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415A - 반려동물용 타워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15A
KR20230101415A KR1020210191506A KR20210191506A KR20230101415A KR 20230101415 A KR20230101415 A KR 20230101415A KR 1020210191506 A KR1020210191506 A KR 1020210191506A KR 20210191506 A KR20210191506 A KR 20210191506A KR 20230101415 A KR20230101415 A KR 20230101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uct
bar
assembl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15A/ko
Publication of KR20230101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을 포함하는 로드조립체(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스토퍼조립체(450A,45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는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 중 어느 하나의 로드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에는 상기 로드에서 돌출되어 겹쳐진 다른 로드에 고정되는 작동부(SB1,SB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습성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고, 변경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타워{Pet tower}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사육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놀이 시설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 캣 휠(cat wheel)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는 반려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이다. 이러한 캣타워는 반려묘가 놀 수 있도록 탑처럼 높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위해서, 캣타워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기둥에는 반려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198972호(선행문헌1)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캣타워 구조를 가변하는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선행문헌2)에는 기존 창틀에 고정하는 방식의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21-0121624호(선행문헌3)에는 높이와 회전 조절이 가능한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고, 중국공개실용신안 CN201911160U(선행문헌4)에는 적층식 캣하우스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캣타워는 높이나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캣타워를 제공할 수 있지만, 형태나 높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캣타워를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캣타워는 반려묘의 놀이공간을 제공할 뿐이며, 그밖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캣타워는 다른 놀이 기구나 놀이 시설에 비해 실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반려묘의 편의를 위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선행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2198972호 (선행문헌2)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 (선행문헌3) 한국 등록특허 제10-2021-0121624호 (선행문헌4) 중국 공개실용신안 CN201911160U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타워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개의 로드들을 포함하는 로드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는 스토퍼조립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 중 어느 하나의 로드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로드에서 돌출되어 겹쳐진 다른 로드에 고정되는 작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습성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고, 변경된 높이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에서 연장되는 제2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가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로드로부터 상기 제1로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드의 내면에는 스텝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텝프레임은 상기 제1로드의 내면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고정구조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텝프레임과 상기 제1로드의 내면 사이에는 스텝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스텝홈에 끼워지는 후크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후크가 상기 스텝홈에 걸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스텝프레임들은 상기 제2로드의 승강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들 중 어느 스텝프레임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상기 로드조립체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타워의 전체높이가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차폐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복수개의 작동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조립체를 구성하는 로드들 중 어느 하나의 로드는 이와 겹쳐진 다른 로드와 서로 여러 위치에서 걸려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스토핑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모터는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자동으로 잠김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맞물려 직선이동되는 레크바와, 상기 레크바에 의해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바깥쪽으로 밀려 돌출되는 작동바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바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작동바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제1작동부와,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로드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스토핑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에는 상기 작동부의 레크바가 맞물려 직선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스토퍼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의 제1레크바와 상기 제2작동부의 제2레크바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각각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상기 작동부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스토핑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제1레크바와 상기 제2레크바는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레크바와 상기 제2레크바는 서로 간섭없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바와 상기 레크바는 서로 미결합상태일 수 있다. 상기 작동바와 상기 레크바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작동공간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드에 걸려 고정된 상기 작동바에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외력이 상기 레크바 및 상기 스토핑모터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바에 걸림해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작동바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스토퍼하우징과, 상기 스토퍼하우징에 배치되고,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스토핑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동작되고, 상기 작동공간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상기 작동부를 갖는 스토핑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로드에는 상기 작동공간의 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바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는 상기 바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스텝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공간에는 상기 레크바의 레크돌기가 삽입되는 기어슬롯과, 상기 작동바의 작동돌기가 삽입되는 작동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크바와 상기 작동바는 각각 상기 기어슬롯과 상기 작동슬롯을 따라서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로드조립체에 배치된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의 회전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되면서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1스토퍼조립체와 제2스토퍼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2로드의 하부에 배치된 제3로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로드들이 독립적으로 승강되면서 타워 전체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게 할 수 있고, 타워의 높이 범위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는 승강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키는 제2승강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에어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덕트는 복수개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어느 하나의 덕트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덕트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복수개의 로드들로 구성되는 로드조립체가 구비되어, 타워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로드들은 길이가 가변되면서 타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습성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는 호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조절하여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스토퍼조립체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로드들이 특정 높이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스토퍼조립체는 로드들이 겹치는 구간에 배치되어, 겹친 로드들이 서로 중력에 의해 미끌어지지 않고 서로 걸려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려동물용 타워는 사용자가 설정한 높이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로드조립체를 구성하는 로드에는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조립체는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스텝프레임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조립체가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들 중 어느 스텝프레임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로드조립체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타워의 전체높이가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조립체에는 복수개의 작동부가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작동부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조립체를 구성하는 로드들 중 어느 하나의 로드는 이와 겹쳐진 다른 로드와 서로 여러 위치에서 걸려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조립체는 반려동물용 타워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조립체에 구비된 스토핑모터는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고, 스토핑모터는 회전을 통해 복수개의 작동부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작동부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스토핑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스토퍼조립체의 전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조립체의 작동부는 스토핑모터에 의해 왕복하는 레크바와, 레크바에 의해 밀려 돌출되는 작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크바와 작동바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에 걸려 고정된 작동바에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외력이 레크바 및 스토핑모터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토퍼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레크바와 작동바는 서로 분리된 상태이므로 레크바가 작동바를 원위치시키지 못할 수 있지만, 작동바는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스토핑모터의 힘이 작동바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작동바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스토퍼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조립체는 제2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1스토퍼조립체와, 제3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토퍼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두 스토퍼조립체는 각각 제2로드와 제3로드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로드들이 독립적으로 승강되면서 타워 전체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게 할 수 있고, 타워의 높이 범위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로드들은 승강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되면서 반려동물용 타워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반려동물용 타워워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케이스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승강장치에 의해 로드조립체의 길이가 짧아지면,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가 증가할 수 있고, 바닥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로드조립체의 내부에 에어덕트가 구비되어, 에어덕트를 통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덕트는 반려동물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타워의 내부 및 주변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타워에서 로드의 높이가 조절될 때 에어덕트의 높이도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덕트의 높이 및 이를 포함하는 타워 전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가 케이스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덕트가이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와 도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XVI-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케이스와 에어덕트의 상단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상단부와 덕트팬이 서로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덕트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4에서 케이스와 제1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0은 도 14에서 제2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도 14에서 제3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로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3은 도 22에서 로드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및 제2덕트가 중첩된 부분과, 제2덕트와 제3덕트가 중첩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내지 제3덕트가 중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승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중 제1승강모터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0은 도 1의 XX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31은 도 30에서 스토퍼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되고, 스토핑액츄에이터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가 제1로드의 제1스텝프레임에 걸리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에 제3덕트의 하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로부터 분해된 상태를 도 4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트레이부가 제3로드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조립체 중 시트브라켓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브라켓의 가이드돌기가 시트프레임의 가이드포켓에 삽입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시트프레임의 조립돌기가 시트브라켓의 완충부재를 누르고 있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이하 "타워"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워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발판을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온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워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뿐 아니라, 개, 다람쥐, 새 등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타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타워에는 냉각된 공기(이하 '냉기'라 함)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온기'라 함)가 공급될 수 있다. 