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418A -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18A
KR20230101418A KR1020210191509A KR20210191509A KR20230101418A KR 20230101418 A KR20230101418 A KR 20230101418A KR 1020210191509 A KR1020210191509 A KR 1020210191509A KR 20210191509 A KR20210191509 A KR 20210191509A KR 20230101418 A KR20230101418 A KR 2023010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ar
stopper assembly
assembly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기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18A/ko
Publication of KR2023010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8Floor hea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모듈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 중 일부는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덕트의 승강명령이 입력 또는 수신되면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덕트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승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Pet t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길이조정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말한다.
최근 반려동물을 건강하게 기르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놀이 시설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 캣 휠(cat wheel)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캣타워(cat tower) 또는 캣트리(cat tree)는 반려묘들이 높은 곳을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과 숨는 것을 즐기는 습성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이다.
이러한 캣타워는 반려묘가 놀 수 있도록 탑처럼 높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를 위해 캣타워는 소정 높이로 형성된 기둥에 다수의 판재가 층상으로 고정되어 있고 기둥에는 반려묘가 숨을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198972호에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 고양이가 선호하는 높이와 위치를 추정하여 캣타워 구조를 가변하는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9210호에는 기존 창틀에 고정하는 방식의 캣타워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캣타워는 반려묘의 놀이공간을 제공할 뿐이며, 그밖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캣타워는 반려묘의 편의를 위한 보다 다양한 자동 기능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캣타워는 타워의 길이와 시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반려동물이 놀이에 싫증을 낼 수 있고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설치된 타워의 길이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타워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시트의 위치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워의 길이를 복수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로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하우징모듈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 중 일부는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덕트의 승강명령이 입력 또는 수신되면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덕트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승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 공간과 상기 복수개의 덕트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의 내부를 따라 하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온기 또는 냉기가 될 수 있어 상기 하우징모듈의 내부뿐만 아니라 상기 덕트로 전달될 수 있어 반려동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 중 상부 덕트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스텝프레임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하부 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는 스토퍼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덕트의 스토퍼조립체가 상부 덕트의 스텝프레임과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부 덕트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과 바깥방향의 양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스테핑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핑모터가 구동하여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걸려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명령 중 상승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하여 상기 작동바가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하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상기 상부 덕트에 설치된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작동바는 다시 상기 스텝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명령 중 하강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설정거리만큼 상승시킨 후 정지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상승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상기 상부 덕트에 설치된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작동바는 다시 상기 스텝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하강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덕트의 최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어, 바닥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고, 다른 시설물과의 간섭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워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모듈이 설치되므로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워를 구성하는 덕트의 길이가 변경되므로 설치되는 장소에 맞춤형으로 타워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의 길이는 여러 단계로 설정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덕트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높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워는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타워가 바닥(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반려동물용 타워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면 바닥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고 다른 시설물과의 간섭도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XVI-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온도조절장치와 덕트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케이스와 제1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5에서 제2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5에서 제3덕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로드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는 도 11에서 로드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덕트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및 제2덕트가 중첩된 부분과, 제2덕트와 제3덕트가 중첩된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덕트 내지 제3덕트가 중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승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 중 제1승강모터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제1승강장치의 하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승강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9는 도 1의 XX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0은 도 19에서 스토퍼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되고, 스토핑액츄에이터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에서 스토퍼커버가 생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토퍼조립체가 제1로드의 제1스텝프레임에 걸리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로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블럭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의 일례 보인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타워 제어방법의 다른 예를 보인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용 타워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타워(이하 "타워"라 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워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발판을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에게 적절한 온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워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뿐 아니라, 개, 다람쥐, 새 등 다양한 동물을 위해 본 발명의 타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타워에는 냉각된 공기(이하 '냉기'라 함)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온기'라 함)가 공급될 수 있다. 타워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온도조절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타워의 하우징공간(S) 뿐 아니라, 에어덕트(360)를 따라 타워의 하부에까지 전달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의 상부에는 하우징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상단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타워의 중간 부분이나 하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반려동물에게 상기 하우징공간(S)을 제공할 수 있고, 타워가 설치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지거나, 정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과 부피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외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을 구성하는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공간(S)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도어(150)가 개방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하우징공간(S)의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공간(S)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도어(150)는 도어개폐장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여닫힐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타워의 가장 높은 위치에 하우징공간(S)이 마련되므로, 높은 곳으로 올라가려는 습성을 가진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들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하부에는 로드(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연결플랜지(169)를 통해 상기 로드(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하우징모듈(100)의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높이 보다 전체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조립체(900)가 고정되는 위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로드(400)의 내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로드(400)는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로드조립체(400)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로드들(500,600,700)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개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본 실시례의 타워가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와 같이 타워는 천장(C)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b)와 같이 천장(C)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는 설치브라켓을 통해서 벽면(W)에 설치되거나 천장(C)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상기 타워가 천장(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상면도 반려동물이 머물 수 있는 하나의 안착부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타워는 바닥(지면, G)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타워가 벽면(W) 또는 천장(C)에 설치됨에 따라 타워의 하단부(트레이부(800))는 바닥(G)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G)의 가용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물론, 타워의 하단부가 바닥(G)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K1은 상기 타워가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이고, K2는 천장(C)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보면, 타워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타워의 하부에는 로드조립체(400)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상하방향, 즉 타워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길이가 가장 긴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로드조립체(400)이 길이 조절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타워에는 총 5개의 안착면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시트부(918,9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는 다시 스텝스테이션(918)와, 시트스테이션(920)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는 총 3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제1구역(A)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역의 