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382B1 -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382B1
KR101326382B1 KR1020120003113A KR20120003113A KR101326382B1 KR 101326382 B1 KR101326382 B1 KR 101326382B1 KR 1020120003113 A KR1020120003113 A KR 1020120003113A KR 20120003113 A KR20120003113 A KR 20120003113A KR 101326382 B1 KR101326382 B1 KR 10132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suction
fixed
venti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976A (ko
Inventor
유태이
Original Assignee
유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이 filed Critical 유태이
Priority to KR1020120003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3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농산물의 저장을 위하여 저온저장고를 형성함에 있어서 농산물 저장시 이로부터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내지 기타 다양한 환경 호르몬 등을 시기 적절하게 배출 유도하여 대상 농산물의 품질 저하 및 부패 현상으로부터 적극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배출 작용과 연동하여 외부 공기를 적합하게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저온저장고의 바닥 시공시 내외부 온도 차이에 의한 열 손실을 억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10)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으로의 이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방열문(13)이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쿨러(14)를 비치하여 피냉각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되, 본체(1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를 구동모터(130)의 작동으로 고속 회전하는 송풍팬(140)에 의해 외부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자동환기유닛(100);과, 자동환기유닛이 위치된 본체의 대응된 일면에 하나 이상 고정 장착되어 자동환기유닛의 가동시 본체 내부로의 외부 공기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흡입유닛(200);과,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가스검출센서(15)의 신호를 전송받아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통해 지정된 임의 시간마다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일괄적인 환기가 결정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System of the Structure for Cold Storage}
본 발명은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농산물의 저장을 위하여 저온저장고를 형성함에 있어서 농산물 저장시 이로부터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내지 기타 다양한 환경 호르몬 등을 시기 적절하게 배출 유도하여 대상 농산물의 품질 저하 및 갈변 현상으로부터 적극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배출 작용과 연동하여 외부 공기를 적합하게 흡입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이와 더불어 저온저장고의 바닥 시공시 내외부 온도 차이에 의한 열 손실을 억제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극대화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산업발전과 인구 증가에 따른 도시화 및 소득의 증가로 식생활이 다양화되고 신선 과채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생산된 농산물을 신선하게 보관하여 비 생산시기에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는바, 이는 농산물의 가격 안정에도 기여하게 된다.
예컨대, 수확된 농산물을 신선하게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기 온도보다 낮은 곳에 식품이나 농산물을 보관하여 신선도의 연장을 유도하는 방식이 저온저장(低溫貯藏)이다. 이러한 저온저장을 위해서 방열기능을 갖추고 적정 용량의 냉동 기계설비 구비된 저온저장창고를 저온저장고(低溫貯藏庫)라 하고, 통상 내부에 쿨러가 비치된 천정부와 측면부를 구비한 함체형의 창고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의 쿨러는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토출구와, 저온저장고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다시 흡입하는 흡입팬을 구비하게 된다. 이로써, 농산물을 보관한 저온저장고 내부로 냉기토출구를 통해 냉기를 분사하고 이러한 냉기는 농산물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도록 되며 이 같은 과정에서 상승된 온도가 다시 상부로 모여 흡입팬으로 흡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저온저장고에 보관되는 농산물은 보관중 대사작용이 진행되어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물, 효소, 방향성 물질, 호르몬 등 생명연장과 종족보존을 위한 대사물질을 배출하게 된다. 특히, 이 중 휘발성 가스는 저장 농산물의 산화 및 부패를 촉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창을 구비하여 배출시켜야 하나 저온저장고의 냉기의 손실을 초래하는 것이어서 저장된 농산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배출창을 여닫는데 따른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다시 말해서, 귤이나 토마토, 오이, 상추 등과 같은 청과물(이하 피냉각물이라 약칭함)은 수확 후에도 호흡작용이 계속 진행되어 급격히 신선도와 품질이 저하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냉각처리하여 피냉각물의 호흡진행을 중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 저온 저장고내에 피냉각물을 저장할 경우에는 피냉각물의 호흡중지에 필요한 온도까지의 냉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 사이에 피냉각물의 품질 열화가 일어나고, 높은 온도의 피냉각물이 저온저장고 내에 일시에 반입될 경우에는 저온저장고의 냉각부하를 크게 하므로 저온저장고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켜 냉각처리의 시간 소요는 더욱 많게 된다.
