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76Y1 -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76Y1
KR200447676Y1 KR2020090001331U KR20090001331U KR200447676Y1 KR 200447676 Y1 KR200447676 Y1 KR 200447676Y1 KR 2020090001331 U KR2020090001331 U KR 2020090001331U KR 20090001331 U KR20090001331 U KR 20090001331U KR 200447676 Y1 KR200447676 Y1 KR 200447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of
coupled
coupl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종
Original Assignee
박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종 filed Critical 박호종
Priority to KR2020090001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활동 중에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편리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주연을 따라 의자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테이블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단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과,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및 지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동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야외활동 중에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노출없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확보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로서 본체, 지붕, 유동문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를 이룰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 중에도 본체와 의자 및 테이블에 구비된 열선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야외활동 중에 갑작스런 날씨변화에도 사용자의 신체가 추위에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체와 의자 및 테이블에 구비된 열선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절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을 편리하게 분리한 후 테이블의 상부에 파라솔을 결합하거나, 별도의 야외용파라솔을 결합하여 날씨의 변화에 원활하게 대응 할 수 있어 실내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야외에서의 휴식공간 이외에도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테이블에 음식을 올리거나 각종 놀이기구를 편리하게 펼쳐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선, 하우스

Description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Assembled outdoor house}
본 고안은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공간이 확보된 야외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급격한 날씨변화등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원활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을 하는 중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돗자리를 바닥에 깔고 그 위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외부환경 변화에 일정부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는 텐트, 방갈로등을 이용하여 휴식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돗자리와 같이 바닥에 깔아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야외활동중에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는 급작스런 날씨변화 또는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장소나 환경에 따라 원활한 휴식을 취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텐트와 같은 경우에는 날씨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나, 실내 공간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것과 같은 별도의 보온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비, 바람등과 같은 외부 환경을 차단 할 수 있는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방갈로와 같은 숙박시설을 이용하여 야외활동 중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숙박시설은 지정된 장소이외에는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더하여, 위와 같은 숙박시설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경우에 높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한 공간이 확보된 곳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치하여 휴식 및 기타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으며, 제어부를 통하여 본체의 바닥과, 의자, 테이블에 구비된 열선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따뜻한 실내온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휴식공간 및 생활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분리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본체, 지붕, 유동문의 결합을 통하여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와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적용하여 설치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개구부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주연을 따라 의자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테이블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 상단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과,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및 지붕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동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붕은 상단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되며 동일 수평 위치까지 하향 연장 형성되되, 하부를 향하여 너비가 점차 증가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지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부에는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둥프레임 하단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후 고정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상기 본체의 테두리 상측에서 홈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서 상기 제1결합홈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삽입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과 결합돌기 간의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돌기의 삽 입부가 삽입된 후 상기 제2결합홈 및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핀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테두리 하단에는 다수개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문은 상기 본체와 밀착되는 부위에 로울러가 힌지 연결된 다수개의 체결바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되는 유동문본체와, 상기 유동문본체의 상부로 상기 지붕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의자 및 테이블에는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열선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열선은 상기 의자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테이블의 테두리 면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온열홈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전원기구와 연결되는 전원코드와, 상기 전원코드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원을 상기 열선으로 공급하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시, 상기 열선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를 가리는 파라솔이 결합되게 파라솔결합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체결홈에는 상기 본체와 결합된 지붕의 분리시, 상기 본체를 가리도록 야외용파라솔이 더 결합되고, 상기 야외용파라솔은 상기 제2결합홈 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의 제1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핀을 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의 상부에는 공기의 입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풍구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테이블과 인접한 본체의 상단에는 내측에 열선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덮개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야외활동 중에 사용자가 외부환경에 노출없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확보된 장소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로서 본체, 지붕, 유동문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를 이룰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 중에도 본체와 의자 및 테이블에 구비된 열선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야외활동 중에 갑작스런 날씨변화에도 사용자의 신체가 추위에 악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체와 의자 및 테이블에 구비된 열선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 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절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넷째,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을 편리하게 분리한 후 테이블의 상부에 파라솔을 결합하거나, 별도의 야외용파라솔을 결합하여 날씨의 변화에 원활하게 대응 할 수 있어 실내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야외에서의 휴식공간 이외에도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테이블에 음식을 올리거나 각종 놀이기구를 편리하게 펼쳐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환경 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일측에 개구부(100S)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주연을 따라 의자(110)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테이블(12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S)와 대응되는 개구부(200S)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 상단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200)과,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및 지붕(200)의 개구부(100S,200S)를 개폐하는 유동문(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S)는 상기 본체(100)로 사용자가 원활하게 입출입 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의자(110) 및 테이블(120)은 도 1 내지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본체(1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결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지붕(200)은 도 1,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S)와 동일 수직선상에 사용자의 입출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개구부(200S)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지붕(200)은 반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결합되는 경우 돔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붕(200)은 상단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되며 동일 수평 위치까지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되, 하부를 향하여 너비가 점차 증가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210)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프레임(210)을 감싸며 반원형을 이루도록 지붕판(220)이 연결 구성된다.