타워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타워의 하우징공간(S) 뿐 아니라, 에어덕트(360)를 따라 타워의 하부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중에서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과, 냉기/온기의 흐름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의 상부에는 하우징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상단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중간 부분이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되는 부분일 수 있고, (ii) 반려동물에게 상기 하우징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iii) 타워가 설치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지거나,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과 부피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개방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타워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므로,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진 고양이 등 반려동물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하부에는 로드(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하우징모듈(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높이 보다 전체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조립체(900)가 고정되는 위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로드(400)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드(400)는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로드조립체(400)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와 같이 타워는 천장(C)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천장(C)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는 아래에서 설명될 설치브라켓(190)을 통해서 벽면(W)에 설치되거나 천장(C)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타워가 천장(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상면도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하나의 안착부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타워는 바닥(지면, G)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타워가 벽면(W) 또는 천장(C)에 설치됨에 따라 타워의 하단부(트레이부(800))는 바닥(G)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G)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물론, 타워의 하단부가 바닥(G)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K1은 상기 타워가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이고, K2는 천장(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보면, 타워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의 하부에는 로드조립체(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상하방향, 즉 타워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 조절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에는 총 5개의 안착면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부(918,9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는 다시 스텝스테이션(918)와, 시트스테이션(920)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총 3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제1구역(A)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역의 아래에는 제2구역(B)과 제3구역(C)이 차례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역(A)은 후술할 제1로드(500)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구역(B)은 제2로드(600)의 높이에 대응하며, 상기 제3구역(C)은 제3로드(70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역 내지 제3구역의 전체 높이인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상기 시트부(918,920)의 높이도 함께 가변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가장 바깥쪽 표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커버(1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와 이너케이스(130)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커버(110), 아웃케이스(120), 이너케이스(130) 및 단열부재(160)는 하나의 케이스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고, 후술할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케이스커버(110)를 보면,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 예를 들어 벽면(W)이나 천장(C)에 설치될 때 설치면과 맞닿게 된다. 물론, 상기 설치브라켓(190)을 통해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설치브라켓(190)이 생략되고 상기 케이스커버(110)가 설치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는 커버하판(111), 커버측판(113), 커버상판(116) 및 커버후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커버하판(1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가 배치되는 커버개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개방홀(112)은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전면까지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판(113)에는 커버측판홀(114,11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측판홀(114,115) 중 제1측면홀(114)은 상기 케이스커버(110) 및 하우징모듈(10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측면홀(11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상판(116)에는 커버상판홀(11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후술할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상판홀(117)은 생략되고, 상기 커버상판(11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110)의 안쪽에는 아웃케이스(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단열부재(160)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상기 케이스커버(110)와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형상과 크기는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하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바닥면과 후면이 각각 생략되고, 생략된 부분에는 케이스개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개방부(122)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상기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전면은 개방되어 전면개방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개방부(124)는 상기 도어(15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에는 아웃측판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측판홀(12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상판(126)에는 아웃상판홀(12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아웃상판홀(12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아웃상판홀(127)과 앞서 설명한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접근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아웃상판홀(127)은 생략되고, 상기 아웃상판(126) 전체가 막힌 구조일 수도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에는 도어지지단(12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앞쪽 하부, 즉 상기 전면개방부(124)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하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지지단(129)은 상기 도어(150)가 열릴 때 상기 도어(1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는 이너케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그 내부에 상기 하우징공간(S)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는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출입구(134)가 될 수 있고, 개방된 상기 출입구(134)는 상기 도어(1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판(131), 이너측판(133), 이너상판(136) 및 이너후판(138)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하판(131)의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하판(131)에는 하부개방홀(132)이 관통될 수 있고, 상기 하부개방홀(132)에는 연통캡(DC)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하부개방홀(132)을 가로막되, 상기 연통캡(DC)에 형성된 캡홀(DC')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캡(DC)은 상기 캡홀(DC')을 통해 연통로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연통로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아래쪽, 즉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통캡(DC)가 생략되고 상기 캡홀(DC')은 상기 이너하판(131)에 직접 형성된 하부개방홀(132)의 일부일 수도 있다.
상기 출입구(134)의 하부에는 도어장착부(134a, 도 9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는 상기 출입구(134)의 아래쪽에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상기 도어(150)의 도어회전축(153)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에는 축설치부(138, 도 9 및 도 11참조)가 구비되고, 상기 축설치부(138)에 상기 도어회전축(1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설치부(138)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의 양쪽 끝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축설치부(138)에는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에는 측면연통홀(135)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측면연통홀(135)에는 후술할 덕트가이드(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모터장착부(1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아래에서 설명될 개폐모터(14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도어장착부(134a)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한 쌍의 상기 이너측판(133) 중 한 쪽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되는 이너측판(133)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모터장착부(137)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이너측판(1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도어스토퍼(1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가 회전을 통해 열릴 때 도어(150)의 최대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에 구비된 회전구동부(155)를 걸어 도어(1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하우징공간(S)을 향한 상기 이너측판(133)에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양쪽의 이너측판(133)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도어(150)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구동부(155)를 각각 걸어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에 연결된 연결암(156)과 상기 도어스토퍼(139)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대략 삼각형 또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의 측면에 형성된 평면구간은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의 연결암(156)에 구비된 걸림면(156')에 맞닿아 상기 도어(1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대략 원호형상인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어스토퍼(139)가 부채꼴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스토퍼(139)의 곡면부분이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접촉하여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을 안내할 수도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개폐모터(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도어(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상기 모터장착부(13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모터장착부(137)의 가장자리에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와 함께 도어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에는 개폐기어(14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는 상기 도어(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폐모터(1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는 상기 모터장착부(137)를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어(145)가 회전하면,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린 상기 도어(150)의 회전구동부(155)가 회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개폐기어(145)에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구동기어치(155a)가 맞물려 있고, 상기 개폐기어(14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구동부(155)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기어(145)를 일종의 구동기어로 볼 수 있고, 회전구동부(155)는 종동기어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기어(145)와 상기 구동기어치(155a)의 기어비는0.2 내지 0.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폐기어(145)와 상기 구동기어치(155a)를 통해 감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도어(150)는 보다 부드럽게 회전하면서 여닫힐 수 있다. 상기 기어비가 0.2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150)의 회전속도가 너무 느려지고, 0.5를 초과하면 너무 빨라질 뿐 아니라 도어(150)를 여닫기 위한 충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상기 이너케이스(130)에는 도어(1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를 개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150)가 닫히면 상기 하우징공간(S)은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고, 상기 도어(150)가 열리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출입구(134)가 개방되어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어(150)가 열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는 대략 판상의 도어몸체(151)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몸체(151)는 회전을 통해 여닫힐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회전을 통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50)의 회전을 위한 구조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에는 도어회전축(1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은 상기 도어몸체(151)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細長型)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축설치부(13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5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몸체(151)에는 회전구동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도어몸체(151)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도어몸체(151)에 구비된 상기 도어회전축(15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상기 개폐모터(140)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150)가 여닫힐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대략 원호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도어몸체(151)와 상기 도어회전축(1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일단부는 상기 도어몸체(151)에 직접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타단부는 연결암(156)을 통해 상기 도어회전축(15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표면에는 구동기어치(1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치(155a)는 상기 개폐기어(145)와 맞물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폐모터(140)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기어치(155a)가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5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기어(145)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상기 회전구동부(155) 역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5b는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안쪽에 빈 공간인 회전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의 한쪽에 구비된 연결암(156)은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상기 도어회전축(15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은 대략 일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은 상기 회전구동부(15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간섭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156)의 걸림면(156')이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간섭되면 상기 도어(150)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12를 보면, 상기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개폐기어(145)가 시계방향(화살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개폐기어(145)에 맞물린 상기 회전구동부(155)는 반시계방향(화살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155)와 함께 상기 도어몸체(151)는 반시계방향(화살표3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15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X는 상기 도어회전축(155)의 회전중심을 나타낸다.
