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767B1 -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 Google Patents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767B1
KR102141767B1 KR1020190162916A KR20190162916A KR102141767B1 KR 102141767 B1 KR102141767 B1 KR 102141767B1 KR 1020190162916 A KR1020190162916 A KR 1020190162916A KR 20190162916 A KR20190162916 A KR 20190162916A KR 102141767 B1 KR102141767 B1 KR 102141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capsule body
temperature
sleep
slee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오
Original Assignee
황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오 filed Critical 황인오
Priority to KR1020190162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767B1/ko
Priority to PCT/KR2020/017708 priority patent/WO20211181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094Isolation chambers used therewith, i.e. for isolating individuals from extern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7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application of chemical or pharmacological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Abstract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는, 사용자의 신장 길이보다 수평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개방부를 구비한 캡슐본체와, 상기 캡슐본체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방 회동동작 또는 하방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플랩도어로 구성된 수면캡슐;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풍기와 상기 온풍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수면캡슐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슐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판넬로 이루어진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면캡슐의 내장재로서 기능하며, 피톤치드가 다량 함유된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Sleep capsule device with retinispora interior panel}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내부에 들어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수면캡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한 편백나무 를 내장판넬로 구성하여 피톤치드의 살균효과에 의해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잠자리 공간을 제공하며 피톤치드의 진정효과를 통해 보다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캡슐은 사용자의 신장보다 긴 내부 공간이 구비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내부공간으로 들어가 누워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존 수면캡슐에 대해 공개특허 10-1999-0046356호, 공개특허 10-2006-0107648호, 공개특허 10-2008-0055532호, 등록특허 10-2019590호, 공개실용신안 20-1998-05709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문헌들 중 공개특허 10-1999-0046356호, 공개특허 10-2006-0107648호, 등록특허 10-2019590호에 개시된 수면캡슐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태의 캡슐본체와, 이 캡슐본체의 개방부를 힌지되게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수면캡슐의 경우,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캡슐본체로 들어간 다음 사용자 스스로 커버를 닫아주는 것이 힘들어서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러한 구조의 수면캡슐은 캡슐본체의 상부개방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커버를 캡슐본체에 대해 180도 회전하여 커버가 열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캡슐본체 내부로 들어간 후에 180도 회전하여 열려있는 커버를 닫아주는 동작이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20-1998-057093호에 개시된 수면캡슐은 캡슐본체의 측면에 개방구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나, 캡슐본체의 전후좌우 4개의 측면 중 면적이 작은 일측면 쪽에 개방구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캡슐본체 내부로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면캡슐들은 캡슐본체 내부의 난방, 냉방을 위한 냉난방수단을 구비하여 캡슐본체의 내부 온도를 수면에 맞게 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어 있기는 하나, 냉난방기능 이외에 숙면을 위한 여타의 구조나, 기능들은 가지고 있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 수면캡슐들은 여러개의 수면캡슐들을 적층시켜 사용하는 구조가 있기는 하나, 적층된 수면캡슐들 중 상층부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진입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사용자가 상층부에 들어가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1999-0046356호 공개특허 10-2006-0107648호 등록특허 10-2019590호 공개실용신안 20-1998-0570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냉풍기와 온풍기를 포함하는 냉난방수단을 구비하여 캡슐 내부 온도를 수면에 적합하도록 일정하게 유지시킬 뿐 아니라, 편백나무판넬을 캡슐본체의 내장재로 구성하여 캡슐 내부에 편백나무에 다량 함유된 피톤치드로 인해 더욱더 숙면을 취할 할 수 있는 수면캡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캡슐의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출입이 가능하면서도, 외부의 도움없이 사용자 스스로 캡슐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해줄 뿐 아니라, 여러 수면캡슐을 적층한 구조에서 상층부 수면캡슐에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수면캡슐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는, 사용자의 신장 길이보다 수평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개방부를 구비한 캡슐본체와, 상기 캡슐본체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방 회동동작 또는 하방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플랩도어로 구성된 수면캡슐;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풍기와 상기 온풍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수면캡슐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슐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판넬로 