아래에는 제2구역(B)과 제3구역(C)이 차례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구역(A)은 후술할 제1로드(500)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제2구역(B)은 제2로드(600)의 높이에 대응하며, 상기 제3구역(C)은 제3로드(700)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역 내지 제3구역의 전체 높이인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상기 시트부(918,920)의 높이도 함께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제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장치(410A) 및 제2승강장치(410B)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상판홀(117)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180)에 접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로드조립체(400)의 내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타워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타워의 하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고, (ii)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시트부(918,920)들로 토출할 수 있으며, (iii)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승강과정에서 로드조립체(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제1덕트조립체(300A)와 제2덕트조립체(300B)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서로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덕트조립체(300)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덕트조립체(300)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덕트조립체(300A)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가까운 상부부터 하부까지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이 결합되어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하나의 공기유로(360A, 도 5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구성하는 제1덕트(370)와 제2덕트(380)가 서로 연결된 부분과, 상기 제2덕트(380)와 제3덕트(390)가 서로 연결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들이 연결된 부분은 소정 높이만큼 중첩되어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와 상기 제2덕트조립체(300B)는 각각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에는 덕트커버(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커버(31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헤드(350A,350B)의 안착판(35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커버(310)에 걸려 위치가 고정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팬(3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상기 하우징공간(S)과 상기 덕트가이드(260)에서 전달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덕트조립체(300)의 하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은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팬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팬(320)의 팬모터는 브러쉬모터(brushed motor)이거나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일 수 있다.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상부에는 덕트헤드(350A,3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의 가장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덕트조립체(300A,300B)가 상기 하우징모듈(100)과 연결되는 부분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는 상기 제1덕트조립체(300A) 및 제2덕트조립체(300B)에 각각 구비되는 제1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헤드(350B)로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팬(320)도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덕트헤드(350A,350B) 및 상기 덕트팬(320)은 에어덕트(36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에어덕트(360) 자체가 상기 덕트조립체(300)가 될 수 있다.
상기 덕트헤드(350A,350B)의 아래쪽에는 에어덕트(3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는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는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가 하나의 에어덕트(360)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360)의 내부에는 연속된 공기유로(36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에어덕트(360)는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되거나, 2개 또는 4개 이상의 덕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유로(360A)는 타워의 하단까지 연장되므로, 타워의 아래쪽에 있는 반려동물에게도 냉기 또는 온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60)의 공기유로(360A)를 따라서 냉기 또는 온기가 이동하므로, 냉기 또는 온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타워의 하단까지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워의 높이 방향을 따라 온도를 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에어덕트(360)가 하나의 덕트로만 구성된다면 상기 에어덕트(360)는 고정된 높이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370,380,390) 중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덕트는 이웃한 상부의 덕트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70) 보다 제2덕트(380)의 직경이 더 크고,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상기 제3덕트(390)의 직경이 더 클 수 있다.
도 5의 확대된 부분을 보면,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겹쳐진 제2덕트(38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겹쳐진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의 직경이 더 큰 것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된 덕트의 직경이 더 크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는 공기가 덕트들(370,380,390)의 이음부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은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분기된 것으로, 상기 덕트토출관(375,395)을 통해서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시트부(918,920)들에 각각 냉기와 온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덕트(360)에는 2개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3개 이상의 덕트토출관(375,39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에어덕트(360) 중 제1덕트(370)가 포함된 타워의 내부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양단은 각각 상기 덕트헤드(350A)와 제2덕트(3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는 상기 덕트헤드(3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복수의 덕트들(370,380,390) 중에서 상기 덕트팬(320)에 의해 토출된 공기를 제일 먼저 전달받는 덕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를 아래에서 설명될 로드조립체(400)의 제1로드(500)가 둘러싸고 있다. 상기 제1로드(500)가 상기 제1덕트(370)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외부에서는 상기 제1덕트(370)를 직접 관찰할 수 없다.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은 상기 제1덕트(37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공간은 상기 제1덕트(37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외기와 직접 닿아 온도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상단(371)은 상기 덕트헤드(350A,350B)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만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제1로드(500)의 하단 보다 짧아서 제1로드(50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은 제1덕트(37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1덕트(370)의 상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9에는 제2덕트(38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39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제1덕트(37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덕트(38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2로드(6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은 상기 제2덕트(38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 보다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은 상기 제1로드(5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로드(700)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38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되면,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2덕트(380)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 안쪽으로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도 12(c)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2덕트(38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참고로 제3덕트(390)도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의해 함께 상승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는 제3덕트(39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과 상기 후술할 트레이부(80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와 마찬가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3덕트(390)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제3로드(700)가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로드(700)의 내면은 상기 제3덕트(390)의 외면과의 사이에 일종의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후술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제2스토퍼조립체(450B) 및 트레이부(800)에 고정되므로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되면,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3덕트(39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제3덕트(390)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2(b)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3덕트(390)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은 제3덕트(39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해당하는 높이에 상기 시트부(918,920)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는 상기 시트부(918,920)를 향해 개방되므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무는 반려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 안쪽으로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이 늘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에어덕트(36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1에는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차례로 상승하여 타워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겹쳐진 상태의 상기 에어덕트(360)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도 12(a)를 보면, 상기 제2덕트(38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1덕트(370)의 하단(372)은 상기 제2덕트(380)의 상단(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도 12(b)를 보면, 상기 제3덕트(390) 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제2덕트(380)의 하단(382)은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의 겹침구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의 전체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서로 겹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서로 동심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는 각각 대략 원형의 횡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부호 A는 상기 제1덕트(370), 상기 제2덕트(380) 및 상기 제3덕트(390)의 동심을 이루는 중심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덕트(370)에는 제1결합홈(3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표면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일부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공간(374)의 폭을 줄이는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홈(378)은 상기 제1덕트(37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제2덕트(380)에는 상기 제1결합홈(378)에 끼워지는 제1결합리브(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리브(387)의 반대편에는 제2결합홈(388)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리브(387)는 상기 제2덕트(38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84는 상기 제2덕트(380)의 내부공간인 제2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1덕트(370)의 상기 제1결합홈(378)에 상기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면,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결합리브(387)와 상기 제1결합홈(37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3덕트(390)에는 상기 제2결합홈(388)에 끼워지는 제2결합리브(39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일부가 상기 중심(A)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리브(398)는 상기 제3덕트(390)의 양쪽에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도면부호 394는 상기 제3덕트(390)의 내부공간인 제3공간을 나타낸다.
