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508U - 안전 펜스 - Google Patents

안전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508U
KR20190001508U KR2020170006407U KR20170006407U KR20190001508U KR 20190001508 U KR20190001508 U KR 20190001508U KR 2020170006407 U KR2020170006407 U KR 2020170006407U KR 20170006407 U KR20170006407 U KR 20170006407U KR 20190001508 U KR20190001508 U KR 201900015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ws
pair
coupled
sh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홍
Original Assignee
이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홍 filed Critical 이준홍
Priority to KR2020170006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508U/ko
Publication of KR20190001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은 몸체의 출입대상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안전 펜스는, 출입대상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도어부(110); 상기 도어부(110)가 그 내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1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과 대향하는 일측 벽체(10,20)의 상하에 각각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편(161,171; 181,191);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 프레임(130)의 측면에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의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펜스{SAFETY FENCE}
본 고안은 안전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나 유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안전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외 공간에서 애견 및 기타 동물 등을 구역을 정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놓아두고 관리하는 방법은 펜스를 만들어서 이동 영역을 정해 놓고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물용 펜스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364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펜스는 복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영역 내부에 동물을 가두기 위해 상기 영역 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유아들의 놀이방에는 유아들의 안전을 위해 실내의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의 펜스(울타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아용 놀이방 울타리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6201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선행기술은 일정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되어 있어, 실내의 문틀을 막아야 하는 구조로는 활용될 수 없다.
실내의 문틀을 막는 구조의 펜스는 양측 문틀 사이를 가로막는 도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부를 양측 문틀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의 펜스는 유아들의 놀이방에도 설치될 수 있고, 개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기르는 경우 애완동물이 방 외부로 나오지 못하도록 문틀을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양이는 몸이 매우 유연하여 펜스와 문틈 사이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펜스와 문틈 사이에 고양이가 빠져나올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없앤 구조의 펜스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은 몸체의 애완동물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설치가 쉬운 안전 펜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 펜스는, 출입대상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도어부(110); 상기 도어부(110)가 그 내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1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과 대향하는 일측 벽체(10,20)의 상하에 각각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편(161,171; 181,191);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 프레임(130)의 측면에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의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걸림되어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과 상기 벽체(10,20) 사이의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봉(151,152)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차단봉(151,152)을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차단봉(151,152)의 상단과 하단 각각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의 스크류(164,18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62,182)와, 상기 하부의 스크류(174,19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72,1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162,172,182,19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차단봉(151,152)가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서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보다 더 돌출된 한 쌍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 131c,131d)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 131c,131d)에 일측과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 사이의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제2차단봉(141,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은, 양측 벽체(10,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는, 상기 4개의 지지편(161,171; 181,191)에 각각 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는, 상기 4개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각각 나선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차단봉(151,152)은,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면과 상기 양측 벽체(10,20)와의 사이 공간을 각각 분할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홈(132a,132b)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와 지지편(161,171; 181,19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의 일측 단부가 상기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10)와 프레임(130)이 결합된 본체부(100a); 상기 한 쌍의 지지편(161,171; 181,191)이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가 상기 제1차단봉(151,152)의 일측과 타측 단부를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가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각각 관통하도록 결합된 지지부(10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에 형성된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봉(151,152)은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 상에서 고정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제2차단봉(141,142)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10)의 상부에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도어부(110)의 상단에 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사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30)가 상기 회전축(2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몸체의 애완동물이 펜스와 벽체와의 사이의 틈을 통해 출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애완동물을 편리하게 기를 수 있다.