이루어진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면캡슐의 내장재로서 기능하며, 피톤치드가 다량 함유된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본체의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온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1설정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풍기 및 온풍기를 구동시키는 제1온도조절기; 및, 상기 캡슐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본체의 내부에 입실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온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2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2설정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풍기 및 온풍기를 구동시키는 제2온도조절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캡슐본체의 사각형태로 구성된 4개의 측면 중 사용자의 신장보다 길도록 구성된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는 상기 플랩도어의 상단부와 상기 캡슐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상방으로 회동동작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랩도어의 측면과 상기 캡슐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본체에는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교환되어 상기 캡슐본체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풍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환풍구는 상기 캡슐본체의 좌우전후 측면 및 상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는, 냉풍기와 온풍기를 구비하여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맞춰 캡슐내부 온도를 유지시켜 주고, 내장재로서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하여 편백나무의 포함된 다량의 피톤치드가 캡슐내부로 발산하여 사용자에게 매우 편안하고 안락한 숙면이 이루어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면캡슐장치는 사용자가 캡슐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자의 도움없이도 캡슐에 입실한 사용자가 스스로 용이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수면캡슐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대의 수면캡슐이 상하로 적층된 형태에서, 하부층의 수면캡슐에 설치된 손잡이부재가 상부층의 수면캡슐로 들어가기 위한 발판기능을 겸비 하기 때문에, 별도의 복잡한 사다리 부재 등을 구비할 필요 없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쉽게 상부층에 입실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플랩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캡슐본체의 우측면을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캡슐본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캡슐본체의 단면구조에 대한 다른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7은 2개의 수면캡슐이 상하로 적층된 구조의 수면캡슐장치를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판 겸용 손잡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10)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면캡슐장치(10)는 수면캡슐(110), 냉풍기(200), 온풍기(2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면캡슐(110)은 사용자의 신장 길이보다 수평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개방부(112)가 형성된 캡슐본체(112)와, 이 캡슐본체(112)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플랩도어(1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캡슐본체(112)는 사각 형태를 갖는 4개의 측면 중 사용자의 신장 보다 길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이하에서는 '장변 측면' 이라고 한다.)
즉, 캡슐본체(112)는 사용자의 신장 보다 길도록 좌우로 긴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단변 측면과 한 쌍의 장변 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개방부(112)는 한 쌍의 장변 측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개방부(112)는 사용자의 신장보다 길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더라도 보다 쉽게 캡슐본체(112)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랩도어(114)는 상단과 장변측면의 상부가 경첩과 같은 힌지(122)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힌지(122)는 플랩도어(114)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랩도어(114)는 힌지(122)에 의해 회동동작하여 개방부(112)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 플랩도어(114)는 힌지(112)에 의해 힌지가능하며, 90도 회전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 1과 같이, 개방부(112)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이 차단위치에서 상방향으로 90도 회동조작되어 도 2와 같이, 개방부(112)를 개방시키는 개방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플랩도어(114)가 도 2와 같이 개방상태로 회동된 후에, 플랩도어(114)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스스프링(124)을 더 구성할 수 있다.
가스스프링(124)은 플랩도어(114)의 측면과 캡슐본체(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플랩도어(114)의 개방상태시 신장하여 플랩도어(114)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스프링(124)은 싱크대가구의 플랩도어 등에 사용되는 공지된 구성(일명 유압쇼바라고도 함)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가스스프링(1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도어(114)의 외측면과 캡슐본체(112)의 장변측면 외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플랩도어(114)의 내면과 캡슐본체(112)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가스스프링(124)을 보조하는 제2가스스프링(125)이 더 설치됨으로써, 보다 더 안정적으로 플랩도어(114)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플랩도어(114)가 상방향으로 회동동작하여 개폐되는 구조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가 플랩도어(114)의 하단과 캡슐본체(11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플랩도어(114)가 하방으로 회동동작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가스스프링의 구성은 필요가 없으며, 플랩도어(114)가 개방되면 바닥면에 접하는 형태로 지지될 것이다.