상기 제2덕트(380)의 상기 제2결합홈(388)에 상기 제2결합리브(398)가 끼워지면,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대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결합리브(398)와 상기 제2결합홈(388)이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3덕트(39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는 서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덕트들(370,380,390)이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덕트들(370,380,390)은 상기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서포트바(support bar)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덕트(390)는 상단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트레이부(800)를 통해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 결합되므로 로드들(500,600,700)이 승강될 때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높이를 줄일 때, 제3덕트(390)에 지지되는 제3로드(700)를 먼저 상승시키고, 그 후에 제2로드(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M)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제2덕트(380) 및 제3덕트(390)들이 유격없이 서로 겹쳐질 경우에 상기 에어덕트(360)의 승강과정에서 마찰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유격(M)은 상기 덕트들(370,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조립공차에 의한 기울어짐 등을 보상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들(370,380,390)로 구성된 덕트조립체(300)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조립체(400) 역시 복수의 로드들(500,600,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들(500,600,700)과 상기 덕트들(370,380,39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410A,410B)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는 제1승강장치(41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제1덕트(370) 및 상기 제1로드(500)를 함께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로드(500)가 결합되어 있어서, 이들은 함께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모터(M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바(42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의 제1고정홈(169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는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 16에는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승강모터(M1)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면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결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로드(5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승강홀(458, 도 17참조)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표면에는 제1승강나사산(42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나사산(42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제1승강홀(458)이 관통되어 있는데, 상기 제1승강홀(458)의 내면에는 상대나사산인 제1스토퍼나사산(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바(42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승강바(42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덕트(37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될 수 있는데, 도 17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459)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바(42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면부호 459a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을 구성하는 볼(ball)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1가이드바(42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은 앞서 설명한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1가이드바(425)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도 12(c) 참조)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포함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명에 앞서, 제2승강장치(410B)를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18에는 제2승강장치(41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할 때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승강바(49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승강모터홈(456, 도 22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제2승강모터(M2)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 및 제2승강바(49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과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에 결합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도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는 제2승강바(491)와 제2가이드바(49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되면 상기 제2승강바(491)에 연결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2승강바(491)를 타고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로드(600)의 승강방향을 따라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표면에는 제2승강나사산(491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에 맞물리는 상대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내면에는 제2상대나사산인 제2스토퍼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제2승강나사산(491a)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승강바(491)가 회전하면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승강바(491)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승강바(491)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승강바(491)와 달리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승강될 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처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덕트(380)를 중심에 두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도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가이드베어링(미도시)을 통과할 수 잇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의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이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상면에 걸릴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형성된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승하면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7)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저면에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승강바(491)가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5)도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바(421)와 상기 제2승강바(491)가 서로 같은 쪽에 나란히 배치되면, 모터(M1,M2)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곳이 한쪽으로 집중되어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의 승강과정에서 치우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배치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토퍼조립체(450A,45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 및 상기 덕트들(380,390)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들(600,700)과 상기 덕트들(380,390)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이 특정 위치(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드들(600,700)과 덕트들(380,390)은 그 자체의 무게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는 상기 로드들(600,700)에 구비된 스텝프레임(520,620)에 걸리거나, 걸린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퍼조립체(450A,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일부로 볼 수 있고,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i) 상기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 및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과 연결됨과 동시에, (ii)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의 상단(492) 및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승강바(421)를 따라 상승할 때 상기 제2승강바(491)도 상승할 수 있고, 상기 제2승강바(491)의 하단(493)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구조는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가 상기 제1로드(500)의 가장 아래쪽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와 상기 제2로드(600)의 상대길이(높이)가 가변된 후, 가변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2로드(60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덕트(380)와도 결합되어, 상기 제2덕트(38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로드(600)와 함께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제1스텝프레임(520)에 지지되어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9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승강바(421),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승강바(491)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도 9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가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연결된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도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승강에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3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통과할 수 있다. 도 19를 보면,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퍼커버(480)를 통과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덕트(380)의 안쪽에는 제1덕트(370)가 겹쳐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해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20을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과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장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스토핑모터(471M)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서 입출되는 작동바(473,4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고정된 제2로드(60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로드(500)의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20을 보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동바(473,476)가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작동바(473,476)가 돌출되면 상기 제2로드(600)의 바통과홀(618)을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에는 상기 스토퍼커버(480)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서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하우징(45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수납되고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은 대략 원형틀 형상일 수 있고, 안쪽에는 상기 작동바(473,476)와 레크바(472,475)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바(473,476)와 상기 레크바(472,475)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형성된 작동공간(460,465)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1 내지 도 23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1스텝프레임(520)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에 구비되는 것이지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재1작동바(473,476)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므로 함께 도시되었다. 