도 13에는 도어(15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스토퍼(139)는 상기 연결암(156)의 걸림면(156')과 간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50)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대략 90도만큼 열릴 수 있다. 도 13을 보면, 상기 도어몸체(151)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지지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50)는 상기 도어스토퍼(139)와 함께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모터(140)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개폐기어(145)가 도 13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150)는 다시 닫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5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에 결합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도어(150)는 아웃케이스(120) 또는 케이스커버(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50)는 생략되고 상기 하우징공간(S)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50)의 도어몸체(151)는 적어도 내부가 단열재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단열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몸체(151)의 전면과 상기 도어지지단(129)의 사이에는 완충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도어지지단(129) 또는 상기 도어지지단(129)에 대응되는 도어몸체(151)의 전면에 형성된 탄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진 코팅층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완충부재는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151)와 도어지지단(129) 사이에 탄성부재를 두게 되면 반려동물이 상기 도어(150)에 착지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는 단열부재(1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인 단열공간에 발포액이 충진되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물로 제작된 단열부재(160)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와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사이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스티로폼과 같이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단열부재(160)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모두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이들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 전체가 벽면(W)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및 상기 이너케이스(130)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단열하판(161), 단열측판(163), 단열상판(166) 및 단열후판(168, 도 6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하판(161)에는 하부연결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은 앞서 설명한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하부개방홀(13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홀(162)의 아래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개방된 단열입구부(164)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출입구(134)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입구부(164)도 상기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단열측판홀(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측판홀(165)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는 상기 단열측판홀(165)과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측면연통홀(135)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절팬(F2)이 토출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의해 아래쪽,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측판(163)에는 설치공간(16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65a)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개방된 한 쌍의 단열측판홀(165)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 히트싱크(214) 및 콜드싱크(218) 등의 부품들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단열부재(160)에는 모터장착홈(1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단열측판(163)에서 안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상기 개폐모터(140)가 삽입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모터장착홈(167)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단열측판(163) 중에서 상기 설치공간(165a)이 형성된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터(140)는 상기 모터장착홈(167)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모터장착부(13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는 연결플랜지(1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단열하판(161)에서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하부에 구비되지만,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아웃케이스(120)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연통캡(D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안쪽에 마련된 연결공간(169a)은 상기 연통캡(DC)의 상기 캡홀(DC')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플랜지(169)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와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캡홀(DC')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도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연결공간(169a)에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에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랜지(169)에는 제1고정홈(169b)과 제2고정홈(169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과 상기 제2고정홈(169c)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저면에서 각각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169b)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고정홈(169c)에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부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제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장치(410A) 및 제2승강장치(410B)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에는 외부센서(18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센서(183)는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공기란, 타워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타워가 실내에 설치된다면 상기 외부센서(183)는 실내공간의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상판(136)의 바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아웃상판홀(127)과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센서(183)를 통해 외부의 공기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외부센서(183)는 상기 제어부(18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공간(S)에는 내부센서(1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냉기나 온기가 상기 내부센서(185)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내부센서(185)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내부센서(185)는 덕트가이드(26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상부 구석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내부센서(185)에 의해 측정된 하우징공간(S)의 온도와, 상기 외부센서(183)에서 측정된 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온도와 하우징공간(S)의 온도사이의 차이가 기준치 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공간(S)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너무 춥거나 더울 경우에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의 온도만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운전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또는 가열 한 후에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30)의 이너측판(133)과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아웃측판(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설치공간(165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1조절팬(F1)은 케이스커버(110)의 바깥쪽을 향하고, 제2조절팬(F2)은 하우징공간(S)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먼저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상기 하우징공간(S)에 유입된 공기도 상기 연통캡(DC)의 캡홀(DC')을 통해서 다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장치하우징(2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은 온도조절장치(200)의 외관을 구성하고, 각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 온도조절팬(F1,F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표면은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0은 하우징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커버(210)는 상기 아웃케이스(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제1조절팬(F1)과 제2조절팬(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에는 회수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공기가 다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상기 회수부(212)는 상기 이너케이스(130)를 향한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장착플레이트(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는 상기 장치하우징(211)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213)에는 히트싱크(214)와 콜드싱크(2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히트싱크(214)와 상기 콜드싱크(218)의 사이에는 열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히트싱크(214)를 가열시키고, 상기 히트싱크(214)의 열은 상기 제1조절팬(F1)을 통해 바깥쪽인 후방(도 7의 화살표3 참조)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냉각된 콜드싱크(218)의 냉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한 전방(도 7의 화살표1,2참조)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단열공간인 상기 설치공간(165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 상기 히트싱크(214) 및 상기 콜드싱크(218)는 주변부와 단열될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의 냉기는 전방인 덕트가이드(260)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열전소자는 전면과 후면을 구비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전면은 흡열면이 되고 후면은 발열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직류 전원은 펠티어 효과를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의 흡열면의 열을 발열면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차가운 면이 되고, 뒷면은 열이 발생되는 부분이 된다. 즉,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의 열을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열면에는 히트싱크(214)가 결합되고, 상기 흡열면에는 콜드싱크(218)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열전소자가 동작하면,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면은 콜드싱크(218)를 통해 하우징공간(S)의 열을 흡수하여 하우징공간(S)을 냉각하고, 발열면은 히트싱크(214)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팬(F2)은 냉각팬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팬(F1)은 히트싱크(214)의 전열핀에 냉각공기를 송풍하여 전열핀의 열발산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214a는 전열핀에 삽입된 히트파이프를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은 발열면이 되고 후면은 흡열면이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의 전면에서는 열이 발생하고, 뒷면은 차가운 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는 상기 하우징공간(S) 내부에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은 열전소자에 마련된 케이블을 통해 열전소자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는 덕트가이드(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와 상기 에어덕트(3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일부는 상기 단열부재(160)에 둘러싸이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된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전체가 상기 단열부재(16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공간(S)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가이드(26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면부호 261은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를 감싸는 가이드플랜지를 나타낸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공기배출구에 연결되는 가이드입구(262)가 한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상기 가이드플랜지(261)의 입구로 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입구(262)는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가이드(260)에는 가이드유로(26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유로(263)는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및 제2가이드출구(2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는 상기 하우징공간(S)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2가이드출구(263b)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상단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거쳐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전달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에어덕트(36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덕트가이드(260)에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통해서 상기 덕트조립체(30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서 개방된 면적의 크기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출구(263a) 또는 제2가이드출구(263b)의 개방면적이 조절되면, 토출되는 공기량이 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타워의 온도조절을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로드조립체(400)의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타워의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고, (i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부(918,920)들로 토출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과정에서 로드조립체(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제1덕트조립체(300A)와 제2덕트조립체(300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덕트조립체(300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상부부터 하부까지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이 결합되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하나의 공기유로(360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서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제1덕트(370)와 제2덕트(380)가 서로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덕트(380)와 제3덕트(390)가 서로 연결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연결된 부분은 소정 길이만큼 중첩되어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는 각각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에는 덕트커버(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 아래쪽을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헤드(350A,350B)의 안착판(35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커버(31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고 볼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가이드(260)에서 전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의 팬모터는 브러쉬모터(brushed motor)이거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팬(3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353)의 내부인 가이드공간(355)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팬가이드(353)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 공간에 배치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온도조절팬(F1,F2)과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조절팬(F1,F2)은 상기 덕트가이드(260)를 향해 공기를 집중적으로 토출하고, 상기 덕트팬(320)은 이 중에서 일부를 아래쪽, 즉 에어덕트(36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에는 상기 덕트팬(320)의 구조를 유지하는 팬프레임(3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제어기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프레임(322)에는 팬모터를 임의의 속도로 운전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전원 장치인 인버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팬(320)에는 디퓨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24)는 위쪽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아래쪽, 즉 임펠러(326) 쪽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차단블럭(330)에 가려 보이지 않지만, 상기 디퓨저(32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베인이 구비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324)의 하부에는 임펠러(3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는 상기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위쪽의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326)의 중심에 배치된 허브의 외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들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공기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에는 차단블럭(3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덕트팬(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대략 원통형상이고, 중심에는 상기 덕트팬(320)과의 결합을 위해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블럭(330)은 공기가 상기 덕트팬(320)의 주변으로 세어나가지 않고, 상기 덕트팬(320)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차단블럭(330)은 상기 가이드공간(355)과 상기 덕트팬(320) 사이의 유격을 메울 수 있고,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팬(320)을 통해서만 아래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헤드(350A,3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가장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가 상기 하우징모듈(100)과 연결되는 부분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 및 제2덕트조립체(3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1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헤드(350B)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팬(320)도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덕트헤드(350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다.