이렇듯, 저온저장은 온도에 민감한 계절 농산물의 상품성을 연장시키기 위한 기술인바, 각종 농산물의 대사작용을 억제시킬 수 있는 온도 범위에서 해당 피냉각물을 저장하여 출하시기 조절 및 품질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함으로, 이를 위한 종래의 저온저장고는 환경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 구조를 벽 하단부위에 구멍을 뚫어 배출시키거나 고가의 오존발생기를 이용하거나 저온저장고 벽에 환풍기를 설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경제적, 구조적 효율성이 극히 떨어져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자동환기 및 공기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피냉각물의 신선도와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저온저장고의 바닥 콘크리트 시공시 열전도 및 열손실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열 효율성의 극대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저온저장고는,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10)로 이루어져 패킹(12)에 의해 밀폐되면서 내부 공간으로의 이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방열문(13)이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쿨러(14)를 비치하여 피냉각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되, 본체(1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를 구동모터(130)의 작동으로 고속 회전하는 송풍팬(140)에 의해 외부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자동환기유닛(100);과, 자동환기유닛이 위치된 본체의 대응된 일면에 하나 이상 고정 장착되어 자동환기유닛의 가동시 본체 내부로의 외부 공기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흡입유닛(200);과,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가스검출센서(15)의 신호를 전송받아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통해 지정된 임의 시간마다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일괄적인 환기가 결정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동환기유닛(100)은 본체(10)의 일면에 매립되는 고정바디(110)와, 본체 외면에 고정 배치되고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에서 밀착되거나 이격 배치되면서 개폐되는 도어(150)와, 도어의 외면 중앙 영역에서 고정 앵글(153)을 통해 결속되는 연동부재(152)와, 연동부재의 일단과 결부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61)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163)과,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줄여주기 위한 감속기(162)와, 감속기의 하방에서 회전축에 결부되어 회전 구동되고 도어의 개폐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개폐인식센서(164)와, 개폐인식센서의 하방에서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을 담당하는 볼베어링(165)과,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와 감속기 및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60)와,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166)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모터(130)와 결부되어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40)을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공기흡입유닛(200)은 본체(10)로부터 삽입 수용되거나 탈거되는 흡입블록(210)이 구비되고, 흡입블록에는 본체로의 삽입시 함몰 배치되지 않도록 본체 외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211)과, 내부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단열 처리를 위한 단열재(212)와, 단열재를 커버하고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중공부(213a)가 천공되는 지지플레이트(213)와, 지지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는 흡입조절나사(220)와, 흡입조절나사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지지플레이트와 밀접 배치되는 유동판(240)이 구비되며, 흡입블록의 걸림턱(211)과 볼트 체결되어 본체 외면에서 고정 장착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덮개(25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바닥 저면으로 콘크리트 시공이 이루어지되, 방열문(13)을 지지하기 위한 패킹(12)의 연직 하방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단열커버(310)를 삽입 개재하고, 상기 단열커버에는 우레탄(320)을 충만시켜 본체(10)의 바닥 전 면적에 대하여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바닥단열유닛(300)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자동환기유닛(100)과 공기흡입유닛(200)은 마주하는 본체(10)의 각 일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에 고정 배치되고, 자동환기유닛은 공기흡입유닛에 비해 상향 배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30)는 내부 공간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바디(110) 내측 공간에서 슬라이딩 부재(120)를 통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구동모터를 내입하기 위한 수용구(121); 및 수용구를 기점으로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12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되, 슬라이딩 부재의 다리부와 치합되는 가이드레일(111)을 고정바디의 각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내설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20)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바디(110)의 선단부(112)는 일측방을 연장 형성하여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 