도 21 내지 도 23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 안에 수납되어 있어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지만, 상기 제1작동바(473)가 전방으로 돌출되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는 날개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양쪽으로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상기 제2로드(600)의 연장부와 내부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453은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관통부이다.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관통부(453)는 총 4개로 구성되고, 그 중 일부를 통해서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할 수 있다. 나머지 하우징관통부(453)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센서장착홈(4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은 상기 날개부(452)의 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는 센싱자석(45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듯이, 상기 센싱자석(455)은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장착되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자석(45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승강센서(585)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센서장착홈(455a)에 센싱자석(455)이 아니라 홀센서가 장착되고, 반대로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센싱자석(455)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승강모터홈(4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홈(456)에 상기 제2승강모터(M2)가 장착되면,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아래쪽에는 앞서 설명한 제2승강장치(410B)의 제2승강바(49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베어링장착부(4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는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베어링(459)은 상기 베어링장착부(457)에 설치되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의 제1가이드바(425)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 중 상기 승강모터홈(456)이 형성된 날개부(452)와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날개부(452)에는 제1승강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은 상기 날개부(452)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승강홀(458)에는 상기 제1승강바(421)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은 상기 제1승강홀(458)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은 상기 제1승강홀(458)을 통과하여 반대편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날개부(452)에는 바걸림홀(4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은 상기 제1승강홀(458)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날개부(45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걸림홀(458')에는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하여 바걸림홀(458') 가장자리에 걸리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제2가이드바(495)와 별개물로, 상기 제2가이드바(495)에 볼트체결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내부에는 복수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총 4개의 작동공간(460,4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작동공간(460,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직교한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공간(460,465)들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설치방향에 따라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각각 상기 작동부(SB1,SB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작동공간(460)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있는 제1구획공간(460a)은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우측에 있는 제2구획공간(460b)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부(SB1)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작동공간(465)도 제1작동공간(46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웃하여 형성되는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에 있는 제3구획공간(465a)은 오른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아래쪽에 있는 제4구획공간(465b)은 왼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총 4개의 구획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작동공간(460,465)은 3개 이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제2작동공간(465)은 각각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도 각각 한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보면,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기어슬롯(461)과 제1작동슬롯(4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는 상기 제1작동부(SB1)를 구성하는 제1레크바(472)에서 돌출된 제1레크돌기(472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에서 돌출된 제1작동돌기(473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1작동슬롯(462)은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1작동부(SB1)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슬롯(461)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비해 길이가 긴 제1레크바(472)에는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1레크돌기(472a)는 각각 서로 다른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제1작동슬롯(462)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는 제1장착돌기(4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돌기(463)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작동돌기(473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장착돌기(463)와 상기 제1작동돌기(473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는 원위치인 제1작동공간(460)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460a'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서 상기 제1작동바(473)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공간(460)을 형성하는 상기 제1구획공간(460a)과 상기 제2구획공간(460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보면,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기어슬롯(466)과 제2작동슬롯(4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는 상기 제2작동부(SB2)를 구성하는 제2레크바(475)에서 돌출된 제2레크돌기(475a)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에서 돌출된 제2작동돌기(476b)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가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슬롯(466)과 상기 제2작동슬롯(467)은 각각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길이방향, 즉 상기 제2작동부(SB2)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비해 길이가 긴 제2레크바(475)에는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가 구비되고, 두 개의 제2레크돌기(475a)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두 개의 제2작동슬롯(467)은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에는 제2장착돌기(46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돌기(468)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479)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79)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바(476)의 제2작동돌기(476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장착돌기(468)와 상기 제2작동돌기(476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미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작동바(476)는 원위치인 제2작동공간(465)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465a'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나타낸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서 상기 제2작동바(476)의 앞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공간(465)을 형성하는 상기 제3구획공간(465a)과 상기 제4구획공간(465b)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방된 출구(465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상기 제2기어슬롯(466)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위아래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기어슬롯(461)과 상기 제2기어슬롯(466)도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스토핑액츄에이터(470)를 살펴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수납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동작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려 고정되거나, 또는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총 4개의 작동부(SB1,SB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4개의 작동부(SB1,SB2)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총 네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고,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도 함께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피니언기어(47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스토핑모터(471M, 도 15참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작동부(SB1) 및 제2작동부(SB2)와 연결되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제1레크바(472) 및 제2레크바(475)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회전하면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각각 상기 제1작동공간(460) 및 제2작동공간(465)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과 상기 제2작동공간(465)이 서로 교차하는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하부에는 상기 제1레크바(472)가 맞물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71)의 상부에는 제2레크바(475)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직선이동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에는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와 제2작동부(SB2)는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도 22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상기 제2작동부(SB2)는 각각 두 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작동부(SB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부(SB2) 역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를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는 서로 분리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제1작동공간(460)에 서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상기 피니언기어(4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별개물이지만,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에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지는 제1레크돌기(472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돌기(472a)는 상기 제1기어슬롯(461)에 끼워져 상기 제1레크바(47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의 한쪽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별개물이되, 서로 밀착되게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는 제1후크(47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5(c)에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에는 제1작동돌기(47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23을 보면, 상기 제1작동돌기(473b)는 상기 제1작동슬롯(462)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1작동바(473)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작동돌기(473b)와 상기 