상기 제1덕트헤드(350A)에는 안착판(3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제1덕트헤드(350A)의 직경을 넓히는 방향으로 돌출된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후술할 팬가이드(35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51)은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면에 안착되어서 상기 제1덕트헤드(350A)가 상기 연결공간(169a)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안착판(351)의 상부에는 에어챔버부(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전달된 공기를 모아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챔버부(352)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플랜지(169) 내부의 연결공간(169a)에 상기 에어챔버부(3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간(169a)은 밀폐된 공간이므로, 상기 연결공간(169a)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상기 에어챔버부(35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가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공기가 덕트가이드(260)를 통해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제2조절팬(F2)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가이드(260)의 제1가이드출구(263a)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도 7의 화살표1방향), 상기 하우징공간(S)의 공기는 상기 에어챔버부(352)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1'방향)
또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배출된 나머지 공기는 제2가이드출구(263b)를 거쳐 상기 덕트조립체(300)로 전달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이때, 공기는 먼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연결공간(169a)에 유입된 후에, 상기 에어챔버부(352)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도 7의 화살표2'방향)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챔버부(352)에는 원통형상의 팬가이드(35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기 덕트팬(320)을 둘러싸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353)는 상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가이드(353)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가이드공간(3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355)은 상하부로 개방되어 일종의 공기통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팬가이드(353)에 배치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위쪽으로는 공기가 유입되고, 아래쪽으로는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팬가이드(353)에는 연통슬릿(35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슬릿(357)을 통해서 상기 연결공간(169a)과 상기 가이드공간(35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연결공간(169a)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공간(355)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연통슬릿(357)은 상기 팬가이드(353)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헤드(350A,350B) 및 상기 덕트팬(320)은 에어덕트(36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에어덕트(360) 자체가 상기 덕트조립체(300)가 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아래쪽에는 에어덕트(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는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가 하나의 에어덕트(360)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360)의 내부에는 연속된 공기유로(360A, 도 15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덕트(360)는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되거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유로(360A)는 타워의 하단까지 연장되므로,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에게도 냉기 또는 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공기유로(360A)를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이동하므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덕트(360)가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된다면 상기 에어덕트(360)는 고정된 높이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70) 보다 제2덕트(380)의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상기 제3덕트(390)의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도 14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겹쳐진 제2덕트(38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겹쳐진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덕트의 직경이 더 크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는 공기가 덕트들(370,380,390)의 이음부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은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것으로,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2개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9를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 중 제1덕트(370)가 포함된 타워의 내부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3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는 상기 덕트헤드(3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370,380,390) 중에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토출된 공기를 제일 먼저 전달받는 덕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를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조립체(400)의 제1로드(50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로드(500)가 상기 제1덕트(370)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외부에서는 상기 제1덕트(370)를 직접 관찰할 수 없다.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은 상기 제1덕트(37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제1덕트(37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외기와 직접 닿아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상단(371)은 상기 덕트헤드(350A,350B)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만 연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제1로드(500)의 하단 보다 짧아서 제1로드(50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은 제1덕트(37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덕트(370)의 상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20에는 제2덕트(3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39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제1덕트(37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덕트(38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2로드(6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은 상기 제2덕트(38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 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1로드(5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로드(7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38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되면,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 안쪽으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23(c)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2덕트(38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참고로 제3덕트(390)도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의해 함께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에는 제3덕트(3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상기 후술할 트레이부(8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3덕트(39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3로드(7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로드(700)의 내면은 상기 제3덕트(39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술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2스토퍼조립체(450B) 및 트레이부(80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되면,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3덕트(39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3덕트(390)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3(b)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3덕트(39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은 제3덕트(39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안쪽으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참고로 도 22에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차례로 상승하여 타워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는 겹쳐진 상태의 상기 에어덕트(360)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도 23(a)를 보면,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도 23(b)를 보면, 상기 제3덕트(39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25에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서로 겹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서로 동심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각각 대략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부호 A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의 동심을 이루는 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덕트(370)에는 제1결합홈(3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표면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일부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공간(374)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2덕트(380)에는 상기 제1결합홈(378)에 끼워지는 제1결합리브(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리브(387)의 반대편에는 제2결합홈(388)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84는 상기 제2덕트(380)의 내부공간인 제2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1덕트(370)의 상기 제1결합홈(378)에 상기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면,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결합리브(387)와 상기 제1결합홈(37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덕트(390)에는 상기 제2결합홈(388)에 끼워지는 제2결합리브(3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94는 상기 제3덕트(390)의 내부공간인 제3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2덕트(380)의 상기 제2결합홈(388)에 상기 제2결합리브(398)가 끼워지면,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결합리브(398)와 상기 제2결합홈(38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는 서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들(370,380,390)이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덕트들(370,380,390)은 상기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서포트바(support bar)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덕트(390)는 상단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부(800)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될 때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를 줄일 때, 제3덕트(390)에 지지되는 제3로드(700)를 먼저 상승시키고, 그 후에 제2로드(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M)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이 유격없이 서로 겹쳐질 경우에 상기 에어덕트(360)의 승강과정에서 마찰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격(M)은 상기 덕트들(370,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조립공차에 의한 기울어짐 등을 보상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된 덕트조립체(300)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역시 복수의 로드들(500,600,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들(500,600,700)과 상기 덕트들(370,380,39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410A,410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360)도 생략되거나, 상기 에어덕트(360)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로드조립체(400)만 승강되면서 타워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26과 도 27에는 제1승강장치(41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상기 제1로드(500)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로드(500)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들은 함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단부는 상기 제1수납공간(511)의 내부인 제1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로드(600)에 연결된 제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단열부재(160)에 고정되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의 위치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제2위치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연결된 제1스토퍼조립체(450A)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장치(410A)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의 상대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대거리(상대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모터(M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바(42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1고정홈(169b)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제1위치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27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승강모터(M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면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결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로드(5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승강홀(458, 도 28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표면에는 제1승강나사산(42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나사산(42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8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제1승강홀(458)이 관통되어 있는데, 상기 제1승강홀(458)의 내면에는 상대나사산인 제1스토퍼나사산(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바(42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덕트(37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28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459)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면부호 459a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을 구성하는 볼(ball)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상기 제2고정홈(169c)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2고정홈(169c)에 끼워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1가이드바(425)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도 23(c) 참조)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포함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명에 앞서, 제2승강장치(410B)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에는 제2승강장치(41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할 때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바(49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승강모터홈(456,도 33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29에서 보듯이,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 및 제2승강바(49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과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에 결합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도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바(491)와 제2가이드바(49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되면 상기 제2승강바(491)에 연결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2승강바(49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로드(6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표면에는 제2승강나사산(49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내면에는 제2상대나사산인 제2스토퍼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동작하면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승강바(49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승강바(49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덕트(38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미도시)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승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3(b)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가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5)도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1)가 서로 같은 쪽에 나란히 배치되면, 모터(M1,M2)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곳이 한쪽으로 집중되어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치우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배치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승강장치(410A) 및 제2승강장치(410B)는 감기거나 풀리는 케이블로 동작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승강장치(410A) 및 제2승강장치(410B)는 상기 승강모터(M1,M2)에 의해 회전되는 승강와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와인더에는 승강케이블이 감길 수 있다. 