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347A -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 Google Patents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347A
KR20130015347A KR1020110077289A KR20110077289A KR20130015347A KR 20130015347 A KR20130015347 A KR 20130015347A KR 1020110077289 A KR1020110077289 A KR 1020110077289A KR 20110077289 A KR20110077289 A KR 20110077289A KR 20130015347 A KR20130015347 A KR 20130015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circulation
air
duct
circula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4785B1 (ko
Inventor
진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Priority to KR102011007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78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온열매트(100)는, "∪" 자형 홈이 형성된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단턱지는 조립턱(13)이 형성된 매트(10)와; 상기 매트(1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길이는 300~500mm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와 일치되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매트의 조립턱(13)과 대응되어 조합되는 조립턱(23)이 형성된 연결매트(20)와; 상기 매트(10)와 조합되는 연결매트(20)의 타단부측과 체결나사(S)로서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와 통하는 공기통로(32a)가 형성되고, 공기통로(32a)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32b)이 하나 이상 형성된 덕트(32)와, 상기 덕트(32) 내부에 다수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 공기순환팬(33)과, 공기통로(32a)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발생하는 발열체(34)와, 상기 덕트(32)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5)와, 상기 온도센서(35), 발열체(34), 공기순환팬(33)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기 접속포트(36)를 포함하는 냉,온 공급유닛(30)과; 상기 냉,온 공급유닛(30)의 전기 접속포트(3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설치되어 온도센서, 발열체, 공기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장용 콘트롤박스(40)와; 상기 매트(10), 연결매트(20), 냉,온 공급유닛(30)을 전반적으로 감싸며, 일측에는 덕트(32)상의 공기유입공(32b)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기 위한 덮개(51)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커버 시트(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는 냉,온 공급유닛과 매트 사이에 길이가 짧은 연결매트를 냉,온 공급유닛과 선 결합한 다음 매트와 연결매트의 이차적인 조합으로서 온열매트를 제작하기 때문에 1인의 작업자가 충분히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올리고, 또한 콘트롤박스를 제품의 외부에서 접속시키는 외장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콘트롤부분의 고장시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절반 길이로 폴딩이 가능토록 하여 제품에 대한 포장 및 운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A heating mat}
본 발명은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고온의 공기를 순환하여 매트에 난방효과와 함께 상온의 공기를 순환하여 낮은 온도의 공기를 순환토록 한 매트를 겸용할 수 있고, 매트에 연결되어 고온의 공기를 매트측으로 공급하는 냉,온 공급유닛과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높이고, 콘트롤박스를 외부에서 전기접속하는 방식으로 하여 콘크롤 부분의 고장시 A/S가 용이하도록 하며, 냉,온 공급유닛측으로 선택에 따른 상온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며, 매트의 폴딩이 가능토록 하여 운반, 포장 및 보관성이 용이하도록 한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온열매트는 전기장판과 건강매트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은 공통으로 전기를 사용하여 매트에 열을 발산토록 함으로써 가정의 실내난방과는 별도로 취침 난방을 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부분 전기장판의 경우 매트 내부에 열선을 고르게 분포, 배열하는 타입이거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03501호(발명의 명칭: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온열매트) 및 제10-0803500호(발명의 명칭: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온열침대)에서도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온열매트(100)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ㄷ" 자 형상의 공기순환부(110)가 다수개 배열 형성되고, 공기순환부(110) 사이에는 고온의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공기통로(120)가 구비된다.
상기 온열매트(100)의 일측은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부분은 낮게 형성되고, 하체가 위치하는 부분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온열매트에 누울시 뇌의 혈류를 촉진시키게 하는 경사부(200)와, 공기순환부(110)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는 PTC발열체(300)와, 상기 PTC발열체(300) 중간에 각각 형성되고 주기적으로 릴레이 작동되면서 PTC발열체에서 발생된 고온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120)로 순환시키는 제1,2송풍팬(400)(4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온열매트는 쿠션감이 있는 커버 시트(700)로 씌워져 제품으로 판매, 사용된다.
