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534U -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 Google Patents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534U
KR20110008534U KR2020100002085U KR20100002085U KR20110008534U KR 20110008534 U KR20110008534 U KR 20110008534U KR 2020100002085 U KR2020100002085 U KR 2020100002085U KR 20100002085 U KR20100002085 U KR 20100002085U KR 20110008534 U KR20110008534 U KR 20110008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air guide
ceiling
fixing par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Priority to KR2020100002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534U/ko
Publication of KR20110008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3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저장물이 저장되고, 벽면과 천장을 구비하는 저장실, 저장실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기를 마주보는 벽면으로 토출되는 유니트 쿨러 및 유니트 쿨러에서 발생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모서리를 굴곡지게 차단하는 냉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CHILLY AIR GUIDE DEVICE AND FREEZING/REFRIGERATING STORAGE HAVING THEREOF}
본 고안은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에서 송풍되는 냉기를 냉동,냉장창고의 저장실 벽면 모서리에 설치된 냉기 안내부재로 원활하게 회전 이동하여 저장물을 단시간 내에 냉장,냉동시키므로 저장물의 품질을 높여주고, 저장효율을 증대시키는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축산물 등의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냉장 또는 냉동시키기 위한 냉동,냉장창고가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냉동,냉장창고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를 포함한 통상적인 냉동 사이클(cycle)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때, 냉동,냉장창고는 프레온가스(freon gas)나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암모니아 가스등의 냉매를 이용하여 창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한다.
한편, 냉동,냉장창고의 저장실에 저장되는 저장물 중에 곡물 또는 과실 등은 공기와 호흡을 하면서 체내에 축적된 양분을 소모함으로써 생명의 유지를 위한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이 에너지 공급은 호흡작용에 의한 분해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저온으로 저장하여 호흡을 최소화하는 것이 곡물과 과실을 싱싱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곡물 또는 과실이 호흡이 증가하면 에틸렌 수치가 증가하게 되고, 이 에틸렌이 곡물 또는 과실에 장기간 축적되는 경우 노화 또는 성숙이 촉진되고 생리적으로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보건복지부에서 제정된 "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이 제정되어져 식품위생 기준이 점차적으로 엄격해지는 추세이다.
식품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HACCP)이라 함은 식품의 원료관리, 제조.가공.조리 및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혼입되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
이와 같이, 식품의 원료를 제대로 저장하여 관리하기 위해서는 냉동,냉장창고 저장실의 냉기 공급 및 이동성능을 개선하여 곡물 등의 보관 성능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기존의 냉동,냉장창고는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거나 저장실 벽면에 구비된 냉동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실의 내부 온도를 저온으로 낮춰주므로 냉기의 이동과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저장실의 구석진 부분에 와류가 발생되어 이물질 및 에틸렌이 장기간 잔류하다가 냉기의 이동이 정지된 경우 곡물, 과실 등의 저장물로 내려와 썩게 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에서 송풍되는 냉기를 저장실의 벽면 모서리에 설치된 냉기 안내부재로 원활하게 회전 이동하여 저장물을 단시간 내에 냉장,냉동시키므로 저장물의 품질을 높여주고, 저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는 저장실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에서 토출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를 굴곡지게 차단하는 냉기 안내부재를 구비하여 저장물에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1관통공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2관통공으로 끼워져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냉기를 굴곡지게 가이드하는 냉기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 안내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냉기 안내부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차단부재는 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시일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일링부재는 양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양면 접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저장물이 저장되고, 벽면과 천장을 구비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기를 마주보는 벽면으로 토출되는 유니트 쿨러; 및 상기 유니트 쿨러에서 발생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를 굴곡지게 차단하는 냉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쿨러는 저장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유니트 쿨러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회전안내하도록 상기 유니트 쿨러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냉기 안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니트 쿨러는 상기 저장실의 벽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토출 후드; 상기 토출 후드의 후방에 본체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기를 발생하는 냉각 어셈블리; 및 상기 토출 후드에서 토출되어 순환된 냉기를 다시 흡입하도록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 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1관통공으로 끼워져 천장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2관통공으로 끼워져 벽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냉기를 굴곡지게 가이드하는 냉기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기 안내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냉기 안내부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차단부재는 우레탄폼이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시일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기 안내판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저장실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에서 송풍되는 냉기를 저장실의 벽면과 천장 사이 모서리에 설치된 냉기 안내부재로 원활하게 회전 이동하여 저장물을 단시간 내에 냉장,냉동시키므로 저장물의 품질을 높여주고, 저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냉기 안내판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유니트 쿨러가 일측 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천장에 설치되고, 흡입측 벽면 모서리에 냉기 안내부재를 더 구비하므로 후방에서 흡입되는 냉기 이동이 와류의 발생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와 흡입측 냉기 안내장치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와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와 흡입측 냉기 안내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장치는, 저장실(10), 유니트 쿨러(20), 냉기 안내부재(30)(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실(10)은 저장물(2)이 저장되고, 벽면(12)과 천장(14)을 구비한다.