상기 승강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와인더에 감기고, 타단부는 상기 로드조립체(400) 중 어느 하나의 로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케이블이 감기면 상기 로드가 상승하고, 상기 승강케이블이 풀리면 상기 로드는 중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토퍼조립체(450A, 45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들(600,700)과 상기 덕트들(380,390)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이 특정 위치(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에 구비된 스텝프레임(520,620)에 걸리거나,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 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i) 상기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 및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과 연결됨과 동시에, (ii)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의 상단(492) 및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승강바(421)를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제2승강바(491)도 상승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0을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가 상기 제1로드(500)의 가장 아래쪽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대길이(높이)가 가변된 후, 가변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2로드(6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와도 결합되어, 상기 제2덕트(38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제1스텝프레임(520)에 지지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0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승강바(42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도 30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연결된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승강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통과할 수 있다. 도 30을 보면,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퍼커버(480)를 통과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380)의 안쪽에는 제1덕트(370)가 겹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과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스토핑모터(471M)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서 입출되는 작동바(473,4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된 제2로드(60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31을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동바(473,476)가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바(473,476)가 돌출되면 상기 제2로드(600)의 바통과홀(618)을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2에는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서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수납되고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대략 원형틀 형상일 수 있고, 안쪽에는 상기 작동바(473,476)와 레크바(472,475)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와 상기 레크바(472,475)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형성된 작동공간(460,465)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2 내지 도 34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1스텝프레임(520)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에 구비되는 것이지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므로 함께 도시되었다. 도 32 내지 도 34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 안에 수납되어 있어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지만, 상기 제1작동바(473)가 전방으로 돌출되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는 날개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양쪽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제2로드(600)의 연장부와 내부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453은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관통부이다.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총 4개로 구성되고, 그 중 일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할 수 있다. 나머지 하우징관통부(453)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센서장착홈(4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은 상기 날개부(452)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는 센싱자석(45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자석(455)은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장착되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자석(45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센서(585)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센싱자석(455)이 아니라 홀센서가 장착되고, 반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센싱자석(455)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승강모터홈(4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는 앞서 설명한 제2승강장치(410B)의 제2승강바(49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베어링장착부(4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은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 중 상기 승강모터홈(456)이 형성된 날개부(452)와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날개부(452)에는 제1승강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은 상기 날개부(452)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바(42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은 상기 제1승강홀(458)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홀(458)을 통과하여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바걸림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은 상기 제1승강홀(458)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날개부(45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바걸림홀(458')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로,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내부에는 복수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총 4개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직교한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공간(460,465)들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치방향에 따라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각각 상기 작동부(SB1,SB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제1구획공간(460a)은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우측에 있는 제2구획공간(460b)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작동공간(465)도 제1작동공간(46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에 있는 제3구획공간(465a)은 오른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아래쪽에 있는 제4구획공간(465b)은 왼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총 4개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3개 이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제2작동공간(465)은 각각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도 각각 한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보면,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기어슬롯(461)과 제1작동슬롯(4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는 상기 제1작동부(SB1)를 구성하는 제1레크바(472)에서 돌출된 제1레크돌기(472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에서 돌출된 제1작동돌기(473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1작동부(SB1)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슬롯(461)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비해 길이가 긴 제1레크바(472)에는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장착돌기(4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돌기(46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작동돌기(473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돌기(473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는 원위치인 제1작동공간(460)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460a'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서 상기 제1작동바(473)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하는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보면,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기어슬롯(466)과 제2작동슬롯(4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는 상기 제2작동부(SB2)를 구성하는 제2레크바(475)에서 돌출된 제2레크돌기(475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에서 돌출된 제2작동돌기(476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각각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2작동부(SB2)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비해 길이가 긴 제2레크바(475)에는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3에서 보듯이, 상기 두 개의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장착돌기(4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돌기(468)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바(476)의 제2작동돌기(476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돌기(476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작동바(476)는 원위치인 제2작동공간(465)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465a'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나타낸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서 상기 제2작동바(476)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하는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5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위아래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기어슬롯(466)도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스토핑액츄에이터(470)를 살펴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수납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동작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거나, 또는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총 4개의 작동부(SB1,SB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4개의 작동부(SB1,SB2)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총 네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고,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피니언기어(47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스토핑모터(471M, 도 36참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작동부(SB1) 및 제2작동부(SB2)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레크바(472) 및 제2레크바(475)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회전하면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 및 제2작동공간(465)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레크바(472)가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상부에는 제2레크바(475)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도 33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는 각각 두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를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는 서로 분리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 서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상기 피니언기어(4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별개물이지만,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에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지는 제1레크돌기(472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돌기(472a)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져 상기 제1레크바(47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별개물이되, 서로 밀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는 제1후크(47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6(c)에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에는 제1작동돌기(4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34를 보면,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1작동바(473)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 작동바(473)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1레크바(472)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제1레크바(472)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와 상기 제1레크바(472)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레크바(472)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1레크바(472)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 및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 뿐 아니라,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에 연결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6(b)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작동부(SB1)와 직교한 방향으로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작동부(SB2)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3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SB2)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작동부(SB1)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작동부(SB2)는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작동바(476)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는 제2레크돌기(475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져 상기 제2레크바(47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제1레크돌기(475a)가 돌출되고,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가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면,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의 안내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는 제2후크(47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2후크(476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에는 제2작동돌기(47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34를 보면,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바(476)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2레크바(475)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제2레크바(475)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작동바(476)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2레크바(475)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2레크바(475)에까지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제2레크바(475) 및 상기 제2레크바(475)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4를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S1,S3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작동부(SB2)는 S2,S4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두 개의 제1작동바(473)와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두 개의 제1작동바(473)는 B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A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35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화살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린 상기 제1레크바(472)가 화살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 즉 화살표2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와, 상기 제2로드(600)에 형성된 바통과홀(618)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5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 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나, 상기 제1작동바(473)가 돌출된 후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대략 원형의 판상구조일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조립될 수 있다.