감속기,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한 고정플레이트(160)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어(150)는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와 밀접되는 일면에 패킹부재(151)를 더 구비하여 도어와 고정바디 상호 간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입조절나사(220)는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부재(230)의 압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판(240)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자동환기유닛(100)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던 유동판(240)이 흡입블록(210)의 지지플레이트(213)로부터 이격 배치됨에 따라 중공부(213a)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동부재(152)는 도어(150)의 외면 중앙에서 고정 장착된 고정앵글(153)의 통공으로 고정핀을 인입시켜 도어와의 상호 결속을 유도하되, 고정핀이 끼움 결합된 고정앵글의 통공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50)가 고정앵글과 고정핀에 의해 결속된 상태에서 전 방위에 대해 유동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피냉각물로부터 비롯되는 적정량의 배출 가스 내지 환경 호르몬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하여 적정 시간에 방출함에 따라 부패현상 혹은 저장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자동 환기 구조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흡입 구조를 부가 채택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원활한 흡입이 이루어지므로, 이로 인해 저온저장고 내부의 각종 가스 등을 고르게 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공기 순환 및 가스 배출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아가 공기흡입을 조절하는 흡입조절나사를 더 구비하여 저온저장고 내부의 전체 면적에 대해 균형있는 가스 배출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온저장고의 바닥 시공시 단열 보강을 위하여 열손실이 심각한 위치에 소정의 단열커버를 배치한 후 콘크리트 마감 시공을 행함으로써, 열전도에 따라 열손실 우려가 있는 취약 지점에 단열커버를 포함한 바닥 시공이 밀폐형으로 이루어져 외부 온도에 영향 없이 저온저장고 내부 온도가 보존되는바, 이에 따라 전력 손실이나 기기수명단축과 같은 문제점을 일괄적으로 불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온저장고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온저장고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자동환기유닛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성을 상세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자동환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환기유닛이 본체에 장착됨을 보인 예시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공기흡입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유닛을 상세 도시한 작용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바닥단열유닛을 상세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종래 구성에 따라 이루어지는 저온저장고의 바닥 시공 예시도.
본 발명은 농산물(피냉각물) 저장시 이러한 각종 농산물의 호흡 작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에틸렌가스, 기타 환경 호르몬 등을 방출하여 갈변 현상을 포함한 제품의 품질 저하가 초래되지 않도록 자동 환기 및 공기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단열 기능을 부여하여 열손실의 최소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온저장고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저온저장고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온저장고(1)는 박스 형상의 함체형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 공간에 일정 시간마다 냉기를 분사하여 피냉각물의 습도 및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쿨러(14)와, 내부 공기의 흐름을 알맞게 유도하기 위하여 알루미늄과 아연의 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진 갈바륨(11)이 설치되며, 본체(10) 내부로의 이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방열문(13)이 패킹(12)에 의해 밀폐된다. 아울러, 방열문(13)의 하방 영역에는 또 다른 패킹(17)을 부가 채용함으로써 밀폐력이 더욱 향상되게 하였는바, 이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문 저부와 바닥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패킹(17)을 이의 사이 공간에 개재한 것이다. 또한, 사용상 편의를 위하여 본체 내부에는 가스검출센서(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갈바륨(11)은 우레탄 발포 시공시 우레탄을 보호하고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55 중량%의 알루미늄과 43.4 중량%의 아연과 1.6 중량%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유의 매끄러움과 평탄함, 미세한 스팽글과 함께 흰 금속성의 외관을 가질 있도록 연속 용융도금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갈바륨은 피냉각물이 적재되는 본체(10) 내부 둘레면을 따라 고정 배치되는데, 이는 도 2에서와 같은 유동 공기의 흐름을 구현하는 수단이 된다. 