이는 즉,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 지붕(200)이 상기 기둥프레임(210)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 또는 급작스런 날씨변화에도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부에는 다수개의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200)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둥프레임(210) 하단에는 상기 체결홈(130)에 삽입 후 고정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상기 지붕(200)의 기둥프레임(21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가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 삽입되는 간단한 결합만으로도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지붕(200)이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홈(130)은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측으로 홈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홈(131)과, 상기 본체(100)의 외주연에서 상기 제1결합홈(131)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결합홈(1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홈(131)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200)의 기둥프레임(210)에 형성된 결합돌기(23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132)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홈(131)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결합홈(132)이 상기 제1결합홈(131)을 관통하며 하향 연장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결합홈(132)에 고정핀(140)이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핀(140)을 상기 제2결합홈(132)에 삽입하는 것 만으로도 상기 체결홈(130)에 삽입된 결합돌기(23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230)는 상기 제1결합홈(131)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231)와, 상기 제2결합홈(1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4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23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130)과 결합돌기(230) 간의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131)에 결합돌기(320)의 삽입부(231)가 삽입된 후 상기 제2결합홈(132) 및 관통공(232)에 상기 고정핀(140)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 삽입된 상기 지붕(200)의 결합돌기(23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의 결합이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130)에 지붕(200)을 이루는 기둥프레임(210)의 결합돌기(230)가 탁찰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이 밀착되는 부위에 파스너(미도시)와 같이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이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부착수단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이 탁찰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유동문(300)은 상기 본체(100)와 상기 지붕(200)의 개구부(100S.200S)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사용자의 입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100)와 지붕(200)에 각각 개구부(100S,200S)가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100S,200S)를 통하여 외부 환경의 변화 또는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환경변화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바람, 비, 소음등이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하단에는 다수개의 연결홈(140)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유동문(300)은 상기 본체(100)에 연결 구성되는 유동문본체(310)와, 상기 유동문본체(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지붕(320)으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유동문본체(310)는 상기 본체(100)와 밀착되는 부위에 로울러(311a)가 힌지 연결된 다수개의 체결바(31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고, 상기 유동문본체(310)의 상부에는 상기 지붕(200)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보조지붕(320)이 결합 구성된다.