도 32를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커버날개(4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는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양쪽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장착을 위한 모터장착홀(482a)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터장착홀(482a)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이 통과하는 커버통과홀(48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1승강홀(458)을 개방하기 위한 승강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을 통해서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이 상기 제1승강홀(45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바걸림홀(458')에 연결되는 바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바연결홀(482c')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하우징관통부(453)에 대응하는 커버관통부(483)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커버관통부(48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하는 덕트연결홀(4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가 서로 중첩된 부분이 상기 덕트연결홀(484)을 통과할 수 있다. 도면부호 484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는 가이드리브를 나타낸다.
상기 덕트연결홀(484)의 하부에는 가이드보스(485)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덕트연결홀(484)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에어덕트(360)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홀(484)은 상기 가이드보스(485)를 통해서 계속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둘러싸 상기 에어덕트(360)의 설치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6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동작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동하여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가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높이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한다.
만약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없다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는 상승된 후에 하중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를 방지해 줄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용을 구체적을 보면, 도 36(a)에서 화살표1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구비된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어느 정도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돌출될 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러한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센싱자석(455)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승강센서(585)의 높이를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6(b)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핑모터(471M)가 화살표2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반대방향(화살표3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가 왼쪽으로 돌출되고, 오른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36(b)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바(473)가 각각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앞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어느 정도 하강할 수 있다. 도 36(c)의 화살표4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하강방향을 나타낸다.
이렇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면 돌출되었던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 상기 제1후크(473a)가 끼워지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작동바(473)만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작동바(476)도 동시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므로, 총 네 군데의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의 높이도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통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1로드(500)에 고정됨으로써, 제2로드(600), 제2덕트(380),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매우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다른 부분은 (i)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배치되지 않고, (ii)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제4덕트(미도시)가 더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미도시)가 더 연결된다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과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구비된 제2스텝프레임(6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제2작동바(미도시)가 돌출되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의 제2스텝홈(6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가 상기 제2스텝홈(622)에 끼워지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동작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한 구조와 달리,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통해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단순한 바(bar)형상이고, 작업자가 이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끼워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특정 높이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구성하는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앞서 살핀 상기 세 개의 덕트들(370,380,390)과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로드들(500,600,700)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7에는 상기 제1로드(5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500)를 보면 상기 제1로드(500)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로드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몸체(510)의 안쪽에 마련된 제1수납공간(511)에는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승강장치(41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2로드(6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로드(5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로드(500)는 전체적으로 외팔보 구조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2는 제1로드몸체(5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수납공간(511)은 후술할 제2수납공간(611) 및 제3수납공간(711)과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은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와,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하부 사이에 정의되는 빈 공간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상기 제2승강장치(410B)도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을 참고하면, 상기 제1장착슬롯(516)에는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는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1디스플레이부(5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로드(500)에는 상기 제1장착슬롯(516)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에는 제1승강센서(5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센싱자석(455, 도 34참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승강센서(585)들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센서(5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에는 장착플랜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와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의 넓이를 넓히도록 일종의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맞닿은 상태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연결플랜지(169)와 조립될 수도 있다.
도 37(a)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두 개의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7(b)를 보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1스텝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끼워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로드토출홀(5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은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과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 또는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8에는 상기 제2로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로드(600)는 상기 제1로드(50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의 제2로드몸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안쪽에 마련된 제2수납공간(611)에는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2승강장치(41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상단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3로드(7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면부호 612는 제2로드몸체(6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2로드(600)의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에는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슬롯(616)에는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는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2디스플레이부(6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로드(600)에는 상기 제2장착슬롯(616)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에는 제2승강센서(6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센싱자석(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2승강센서(685)들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승강센서(6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600)에는 바통과홀(6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배치되는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의 앞부분은 상기 바통과홀(61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38(a)에서 보듯이, 상기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을 둘러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곡선형상이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서로 분리된 두 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상기 두 개의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8(b)를 보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과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2스텝홈(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은 상기 제2로드(6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제2후크(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로드(700)는 상기 제2로드(6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로드(700)에는 상기 제2로드(600)와 달리 제2스텝프레임(6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가 더 연장된다면, 제3스토퍼조립체(미도시)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제3스텝프레임(미도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3로드(700)를 구성하는 제3로드몸체(7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덕트(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3로드(700)의 상단과 함께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2에서 도면부호 712는 제3로드몸체(7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3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도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된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덕트(380)에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트레이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덕트들(370,380,390)은 결합리브(387, 397)와 결합홈(378,388)의 맞물림구조로 서로 상대회전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는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3,497)은 각각 고정되지 않고 외팔보 형태가 되지만(도 23(b)참조), 상기 제3덕트(390)를 포함하는 에어덕트(360)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제3덕트(390) 및 제3로드(700)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로드토출홀(7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은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은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과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 또는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하단에는 트레이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Condensate)가 낙하했을 때 응결수가 모이게 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갖는 공기가 상기 에어덕트(360)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수분이 응결되고, 응결된 응결수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흘러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800)는 흘러내리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가장 아래쪽,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3로드(700)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 의해 승강될 때, 상기 트레이부(8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도 39 내지 도 43에는 상기 트레이부(80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부(800)의 바깥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3시트조립체(900C)의 장착링(91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대략 바닥면(811a)이 함몰된 트레이몸체(810)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몸체(810)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양쪽에는 상기 제3로드(700)의 제3로드연장부(712)에 대응하는 형상의 트레이연장부(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내부에는 집수공간(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은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이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에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가 낙하하여 고일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은 상기 트레이연장부(812)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1에서 보듯이, 상기 집수공간(811)은 위쪽으로 개방되어서, 상기 제3로드(700)의 제3수납공간(711, 도 42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에는 