제1장착돌기(463)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작동바(473)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1레크바(472)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1작동바(473)를 제1레크바(472)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와 상기 제1레크바(472)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1레크바(472)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1작동바(473)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와 제1작동바(473)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1레크바(472)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1레크바(472)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은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1작동바(473)에 가해지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무게 및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 뿐 아니라, 상기 제2로드(600)와 상기 제2덕트(380)에 연결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무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는 한 쌍으로 구성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5(b)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부(SB1)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작동부(SB1)와 직교한 방향으로 제2작동부(SB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작동부(SB1)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작동부(SB2)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2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 중 하나가 왼쪽으로 돌출되면,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작동부(SB2)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부(SB2)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기 제1작동부(SB1)와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작동부(SB2)는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작동공간(465)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작동바(476)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부,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레크바(475)와 상기 제2작동바(476)는 일면이 서로 맞닿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려 동작되는 일종의 종동기어인 레크기어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구비되고, 반대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는 제2레크돌기(475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져 상기 제2레크바(475)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높이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1레크바(472)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레크바(472) 및 상기 제2레크바(475)는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피니언기어(471)는 상기 제1레크바(472)와 상기 제2레크바(475)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에는 제1레크돌기(475a)가 돌출되고, 상기 제2레크돌기(475a)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돌기(475a)가 상기 제2기어슬롯(466)에 끼워지면, 상기 제2레크바(475)는 상기 제2기어슬롯(466)의 안내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의 한쪽에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에 의해 전방, 즉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는 상기 제2레크바(475)와 마찬가지로 대략 바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작동공간(465)의 출구(465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는 제2후크(47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일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후크(476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2후크(476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리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476)에는 제2작동돌기(476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작동바(476)의 양쪽측면에서 각각 돌출된다. 도 23을 보면, 상기 제2작동돌기(476b)는 상기 제2작동슬롯(467)에 끼워질 수 있고, 상기 제2작동바(476)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는 탄성부재(47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돌기(476b)와 상기 제2장착돌기(468) 사이에서 압축되거나 다시 인장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79)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원위치, 즉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가까운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작동바(47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작동바(476)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탄성부재(479)는 압축되었다가,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의해 상기 제2레크바(475)가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479)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2작동바(476)를 제2레크바(475)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작동바(476)와 상기 제2레크바(475)는 서로 결합되지 않고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치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제2레크바(475)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는 있으나 중심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는 없는데, 상기 탄성부재(479)가 상기 제2작동바(476)를 원위치시켜줄 수 있다. 상기 제2레크바(475)와 제2작동바(476)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제2작동바(476)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제2레크바(475)에까지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제2레크바(475) 및 상기 제2레크바(475)에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471)와 스토핑모터(471M)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을 보면, 상기 제1작동부(SB1)는 S1,S3구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2작동부(SB2)는 S2,S4구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중에서 두 개의 제1작동바(473)와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방사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두 개의 제1작동바(473)는 B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작동바(476)는 A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471)가 화살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기어(471)에 맞물린 상기 제1레크바(472)가 화살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레크바(472)는 상기 제1작동바(473)를 바깥쪽 즉 화살표2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상기 제1작동바(473)는 상기 제1작동공간(460)의 출구(460a')와, 상기 제2로드(600)에 형성된 바통과홀(618)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 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나, 상기 제1작동바(473)가 돌출된 후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 전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는 스토퍼커버(4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고, 상기 스토핑액츄에이터(470)가 안정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는 대략 원형의 판상구조일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에 조립될 수 있다.
도 21을 보면,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커버날개(4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는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양쪽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2승강모터(M2)의 장착을 위한 모터장착홀(482a)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모터장착홀(482a)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하단(427)이 통과하는 커버통과홀(482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커버(480)의 커버날개(482)에는 상기 제1승강홀(458)을 개방하기 위한 승강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을 통해서 상기 제1승강바(421)의 하단(423)이 상기 제1승강홀(458)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승강연결홀(482c)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바걸림홀(458')에 연결되는 바연결홀(48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상단(496)은 상기 바걸림홀(458')을 통과한 후에 상기 바연결홀(482c')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커버(480)에는 상기 스토퍼하우징(451)의 하우징관통부(453)에 대응하는 커버관통부(483)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상기 커버관통부(483)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에어덕트(360)가 통과하는 덕트연결홀(4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덕트(370) 및 제2덕트(380)가 서로 중첩된 부분이 상기 덕트연결홀(484)을 통과할 수 있다. 도면부호 484a는 상기 제2덕트(380)의 제1결합리브(387)가 끼워지는 가이드리브를 나타낸다.
상기 덕트연결홀(484)의 하부에는 가이드보스(485)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덕트연결홀(484)로부터 아래쪽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에어덕트(360)를 감쌀 수 있다. 상기 덕트연결홀(484)은 상기 가이드보스(485)를 통해서 계속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보스(485)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둘러싸 상기 에어덕트(360)의 설치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25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동작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바(421)의 제1승강나사산(421a)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스토퍼나사산에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1승강바(421)에 연동하여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가 설정된 높이만큼 상승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높이는 상기 제1후크(473a)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는 높이를 의미한다.
만약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없다면 상기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는 상승된 후에 하중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미끌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를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작용을 구체적을 보면, 도 36(a)에서 화살표1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구비된 제1스텝프레임(520) 보다 어느 정도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돌출될 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이러한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센싱자석(455)과 마주하는 상기 제1승강센서(585)의 높이를 제1스텝프레임(52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5(b)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스토핑모터(471M)가 화살표2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상기 제1작동바(473)는 서로 반대방향(화살표3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왼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가 왼쪽으로 돌출되고, 오른쪽에 배치된 제1작동바(473)는 오른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도 25(b)에는 상기 한 쌍의 제1작동바(473)가 각각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동작을 멈추고,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앞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승강장치(410A)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어느 정도 하강할 수 있다. 도 25(c)의 화살표4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하강방향을 나타낸다.