상기 PTC발열체(300), 제1,2송풍팬(400)(410)은 콘트롤부(500)과 함께 주어진 덕트(6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600)의 일측에는 공기 유입구(601)가 마련되어 공기의 유입, 공기의 가열, 따듯한 공기의 순환방식에 의해 온열매트(100)를 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PTC발열체(300), 제1,2송풍팬(400)(410), 덕트(60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온열매트(100)는 덕트(600)와의 연결에 있어, 덕트의 일측으로부터 온열매트를 안내하여 매트측의 공기통로와 상기 PTC발열체(300)측과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나사(S)를 이용하여 온열매트(100)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바, 상기 온열매트는 1인의 작업자가 연결작업하기에 어려운 자체 중량이 있기 때문에 제작과정 중 덕트와의 연결작업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온열매트는 2인용으로 제작된 경우, 더욱이 제품운반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도 1인의 작업자가 온열매트를 원하는 장소로 옮기기에 부담이 따르고, 공기통로의 형성에 따른 매트 폴딩이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온열매트는 주로 난방을 요하는 계절에 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한정된 계절에만 사용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보관시에도 매트가 차지하는 부피가 부담스러우며, 콘트롤부가 덕트 상에 매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특히 콘트롤부의 고장시에는 온열매트의 무게, 부피에 부담감이 따르기 때문에 A/S에 많은 취약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온의 공기를 순환하여 매트에 난방효과와 함께 상온의 공기를 순환하여 낮은 온도의 공기를 순환토록 한 매트를 겸용할 수 있고, 매트에 연결되어 고온의 공기를 매트측으로 공급하는 냉,온 공급유닛과의 연결 작업을 간편하게 하여 제작에 따른 작업성을 높이고, 콘트롤박스를 외부에서 전기접속하는 방식으로 하여 콘크롤 부분의 고장시 A/S가 용이하도록 하며, 냉,온 공급유닛측으로 선택에 따른 상온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하며, 매트의 폴딩이 가능토록 하여 운반, 포장 및 보관성이 용이하도록 한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매트는, "∪" 자형 홈이 형성된 제1공기순환부 및 제2공기순환부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단턱지는 조립턱이 형성된 매트와; 상기 매트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길이는 500mm 내외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제1공기순환부 및 제2공기순환부와 일치되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 제3공기순환부 및 제4공기순환부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매트의 조립턱과 대응되어 조합되는 조립턱이 형성된 연결매트와; 상기 매트와 조합되는 연결매트의 타단부측과 체결나사로서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3공기순환부 및 제4공기순환부와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공기통로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이 하나 이상 형성된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다수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 공기순환팬과, 공기통로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발생하는 발열체와, 상기 덕트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발열체, 공기순환팬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기 접속포트를 포함하는 냉,온 공급유닛과; 상기 냉,온 공급유닛의 전기 접속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설치되어 온도센서, 발열체, 공기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장용 콘트롤박스와; 상기 매트, 연결매트, 냉,온 공급유닛을 전반적으로 감싸며, 일측에는 덕트상의 공기유입공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기 위한 덮개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커버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트의 제1공기순환부, 제2공기순환부 및 연결매트의 제3공기순환부, 제4공기순환부에는 이음대가 안내 설치되어 매트와 연결매트의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매트의 저부에는 매트의 폴딩을 위한 절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에는 절첩홈에 안내되는 포켓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는 냉,온 공급유닛과 매트 사이에 길이가 짧은 연결매트를 냉,온 공급유닛과 선 결합한 다음 매트와 연결매트의 이차적인 조합으로서 온열매트를 제작하기 때문에 1인의 작업자가 충분히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올리고, 또한 콘트롤박스를 제품의 외부에서 접속시키는 외장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콘트롤부분의 고장시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절반 길이로 폴딩이 가능토록 하여 제품에 대한 포장 및 운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온열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온열매트와 냉,온 공급유닛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온열매트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매트와 냉,온 공급유닛이 선 조합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연결매트와 매트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와 연결매트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이음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이음대가 설치된 온열매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통풍시 외부 공기유입상태를 예시한 일부분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매트를 폴딩되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100)는, 매트(10), 연결매트(20), 냉,온 공급유닛(30), 콘트롤박스(40) 및 커버시트(50)로 구성된다.