저장실(10)의 일측에는 저장물(2)을 이송하기 위한 도어(6)가 구비된다.
저장실(10)은 콘크리트 또는 조립식 패널을 이용하여 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니트쿨러(20)는 저장실(10)에 설치되어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기를 마주보는 토출측 벽면(12)으로 토출된다.
유니트 쿨러(20)는 저장실(10)의 천장(12)에 설치된다.
저장실(10)에는 유니트 쿨러(20)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회전안내하도록 유니트 쿨러(20)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냉기 안내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유니트 쿨러(20)는 토출후드(22), 송풍팬(24), 냉각 어셈블리(26) 및 흡입후드(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토출후드(22)는 저장실(10)의 벽면(12)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본체(21)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송풍팬(24)는 토출 후드(22)의 후방에 본체(21)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한다,
냉각 어셈블리(26)는 송풍팬(24)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기를 발생한다.
냉각 어셈블리(26)는 내부에 냉매 히로의 구성 일부가 구비되거나 전체가 구비디도록 구성되어 증발기 코일에서 냉기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흡입후드(28)는 토출 후드(22)에서 토출되어 순환된 냉기를 다시 흡입하도록 본체(21)의 배면에 형성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는, 저장실(10)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20)에서 토출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16)를 기준으로 저장실(10)의 천장(14)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16)를 기준으로 저장실(10)의 벽면(12)에 고정되어 모서리(16)를 굴곡지게 차단하여 저장물(2)에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는 냉기 안내부재(30)를 구비한다.
한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장실(10)에는 유니트 쿨러(20)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회전안내하도록 유니트 쿨러(20)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냉기 안내부재(130)가 더 구비된다.
냉기 안내부재(30)(130)는 제1고정부(32), 제2고정부(38), 냉기 안내판(44)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32)는 저장실(10)의 천장(14)에 모서리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36)가 제1관통공(34)으로 천장(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2고정부(38)는 저장실(10)의 벽면(12)에 모서리 라인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42)가 제2관통공(40)으로 끼워져 벽면(12)에 고정된다.
냉기 안내판(44)는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냉기를 굴곡지게 가이드 한다.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는 냉기 안내판(44)과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거나, 별도로 가공하여 용접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냉기 안내부재(30)(130)의 배면에는 천장(14)과 벽면(12) 사이의 모서리(16)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냉기 안내부재(30)(13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50)가 더 구비된다.
소음차단부재(50)는 우레탄 폼을 사용한다. 물론, 냉기의 이동소음을 용이하게 차단한다면 어떠한 부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소음차단부재(50)는 벽면(12), 천장(14), 모서리(16)에 일치되도록 직각면부(54)를 형성하고, 냉기안내판(44)의 반구 면과 밀착되는 굴곡면부(52)를 형성한다.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의 배면에는 천장(14)과 벽면(12)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시일링부재(60)가 구비된다.
시일링부재(60)는 양면에 접착층(62)이 구비된 양면 접착패드이다.