즉, 통상의 피냉각물은 팔레트에 적치된 상태로 저온저장고에 비치되는바, 갈바륨의 하방으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팔레트에 자체 구비된 구멍으로 이동 경로를 구축하게 되므로 공기 흐름에 방해받음 없이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온저장고(1)는 크게 자동환기유닛(100); 공기흡입유닛(200); 바닥단열유닛(300); 및 제어유닛(미도시함);을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함체 형상의 본체(10)로 이루어져 패킹(12)에 의해 밀폐되면서 내부 공간으로의 이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방열문(13)이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쿨러(14)를 비치하여 피냉각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되, 본체(1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를 구동모터(130)의 작동으로 고속 회전하는 송풍팬(140)에 의해 외부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자동환기유닛(100);과, 자동환기유닛이 위치된 본체의 대응된 일면에 하나 이상 고정 장착되어 자동환기유닛의 가동시 본체 내부로의 외부 공기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흡입유닛(200);과,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가스검출센서(15)의 신호를 전송받아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통해 지정된 임의 시간마다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일괄적인 환기가 결정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자동환기유닛(100)과 공기흡입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마주하는 본체(10)의 각 일면에서 서로 상이한 높이에 고정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동환기유닛을 공기흡입유닛에 비해 상향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 뜨거운 공기가 상방에 위치된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체 내부 상방에 집결되는 더운 공기의 온도를 낮춰주기 위한 상기 쿨러(14)의 위치를 고려한 것으로, 일정량의 냉기를 간헐적으로 뿜어주는 쿨러를 본체 내부 상측에 비치하여 해당 상측 공기의 냉각 상태를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본체의 하측 영역에는 주지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쿨러의 냉기분사가 이루어짐에도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대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갈바륨(11)에 의해 적절히 차단되면서 본체(10)의 하측 공간으로 해당 외부 공기가 이동됨에 따라 본체 내부의 냉기 온도에 관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순환이 이루어져 자동환기유닛(100)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발생한 각종 가스의 배출이 양호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은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기흡입유닛(200)을 2개소에 설치하거나 또는 그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즉, 자동환기유닛(100)에 의해 자동 환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또한 흡입되어야만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저온저장고 내부의 가스를 고르게 배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흡입유닛을 동일한 높이에 복수 설치하여 자동환기유닛의 맞은편 양측에 구비된 공기흡입장치로 하여금 균일하게 외부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자동환기유닛을 도시한 외형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성을 상세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자동환기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환기유닛이 본체에 장착됨을 보인 예시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환기유닛(100)은 본체(10)의 일면에 매립되는 고정바디(110)와, 본체 외면에 고정 배치되고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에서 밀착되거나 이격 배치되면서 개폐되는 도어(150)와, 도어의 외면 중앙 영역에서 고정 앵글(153)을 통해 결속되는 연동부재(152)와, 연동부재의 일단과 결부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61)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163)과,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줄여주기 위한 감속기(162)와, 감속기의 하방에서 회전축에 결부되어 회전 구동되고 도어의 개폐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개폐인식센서(164)와, 개폐인식센서의 하방에서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을 담당하는 볼베어링(165)과,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와 감속기 및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60)와,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166)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모터(130)와 결부되어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40)을 포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130)는 내부 공간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바디(110) 내측 공간에서 슬라이딩 부재(120)를 통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구동모터를 내입하기 위한 수용구(121); 및 수용구를 기점으로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12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되, 슬라이딩 부재의 다리부와 치합되는 가이드레일(111)을 고정바디의 각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내설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20)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정바디(11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이 구축되어 각 내면에 가이드레일(111)이 내설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1)은 슬라이딩 부재(120)를 인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바,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부재의 다리부(122)가 서로 중첩되어 슬라이드 구현되면서 쉽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슬라이딩 부재가 고정바디로부터 탈부착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바디(110)의 