냉풍기(200) 및 온풍기(202)는 연결호스(h1,h2)를 통해 캡슐본체(112)의 측면(단변 측면)에 형성된 냉풍포트(150)와 온풍포트(155)에 연결되어 수면캡슐(110) 내부로 냉풍,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수면캡슐(110)의 내부 온도를 수면에 적합하도록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냉풍기(200)는 에어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온풍기(202)는 히터와 같은 발열체 뒤에서 송풍팬이 구동하여 온풍을 강제로 발생시키는 통상의 온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냉풍기(200) 및 온풍기(202)가 캡슐본체(112)와 분리된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연결호스(h1,h2)에 의해 캡슐본체(112)에 형성된 냉풍포트(150) 및 온풍포트(155)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풍기(200) 및 온풍기(202)가 캡슐본체(112)에 분리 배치되지 않고 연결호스없이 냉풍포트(150) 및 온풍포트(155)에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냉풍기(200)와 온풍기(202)는 도면과 같이 각각 별도의 기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냉풍기와 온풍기가 통합된 냉온풍기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캡슐본체(112)에는 냉풍포트(150) 및 온풍포트(155)가 냉온풍기의 냉풍배출구와 온풍배출구에 각각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냉온풍기가 냉풍배출구와 온풍배출구가 각각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냉온풍배출구만이 구비하여 냉온풍배출구를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이 제공되는 기기인 경우, 캡슐본체(112)에는 냉온풍기의 냉온풍배출구와 연결되는 하나의 냉온풍포트만이 형성되어, 냉온풍기의 냉온풍배출구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슐본체(112) 내부에 내부온도센서(116)를 구비하여, 이 내부온도센서(116)로부터 측정된 내부측정온도에 따라, 냉풍기(200) 및 온풍기(202)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캡슐본체(112)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본체(112)의 외면에 설치되는 제1온도조절기(170)와 캡슐본체(112)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2온도조절기(176)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수면캡슐(110) 내부로 입실하지 않고 외부에 있는 경우, 제1온도조절기(170)를 이용하고, 수면캡슐(110 내부로 입실한 상태에서는 캡슐 외부로 나올 필요 없이 내부에서 제2온도조절기(175)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온도조절기(170) 및 제2온도조절기(176)기 각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온도설정부(172,177)를 구비하며, 이 온도설정부(172,177)를 통해 설정된 설정온도를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하는 설정온도 표시부(173,178)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제1온도조절기(170) 및 제2온도조절기(176)는 온도설정부(172,177)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와 내부온도센서(116)에서 감지된 내부측정온도를 비교하여 내부측정온도가 설정온도에 비해 높으면 냉풍기(200)를 구동시켜 냉풍이 수면캡슐(1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수면캡슐(110)의 내부온도를 낮춰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반대로, 내부측정온도가 설정온도에 비해 낮으면 온풍기(202)를 구동시켜 온풍이 수면캡슐(1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수면캡슐(110)의 내부온도를 올려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캡슐 내부온도 및 캡슐 외부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온도표시기(160)가 캡슐본체(112)의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오도표시기(160)를 통해 수면캡슐(110)의 내부온도 및 수면캡슐(110) 외부온도까지도 함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면캡슐(110)의 내부온도는 제1온도조절기(170) 및 제2온도조절기(176)의 동작을 위해 수면캡슐(11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여 내부온도센서(115)의 측정내부온도가 온도표시기(160)에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캡슐본체(112)의 외측에 외부온도센서(117)를 더 구성하여, 이 외부온도센서(117)에서 감지된 온도데이터가 온도표시기(160)에 출력되어 온도표시기(160)에 캡슐 외부온도로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수면캡슐(110)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뿐 아니라, 추가적으로 수면캡슐 내부에 피톤치드 성분이 풍부하게 채워지도록 하여 보다 안락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본체(110)의 내부에 내장재로서 피톤치드가 다량함유된 편백나무 판넬이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본체(110)는 금속판넬로 이루어지며 캡슐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골격프레임(112a)과, 이 골격프레임(112a)의 내면에 설치되어 단열기능을 하는 단열재(112b)와, 이 단열재(112b)의 내면에 설치되며 캡슐본체의 내장재로서 사용되는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단열재(112b)는 단열부재의 외면에 은박과 같은 열반사부재가 구비된 열반사단열재가 적용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단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본체(112)에 환풍구(140)가 설치되어, 수면캡슐(110)의 내부공기와 수면캡슐(110) 외부의 외부공기가 서로 교환되도록 함으로써 수면캡슐(110)의 내부가 쾌적하고 신선한 공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풍구(140)는 캡슐본체(112)는 