또한, 펜스와 벽체와의 사이의 틈을 간단한 구조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의 본체부와 지지부가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의 본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의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의 지지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가 벽체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안전 펜스에 설치된 회전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안전 펜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 펜스(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안전 펜스(100)는, 도어부(110)와 프레임(130)이 결합된 본체부(100a)와, 지지편(161,171; 181,191)과 스크류(164,174; 184,194)와 회전손잡이(163,173; 183,193) 및 제1차단봉(151,152)이 결합된 지지부(1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10)는, 애완동물이나 유아 등의 출입대상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락 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져 내부에 개방된 공간을 갖는 도어프레임(112), 상기 도어프레임(112)의 상부와 하부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결합된 복수의 차단봉(111)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차단봉(111)은 상기 도어프레임(112) 내부의 개방된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1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12)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는 힌지부(113a,113b)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110)가 상기 힌지부(113a,113b)를 중심으로 상기 프레임(1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부(11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도어부(110)가 개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12)의 타측 상단에는 도어부(110)가 프레임(130)에 잠금되어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부(110)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잠금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120)에는, 잠금부(120)의 상면과 하면에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한 쌍의 누름부(121a,121b), 잠금부(120)의 측면의 중앙에서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의 누름부(121a)를 누르고, 상기 하부의 누름부(121b)를 위로 당기면 상기 돌출부(122)는 돌출부(122)의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면(123) 방향인 잠금부(120)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상부의 누름부(121a)를 누르고, 하부의 누름부(121b)를 위로 당겨야 상기 돌출부(122)가 잠금부(1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부(120)와 잠금이 이루어지는 상대물인 프레임(130)에는 프레임잠금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부(110)가 닫힌 경우 상기 돌출부(122)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잠금부(125)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22)와 걸림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잠금돌기(126)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돌기(126)는 프레임잠금부(125)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돌기(126)는 단면 형상이 쐐기 형상으로서 한 쌍의 잠금돌기(126)가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부(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을 때는 누름부(121a,121b)를 눌러 돌출부(122)가 잠금부(1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 후, 도어부(110)를 회전시켜 돌출부(122)가 한 쌍의 잠금돌기(126)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누름부(121a,121b)의 누름을 해제시켜 돌출부(122)가 다시 돌출된다. 따라서 돌출부(122)는 그 양측의 잠금돌기(126)에 의해 걸림으로써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부(110)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누름부(121a,121b)를 누르면 돌출부(122)가 잠금부(120)의 내부로 들어가고, 이 상태에서는 돌출부(122)와 잠금돌기(126)사이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도어부(110)를 회전시켜 도어부(11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상기 도어부(110)에는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에서 닫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115)는 도어프레임(112)의 하단부(112b)를 관통하는 힌지축(115a), 상기 힌지축(115a)의 양측 단부에 90도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결합된 한 쌍의 걸림부(1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115)를 도 2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면 걸림부(115)가 하부프레임(135)에 걸림되어, 도어부(11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도어부(110)의 적어도 외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중앙의 개구부(136)의 일측에 구비된 제1측면프레임(133), 상기 개구부(136)의 타측에 상기 제1측면프레임(133)과 대칭되도록 구비된 제2측면프레임(134), 상기 제1측면프레임(133)과 제2측면프레임(13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프레임(1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110)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3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부(110)가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36)로부터 빠져나와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인 제1측면프레임(133)보다 더 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봉 지지부(131a,131b)의 측면에는 상기 스크류(164,174)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홈(132a,132b)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의 차단봉 지지부(131a)와 하부의 차단봉 지지부(131b)에는 제2차단봉(141)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2차단봉(141)은 제1차단봉(151)과 제1측면프레임(133)과의 사이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2개의 공간(S2,S3; 도 5)으로 분할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제1차단봉(151)과 제1측면프레임(133)과의 사이 공간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봉(151)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진 봉 형상으로서, 상기 제2차단봉(141)과 벽체(10) 사이의 공간을 2개의 공간(S1,S2; 도 5)으로 분할한다.
상기 지지편(161,171)은,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인 제1측면프레임(133)과 대향하는 일측 벽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 하부에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61,171)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면은 벽체(10)에 밀착되고, 타측면은 스크류(164,174)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164,174)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지편(161,171)에 각각 일측 단부가 결합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스크류(164,174)의 타측 단부는 상기 스크류삽입홈(132a)에 삽입된다.
상기 스크류(164,174)에는 상기 지지편(161,171)을 벽체(1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기 위해 회전되는 회전손잡이(163,173)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163,173)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크류(164,17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손잡이(163,173)와 스크류(164,174)는 나선결합된다.
상기 스크류(164,174)는 상기 제1차단봉(151)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관통한여, 상기 제1차단봉(151)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스크류(164,174)에 걸림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164,174)가 관통하는 제1차단봉(151)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스크류(164,174)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차단봉(151)을 상기 스크류(164,174)의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차단봉(151)의 상측 단부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의 스크류(16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62)와, 상기 제1차단봉(151)의 하측 단부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의 스크류(17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7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너트(162,17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차단봉(151)을 상기 스크류(164,174)에서 고정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부(100a)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나의 지지부(100b)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a)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부(100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편은 양측 벽체(10,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4개의 지지편(161,171; 181,19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4개의 지지편(161,171; 181,191)에 각각 결합되도록 4개의 스크류(164,174,184,194)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손잡이도 4개의 스크류(164,174,184,194)를 각각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4개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봉도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면과 양측 벽체(10,20)와의 사이의 공간을 각각 2개의 