선단부(112)는 일측방을 연장 형성하여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 감속기,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한 고정플레이트(160)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20)는 중앙 영역에서 구동모터(130)를 끼움 결합 가능하게 하는 수용구(121)가 형성되고, 수용구의 외면에는 4개소에서 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다리부(122)가 이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는 고정바디의 가이드레일(111)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비하여 이들 서로가 서로 끼워져 슬라이드 구동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고정바디로부터 슬라이딩 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스토퍼(미도시함)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는 돌출턱의 형상 혹은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해당 홈의 기능을 저지하는 소정의 결합부재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송풍팬(140)과 결부된 구동모터(130)는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전술한 슬라이드 방식이 아닌 통상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보다 단순한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본체(10) 혹은 고정바디(110)와 나사 체결하였는바, 상기 프레임을 구동모터의 양측방으로 위치시켜 그 양단을 각각 구동모터와 본체 또는 고정바디의 내면 일측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프레임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130)가 위치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상기 도어(150)는 고정플레이트(160)에 고정 장착된 또 다른 구동모터(161)에 의해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바, 그 수단은 감속기(162) 및 개폐인식센서(164), 볼베어링(165)을 경유하여서 연동부재(152)와 결부된 회전축(163)일 수 있으며, 회전축에 의한 연동부재의 구동으로 개폐되는 도어의 일면, 즉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와 밀접되는 일면에는 패킹부재(151)를 장착하여 도어와 고정바디 상호 간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동작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연동부재(152)는 도어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는 고정플레이트(160) 상의 제반 구성요소들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면서 도어(150)의 개폐를 결정짓게 되므로, 이를 위해서 다수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연동부재는 일단이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측 방향으로 90°절곡 형성된 후 재차 후방(회전축이 위치된 도어의 방향)에 대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에는 회전축(163)과의 결속을 위하여 결합공(154)이 천공된다. 이와 같은 연동부재의 형상으로 인해 도어와 이를 개폐하기 위한 수단이 근접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동일선상 및 동일면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단거리에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과 함께 개폐에 따른 소요시간 또한 현저하게 단축되어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강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동부재(152)가 고정앵글(153)을 통해 도어(150)의 외면 중앙 영역에서 결속되는바, 이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도어의 원활한 개폐작용을 유도함으로써 밀폐력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된다. 상세하게는, 연동부재의 일단 양쪽으로 고정앵글(153)을 각각 위치시켜 상기 고정앵글이 도어의 외면 및 연동부재와 고정 결속되게 함으로써 그 결속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고정앵글(153)과 연동부재(152)의 상호 결합을 위해서 해당 고정앵글에는 각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고, 별도의 고정핀(미도시함)을 구비하여 일측의 고정앵글로 인입시켜 연동부재(152)를 거친 후 재차 타측의 고정앵글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150)가 상하 좌우 방향에 대해 소폭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어의 중앙 영역에서 연동부재가 고정 결속됨과 아울러 고정앵글의 통공과 고정핀에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극은 고정앵글을 통해 연동부재와 도어와의 상호 결합을 유도하면서 도어가 전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요소가 되므로, 적은 힘에 의해서도 패킹부재(151)의 전면 밀착이 구현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작용시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가장 적합한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바디의 선단부에 상기 도어가 보다 쉽고 강제적이지 않은 형태로 밀착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에는 단열재(340)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열재로 하여금 도어 영역의 단열 기능이 취약한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도 5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인식센서(164)는 하나의 몸체 양단에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고, 각각 도어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와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163)에 결부되는 개폐인식센서(164)가 회전축의 움직임에 따라 일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이에 따른 위치 변화를 각 센서가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유닛에 전송하게 된다.