캡슐본체(112)를 관통하여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기공(141)과, 이 통기공(141)에 마주하도록 캡슐본체(112)의 외면 및 내면에 각각 설치되는 통기그릴(143,14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환풍구(140)는 캡슐본체(112)의 좌우 측면 및 후측면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플랩도어(114)에도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환풍구(140)는 캡슐본체(112)의 좌측면에 1개, 우측면에 1개, 후측면에 2개, 플랩도어(114)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풍구(140)가 캡슐본체(112)에 설치되는 위치 및 그 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냉풍기(200)과 온풍기(202)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수면캡슐(11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로 유지되어 기본적인 숙면조건을 당연히 만족시키고 있을 뿐아니라, 캡슐본체(112)의 내면에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이 내장재로서 사용되어 캡슐본체(112)의 내부에 피톤치드 향이 풍부하게 채워지게 되어 더욱더 편안한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캡슐본체(112)의 장변 측면에 개방구(112a)가 형성되고, 이 개방구(112a)에 상방 회동동작방식의 플랩도어(114)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하게 캡슐본체(112)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면서도, 캡슐본체(112) 내부에 입실한 상태에서 외부자의 도움없이도 사용자 스스로 힘을 덜 들이면서 쉽게 플랩도어(114)를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환풍구(140)를 통해 캡슐본체(112)의 외부공기가 캡슐본체(112)의 내부로 유입될 때,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과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하여 편백나무에 함유된 피톤치드가 캡슐본체(112)의 내부로 보다 많은 양이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구조의 환풍구(14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풍구(140')는 캡슐본체(112)의 골격프레임(112a)과 단열재(112b)에만 통기공(141)이 구성되고, 캡슐본체(112)의 외면에만 통기그릴(143)이 설치되며,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에는 전체영역에 다수의 환기공(147)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과 단열재(112b)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이 이격공간에 통기공(141)과 다수의 환기공147)들을 연결하는 덕트부재(146)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외부공기가 통기공(141)을 통과한 후,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에 형성된 다수 환기공(147)을 거쳐 캡슐본체(112)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편백나무와의 접촉면적이 월등히 향상되어 보다 많은 양의 피톤치드가 캡슐본체(1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덕트부재(146)는 일면에는 통기공(141)과 일치하는 제1통공(146a)이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편백나무 내장판넬(112c)에 형성된 다수의 환기공(147)을 모두 커버하는 제2통공(146b)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통기공(141)을 통헤 제1통공(146a)으로 유입된 공기가 제2통공(146b)을 통해 퍼져 다수의 환기공(147)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캡슐본체(112)의 단변 측면 하부에 양측오 운반용 손잡이(119)가 구비되어, 캡슐본체(112)의 양쪽에서 두 사람이 보다 용이하게 캡슐본체(112)를 들어올려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캡슐본체(112)의 내부에는 플랩도어(114)의 차단시, 캡슐본체(122)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19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캡슐본체(122)의 내부에는 거치대(193)가 구비되어, 이 거치대(193)에 가습기(192)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습기(192)를 가동시킴으로써, 수면캡슐(110) 내부의 가습조절이 이루어지게 하여 더욱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에 플랩도어(114)를 개방시킬 때, 사용자가 파지하여 플랩도어(114)를 위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130)가 플랩도어(114)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부(130)는 플랩도어(114)의 외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지지부(132)와, 이 회전지지부재(132)에 대해 힌지핀(p)에 의해 힌지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부재(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34)는 플랩도어(114)에 대해 힌지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과 같이, 플랩도어(114)에 접혀 있는 상태가 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플랩도어(114)에 대해 회동시키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플랩도어(114)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면캡슐(10)을 복수개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하여 복수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각 수면캡슐(10)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층의 수면캡슐(11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하층의 수면캡슐(110)의 플랩도어(114)에 설치된 손잡이부(130)를 딛고 상층의 수면캡슐(110)로 쉽게 