상기 온열매트(100)를 구성하는 매트(10)는, "∪" 자형 홈이 형성된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단턱지는 조립턱(13)이 형성된다.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가 리턴되는 부분은 "∪" 자형으로 좀더 공기의 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공기순환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매트(20)는 매트(1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길이는 300~500mm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와 일치되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매트의 조립턱(13)과 대응되어 조합되는 조립턱(23)이 형성된다.
냉,온 공급유닛(30)은 상기 매트(10)와 조합되는 연결매트(20)의 타단부측과 체결나사(S)로서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와 통하는 공기통로(32a)가 형성되고, 공기통로(32a)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32b)이 하나 이상 형성된 덕트(32)와, 상기 덕트(32) 내부에 다수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 공기순환팬(33)과, 공기통로(32a)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발생하는 발열체(34)와, 상기 덕트(32)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5)와, 상기 온도센서(35), 발열체(34), 공기순환팬(33)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기 접속포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팬(33)은 4개 설치되며, 덕트(32)의 중앙에 격벽을 두어 2개씩 나누어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40)는, 외장용으로 상기 냉,온 공급유닛(30)의 전기 접속포트(3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설치되어 온도센서, 발열체, 공기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버 시트(50)는, 매트(10), 연결매트(20), 냉,온 공급유닛(30)을 전반적으로 감싸며, 일측에는 덕트(32)상의 공기유입공(32b)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기 위한 덮개(51)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10)의 제1공기순환부(11), 제2공기순환부(12) 및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제4공기순환부(22)에는 이음대(60)가 안내 설치되어 매트(10)와 연결매트(20)의 조합된다.
상기 매트(10)의 저부에는 매트(10)의 폴딩을 위한 절첩홈(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50)에는 절첩홈(14)에 안내되는 포켓 홈(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온열매트의 제작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매트(10)와 별도로 제작된 냉,온 공급유닛(30), 그리고 연결매트(20)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 설치되며, 그 외측에는 커버 시트(50)를 씌워 온열매트(100)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100)는 2인 즉, 더블 침대용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냉,온 공급유닛(30)은 덕트(32)의 내부 중앙에 공기순환팬(33)이 일정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며, 4개 중 각 두개의 공기순환팬(33)은 흡입과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덕트(32)의 일측으로 형성된 발열체(34)는 일반적인 열선이 배열된 단위 히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PTC발열체를 배열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덕트(32)측, 공기통로(32a)가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연결매트(20)의 일단부측을 안내한 다음, 그 상측에 마련된 고정공을 통해 체결나사(S)로서 연결매트(20)를 연결한다. 이는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의 일자형 홈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체결하여 연결매트(2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매트(20)는 매트(10)에 비해 그 길이가 300 내지 500mm정도로 비교적 짧게 제작된 것으로, 1인의 작업자가 무리 없이 연결매트를 옮겨 냉,온 공급유닛(30)과 선 결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냉,온 공급유닛(30)에 연결매트(20)를 연결 조합한 상태에서 연결매트(20)의 조립턱(23)과 매트(10)의 조립턱(13)를 일치키면 동일한 두께로 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부분은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외측으로부터 커버 시트(50)를 씌워 온열매트(100)의 제작을 완성한다.
상기 연결매트(20)의 조립턱(23)과 매트(10)의 조립턱(13)은 각 반대방향으로 단턱져 있기 때문에, 이들이 조합되면 연결매트와 매트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를 갖게 되며, 매트(10)의 제1공기순환부(11), 제2공기순환부(12)와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제4공기순환부(22)는 상호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매트(10)의 제1공기순환부(11), 제2공기순환부(12)와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제4공기순환부(22)에는 이음대(60)를 삽입한다.