예컨대,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S)와, 상기 지붕(200)의 개구부(200S)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유동문(300)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일측에 상기 유동문(300)이 결합되는 구성 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결홈(140)에 상기 유동문본체(310)에 구비된 체결바(311)가 결합 구성되되, 상기 체결바(311)에는 상기 연결홈(140)에 안착 결합되어 상기 연결홈(140)을 따라 유동될 수 있는 로울러(311a)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홈(140)에 결합된 체결바(311)가 상기 로울러(311a)를 통하여 상기 연결홈(140)을 따라 유동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바(311)를 갖는 상기 유동문본체(310)와 보조지붕(320)이 유동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연결홈(140)은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상기 유동문(300)이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일측에 연결홈(140)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홈(140)에 로울러(311a)가 구비된 다수개의 체결바(311)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와 유동문(300)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유동문(300)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성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개구부(100S)와 상기 지붕(200)의 개구부(200S)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서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외부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 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상기 의자(110) 및 테이블(120)에는 전선을 통하여 각각 열선(R)이 설치 구성되고, 상기 열선(R)은 상기 의자(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400)를 통하여 조절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상기 열선(R)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상기 의자(110)와 테이블(120)에 전선(L)을 통하여 각각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열선(R)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추위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의 내측에 각각 삽입 구성하거나, 상술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의 표면에 시트형식으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즉, 본 고안의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 의자(110), 테이블(120)의 내측으로 상기 열선(R)이 각각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 의자(110), 테이블(120)에 원활하게 열선(R)을 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열선(R)은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상기 의자(110) 및 테이블(12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온열시트, 온열필름등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원가절감등을 위하여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된 열선(R)을 통하여 사용자의 발에 온기가 전달되고, 상기 의자(110)에 구비된 열선(R)을 통하여 사용자의 둔부와, 등 부분에 온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이블(120)에 구비된 열선(R)을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110)에 물건을 올려놓은 상태로 유희를 즐기거나 식사등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에 온기가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에 각각 구비된 열선(R)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고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상기 본체(100)의 내부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본체(100)의 내부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가 더욱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휴식 및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에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는 열선(R)은 상기 의자(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400)를 통하여 작동되고 조절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도 6에서와 같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코드(410)와, 상기 전원코드(410)를 통하여 인입된 전원을 상기 열선(R)으로 공급하는 작동스위치(420)와, 상기 작동스위치(420)를 작동시킨 경우에 상기 열선(R)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43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의 전원코드(410)를 외부 전원공급부(미도시)에 결합한 후 상기 작동스위치(420)를 작동시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에 각각 구비된 열선(R)이 작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스위치(420)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선(R)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블(120)의 테두리 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온열홈(121)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온열홈(121)은 사용자가 손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테이블(120)에 구비된 열선(R)의 온도를 더욱 원활하게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더하여, 상기 테이블(120)과 인접한 본체(100)의 상단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열선(R)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덮개(160)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열선(R)의 온도를 더욱 원활하게 전달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테이블(1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0)를 가리는 파라솔(5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파라솔결합부재(15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파라솔(500)은 종래의 파라솔과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는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 지붕(200)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가리도록 야외용파라솔(600)이 더 결합되고, 상기 야외용파라솔(600)은 상기 제2결합홈(132)과 대응되는 결합 