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46B1 -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 Google Patents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646B1
KR101132646B1 KR1020090063843A KR20090063843A KR101132646B1 KR 101132646 B1 KR101132646 B1 KR 101132646B1 KR 1020090063843 A KR1020090063843 A KR 1020090063843A KR 20090063843 A KR20090063843 A KR 20090063843A KR 101132646 B1 KR101132646 B1 KR 10113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e
air supply
diffuser
main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282A (ko
Inventor
박상혁
최광용
신상민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1020090063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목 적>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아파트, 병원, 대형마트 등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냉난방 실내 급기용 디퓨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의 취출콘은 중앙 제어장치에 의해 용이하고 정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개폐 동작이 모터에 의한 전동식으로 개폐되어 거주자로 하여금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구 성>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효 과>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와 취출콘으로 구성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은 본체의 하부 급기구를 정밀하고 편리하게 밀폐 또는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확한 풍량 조절에 의한 실내 온도의 유지와 함께 열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급기 효율이 개선되고, 이에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디퓨져, 취출콘, 너트, 모터축, 체결홈, 업다운, 전동식, 지지대, 가이드돌기, 슬라이더, 급기구, 랙기어, 피니언 샤프트, 이송볼

Description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The Diffuser For Variable Air Volume System}
본 발명은 아파트, 병원, 대형마트 등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냉난방 실내 급기용 디퓨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의 취출콘은 중앙 제어장치에 의해 용이하고 정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개폐 동작이 모터에 의한 전동식으로 개폐되어 거주자로 하여금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 내부의 환기 또는 냉난방을 위하여 디퓨져를 천장에 설치하고, 상기 디퓨져에 덕트를 연결함으로써 냉난방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왔다.
도 13은 종래 디퓨져 분해 사시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디퓨져 조립체는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나사 조립되는 공기확산구, 상기 공기 확산구에 나사 조립되는 공기량 조절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은 하단 절곡단에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절곡단으로부터 연결통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연결통의 외벽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내벽에 나사돌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 확산구(3)는 하단에 만곡부가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개구공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하단 양 끝단에 나사단(4)이 형성되고 중앙에 나사공(5)이 형성된 나사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량 조절구(6)는 공기 확산구(3)의 몸체 내에 이격 설치되는 조절판(7)과, 상기 조절판(7)에 구비되어 상기 나사편에 형성된 나사공(5)과 조립되는 나사봉(8)과, 상기 나사봉(8)의 이동거리를 조절시키는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판(7)의 회전 조작에 따른 높낮이 조절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의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과 공기 확산구가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출된 숫나사산과 공기 확산구의 나사편에 의해 나사 결합함에 있어서 정위치로 체결되기 어려워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디퓨저 조립체 체결 상태가 불안정하여 디퓨저의 안정성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사편의 나사공과 나사봉에 의해 나사 결합되는 상기 공기 확산구와 공기량 조절구의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이 상기 나사공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못하는 결합 구조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아파트, 병원, 대형마트 등을 포함한 공동주택의 냉난방 실내 급기용 디퓨져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의 취출콘은 중앙 제어장치에 의해 용이하고 정밀한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개폐 동작이 모터에 의한 전동식으로 개폐되어 거주자로 하여금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본 구성으로서,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전동장치(100)는 일 실시예로서,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2)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 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돌기(81)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돌기(81)와 슬라이더(72)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일 실시예로써, 베어링(82-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베어링(82-1)이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다른 실시예로써, 와셔(83)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와셔(83)가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써,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단면이 반구형인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1)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이송볼(81-1), 단면이 반구형인 키홈(81-2)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 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키홈(81-2)에 끼워진 이송볼(81-1)과 