상기 이음대(60)의 삽입은,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강도를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어 연결매트(20)와 매트(10)의 이음 경계부위를 보강하면서 공기의 순환은 그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공기 순환로는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32) 내부에 설치된 공기순환팬(33)의 동작으로서 공기는 상기 매트(10)의 제1공기순환부(11), 제2공기순환부(12)와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제4공기순환부(22)를 따라 순환하고, 덕트(32)내에 설치된 발열체(34)로 하여금 가열된 공기의 순환은 연속으로 순환되어 온열매트(100)를 통한 매트의 바닥난방을 만족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온열매트(100)의 사용은 덕트 일측에 설치된 전기 접속포트(36)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외장용 콘트롤박스(40)를 통해 제어되며, 이는 덕트(32)내의 온도센서(35)에 의한 온도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거나, 공기순환팬(33)의 구동을 온/오프시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콘트롤박스(40)는 외장용으로서 특히 콘트롤 부분의 고장시 상기 덕트측의 전기 접속포트(36)로 부터 접속을 분리할 수 있는 이유에서 A/S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온열매트(100)는 한기를 느끼는 계절 외에도 사계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발열체(34)의 가동을 중지하고 공기순환팬(33)을 작동시켜 공기의 흐름으로 상기 제1 내지 제4공기순환부(11,12,21,22)를 통해 공기를 통풍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32)에 형성된 공기유입공(32b)은 커버 시트(50)의 덮개(51)를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들어올려 준 상태에서 외부의 상온공기를 순환케 함으로써, 통상 매트에 누운 상태에서는 공기순환에 따른 통풍 정도만으로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하절기와 같은 계절에 쾌적한 휴식 및 취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습기가 많은 날 매트의 쾌적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9는 매트(10)의 저부에 형성한 절첩홈(13)과 절첩홈에 맞게 제작한 커버 시트(50)에는 포켓 홈(52)부분이 안내되어 씌워지도록 한 것으로, 온열매트(100)의 전체길이를 절반으로 폴딩시켜 줌으로써 포장,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제공된다.
10: 매트 11: 제1공기순환부
12: 제2공기순환부 13: 조립턱
14: 절첩홈 20: 연결매트
21: 제3공기순환부 22: 제4공기순환부
23: 조립턱 30: 냉,온 공급유닛
32: 덕트 32a: 공기통로
32b: 공기유입공 33: 공기순환팬
34: 발열체 35: 온도센서
36: 전기 접속포트 40: 콘트롤박스
50: 커버 시트 51: 덮개
52: 포켓홈 60: 이음대
S: 체결나사

Claims (3)

  1. 온열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열매트(100)는, "∪" 자형 홈이 형성된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단턱지는 조립턱(13)이 형성된 매트(10)와;
    상기 매트(1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길이는 300~500mm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제1공기순환부(11) 및 제2공기순환부(12)와 일치되는 일자형의 홈이 형성된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가 마련되고,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매트의 조립턱(13)과 대응되어 조합되는 조립턱(23)이 형성된 연결매트(20)와;
    상기 매트(10)와 조합되는 연결매트(20)의 타단부측과 체결나사(S)로서 연결 설치되며, 일측에는 제3공기순환부(21) 및 제4공기순환부(22)와 통하는 공기통로(32a)가 형성되고, 공기통로(32a)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32b)이 하나 이상 형성된 덕트(32)와, 상기 덕트(32) 내부에 다수개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는 공기순환팬(33)과, 공기통로(32a)와 인접되게 설치되어 고온의 공기를 발생하는 발열체(34)와, 상기 덕트(32)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5)와, 상기 온도센서(35), 발열체(34), 공기순환팬(33)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전기 접속포트(36)를 포함하는 냉,온 공급유닛(30)과;
    상기 냉,온 공급유닛(30)의 전기 접속포트(36)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 설치되어 온도센서, 발열체, 공기순환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장용 콘트롤박스(40)와;