공(6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30)의 제1결합홈(13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핀(240)을 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바(610)와, 상기 고정바(610)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덮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 상기 지붕(200)의 결합돌기(230)가 결합되는 구성을 상기 야외용파라솔(600)과 체결홈(130)의 결합에 적용한 것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홈(130)에 상기 야외용파라솔(600)의 고정바(610)가 결합된 후 상기 체결홈(130)의 제2결합홈(131)과 상기 고정바(610)의 결합공(611)을 관통하는 고정핀(24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상기 야외용파라솔(600)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즉,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체결홈(130)에 야외용파라솔(600)의 고정바(610)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홈(132) 및 결합공(611)에 상기 고정핀(240)이 관통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 삽입된 상기 고정바(61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본체(100)와 야외용파라솔(600)의 결합이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130)에 야외용파라솔(600)의 고정바(610)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을 통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상기 야외용파라솔(600)이 견고하게 탈착 결합되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떠한 구성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지붕(20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공기의 입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풍구(520)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테이블(120), 발덮개(160)에 구비된 열선(R)을 작동시키고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400)의 작동을 상기에서는 외부전원기구(미도시)에 전원코드(410)가 결합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400)로 전원이 인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열선(R)을 작동 및 조절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상기 열선(R)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태양열을 저장할 수 있는 태양열저장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열선(R)을 작동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붕(200)의 기둥프레임(210)과, 상기 기둥프레임(210)을 연결하는 지붕판(220)은 지붕(200)의 전체적인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둥프레임(210)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붕판(220)은 천, 강화비닐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 및 지붕(200)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본체(100) 및 지붕(200)의 외부를 감싸도록 별도의 차단판(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본체(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설치 구성한 후라도 상기 본체(100)의 주위공간을 일정 부분 확보하여 사용자가 야외활동 중에도 독립된 팬션 또는 방갈로와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다양한 조명시설(미도시)을 일체로 설치 구성하거나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서 휴가 또는 여가를 즐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제어부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인 파라솔결합부재에 파라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라 체결홈에 야외용파라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와 유동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본체의 상단에 발덮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본체 10OS,200S: 개구부
110: 의자 120: 테이블
121: 온열홈 130: 체결홈
131: 체결홈 132: 제2결합홈
140: 연결홈 150: 파라솔결합부재
160: 발덮개 200: 지붕
210: 기둥프레임 220: 지붕판
230: 결합돌기 231: 삽입부
232: 관통공 240: 고정핀
250: 환풍구 300: 유동문
310: 유동문본체 311: 체결바
311a: 로울러 320: 보조지붕
320: 보조지붕 400: 제어부
410: 전원코드 420: 작동스위치
430: 조절스위치 500: 파라솔
600: 야외용파라솔 610: 고정바
611: 결합공 620: 덮개
L: 전선 R: 열선

Claims (12)

  1. 일측에 개구부(100S)를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주연을 따라 의자(110)가 구비되고, 중심부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테이블(120)이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덮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붕(200)과,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 및 지붕(200)의 개구부(100S,200S)를 개폐하는 유동문(30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과, 의자(110) 및 테이블(120)에는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는 열선(R)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테이블(120)의 테두리 면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온열홈(121)이 더 구비되고,
    상기 테이블(120)과 인접한 본체(100)의 상단에는 내측에 열선(R)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발덮개(1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붕(200)은 상단의 접촉면을 중심으로 상호 구속되며 동일 수평 위치까지 하향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둥프레임(210)과, 상기 기둥프레임(210)을 감싸도록 연결되는 지붕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부에는 다수개의 체결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200)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기둥프레임(210) 하단에는 상기 체결홈(130)에 삽입 후 고정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3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130)은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상측에서 홈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는 제1결합홈(131)과, 상기 본체(100)의 외주연에서 상기 제1결합홈(131)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결합홈(132)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230)는 상기 제1결합홈(13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31)와, 상기 제2결합홈(1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삽입부(23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232)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130)과 결합돌기(230) 간의 결합시, 상기 제1결합홈(131)에 결합돌기(320)의 삽입부(231)가 삽입된 후 상기 제2결합홈(132) 및 관통공(232)에 관통 결합되는 고정핀(240)을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본체(100)의 체결홈(130)에는 상기 본체(100)와 결합된 지붕(200)의 분리시, 상기 본체(100)를 가리도록 야외용파라솔(600)이 더 결합되고,