슬라이더(72-1)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 및 지지판(61)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모터축(51)은 랙기어(51-1)가 결합되고,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모터축의 랙기어(51-1)와 맞물려 상,하 업다운 이송되도록 피니언 샤프트(9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랙기어(51-1)가 회전하면 피니언 샤프트(90)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8)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면(88)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면(88)과 슬라이더(78)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와 취출콘으로 구성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은 본체의 하부 급기구를 정밀하고 편리하게 밀폐 또는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정확한 풍량 조절에 의한 실내 온도의 유지와 함께 열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급기 효율이 개선되고, 이에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 구성으로서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전동장치(100)는 일 실시예로서,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2)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 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돌기(81)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돌기(81)와 슬라이더(72)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모터를 회전시키면, 모터축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은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의 체결홈과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축의 회전시 연동되도록 회전하려고 하나, 상기 너트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는 지지대의 슬라이더에 끼움되어 있음으로 결국, 체결홈이 모터축에 의해 회전하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운동이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업다운을 도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더는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3~4개 정도 형성되어 디퓨져의 크기(규격)에 따라 유동(흔들림)없이 안정적인 업다운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도 2 참조)
이때,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일 실시예로써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82-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베어링(82-1)이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베어링은 슬라이더 내에서 면접에 따른 상하 이송시 가이드돌기에 비해 현저한 동작성을 구현할 것인 바, 이는 대형 디퓨져의 사용시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다른 실시예로써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83)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와셔(83)가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와셔는 베어링의 채택시 디퓨져 제조 원가가 고가임을 회피하기 위함으로 성능은 베어링의 수준으로 유지하되, 제작에 따른 원가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다른 실시예로써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단면이 반구형인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1)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이송볼(81-1), 단면이 반구형인 키홈(81-2)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키홈(81-2)에 끼워진 이송볼(81-1)과 슬라이더(72-1)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 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송볼은 지지대의 반구형 슬라이더와 지지대의 반구형 키홈 사이에 삽입되어 상술한 베어링의 성능을 유지하되, 제작 비용은 절감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구조가 간단한 반면, 동작 신뢰성이 탁월한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이송볼과 그에 따른 슬라이더 및 키홈은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3~4개 정도 형성되어 디퓨져의 크기(규격)에 따라 유동(흔들림)없이 안정적인 업다운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 및 지지판(61)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모터축(51)은 랙기어(51-1)가 결합되고,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모터축의 랙기어(51-1)와 맞물려 상,하 업다운 이송되도록 피니언 샤프트(9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랙기어(51-1)가 회전하면 피니언 샤프트(90)를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는 취출콘의 결합에 대하여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한 것으로, 모터로 하여금 랙기어와 직접 연결된 피니언 샤프트는 동작 신뢰성이 탁월하며 정밀한 풍량 조절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모터는 스태핑 모터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전동장치(100)는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8)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면(88)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면(88)과 슬라이더(78)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취출콘은 원형의 너트의 외주면을 면취하여 일종의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지지대의 슬라이드와 대응되어 모터축의 회전시 체결홈의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퓨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내지 6은 도 1 내지 도 2의 상,하 업다운 방식에 대하여 베어링과 와셔를 채용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퓨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퓨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디퓨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종래의 디퓨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천정 11 ... 급기공
20 ... 급기관 30 ... 본체
31 ... 급기구 40 ... 취출콘
50 ... 모터 51 ... 모터축
60 ... 브라켓 70 ... 지지대
71 ... 이송홈 72 ... 슬라이더
80 ... 너트 81 ... 가이드돌기
82 ... 체결홈

Claims (7)