입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30)는 손잡이부재(134)가 플랩도어(114)에 대해 직각되게 90도 펼쳐진 다음 더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손잡이부재(134)을 지지하는 회전규제부(13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층의 수면캡슐(110)로 입실할 때는 하층의 수면캡슐(110)에 설치된 손잡이부재(134)를 도 7 및 도 8의 (b)와 같이, 직각되게 90도로 펼친 다음, 손잡이부재(134)가 회전규제부(133)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134)를 밟고 쉽게 상층의 수면캡슐(10)로 입실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손잡이부(13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플랩도어(114)를 개폐시키기 위한 기능 뿐 아니라, 상층의 수면캡슐(110)에 들어갈 때, 사용자가 하층의 손잡이부(130)를 밟고 상층의 수면캡슐(110)로 보다 편리하게 들어가기 위한 발판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수면캡슐장치
110...수면캡슐
112...캡슐본체
114...도어
130...발판겸용 손잡이부재
140...환풍구
160...온도표시기
170...제1온도조절기
176...제2온도조절기
190...조명등
192...가습기
200...냉풍기
202...온풍기

Claims (7)

  1. 사용자의 신장 길이보다 수평방향으로 긴 사각박스형태로 이루어지며, 4개의 측면 중 사용자의 신장보다 길도록 구성된 일측면에 개방부를 구비한 캡슐본체와, 상기 캡슐본체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상방 회동동작 또는 하방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플랩도어로 구성되어 적층가능하도록 구성된 수면캡슐;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냉풍기와 상기 온풍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수면캡슐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슐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금속판넬로 이루어진 골격프레임;
    상기 골격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면캡슐의 내장재로서 기능하며, 피톤치드가 다량 함유된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본체에는 외부공기와 내부공기가 교환되어 상기 캡슐본체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풍구가 구비되며,
    상기 환풍구는 상기 골격프레임과 상기 단열재에 형성된 통기공이 구성되고, 상기 캡슐본체의 외면에는 통기그릴이 설치되며, 상기 편백나무 내장판넬에는 전체영역에 다수의 환기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편백나무 내장판넬과 상기 단열재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편백나무 내장판넬과 상기 단열재의 이격공간에는 상기 통기공과 상기 다수의 환기공을 연결하는 덕트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덕트부재는 일면에 상기 통기공과 일치하는 제1통공이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편백나무 내장판넬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환기공을 모두 커버하는 제2통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기공을 통해 상기 제1통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통공을 통해 퍼져 상기 다수의 환기공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랩도어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플랩도어를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플랩도어의 외면에 고정설치되는 회전지지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에 대해 힌지핀에 의해 힌지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수면캡슐을 복수개 상하로 적층하여 복수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하층의 수면캡슐의 플랩도어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딛고 상층의 수면캡슐로 올라 입실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재가 상기 플랩도어에 대해 직각되게 90도 펼쳐진 다음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상기 손잡이부재를 지지하는 회전규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본체의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온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1설정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풍기 및 온풍기를 구동시키는 제1온도조절기; 및,
    상기 캡슐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캡슐본체의 내부에 입실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도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온도설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면캡슐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2온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2설정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풍기 및 온풍기를 구동시키는 제2온도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플랩도어의 상단부와 상기 캡슐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상방으로 회동동작하여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랩도어의 측면과 상기 캡슐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스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풍구는 상기 캡슐본체의 좌우전후 측면 및 상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본체의 측면 하부에는 운반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캡슐장치.