즉,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의 전체 길이와 면적에 맞게 제작하고, 양면에 접착층(62)을 부착하여 일측의 접착층은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의부착면에 접착하고, 타측은 천장(14)과 벽면(12)에 부착하여 냉기 안내부재(30)(130)를 저장실(10)의 모서리부분에 고정한다.
한편, 시일링부재(60)가 적용되지 않거나 적용하더라도, 부가적으로 제1고정부(32)에 형성된 제1관통공(34)을 통하여 체결부재(36)를 끼워 천장(14)에 체결하고, 제2고정부(38)에 형성된 제2관통공(40)을 통하여 체결부재(42)를 끼워 벽면(12)에 체결하여 냉기 안내부재(30)를 저장실(20) 내에서 유니트 쿨러(20)의 토출측 모서리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10)의 중심부를 벗어난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천장(14)에 유니트 쿨러(20)를 볼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유니트 쿨러(20)에서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측 벽면(12)과 천장(14)에 모서리(16) 부분을 가리도록 냉기 안내부재(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유니트 쿨러(20)에서 냉기가 흡입되는 흡입측 벽면(12)과 천장(14)에 모서리(16) 부분을 가리도록 냉기 안내부재(13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냉기 안내부재(30)(130)의 배면에는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냉기 소음차단부재(50)를 덧대서 냉기가 부딪치고 이동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한편, 유니트 쿨러(20)의 토출측과 흡입측의 천장(14)과 벽면(12) 사이의모서리(16)가 아닌 다른 모서리에는 냉기 안내부재(130)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물론, 냉기 안내부재(1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냉기 안내부재(30)(130)의 제1고정부(32)와 제2고정부(38)의 배면에는 접착층(62)을 구비한 시일링부재(60)를 덧대서 천장(14)가 벽면(12)의 사이로 냉기가 유입되거나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니트 쿨러(20)의 냉각 어셈블리(26)가 제어부(4)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송풍팬(24)를 회전하면 냉기를 토출후드(22)를 통하여 전측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토출된 냉기는 토출측 벽면(12)과 천장(14)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모서리(16)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된 냉기 안내부재(30)를 따라 회전 가이드하여 90°정도의 각도를 전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우측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저장물(2)에 냉기를 공고루 공급한다.
즉, 저장물(2)에 공급된 냉기는 곡물과 과실등의 호흡을 급속도로 정지하거나, 낮춰 주어 에틸렌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그리고, 저장물(2)을 통과하여 이동한 냉기는 우측으로 이동하다가 우측 벽면(12)에서 상측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냉기 안내부재(130)에서 회전 가이드하여 90°정도의 각도를 전환하여 유니트 쿨러(20)의 흡입후드(28)으로 다시 유입되고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기 안내판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저장실(10)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20)에서 송풍되는 냉기를 저장실의 벽면과 천장 사이 모서리에 설치된 냉기 안내부재(30)로 원활하게 회전 이동하여 저장물(2)을 단시간 내에 냉장,냉동시키므로 저장물의 품질을 높여주고, 저장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냉기 안내판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는, 유니트 쿨러(20)가 일측 벽면(12)과 이격된 상태로 천장(14)에 설치되고, 흡입측 벽면 모서리에 냉기 안내부재(130)를 더 구비하므로 후방에서 흡입되는 냉기 이동이 와류의 발생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저장물 10 : 저장실
12 : 벽면 14 : 천장
20 : 유니트쿨러 22 : 토출후드
24 : 송풍팬 26 : 냉각 에셈블리
28 : 흡입후드 30 : 냉기안내부재
32 : 제1고정부 38 : 제2고장부
44 : 냉기안내판 50 : 소음차단판
60 : 시일링부재 62 : 접착층

Claims (13)

  1. 저장실에 설치된 유니트 쿨러에서 토출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를 굴곡지게 차단하는 냉기 안내부재를 구비하여, 저장물에 냉기를 골고루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1관통공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2관통공으로 끼워져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냉기를 굴곡지게 가이드하는 냉기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냉기 안내부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차단부재는 우레탄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시일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재는 양면에 접착층이 구비된 양면 접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
  7. 저장물이 저장되고, 벽면과 천장을 구비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냉기를 마주보는 벽면으로 토출되는 유니트 쿨러; 및