트레이배출구(8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는 상기 트레이연장부(812)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집수공간(811)을 내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상기 제3수납공간(711) 및 상기 집수공간(81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집수공간(811)에 모인 응결수를 증발시킨 공기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는 결합보스(8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보스(815)는 한 쌍의 제3덕트(390)들에 대응하여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3을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3덕트(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에 전달된 공기는 아래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의 하단에는 하단토출구(815a)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하단토출구(815a)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단토출구(815a)는 일종의 덕트출구로 볼 수도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1은 공기가 아래쪽으로 유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고, 공기는 상기 결합보스(815)의 안쪽 방향(화살표2방향)으로 유입된 후에 하단토출구(815a)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타워의 하우징공간(S) 또는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 뿐 아니라,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들에게도 쾌적한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결합보스(815)의 외경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의 틈으로 공기 중 일부가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에는 유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결합보스(815)의 겉면과 상기 제3덕트(39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틈과,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과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 사이에 형성된 유격(G2)은 서로 연속된 일종의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유동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3은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공기가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에 공급되면,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집수공간(811)에 고인 응결수는 보다 빨리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을 타고 흐르는 응결수는 상기 제3덕트(390)의 표면(390a)을 따라 상기 집수공간(811)으로 모일 수 있다. 상기 집수공간(811)에 모인 응결수는 시간이 지나면 증발될 수 있지만, 증발되는 시간 보다 응결수가 집수되는 시간이 짧다면 보다 빨리 증발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에어덕트(36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집수공간(811)에 유입됨으로써 상기 응결수의 증발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수공간(8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3에서 화살표4는 상기 트레이배출구(813)를 통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9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부(800)에는 하부센서(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타워의 하부 공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트레이몸체(810)의 바닥면(811a)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센서(850)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하부까지 전달된 냉기 또는 온기의 온도나 습도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센서(183) 및 상기 내부센서(185)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와 상기 하부센서(850)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를 비교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조립체(400)에는 복수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밟고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기 편한 시트스테이션(920)와, 반려동물이 밟고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스텝스테이션(918)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반려동물은 이와 반대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을 계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에 머물 수도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시트조립체(900)에는 복수의 시트부(918,9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각각 반려동물에게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시트부(918,920)들은 일종의 계단을 형성하여, 반려동물들이 이를 차례로 밟고 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총 3개(900a,900b,900c)로 구성되고, 시트부(918,920)는 총 5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시트조립체(900)와 시트부(918,920)의 개수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조립체(900)들 중에서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시트조립체(90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3로드(7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시트조립체(900B)는 제2로드(6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제3로드(7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지만, 제1시트조립체(900A)는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2로드(600)가 승강될 때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이동할 때 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되지 않고 고정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를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를 밟았을 때 충격을 줄이고, 보다 편한 안착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4 내지 도 48에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4와 도 45를 보면,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시트부(918,9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상단에 시트스테이션(920)이 배치되고, 하단에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되지만, 이와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되거나, 3개 이상의 시트부(918,920)가 제1시트조립체(900A)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에는 시트프레임(9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되고, 상기 장착링(911)을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시트스테이션(920)와 스텝스테이션(918)이 배치된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은 상기 제1로드(50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브라켓(930)을 통해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에는 장착링(91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대략 원형링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상기 제1로드(500)의 표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은 후술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결합공간(93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에는 프레임가이드(9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장착링(911)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상기 결합공간(933)의 내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가이드포켓(913)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프레임가이드(912)의 안쪽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가이드포켓(9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포켓(913)에는 후술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가이드돌기(94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가이드(912)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가져, 상기 가이드포켓(913)은 아래쪽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반대쪽인 위쪽은 막힌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에는 조립돌기(9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장착링(911)의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립돌기(9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시트브라켓(930)의 수납홈(944)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서로 체결구 등으로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상기 조립돌기(914)가 상기 수납홈(944)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수납홈(944)에 배치된 완충부재(945)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945)는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할 때의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에는 시트레그(9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레그(915)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도 40을 보면, 상기 시트레그(915)에는 센서장착부(91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915a)는 상기 시트레그(915)의 한쪽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915a)에는 높이측정센서(I)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측정센서(I)는 상기 센서장착부(915a)의 하단에 형성된 측정홀(915a')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한 후에, 바닥에서 반사되어 수신된 빛을 수신하는 레이저센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높이측정센서(I)는 상기 제3로드(7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K1, 도 3참조)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8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부(8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580,680)에 표시된 정보나, 상기 제어부(810)의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단말기로 전달된 정보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K1),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온도, 상기 제3덕트(390) 내부의 온도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레그(915)의 말단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되는 시트링(9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링(917)은 상기 시트레그(915)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트링(917)의 중심에는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링(917)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링(911)에는 스텝레그(9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장착링(911)으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장착링(911)의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레그(916)는 상기 시트레그(915)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스텝레그(916)의 말단에는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장착링(911)과 평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은 상기 스텝레그(916)로부터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링(917)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중심부가 함몰되어, 안착공간(92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별개물이지만, 이와 달리 상기 시트프레임(9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은 상기 스텝스테이션(918)과 마찬가지로 평판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대략 원형틀 형상의 브라켓몸체(9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중심에는 관통부(934)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관통부(934)를 향한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는 상기 제1로드(500)의 외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몸체(931)에는 결합공간(9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 빈 공간으로, 위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장착링(911)이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은 상기 브라켓몸체(931)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6을 보면,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가이드돌기(9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결합공간(933)의 바닥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브라켓몸체(931)의 내측펜스(932)으로부터 먼 상기 결합공간(933)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공간(933)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942)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7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가이드포켓(91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가 상기 가이드포켓(913)에 삽입되면,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942)는 가이드포켓(913)과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고, 타워의 높이방향(상하방향)으로만 상대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6을 보면,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수납보스(도면부호 미부여)가 돌출되고, 상기 수납보스의 안쪽에는 수납홈(9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은 상기 수납보스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은 위쪽으로 개방되고, 대략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에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의 조립돌기(914)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과 상기 조립돌기(914)는 상기 가이드돌기(942) 및 가이드포켓(9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이 서로 틀어지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납보스, 즉 상기 수납홈(944)은 상기 시트브라켓(93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들이 대략 원형으로 되는 상기 결합공간(933)에 좌우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홈(944)들은 상기 로드(500,600,7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 또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수납홈(944)이 총 4군데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납홈(94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돌기(942)가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942)도 상기 로드(500,600,7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944)의 내부에는 완충부재(9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945)은 상기 조립돌기(914)에 의해 눌려 압축되면서, 상기 시트부(918,9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그 충격이 상기 시트프레임(910)을 통해 상기 완충부재(945)에 전달되고, 상기 완충부재(945)는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프레임(910)과 상기 시트브라켓(930)은 상기 조립돌기(914)가 상기 완충부재(945)를 압축하는 높이만큼 서로 상대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도 48에는 상기 완충부재(945)가 상기 조립돌기(914)에 눌려 압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완충부재(945)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완충부재(945)는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결합공간(933)에는 하중센서(9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950)는 상기 시트프레임(910)이 상기 결합공간(933)의 바닥쪽으로 하강하면 눌려 ON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하중센서(950)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반려동물이 착지하는 순간 ON상태가 되고, 이를 상기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반려동물이 착지하면 상기 도어(150)를 열거나, 또는 닫을 수 있다.