KR1020190162916A 2019-12-09 2019-12-09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KR102141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16A KR102141767B1 (ko) 2019-12-09 2019-12-09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PCT/KR2020/017708 WO2021118178A1 (ko) 2019-12-09 2020-12-07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16A KR102141767B1 (ko) 2019-12-09 2019-12-09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767B1 true KR102141767B1 (ko) 2020-08-05

Family

ID=7204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16A KR102141767B1 (ko) 2019-12-09 2019-12-09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1767B1 (ko)
WO (1) WO20211181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178A1 (ko) * 2019-12-09 2021-06-17 황인오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KR102624219B1 (ko) * 2023-05-31 2024-01-12 주식회사 구들 파지부가 구비된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962U (ja) * 1991-10-21 1993-05-14 律 堀 カプセル付ベツド
KR19980057093U (ko) 1997-01-29 1998-10-15 노연구 캡슐배드
KR19990046356A (ko) 1999-02-26 1999-07-05 성상준 수면캡슐
KR100622848B1 (ko) * 2005-06-20 2006-09-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감시조절장치
KR20060107648A (ko) 2005-04-11 2006-10-16 윌비스(주) 수면 캡슐
KR20130023951A (ko) * 2011-08-30 2013-03-08 송태호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840427B1 (ko) * 2016-12-01 2018-05-04 강기병 개인용 온열사우나 및 그 이용방법
KR102019590B1 (ko) 2018-02-06 2019-09-06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기능성 수면 캡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767B1 (ko) * 2019-12-09 2020-08-05 황인오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962U (ja) * 1991-10-21 1993-05-14 律 堀 カプセル付ベツド
KR19980057093U (ko) 1997-01-29 1998-10-15 노연구 캡슐배드
KR19990046356A (ko) 1999-02-26 1999-07-05 성상준 수면캡슐
KR20060107648A (ko) 2005-04-11 2006-10-16 윌비스(주) 수면 캡슐
KR100622848B1 (ko) * 2005-06-20 2006-09-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감시조절장치
KR20130023951A (ko) * 2011-08-30 2013-03-08 송태호 고압산소 치료용 챔버
KR101840427B1 (ko) * 2016-12-01 2018-05-04 강기병 개인용 온열사우나 및 그 이용방법
KR102019590B1 (ko) 2018-02-06 2019-09-06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한 기능성 수면 캡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178A1 (ko) * 2019-12-09 2021-06-17 황인오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KR102624219B1 (ko) * 2023-05-31 2024-01-12 주식회사 구들 파지부가 구비된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178A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767B1 (ko) 편백나무 내장판넬을 구비한 수면캡슐장치
US5216977A (en) Animal shelter
US20080060131A1 (en) Portable Ventilation System
USD507976S1 (en) Control device
JP4801022B2 (ja) ミスト機能付き浴室空調装置
US4739763A (en) Solar heated sauna
CN204678462U (zh) 一种多功能暖风机
US20120006280A1 (en) Weatherized Pet House
KR20130015347A (ko)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US7900291B2 (en) Blower system for health booth
US20050056232A1 (en) Pet shelter
JPH0532943U (ja) 空調機の天井部吹出口構造
USD516925S1 (en) Control device
CN105212586B (zh) 空气源热泵冬暖夏凉空气垫
JPS64908Y2 (ko)
JPH1046694A (ja) 建築物の通気構造
JPS5921225Y2 (ja) 床下収納庫装置
JPH0443249A (ja) 空気調和機
KR20230119453A (ko) 반려동물용 타워
CN206434716U (zh) 可携式远红外线自动加热温控密闭舱
KR20230119451A (ko) 반려동물용 타워
JPH0615226Y2 (ja) トイレルーム内空気調整ユニット
KR20230119452A (ko)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타워
JPH04366337A (ja) 浴室用の鏡曇り止め兼用換気装置
JPH01269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