  1. 삭제
  2.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동장치(100)는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2)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돌기(81)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돌기(81)와 슬라이더(72)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베어링(82-1)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베어링(82-1)이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가이드돌기(81)에는 와셔(83)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슬라이더(72)는 와셔(83)가 수납되어 상,하 이송될 수 있도록 수납폭(t)이 확장되어 모터(50)에 의해 상,하 업다운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5.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동장치(100)는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단면이 반구형인 슬라이더(72-1)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1)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이송볼(81-1), 단면이 반구형인 키홈(81-2)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키홈(81-2)에 끼워진 이송볼(81-1)과 슬라이더(72-1)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6. 삭제
  7. 천정(10)의 급기공(11) 및 급기관(20)에 직착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개구된 하부에 형성되어 급기의 풍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취출콘(4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취출콘(40)은 본체(30)를 기준으로 전동장치(100)에 의해 상,하 업다운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동장치(100)는 본체(30)의 내부에 모터축(51)을 갖는 모터(50)가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60)의 하부에는 모터축(51)이 관통되어 수납되도록 이송홈(71)을 갖는 지지대(70)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홈(71)의 내부면 일측 또는 타측에는 슬라이더(78)가 형성되되, 상기 취출콘(40)은 상단부에 지지대의 이송홈(71)과 슬라이더(72)를 기준으로 상,하 업다운되며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면(88) 및 체결홈(82)을 갖는 너트(80)가 형성되어 모터(50)가 구동되면 모터축(5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51)과 결합된 너트의 체결홈(82)은 회전운동을 가이드면(88)과 슬라이더(78)로 하여금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취출콘(40)이 본체의 개구된 하부 급기구(31)에 대해 상,하 이송되며 밀폐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1020090063843A 2009-07-14 2009-07-14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10113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43A KR101132646B1 (ko) 2009-07-14 2009-07-14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843A KR101132646B1 (ko) 2009-07-14 2009-07-14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82A KR20110006282A (ko) 2011-01-20
KR101132646B1 true KR101132646B1 (ko) 2012-04-02

Family

ID=4361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843A KR101132646B1 (ko) 2009-07-14 2009-07-14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576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20101905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20220156156A (ko)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102517416B1 (ko) * 2022-10-19 2023-03-31 박경훈 환기장치의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949B1 (ko) 2017-02-17 2019-02-22 주식회사 힘펠 환풍기 커버 결합구조
KR102322756B1 (ko) 2019-08-07 2021-11-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전동식 풍량조절용 디퓨져
KR102334722B1 (ko) * 2020-08-26 2021-12-06 주식회사 하츠 각방 제어 방식 환기 시스템
KR102462763B1 (ko) * 2022-04-20 2022-11-09 주식회사 퍼버코리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 통합관리시스템
EP4296587A1 (en) * 2022-06-23 2023-12-27 Innoair OÜ An autonomous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 autonomous system of ventilation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ventil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35Y1 (ko) * 2001-03-05 2001-10-18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공기분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35Y1 (ko) * 2001-03-05 2001-10-18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공기분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6576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346575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346577B2 (en) 2015-07-17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11674713B2 (en) 2015-07-17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20101905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20220156156A (ko)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휴앤텍 전동 디퓨저
KR102517416B1 (ko) * 2022-10-19 2023-03-31 박경훈 환기장치의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282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646B1 (ko)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US20090149123A1 (en) Register for air conditioning
US20070178827A1 (en) Insulated housing apparatus for use with an attic fan
US20110275306A1 (en) Motorized diffuser
US20060199513A1 (en)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164124A1 (en) Supply ai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airflow rate
JP4792347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EA015693B1 (ru) Стенной короб
KR20120017876A (ko) 방향제가 구비된 전동식 디퓨져
KR200473600Y1 (ko) 댐퍼 내장형 디퓨져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US20210215355A1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4792348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KR20120005904U (ko) 전동 가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KR101374865B1 (ko) 다목적 환기시스템
JP2008014597A (ja) 通風建物
KR20100007803U (ko) 전동 리니어 디퓨저
US20190101298A1 (en) Fresh air hood system for mini splits
KR200454288Y1 (ko) 전동 디퓨저
KR102322756B1 (ko) 전동식 풍량조절용 디퓨져
KR10049952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93764B1 (ko)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KR101995976B1 (ko) 매립형 개폐기를 구비하는 자동가변선회 디퓨저
JP2010043842A (ja) 空調室内機
KR200477238Y1 (ko) 디퓨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