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개방하여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하우징공간(S)에 머물던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에 착지하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을 떠난 것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도어(150)를 다시 닫을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중센서(950)는 제1시트조립체(900A)와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중센서(950)들 중에서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의 하중센서(950)가 ON된 후에,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하중센서(950)가 ON된다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하중센서(950)들 중에서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의 하중센서(950)가 ON된 후에, 상기 제2시트조립체(900B)의 하중센서(950)가 ON된다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모듈(100)로부터 떠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하우징공간(S)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9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단순히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 실시례의 타워가 특정위치, 예를 들어 천장(C)이나 벽면(W)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하우징공간(S)이 생략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모듈(100) 자체를 일종의 온도조절장치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배치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에어덕트(360)에 토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온도조절장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0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타고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바닥(G, 도 3참조)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벽면(W)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0: 하우징모듈 110: 케이스커버
111: 커버하판 113: 커버측판
114,115: 커버측판홀 117: 커버상판홀
120: 아웃케이스 122: 케이스개방부
123: 아웃측판 124: 전면개방부
125: 아웃측판홀 126: 아웃상판
127: 아웃상판홀 129: 도어지지단
130: 이너케이스 131: 이너하판
132: 하부개방홀 133: 이너측판
134: 출입구 134a: 도어장착부
135: 측면연통홀 136: 이너상판
137: 모터장착부 138: 이너후판
139: 도어스토퍼 140: 개폐모터
145: 개폐기어 150: 도어
151: 도어몸체 153: 도어회전축
155: 회전구동부 155a: 구동기어치
156: 연결암 160: 단열부재
161: 단열하판 162: 하부연결홀
163: 단열측판 164: 단열입구부
165: 단열측판홀 165a: 장착공간
167: 모터장착홈 168: 단열후판
169: 연결플랜지 169a: 연결공간
180: 제어부 183: 외부센서
190: 설치브라켓 200: 온도조절장치
210: 하우징커버 211: 장치하우징
212: 회수부 213: 장착플레이트
214: 히트싱크 218: 콜드싱크
260: 덕트가이드 261: 가이드플랜지
262: 가이드입구 263a: 제1가이드출구
263b: 제2가이드출구 300: 덕트조립체
300A: 제1덕트조립체 300B: 제2덕트조립체
310: 덕트커버 320: 덕트팬
322: 팬프레임 324: 디퓨저
326: 임펠러 330: 차단블럭
350A: 제1덕트헤드 350B: 제2덕트헤드
351: 안착판 352:에어챔버부
353: 팬가이드 357: 연통슬릿
360: 에어덕트 370: 제1덕트
375: 제1덕트토출관 378: 제1결합홈
380: 제2덕트 387: 제1결합리브
388: 제2결합홈 390: 제3덕트
395: 제2덕트토출관 398: 제2결합리브
400: 로드조립체 410A: 제1승강장치
410B: 제2승강장치 421: 제1승강바
425: 제1가이드바 450A: 제1스토퍼조립체
451: 스토퍼하우징 452: 날개부
455: 센싱자석 455a: 센서장착홈
456: 승강모터홈 457: 베어링장착부
458: 제1승강홀 458': 바걸림홀
460: 제1작동공간 460a: 제1구획공간
460b: 제2구획공간 461: 제1기어슬롯
462: 제2작동슬롯 463: 제1장착돌기
465: 제2작동공간 465a: 제3구획공간
465b: 제4구획공간 468: 제2장착돌기
470: 스토핑액츄에이터 471: 피니언기어
472: 제1레크바 472a: 제1레크돌기
473: 제1작동바 473a: 제1후크
473b: 제1작동돌기 475: 제2레크바
475a: 제2레크돌기 476: 제2작동바
476a: 제2후크 476b: 제2작동돌기
479: 탄성부재 480: 스토퍼커버
482: 커버날개 485: 가이드보스
500: 제1로드 510: 제1로드몸체
520: 제1스텝프레임 522: 제1스텝홈
600: 제2로드 510: 제2로드몸체
620: 제2스텝프레임 622: 제2스텝홈
700: 제3로드 710: 제3로드몸체
800: 물받이부 810: 트레이몸체
811: 집수공간 812: 트레이연장부
813: 트레이배출구 815: 결합보스
850: 하부센서 900: 시트조립체
900A: 제1시트조립체 900B: 제2시트조립체
900C: 제3시트조립체 910: 시트프레임
911: 장착링 912: 프레임가이드
913: 가이드포켓 914: 조립돌기
915: 시트레그 916: 스텝레그
918: 스텝스테이션 920: 시트스테이션
930:시트브라켓 931: 브라켓몸체
933: 결합공간 942: 가이드돌기
944: 수납홈 945: 완충부재
DC: 연통캡 DC': 캡홀
F1: 제1조절팬 F2: 제2조절팬
I: 높이측정센서 S: 하우징공간
SB1: 제1작동부 SB2: 제2작동부

Claims (29)

  1.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개의 로드들을 포함하는 로드조립체;와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이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로드들 중 어느 하나의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에서 돌출되어 겹쳐진 다른 로드에 고정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스토퍼조립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조립체는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에서 연장되는 제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가 겹치는 구간에서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로드로부터 상기 제1로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에 고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의 내면에는 스텝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걸려 고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텝프레임은 상기 제1로드의 내면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텝프레임과 상기 제1로드의 내면 사이에는 스텝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에는 상기 스텝홈에 끼워지는 후크가 돌출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6.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스텝프레임들은 상기 제2로드의 승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복수개의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작동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스토핑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이동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맞물려 직선이동되는 레크바;와
    상기 레크바에 의해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바깥쪽으로 밀려 돌출되는 작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바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작동바는 상기 로드조립체에 구비된 스텝프레임에 고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제1작동부;와
    상기 스토핑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2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스토핑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가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에는 상기 작동부의 레크바가 맞물려 직선이동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스토퍼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작동부의 제1레크바와 상기 제2작동부의 제2레크바는 상기 피니언기어에 각각 맞물리는 반려동물용 타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레크바와 상기 제2레크바는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작동공간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와 상기 레크바는 서로 미결합상태이고, 상기 작동바와 상기 레크바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작동공간에 나란히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에는 탄성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바에 걸림해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하우징의 장착돌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작동바의 작동돌기에 연결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되는 스토퍼하우징;
    상기 스토퍼하우징에 배치되고,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스토핑모터;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맞물려 동작되고, 상기 작동공간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는 상기 작동부를 갖는 스토핑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의 끝에는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작동바는 상기 출구를 통해 입출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로드에는 상기 작동공간의 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 바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바는 상기 바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로드의 스텝프레임에 고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작동공간에는 상기 작동부의 레크바에서 돌출된 레크돌기가 삽입되는 기어슬롯과, 상기 작동바의 작동돌기가 삽입되는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하우징에는 상기 작동공간을 차폐하는 스토퍼커버가 결합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로드조립체에 배치된 승강장치에 의해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승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의 회전을 따라 승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1스토퍼조립체와 제2스토퍼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조립체는 상기 제2로드의 하부에 배치된 제3로드에 결합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는 승강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승강장치를 작동시키는 제2승강모터가 배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조립체의 내부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에어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덕트는 복수개의 덕트들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 중 어느 하나의 덕트는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고정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28.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로드와 제2로드를 포함하는 로드조립체;
    상기 제1로드와 제2로드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로드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로드와 겹쳐진 상기 제1로드에 고정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스토퍼조립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29.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1로드와 제2로드를 포함하는 로드조립체;와
    일단부는 상기 제1로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로드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1로드와 상기 제2로드를 상대이동시키는 승강모터가 구비된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로드에 결합되는 스토퍼조립체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조립체에는 상기 제1로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에 고정되는 작동부가 구비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KR1020210191506A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6A KR20230101415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6A KR20230101415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15A true KR20230101415A (ko) 2023-07-06

Family

ID=8718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06A KR20230101415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1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11160U (zh) 2011-01-21 2011-08-03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猫的运动玩耍屋
KR20200079210A (ko) 2018-12-24 2020-07-02 권주석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102198972B1 (ko) 2020-10-16 2021-01-05 한상헌 캣타워
KR20210121624A (ko) 2020-03-31 2021-10-08 하나리 캣타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11160U (zh) 2011-01-21 2011-08-03 厦门吉信德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猫的运动玩耍屋
KR20200079210A (ko) 2018-12-24 2020-07-02 권주석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20210121624A (ko) 2020-03-31 2021-10-08 하나리 캣타워
KR102198972B1 (ko) 2020-10-16 2021-01-05 한상헌 캣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51B2 (en) Automatic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with heating mode
CA2777694C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220946B2 (en) Food container
AU2015318813B2 (en)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system
US8820003B2 (en) Retractable attic closet
US20160278517A1 (en) Retractable vented attic storage system
US20090095727A1 (en) Food container
US20110165545A1 (en) Free fall simulator
KR101132646B1 (ko)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20230101415A (ko) 반려동물용 타워
US20170023266A9 (en) Portable confined space ventilator
KR20230101416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4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09A (ko)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3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2A (ko) 시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타워
KR1012803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373208A (zh)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CA3069443A1 (en) Pet guide platform for a pet door opening
CA2776685A1 (en) Air curtai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a horizontal air curtain with additional airflow
KR20230101417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101326382B1 (ko)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KR20230101411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19453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8A (ko)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