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유닛의 제어하에 자동환기유닛(100)의 작동 여부가 컨트롤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공기흡입유닛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공기흡입유닛을 상세 도시한 작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흡입유닛(200)은 본체(10)로부터 삽입 수용되거나 탈거되는 흡입블록(210)이 구비되고, 흡입블록에는 본체로의 삽입시 함몰 배치되지 않도록 본체 외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211)과, 내부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단열 처리를 위한 단열재(212)와, 단열재를 커버하고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중공부(213a)가 천공되는 지지플레이트(213)와, 지지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는 흡입조절나사(220)와, 흡입조절나사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지지플레이트와 밀접 배치되는 유동판(240)이 구비되며, 흡입블록의 걸림턱(211)과 볼트 체결되어 본체 외면에서 고정 장착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덮개(25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흡입조절나사(220)는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부재(230)의 압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판(240)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자동환기유닛(100)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던 유동판(240)이 흡입블록(210)의 지지플레이트(213)로부터 이격 배치됨에 따라 중공부(213a)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유닛(200)은 본 발명의 자동환기유닛(100)과 연동하여 저온저장고 내부의 에틸렌 가스 내지 기타 환경 호르몬을 시기 적절하게 배출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로, 자동환기유닛의 작동시 기설치된 상태 그대로 운용 가능하게 된다. 즉, 최초 저온저장고 시설 후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로 본체 일면에 복수 개 장착시키되, 공기 흡입 및 가스 배출이 가장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흡입조절나사(220)를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입조절나사의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조절나사(220)의 외주연에 권취된 탄성부재(230,인장스프링)가 유동판(240)을 밀어주는 강도의 조절을 의미하는바, 상기 흡입조절나사를 조여주거나 혹은 느슨하게 풀어 주는 방식으로 유동판(240)이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흡입조절나사(220)가 유동판(240)을 밀어주는 정도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최초 흡입조절나사를 조작하여 저온저장고 내부로의 공기 흡입량이 균형있게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세팅한 후, 피냉각물을 다수 보관하여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9의 A는 자동환기유닛(100)이 작동되기 전 상태의 공기흡입유닛(200)을 도시한 배치 상태이고, 첨부도면 9의 B는 자동환기유닛(100)이 작동할 경우 공기흡입유닛(200)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자동환기유닛의 가동으로 송풍팬(140)이 고속 회전함에 따라 외부 공기가 저온저장고 내부로 흡입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작용에 기인하여 흡입덮개(250)에 다수 천공된 흡입구(미도시함)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단열재(212)를 거쳐 흡입블록(210)의 중공부(213a)에 다다르게 되며, 흡입 공기가 중공부(213a)에 다다르게 됨과 동시에 공기의 진행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압력이 발생되어 중공부를 막고 있던 유동판(240)을 소폭 밀어냄으로써 중공부의 개방이 이루어져 외부 공기가 저온저장고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자동환기유닛(100)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이와 동시에 외부 공기의 유입도 중단되므로 이에 따라 유동판(240)을 밀어내던 힘이 없어지는 한편, 재차 탄성부재(230)의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유동판이 가압됨에 따라 지지플레이트(213)와 상기 유동판이 밀착 배치되고, 이로 인해 지지플레이트의 중공부 또한 유동판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바닥단열유닛을 상세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종래 구성에 따라 이루어지는 저온저장고의 바닥 시공 예시도이다.
통상, 저온 저장고에는 바닥 저면으로 콘크리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콘크리트 시공과 함께 온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성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저온저장고 본체에 콘크리트 시공 및 우레탄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 11에서와 같이 방열문이 위치된 바닥 영역에는 구조의 특성상 이러한 단열 시공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단열에 있어 취약 부분이 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취약 부위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바닥 저면으로 콘크리트 시공을 행하되, 방열문(13)을 밀폐하기 위한 패킹(12)의 연직 하방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단열커버(310)를 삽입 개재하고, 상기 단열커버에는 우레탄(320)을 충만시켜 본체(10)의 바닥 전 면적에 대하여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바닥단열유닛(300)을 더 포함하였다.
상기 바닥단열유닛(300)은 도 10에서와 같이 우레탄과 같은 단열재를 시설하기 곤란한 영역에서도 손쉽게 단열재의 시설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수단인바,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SS41 재질의 단열커버(310)를 채택하여 이로 하여금 우레탄을 충만시켜 단열 기능을 개선한 것이다.