    상기 야외용파라솔(600)은 상기 제2결합홈(132)과 대응되는 결합공(611)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30)의 제1결합홈(131)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핀(240)을 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바(610)와, 상기 고정바(610)의 연장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를 가리도록 형성되는 덮개(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 하단에는 다수개의 연결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문(300)은
    상기 연결홈(140)에 삽입된 로울러(311a)가 연결된 다수개의 체결바(311)가 상기 본체(100)와 밀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유동되는 유동문본체(310)와,
    상기 유동문본체(310)의 상부로 상기 지붕(200)과 인접한 위치를 이루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붕(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R)은 상기 의자(110)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400)를 통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 전원기구(500)와 연결되는 전원코드(410)와,
    상기 전원코드(410)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원을 상기 열선(R)으로 공급하는 작동스위치(420)와,
    상기 작동스위치(420)의 작동시, 상기 열선(R)의 온도를 조절하는 조절스위치(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20)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100)를 가리는 파라솔이 결합되게 파라솔결합부재(15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붕(200)의 상부에는
    공기의 입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환풍구(520)가 더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12. 삭제
KR2020090001331U 2009-02-06 2009-02-06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KR200447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331U KR200447676Y1 (ko) 2009-02-06 2009-02-06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331U KR200447676Y1 (ko) 2009-02-06 2009-02-06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676Y1 true KR200447676Y1 (ko) 2010-02-11

Family

ID=4421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331U KR200447676Y1 (ko) 2009-02-06 2009-02-06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7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78A (ko)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예건 조립식 하우징 모듈
KR102443909B1 (ko) * 2022-03-10 2022-09-16 렉스온 주식회사 효율적인 공간 확보와 안전성을 구비한 다층구조를 가진 캠핑카용 다층구조체
KR102447442B1 (ko) * 2022-03-10 2022-09-27 렉스온 주식회사 캠핑카의 구조물을 승,하강 시키는 것에 의해 공간을 확보할 수있는 캠핑카구조
KR20220163135A (ko) * 2021-06-02 2022-12-09 (주)아세아엠텍 야외용 간이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869A (ja) * 1989-06-21 1991-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JP2001178279A (ja) * 1999-12-28 2001-07-03 Hiroshi Kitayama 温 室
KR100423562B1 (ko) * 2001-09-11 2004-03-30 이화정 단열용 이동식 구조물
KR20090000075U (ko) * 2007-06-29 2009-01-07 김기락 조명과 열선이 구비된 음향 파라솔 벤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869A (ja) * 1989-06-21 1991-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
JP2001178279A (ja) * 1999-12-28 2001-07-03 Hiroshi Kitayama 温 室
KR100423562B1 (ko) * 2001-09-11 2004-03-30 이화정 단열용 이동식 구조물
KR20090000075U (ko) * 2007-06-29 2009-01-07 김기락 조명과 열선이 구비된 음향 파라솔 벤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378A (ko)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예건 조립식 하우징 모듈
KR20220163135A (ko) * 2021-06-02 2022-12-09 (주)아세아엠텍 야외용 간이 테이블
KR102512631B1 (ko) * 2021-06-02 2023-03-23 (주)아세아엠텍 야외용 간이 테이블
KR102443909B1 (ko) * 2022-03-10 2022-09-16 렉스온 주식회사 효율적인 공간 확보와 안전성을 구비한 다층구조를 가진 캠핑카용 다층구조체
KR102447442B1 (ko) * 2022-03-10 2022-09-27 렉스온 주식회사 캠핑카의 구조물을 승,하강 시키는 것에 의해 공간을 확보할 수있는 캠핑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9115B1 (en) Air cycle houses and house ventilation system
KR200447676Y1 (ko) 조립식 야외용 하우스
MXPA06012769A (es) Aparato de enfriamiento.
US6360496B1 (en) Circular building structure
US5216977A (en) Animal shelter
KR101487714B1 (ko) 난방시설이 갖추어진 야외 캠핑용 텐트
KR101934230B1 (ko) 냉난방이 가능한 1인용 실내텐트
KR102311776B1 (ko) 실내용 건식 사우나
JP5613486B2 (ja) 建物
KR200493889Y1 (ko) 실외휴식을 위한 야외벤치부가 구비된 이동식 찜질용 주택
KR102141767B1 (ko)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KR200393740Y1 (ko) 이동식 간이 화장실 난방구조
KR102657376B1 (ko) 냉온조절기능을 구비한 캠핑용 야외 데크
CN103790277B (zh) 集成吊顶结构
JP5435627B2 (ja) ペットの着座誘発構造
US20130031716A1 (en) Shower Chamber Configured to Retain Heat
KR20160107952A (ko) 다용도실 일체형 텐트
JP2004136764A (ja) トレーラーハウス
CN212394490U (zh) 一种便携式半导体双温户外毯垫
TWI697299B (zh) 戶外遮蔽裝置
CN208582027U (zh) 风式暖风座椅
JP3174230U (ja) 室内用暖房ハウス
CN211173260U (zh) 一种通风效果好的岗亭
KR200490251Y1 (ko) 스파풀장이 구비된 이동식 가옥 조립체
US20050246831A1 (en) Showe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