이렇게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면 돌출되었던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 상기 제1후크(473a)가 끼워지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작동바(473)만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작동바(476)도 동시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므로, 총 네 군데의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함께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결합된 제2로드(600) 및 제2덕트(380)의 높이도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통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연결된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된 상기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의 높이도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제1로드(500)에 고정됨으로써, 제2로드(600), 제2덕트(380), 제3로드(700) 및 제3덕트(390)가 하중에 의해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매우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다른 부분은 (ⅰ)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제2승강모터(M2)가 배치되지 않고, (ⅱ) 제1승강장치(410A)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와 제1가이드바(425)가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부에 제4덕트(미도시)가 더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미도시)가 더 연결된다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는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1승강바(421)의 상단(422)과 상기 제1가이드바(425)의 상단(426)이 연결되고, 상기 제3로드(700) 및 상기 제3덕트(39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구비된 제2스텝프레임(6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제2작동바(미도시)가 돌출되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의 제2스텝홈(62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가 상기 제2스텝홈(622)에 끼워지면,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동작 구조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상기한 구조와 달리, 솔레노이드(미도시)를 통해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지 않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는 단순한 바(bar)형상이고, 작업자가 이를 상기 로드조립체(400)에 끼워 제1스토퍼조립체(450A)와 제2스토퍼조립체(450B)를 특정 높이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드조립체(400)를 구성하는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앞서 살핀 상기 세 개의 덕트들(370,380,390)과 마찬가지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상기 세 개의 로드들(500,600,700)은 일종의 로드 안테나(rod antenna)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로드들(500,600,700)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6에는 상기 제1로드(5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로드(500)를 보면 상기 제1로드(500)는 대략 원통형상의 제1로드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몸체(510)의 안쪽에 마련된 제1수납공간(511)에는 상기 제1덕트(370)와 상기 제1승강장치(41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2로드(6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로드(5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로드(500)는 전체적으로 외팔보 구조로 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2는 제1로드몸체(5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로드(5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제1장착슬롯(516)에는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는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장착슬롯(516)은 상기 제1로드(5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1디스플레이부(5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로드(500)에는 상기 제1장착슬롯(516)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에는 제1승강센서(5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센싱자석(455, 도 23참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승강센서(5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1승강센서(585)들이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5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승강센서(5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에는 장착플랜지(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단열부재(160)의 연결플랜지(169)와 맞닿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는 상기 제1로드(500)의 상단의 넓이를 넓히도록 일종의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상기 연결플랜지(169)에 맞닿은 상태로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상기 장착플랜지(517)가 연결플랜지(169)와 조립될 수도 있다.
도 26(a)에서 보듯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원호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두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서로 분리된 두 부분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상기 두 개의 제1장착슬롯(5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6(b)를 보면,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상기 제1로드(500)의 내면(513)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1스텝홈(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은 상기 제1로드(5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텝홈(522)에는 상기 제1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가 끼워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로드(500)에는 제1로드토출홀(5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은 상기 제1덕트(370)의 제1덕트토출관(37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은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과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로드토출홀(550) 또는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1덕트토출관(375)의 출구(37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는 상기 제2로드(6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로드(600)는 상기 제1로드(500)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상의 제2로드몸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안쪽에 마련된 제2수납공간(611)에는 상기 제2덕트(380)와 상기 제2승강장치(41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몸체(610)의 상단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상기 제3로드(700)와 중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로드(600)의 하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도면부호 612는 제2로드몸체(610)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연장부를 나타낸다.
상기 제2로드(600)의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에는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장착슬롯(616)에는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는 본 실시례에 의한 타워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한 LED조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장착슬롯(616)은 상기 제2로드(60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제2디스플레이부(680)도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로드(600)에는 상기 제2장착슬롯(616)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가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에는 제2승강센서(6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센싱자석(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승강센서(685)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제2승강센서(685)들이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6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승강센서(685)들은 상기 센싱자석(455)의 높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600)에는 바통과홀(6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제1작동바(473)가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바통과홀(618)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배치되는 상기 제2로드(6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로드(6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부(SB1)의 앞부분은 상기 바통과홀(61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에 걸릴 수 있다.