상기 단열커버(310)의 채용으로 인해 본체 전 면적은 물론, 본체(10)가 위치되는 바닥의 저면부까지 확장하여 빠짐없이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장착할 수 있게 되므로,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열전도 내지 열손실을 철저히 억제시켜 전력 손실 및 기기 수명단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저온저장고가 내포하던 문제점, 즉 철판을 재질로 하는 절곡 패널만으로 제작됨에 따라 단열에 대한 어떠한 구성도 구비하질 못하므로 주변의 온도가 높아질 경우 그 열이 그대로 저온저장고 내부로 전달됨으로써 냉각수단을 통해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당한 에너지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등의 치명적인 단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저온저장고 10: 본체
11: 갈바륨 12: 패킹
13: 방열문 14: 쿨러
15: 가스검출센서 100: 자동환기유닛
110: 고정바디 111: 가이드레일
112: 선단부 120: 슬라이딩 부재
121: 수용구 122: 다리부
130: 구동모터 140: 송풍팬
150: 도어 151: 패킹부재
152: 연동부재 153: 고정앵글
154: 결합공 160: 고정플레이트
161: 구동모터 162: 감속기
163: 회전축 164: 개폐인식센서
165: 볼베어링 166: 커버체
200: 공기흡입유닛 210: 흡입블록
211: 걸림턱 212: 단열재
213: 지지플레이트 213a: 중공부
220: 흡입조절나사 230: 탄성부재
240: 유동판 250: 흡입덮개
300: 바닥단열유닛 310: 단열커버
320: 우레탄 330: 콘크리트
340: 단열재

Claims (10)

  1. 삭제
  2. 본체(10)의 일면에 고정 장착되어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를 구동모터(130)의 작동으로 고속 회전하는 송풍팬(140)에 의해 외부로 배출 유도하기 위한 자동환기유닛(100);과, 자동환기유닛이 위치된 본체의 대응된 일면에 하나 이상 고정 장착되어 자동환기유닛의 가동시 본체 내부로의 외부 공기 흡입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흡입유닛(200);과, 본체 내부에 배치된 가스검출센서(15)의 신호를 전송받아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거나 타이머를 통해 지정된 임의 시간마다 자동환기유닛의 작동 여부를 컨트롤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일괄적인 환기가 결정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환기유닛(100)은 본체(10)의 일면에 매립되는 고정바디(110)와, 본체 외면에 고정 배치되고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에서 밀착되거나 이격 배치되면서 개폐되는 도어(150)와, 도어의 외면 중앙 영역에서 고정 앵글(153)을 통해 결속되는 연동부재(152)와, 연동부재의 일단과 결부되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161)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163)과,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줄여주기 위한 감속기(162)와, 감속기의 하방에서 회전축에 결부되어 회전 구동되고 도어의 개폐 상태를 인식하여 제어유닛에 전송하는 개폐인식센서(164)와, 개폐인식센서의 하방에서 회전축의 원활한 회전을 담당하는 볼베어링(165)과,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와 감속기 및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160)와,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166)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구동모터(130)와 결부되어 내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송풍팬(140)을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유닛(200)은 본체(10)로부터 삽입 수용되거나 탈거되는 흡입블록(210)이 구비되고, 흡입블록에는 본체로의 삽입시 함몰 배치되지 않도록 본체 외면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211)과, 내부 열이 손실되지 않도록 단열 처리를 위한 단열재(212)와, 단열재를 커버하고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중공부(213a)가 천공되는 지지플레이트(213)와, 지지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서 직교 방향으로 입설되는 흡입조절나사(220)와, 흡입조절나사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지지플레이트와 밀접 배치되는 유동판(240)이 구비되며, 흡입블록의 걸림턱(211)과 볼트 체결되어 본체 외면에서 고정 장착되고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는 흡입덮개(25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30)는 내부 공간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고정바디(110) 내측 공간에서 슬라이딩 부재(120)를 통해 고정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구동모터를 내입하기 위한 수용구(121); 및 수용구를 기점으로 사방에 대해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122);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되, 슬라이딩 부재의 다리부와 치합되는 가이드레일(111)을 고정바디의 각 내면의 길이 방향으로 내설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120)가 고정바디(110)의 내부 공간에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110)의 선단부(112)는 일측방을 연장 형성하여 볼베어링과 개폐인식센서, 감속기, 구동모터를 고정 장착한 