부분인 수평프레임(130)과 수직프레임(140)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또한, 이러한 모서리마감부(500)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과 창틀과의 고정력이 더욱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600)에는 복수개의 너트홀(H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너트홀(H1)에 볼트(B)에 끼워지는데 모서리마감부(500)에서 형성된 홀을 따라 볼트(B)가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볼트(B)에 별도의 너트(N)를 매개로 모서리마감부(500)가 체결되도록 구현된다.
모서리마감부(500)는 수평프레임(130)과 수직프레임(140)이 연결되는 모서리부분을 마감하는 기능도 수행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30)의 이른바 날개 부분이 창틀에 대해 넓은 면적으로 맞닿아 있는데 이 모서리마감부(500)가 창틀과 수평프레임(130)의 날개부분도 동시에 고정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로 본 발명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에서 가장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체결되게 할 수도 있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에 형성된 이동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3과 도 24는 방묘창이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슬림홈(S1)에는 자석부재(700)가 위치하되, 자석부재에 의해 별도의 방묘창(800)이 자기력에 의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 메인프레임 200 : 이동프레임
300 : 캣선반 400 : 메인프레임마감구
500 : 모서리마감부 600 : 연결구
700 : 자석부재 800 : 방묘창

Claims (8)

  1. 창틀의 폭 크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되 내부에 메인홈이 형성된 하부메인프레임과 상부메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홈을 따라 창틀의 높이에 맞게 슬라이딩되고, 그 내부에 이동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 및
    이동플레이트를 매개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위치시키는 복수개의 캣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캣선반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메인홈에 대해 승하강되면서 상기 캣선반의 높이가 조정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창틀과의 상대적 면접촉에 의해 그 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절단면과 외주면을 감싸면서 체결되는 메인프레임마감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부면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모서리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을 중심으로 볼트와 너트 결합으로 상기 이동프레임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마감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마감홀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홀을 중심으로 일측 양단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절단면을 감싸는 마감단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마감구 하방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장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평프레임과 이 수평프레임의 양 단에서 체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절단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절단면을 각각 면접촉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메인홈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경사플레이트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메인홈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플레이트로 구성된 연결구가 더 포함되되,
    상기 연결구에 의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절단면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절단면을 마감하는 상기 모서리마감부는,
    상기 연결구를 외부에서 감싸되, 상기 연결구에 형성된 복수개의 너트홀에 끼워진 복수개의 볼트를 상기 연결구 외부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너트를 매개로 상기 연결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슬릿홈에는 자석부재가 위치하되, 상기 자석부재에 의해 별도의 방묘창이 자기력에 의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마감부의 체결로 인해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체결되는 창틀과의 고정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20190173615A 2018-12-24 2019-12-24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2357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8145 2018-12-24
KR1020180168145 201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10A true KR20200079210A (ko) 2020-07-02
KR102357662B1 KR102357662B1 (ko) 2022-02-03

Family

ID=7159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15A KR102357662B1 (ko) 2018-12-24 2019-12-24 창틀 결합식 캣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66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972B1 (ko) 2020-10-16 2021-01-05 한상헌 캣타워
KR102246737B1 (ko) * 2020-07-10 2021-04-29 정현호 고양이 쉼터
KR102419652B1 (ko) * 2021-07-30 2022-07-11 주식회사 한맥창호 선반대 탈착이 가능한 창호
KR20220002308U (ko) 2021-03-19 2022-09-27 김안이 캣타워
KR20230101414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5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09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6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2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3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49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1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386A (ko) 2022-05-01 2023-11-08 박세인 고양이용 창틀 선반
KR20230155839A (ko) 2022-05-04 2023-11-13 주식회사 집사의반격 창틀 설치형 캣트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4430A1 (en) * 2006-12-11 2008-06-12 Kirmon Harry A Cat window seat/bed
US7861674B2 (en) * 2008-08-23 2011-01-04 Mercier William W Pet porch
KR101362275B1 (ko) 2013-06-04 2014-02-13 박치환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JP2018102232A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ボンビ 猫用遊戯装置
KR20190001508U (ko) * 2017-12-12 2019-06-20 이준홍 안전 펜스
US20190274278A1 (en) * 2018-03-12 2019-09-12 Sarabjit S. Randhava Wire frame pet perc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4430A1 (en) * 2006-12-11 2008-06-12 Kirmon Harry A Cat window seat/bed
US7861674B2 (en) * 2008-08-23 2011-01-04 Mercier William W Pet porch
KR101362275B1 (ko) 2013-06-04 2014-02-13 박치환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20180055267A (ko) * 2016-11-16 2018-05-25 남예지 캣타워 조립체
JP2018102232A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ボンビ 猫用遊戯装置
KR20190001508U (ko) * 2017-12-12 2019-06-20 이준홍 안전 펜스
US20190274278A1 (en) * 2018-03-12 2019-09-12 Sarabjit S. Randhava Wire frame pet perch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737B1 (ko) * 2020-07-10 2021-04-29 정현호 고양이 쉼터
KR102198972B1 (ko) 2020-10-16 2021-01-05 한상헌 캣타워
KR20220002308U (ko) 2021-03-19 2022-09-27 김안이 캣타워
KR102419652B1 (ko) * 2021-07-30 2022-07-11 주식회사 한맥창호 선반대 탈착이 가능한 창호
KR20230101414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5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09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6A (ko)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2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3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49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1A (ko) 2022-02-07 2023-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타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662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9210A (ko)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1504505B1 (ko) 조립식 안전도어
US9307836B2 (en) Adjustable 4-post rack
US20170095078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bracket device thereof
US10244867B2 (en) Slide rail mechanism and adjusting assembly for slide rail
AU2015330617B2 (en) Column-beam connecting assembly capable of being manually assembled and frame structure assembled thereby
KR20190046586A (ko) 조립이 용이한 승강 테이블 받침
US20170187980A1 (en) Curved television and fixed base thereof
EP2059748A2 (de) Einbau-kältegerät mit ausgabevorrichtung
US7908821B2 (en) Post wrap device
EP3401481B1 (de) Vorrichtung zur bewegung eines an einem möbelkorpus aufgenommenen möbelteils und möbel
KR200463584Y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DE102014114339A1 (de) Führungseinrichtung zur Führung einer Schiebetür und Schrankmöbel
AT512022A1 (de) Möbel
EP2844108B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tragelement eines schrankes sowie kühl-, gefrierschrank oder weinlagerungsschrank
CN104363793B (zh) 抽屉后壁
DE102010005193B4 (de) Tragarm zur Aufnahme von Audiovisionsgeräten
CN105764282A (zh) 电控箱及其箱体
CN208675390U (zh) 便携数字移动电视
EP1102375B1 (de) Leitungsführungskanal
KR200492464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연결바
KR10211054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EP2980513A1 (de) Kühlgutablage für ein kältegerät
KR20050029871A (ko) 텐트용 폴대
KR200494740Y1 (ko) 대형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