도 27(a)에서 보듯이, 상기 제2수납공간(611)의 내면을 둘러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곡선형상이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두 개로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링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서로 분리된 두 개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상기 두 개의 제2장착슬롯(61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7(b)를 보면,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은 대략 'L'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텝프레임(620)과 상기 제2로드(6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2스텝홈(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은 상기 제2로드(6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텝홈(622)에는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구비된 제2후크(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3로드(700)는 상기 제2로드(6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로드(700)에는 상기 제2로드(600)와 달리 제2스텝프레임(62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스토퍼조립체(450B)가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제3로드(700)의 하부에 제4로드가 더 연장된다면, 제3스토퍼조립체(미도시)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제3스텝프레임(미도시)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3로드(700)를 구성하는 제3로드몸체(7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덕트(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3로드(700)의 상단과 함께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트레이부(8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도 상기 트레이부(800)에 결합된다. 상기 제3덕트(390)의 상단은 상기 제2스토퍼조립체(450B)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덕트(380)에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트레이부(8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은 상기 트레이부(80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3로드(700)의 하단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표면에 형성된 응결수(Condensate)가 낙하했을 때 응결수가 모이게 되는 부분이다. 만약 상기 에어덕트(360)를 통해 냉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수분을 갖는 공기가 상기 에어덕트(360)의 차가운 표면에 닿아 수분이 응결되고, 응결된 응결수는 상기 에어덕트(360)를 따라 흘러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부(800)는 흘러내리는 응결수를 모을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에어덕트(360)의 가장 아래쪽, 즉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트레이부(800)는 상기 제3덕트(39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제3로드(700)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로드(700)와 상기 제3덕트(390)가 상기 제2승강장치(410B)에 의해 승강될 때, 상기 트레이부(800)도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360)를 구성하는 덕트들(370,380,390)은 결합리브(387, 397)와 결합홈(378,388)의 맞물림구조로 서로 상대회전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360)는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과정에서 상기 제3로드(700)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승강장치(410B)를 구성하는 제2승강바(491)와 상기 제2가이드바(495)의 하단(493,497)은 각각 고정되지 않고 외팔보 형태가 되지만(도 12(b)참조), 상기 제3덕트(390)를 포함하는 에어덕트(360) 자체가 일종의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제3덕트(390) 및 제3로드(700)가 승강될 때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3로드(700)에는 제2로드토출홀(750)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은 상기 제3덕트(390)의 제2덕트토출관(395)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은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을 통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과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서 에어덕트(36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상기 시트부(918,920)에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로드토출홀(750) 또는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에는 차단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차단커버는 공기가 상기 제2덕트토출관(395)의 출구(397)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로드조립체(400)에는 복수의 시트조립체(9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거나, 밟고 이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반려동물이 머물기 편한 시트스테이션(920)와, 반려동물이 밟고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스텝스테이션(918)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반려동물은 이와 반대로, 상기 시트스테이션(920)을 계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스텝스테이션(918)에 머물 수도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시트조립체(900)에는 복수의 시트부(918,9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918,920)들은 각각 반려동물에게 안착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개의 시트부(918,920)들은 일종의 계단을 형성하여, 반려동물들이 이를 차례로 밟고 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총 3개(900a,900b,900c)로 구성되고, 시트부(918,920)는 총 5개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시트조립체(900)와 시트부(918,920)의 개수는 이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조립체(900)들 중에서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시트조립체(900B)는 상기 제2로드(6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상기 제3로드(7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시트조립체(900B)는 제2로드(6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상기 제3시트조립체(900C)는 제3로드(7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지만, 제1시트조립체(900A)는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시트조립체(900A)는 상기 하우징모듈(100)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상기 하우징공간(S)으로 이동할 때 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강되지 않고 고정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를 따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트조립체(900)는 상기 로드(4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상기 시트부(918,920)를 밟았을 때 충격을 줄이고, 보다 편한 안착감을 느낄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블럭도이다.
통신부(181)는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타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1)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타워의 동작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덕트(370,380,390)들의 승강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81)는 적외선통신, 와이파이(WiFi)통신, 블루투스 통신, NFC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AP장치를 통해 인터넷망, LTE, 5G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도 있다.
입력부(182)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82)를 통해 타워의 동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덕트(370,380,390)들의 승강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작명령을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상기 복수개의 덕트(370,380,390)들의 승강에는 단계적 승강과 연속적 승강이 있을 수 있다. 단계적 승강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마다 단계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고 연속적 승강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을 여러 단계를 연속적으로 이어서 승강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승강버튼을 1번 누르면 1단계 승강이 진행되고, 승강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승강이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신부(181) 또는 입력부(182)를 통해 복수개의 덕트(370,380,390)들의 승강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덕트(370,380,390)들을 승강시킨다.
도 29에는 일례로 제2덕트(380)를 제1덕트(370)의 내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타워 제어방법이 도시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하부의 제2덕트(380)의 상승명령이 수신되면(S101),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02).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된다(S103).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기 제2덕트(38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덕트(380)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설정거리만큼 상승하면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04).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제1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S105). 이렇게 되면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할 때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는 도중에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구동시켜 상기 작동바(473)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작동바(473)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정지시킨다(S106).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계속 상승하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설치된 제1승강센서(585)가 상기 센싱자석(455)를 감지하면(S107),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108).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09).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상기 제2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S110). 도 25(b)는 상기 스토핑모터(471M)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작동부(473)가 직선이동하는 상태도이다. 이로써 상기 제1작동바(473)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반대방향인 바깥방향으로 구동시킨다(S111).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상기 바깥방향으로 구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한다(S112).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게 되면, 돌출되었던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결합된다(S113). 도면에는 제1작동바(473)만 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작동바(476)도 동시에 돌출되어 상기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므로, 총 네 군데의 위치에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제1로드(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싱자석(455)과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 간의 거리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30에는 일례로 상기 제2덕트(380)가 상기 제1덕트(370)로부터 하강하기 위한 타워 제어방법이 도시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덕트(380)의 하강명령이 수신되면(S201),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일방향으로 구동시킨다(S202). 상기 제1승강모터(M1)가 일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승강바(421)가 회전되고 상기 제1승강바(421)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된다(S203).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상승하면 상기 제2덕트(380)도 상승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설정거리만큼 상승하면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정지시킨다(S204).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킨다(S205).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상기 제1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S206). 이렇게 되면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할 때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작동부(374)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정지시킨다(S207).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S208),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하강시킨다(S209).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는 중에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에 설치된 제1승강센서(585)가 상기 센싱자석(455)를 감지하면(S210),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킨다(S211).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이다. 상기 스토핑모터(471M)가 상기 제2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제1작동바(473)가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의 중심방향에서 멀어지도록 직선이동한다(S212). 이로써 상기 제1작동바(473)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473)의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 스토핑모터(471M)를 구동시켜 상기 작동바(473)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가 하강하면서 돌출되었던 상기 제1후크(473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의 제1스텝홈(522)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는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과 결합된다(S213).