    상기 매트(10), 연결매트(20), 냉,온 공급유닛(30)을 전반적으로 감싸며, 일측에는 덕트(32)상의 공기유입공(32b)을 선택적으로 차단 및 개방하기 위한 덮개(51)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커버 시트(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10)의 제1공기순환부(11), 제2공기순환부(12) 및 연결매트(20)의 제3공기순환부(21), 제4공기순환부(22)에는 이음대(60)가 안내 설치되어 매트(10)와 연결매트(20)의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10)의 저부에는 매트(10)의 폴딩을 위한 절첩홈(1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 시트(50)에는 절첩홈(14)에 안내되는 포켓 홈(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KR1020110077289A 2011-08-03 2011-08-03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KR10123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89A KR101234785B1 (ko) 2011-08-03 2011-08-03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289A KR101234785B1 (ko) 2011-08-03 2011-08-03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347A true KR20130015347A (ko) 2013-02-14
KR101234785B1 KR101234785B1 (ko) 2013-03-19

Family

ID=4789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289A KR101234785B1 (ko) 2011-08-03 2011-08-03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3A (ko) 2014-11-26 2016-06-03 김선조 공기순환형 냉온식 에어매트
KR20190057194A (ko) 2017-11-17 2019-05-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자용 통풍 및 온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99A (ko) 2017-11-28 2019-06-05 류학현 송풍 매트용 송풍기
KR101941913B1 (ko) 2017-11-28 2019-01-24 류학현 송풍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585U (ko) * 1998-08-11 1998-12-05 장병간 흙침대 매트용 황토흙판
KR100726095B1 (ko) * 2005-03-14 2007-06-12 차찬열 온풍, 냉풍 또는 자연풍을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KR100761633B1 (ko) 2006-07-13 2007-09-27 윤장호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온열매트
KR100803500B1 (ko) 2007-04-18 2008-02-14 윤장호 고온의 공기를 이용한 온열침대
KR200460028Y1 (ko) * 2009-11-18 2012-05-02 이헌재 야외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3A (ko) 2014-11-26 2016-06-03 김선조 공기순환형 냉온식 에어매트
KR20190057194A (ko) 2017-11-17 2019-05-2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의자용 통풍 및 온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785B1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2788B1 (en) Dryer for bed
US10857062B2 (en) Spring bed device with heating function
AU2001237887B2 (en) A bed
US20170273470A1 (en) Thermally conditioned bed assembly
US9125497B2 (en) Climate controlled bed assembly with intermediate layer
US8122540B2 (en) Bed headboard with ventilation system
KR101234785B1 (ko) 통풍기능을 갖는 온열매트
AU2001237887A1 (en) A bed
JP2013528776A (ja) 熱電パーソナル・コンフォート制御寝具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697107B2 (ja) 空調機付きベッド
KR100920869B1 (ko) 에어 매트리스
CN2912379Y (zh) 暖气床
JP2007202682A (ja) 空調装置付きベッド
US7900291B2 (en) Blower system for health booth
KR101941913B1 (ko) 송풍 매트
KR102297190B1 (ko) 모듈식 이동형 돔 사우나
KR102172560B1 (ko)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JP4683860B2 (ja) エアーコントロール布団
JP2009201977A (ja) エコスリープ寝具
KR20110094932A (ko) 냉,온 기능을 갖는 매트리스
KR20180086057A (ko) 온풍 매트리스
KR20190061599A (ko) 송풍 매트용 송풍기
CN210018752U (zh) 一种充气式被子
KR910008419Y1 (ko) 공기순환식 통풍 방석겸 시트장치
KR200436884Y1 (ko) 온수관 이탈방지를 위한 돌기를 갖는 온수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