    상기 유니트 쿨러에서 발생된 냉기를 회전가이드 하도록 일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천장에 고정되고, 타측이 토출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저장실의 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모서리를 굴곡지게 차단하는 냉기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쿨러는 저장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유니트 쿨러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회전안내하도록 상기 유니트 쿨러의 흡입측에 위치하는 냉기 안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쿨러는
    상기 저장실의 벽면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토출 후드;
    상기 토출 후드의 후방에 본체 내에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냉기를 전방으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냉기를 발생하는 냉각 어셈블리; 및
    상기 토출 후드에서 토출되어 순환된 냉기를 다시 흡입하도록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후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11.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천장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1관통공으로 끼워져 천장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저장실의 벽면에 상기 모서리 라인을 따라서 길게 설치되고, 체결부재가 제2관통공으로 끼워져 벽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를 라운드지게 연결하여 냉기를 굴곡지게 가이드하는 냉기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12. 제 7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안내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고, 냉기 안내부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냉기의 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차단부재는 우레탄 폼으로서 상기 냉기 안내부재에 접촉되는 골곡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배면에는 상기 천장과 상기 벽면 사이에 밀봉을 수행하는 시일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 안내장치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KR2020100002085U 2010-02-26 2010-02-26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KR20110008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5U KR20110008534U (ko) 2010-02-26 2010-02-26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085U KR20110008534U (ko) 2010-02-26 2010-02-26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34U true KR20110008534U (ko) 2011-09-01

Family

ID=4508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085U KR20110008534U (ko) 2010-02-26 2010-02-26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53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29B1 (ko) 2021-01-13 2021-05-07 농업회사법인 주신 주식회사 냉장/냉동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106B1 (ko) * 2021-07-27 2021-09-03 이지목 인공지능 기반 냉장냉동 저장창고 시스템 운용방법
KR102594452B1 (ko) * 2022-11-04 2023-10-27 (주)신일산업 예건, 예조, 큐어링 겸용 저온저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429B1 (ko) 2021-01-13 2021-05-07 농업회사법인 주신 주식회사 냉장/냉동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106B1 (ko) * 2021-07-27 2021-09-03 이지목 인공지능 기반 냉장냉동 저장창고 시스템 운용방법
KR102594452B1 (ko) * 2022-11-04 2023-10-27 (주)신일산업 예건, 예조, 큐어링 겸용 저온저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6297A (ko) 음식물 보관기기
WO2005003658A3 (en) Cabinet refrigerating system
JP2015001331A (ja) 冷蔵庫
WO2017138427A1 (ja) 冷蔵庫
JP4672506B2 (ja) 冷蔵庫
KR20110008534U (ko) 냉기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동,냉장창고
WO2018108055A1 (zh) 冰箱
JP2018096597A (ja) 冷蔵庫
JP2007057197A (ja) 冷蔵庫
JP6035510B2 (ja) 冷蔵庫
US10429119B2 (en) Refrigerated compartment air distribution assembly
US20050257553A1 (en) Vibration reduction type refrigerator
JP2008069997A (ja) 冷蔵庫
JP6861336B2 (ja) 冷蔵庫
JP2007064598A (ja) 冷蔵庫
AU2011223429B2 (en) A system and method of temperature equalization applied to the door of electrical home appliances
JP6872688B2 (ja) 冷蔵庫
KR20100084715A (ko) 복합형 김치냉장고
JP2019052846A (ja) 冷蔵庫
KR101150946B1 (ko) 냉장고
JP2001133119A (ja) 冷蔵庫
JP2007057196A (ja) 冷蔵庫
KR100201273B1 (ko) 쇼케이스
JP2018204834A (ja) 冷却貯蔵庫
KR101617874B1 (ko) 저온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