이에,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승강모터(M1)를 정지시킨다(S214). 상기 센싱자석(455)와 상기 제1스텝프레임(520) 간의 거리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802)는 상기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1스토퍼조립체(450A)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모듈(100)에는 하우징공간(S)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0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단순히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본 실시례의 타워가 특정위치, 예를 들어 천장(C)이나 벽면(W)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하우징공간(S)이 생략되면, 반려동물은 상기 시트부(918,920)에 머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모듈(100) 자체를 일종의 온도조절장치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에 배치된 상기 온도조절장치(200)가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에어덕트(360)에 토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모듈(100)이 온도조절장치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우징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로드조립체(4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덕트조립체(300)를 타고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모듈(100)은 바닥(G, 도 3참조)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바닥(G)으로부터 이격된 벽면(W)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모듈 117: 커버상판홀
150: 도어 160: 단열부재
169: 연결플랜지 180: 제어부
181: 통신부 182: 입력부
200: 온도조절장치 260: 덕트가이드
300: 덕트조립체 300A: 제1덕트조립체
300B: 제2덕트조립체 310: 덕트커버
350A: 제1덕트헤드 350B: 제2덕트헤드
351: 안착판 360: 에어덕트
370: 제1덕트 375: 제1덕트토출관
378: 제1결합홈 380: 제2덕트
387: 제1결합리브 388: 제2결합홈
390: 제3덕트 395: 제2덕트토출관
398: 제2결합리브 400: 로드조립체
410A: 제1승강장치 410B: 제2승강장치
421: 제1승강바 425: 제1가이드바
450A: 제1스토퍼조립체 451: 스토퍼하우징
452: 날개부 455: 센싱자석
455a: 센서장착홈 456: 승강모터홈
457: 베어링장착부 458: 제1승강홀
458': 바걸림홀 460: 제1작동공간
460a: 제1구획공간 460b: 제2구획공간
461: 제1기어슬롯 462: 제2작동슬롯
463: 제1장착돌기 465: 제2작동공간
465a: 제3구획공간 465b: 제4구획공간
468: 제2장착돌기 470: 스토핑액츄에이터
471: 피니언기어 472: 제1레크바
472a: 제1레크돌기 473: 제1작동바
473a: 제1후크 473b: 제1작동돌기
475: 제2레크바 475a: 제2레크돌기
476: 제2작동바 476a: 제2후크
476b: 제2작동돌기 479: 탄성부재
480: 스토퍼커버 482: 커버날개
485: 가이드보스 500: 제1로드
510: 제1로드몸체 520: 제1스텝프레임
522: 제1스텝홈 600: 제2로드
610: 제2로드몸체 620: 제2스텝프레임
622: 제2스텝홈 700: 제3로드
710: 제3로드몸체 800: 트레이부
900: 시트조립체 900A: 제1시트조립체
900B: 제2시트조립체 900C: 제3시트조립체
918: 스텝스테이션 920: 시트스테이션
S: 하우징공간 SB1: 제1작동부
SB2: 제2작동부

Claims (18)

  1. 복수개의 덕트 중 하부 덕트의 상승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하부 덕트에 설치된 스토퍼조립체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하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바가 상부 덕트에 설치된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텝프레임은 상기 상부 덕트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싱자석은 상기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마다 각각 상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하는 중에 상기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6. 복수개의 덕트 중 하부 덕트의 하강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하부 덕트에 설치된 스토퍼조립체를 설정거리만큼 상승시킨 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작동바가 이동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하강중에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스토퍼조립에가 하강하면서 상기 작동바가 상부 덕트에 설치된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텝프레임은 상기 상부 덕트의 내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싱자석은 상기 복수개의 스텝프레임마다 각각 상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하강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제어방법.
  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모듈;
    상기 하우징모듈의 하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덕트;
    상기 덕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덕트의 승강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승강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덕트를 승강시키고 상기 덕트의 승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덕트들은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전체 높이가 가변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는 상기 하우징모듈의 공간과 연통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중 상부 덕트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스텝프레임이 상하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하부 덕트의 외면에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는 스토퍼조립체가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조립체는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과 바깥방향의 양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는 스테핑모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타워.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명령 중 상승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상승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명령 중 하강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설정거리만큼 상승시킨 후 정지시키고 상기 작동바를 상기 스토퍼조립체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켜 상기 스토퍼조립체에 설치된 승강센서가 센싱자석을 감지하면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에서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토퍼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를 상기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스토퍼조립체가 하강할 때 상기 작동바가 상기 스텝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반려동물용 타워.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최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반려동물용 타워.
KR1020210191509A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01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9A KR20230101418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09A KR20230101418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18A true KR20230101418A (ko) 2023-07-06

Family

ID=8718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09A KR20230101418A (ko) 2021-12-29 2021-12-29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6129A (ko) 부분 매립형 트레드밀
JP6076024B2 (ja) 屋内環境監視システム
KR20230101418A (ko)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101411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101836166B1 (ko) 공동주택 피로티층 단열구조
JP201000165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運転管理方法
KR101154741B1 (ko) 천정높이 가변식 건물
KR101141721B1 (ko) 배기를 선택하는 벽면 배기팬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KR101159646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피난장치
KR20230101413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09A (ko)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6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5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7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230101414A (ko) 반려동물용 타워
KR200447676Y1 (ko)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KR20230101412A (ko) 시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타워
KR101023523B1 (ko) 장애인 및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 장치
US10364575B2 (en) Elevation-type stair structure
KR20230119453A (ko) 반려동물용 타워
JP5435627B2 (ja) ペットの着座誘発構造
KR20230119450A (ko) 반려동물용 타워 및 그의 제어방법
EP2640909B1 (en) Vertical stair
KR20230119451A (ko) 반려동물용 타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