고정플레이트(160)가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50)는 고정바디의 선단부(112)와 밀접되는 일면에 패킹부재(151)를 더 구비하여 도어와 고정바디 상호 간 밀폐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조절나사(220)는 회전방향에 따라 탄성부재(230)의 압축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유동판(240)의 가압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자동환기유닛(100)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탄성부재를 통해 지지되던 유동판(240)이 흡입블록(210)의 지지플레이트(213)로부터 이격 배치됨에 따라 중공부(213a)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152)는 도어(150)의 외면 중앙에서 고정 장착된 고정앵글(153)의 통공으로 고정핀을 인입시켜 도어와의 상호 결속을 유도하되, 고정핀이 끼움 결합된 고정앵글의 통공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150)가 고정앵글과 고정핀에 의해 결속된 상태에서 전 방위에 대해 유동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KR1020120003113A 2012-01-10 2012-01-10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KR10132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13A KR101326382B1 (ko) 2012-01-10 2012-01-10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113A KR101326382B1 (ko) 2012-01-10 2012-01-10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976A KR20130081976A (ko) 2013-07-18
KR101326382B1 true KR101326382B1 (ko) 2013-11-11

Family

ID=4899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113A KR101326382B1 (ko) 2012-01-10 2012-01-10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6324A (zh) * 2018-01-31 2018-06-01 王斌 一种动态温度、温差与无限循环无冰保鲜控制系统
CN108375263A (zh) * 2018-02-11 2018-08-07 北京首工科技开发有限公司 化霜、开门时库温均不超限的医药冷冻库及其控温方法
CN114576910B (zh) * 2022-03-07 2023-12-26 江苏福思克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冷库
CN114739082B (zh) * 2022-04-12 2024-02-13 安徽省万爱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换气功能的健康智能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62Y1 (ko) * 1996-07-23 1999-06-15 윤두오 농산물 보관용 조립식 저온 창고
KR20110022922A (ko) * 2009-08-28 2011-03-08 주식회사 광진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다목적 저온 저장고
KR101044545B1 (ko) * 2010-08-31 2011-06-27 김병용 환기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93342A (ko) * 2010-02-12 2011-08-18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162Y1 (ko) * 1996-07-23 1999-06-15 윤두오 농산물 보관용 조립식 저온 창고
KR20110022922A (ko) * 2009-08-28 2011-03-08 주식회사 광진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다목적 저온 저장고
KR20110093342A (ko) * 2010-02-12 2011-08-18 심기섭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장 방법
KR101044545B1 (ko) * 2010-08-31 2011-06-27 김병용 환기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976A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0343B (zh) 制冷器具
KR101326382B1 (ko) 저온저장고의 구조 시스템
EP2757334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humidity in a refrigerating chamber of refrigerator
JP6215485B2 (ja) 冷却庫
AU2011285039B2 (en) Multi-compartment refrigerating apparatus for storing fresh food at different temperatures
US11112167B2 (en) Refrigerator
EP2982919B1 (en) Refrigerator
TWI470178B (zh) refrigerator
CN205644778U (zh) 一种冷冻型自动售货机
CN111503970B (zh) 智能果蔬保鲜库及利用该库进行地瓜保鲜存储的方法
CN107504755A (zh) 储物组件和具有其的制冷设备及控制方法
CA2776685A1 (en) Air curtai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a horizontal air curtain with additional airflow
JP6313935B2 (ja) 冷却庫
JP2019100654A (ja) 冷蔵庫
JP4250643B2 (ja) 冷蔵庫
JP2015052441A (ja) 冷凍車
JP4082925B2 (ja) 冷却庫
JP5143210B2 (ja) 冷蔵庫
CN104634058B (zh) 一种冰箱保湿保鲜装置
KR101405503B1 (ko) 쌀통
KR20140010827A (ko) 결로 저감을 위한 냉장고 야채실
JP2010276336A (ja) 冷蔵庫
KR20110008534U (ko)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JP2017166725A (ja) エアカーテンシステムおよび冷蔵倉庫
JP200400371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