공간(S1,S2)으로 분할하기 위해 한 쌍의 제1차단봉(151,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차단봉(151,152)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너트는 8개의 고정너트(162,172,182,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단봉도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제2차단봉(141,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제2차단봉(141,142)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4개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131c,13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130)의 측면과 벽체(10,20) 사이의 공간을 애완동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제1차단봉(151,152)의 결합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고정된 위치의 제2차단봉(141,142)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제1차단봉(151,152)을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프레임(130)의 측면과 벽체(10,20) 사이의 공간(S1,S2,S3)을 매우 효율적으로 분할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애완동물을 기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안전 펜스(10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부(110)와 프레임(130)이 결합된 본체부(100a)가 준비되고, 상기 본체부(100a)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한 쌍의 지지부(100b)가 준비된다. 이하에서는 일측의 지지부(100b)가 설치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타측의 지지부(100b)가 설치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b)에는 제1차단봉(151), 한 쌍의 지지편(161,171), 한 쌍의 스크류(164,174),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4개의 고정너트(162,17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0b)를 본체부(100a)의 일측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164,174)의 일측 단부를 차단봉 지지부(131a,131b)의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부(100b)와 본체부(100a)를 결합한 다음 양측 벽체(10,20) 사이에 위치시킨다. 처음에 지지부(100b)와 본체부(100a)의 결합품을 양측 벽체(10,20) 사이에 위치시키면, 지지편(161,171)이 양측 벽체(10,2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회전손잡이(163,173)의 위치를 차단봉 지지부(131a,131b)의 일측면에 밀접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163,173)를 지지편(161,1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 스크류(164,174)와 지지편(161,171)이 벽체(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편(161,171)이 벽체(10)에 밀착된다. 이 경우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삽입되어 있던 스크류(164,174)의 단부는 그 삽입깊이가 가변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지지편(161,171)이 벽체(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손잡이(163,173)를 지지편(161,17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 회전손잡이(163,173)는 차단봉 지지부(131a,131b)의 일측면에 밀착된다. 이 경우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삽입되어 있던 스크류(164,174)의 단부는 그 삽입깊이가 가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펜스(100)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매우 손쉽게 펜스(10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쉽게 프레임(130)과 벽체(10,20) 사이의 공간(S1,S2,S3)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바닥(30)에 거의 밀착되도록 설치가 가능하므로, 애완동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전펜스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체부(100a)의 상단에 회전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200)는, 도어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회전축(220),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회전부재(210), 상기 회전축(220)을 상기 도어부(110)의 상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구멍(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관통구멍(211)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복수의 날개(210a)가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의 상측 단부는 상기 회전축(220)의 하부를 지지하고, 하측 단부는 상기 도어부(110)의 상단(112a)에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230)의 이웃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사이를 통해 상기 회전축(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 도어부(110)를 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양이가 회전부(200)를 넘는 경우에는 회전부재(210)를 발로 밟게 되는데, 이 경우 회전부재(210)가 고양이 발에 의해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고양이가 회전부(200)를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회전부재(210)는 도 7에 나타난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복수의 날개(210a)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회전부재(21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삼각형과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10, 20 : 벽체 30 : 바닥
100 : 안전 펜스 100a : 본체부
100b : 지지부 110 : 도어부
111 : 차단봉 112 : 도어프레임
113a,113b : 힌지부 115 : 걸림부재
115a : 힌지축 115b : 걸림부
120 : 잠금부 121a,121b : 누름부
122 : 돌출부 125 : 프레임잠금부
126 : 잠금돌기 130 : 프레임
131a,131b,131c,131d : 차단봉 지지부 132a,132b : 스크류 삽입홈
133 : 제1측면프레임 134 : 제2측면프레임
135 : 하부프레임 136 : 개구부
141,142 : 제2차단봉 151,152 : 제1차단봉
161,171,181,191 : 지지편 162,172,182,192 : 고정너트
163,173,183,193 : 회전손잡이 164,174,184,194 : 스크류
200 : 회전부 210 : 회전부재
220 : 회전축 230 : 지지부재

Claims (13)

  1. 출입대상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도어부(110);
    상기 도어부(110)가 그 내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도어부(1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프레임(130);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과 대향하는 일측 벽체(10,20)의 상하에 각각 밀착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편(161,171; 181,191);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 프레임(130)의 측면에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와 하부에 하나씩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 나선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과의 사이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
    을 포함하는 안전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걸림되어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과 상기 벽체(10,20) 사이의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설치되는 제1차단봉(151,152)을 더 포함하는 안전 펜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봉(151,152)을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걸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차단봉(151,152)의 상단과 하단 각각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의 스크류(164,18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62,182)와, 상기 하부의 스크류(174,194)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172,1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162,172,182,19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차단봉(151,152)가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에서 고정되는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0)의 일측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보다 더 돌출된 한 쌍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 131c,131d)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차단봉 지지부(131a,131b; 131c,131d)에 일측과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 사이의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분할하는 제2차단봉(141,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61,171; 181,191)은, 양측 벽체(10,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는, 상기 4개의 지지편(161,171; 181,191)에 각각 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는, 상기 4개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각각 나선결합되도록 4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차단봉(151,152)은, 상기 프레임(130)의 양측면과 상기 양측 벽체(10,20)와의 사이 공간을 각각 분할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홈(132a,132b)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손잡이(163,173; 183,193)와 지지편(161,171; 181,19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의 일측 단부가 상기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110)와 프레임(130)이 결합된 본체부(100a);
    상기 한 쌍의 지지편(161,171; 181,191)이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가 상기 제1차단봉(151,152)의 일측과 타측 단부를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손잡이(163,173; 183,193)가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스크류(164,174; 184,194)에 각각 관통하도록 결합된 지지부(100b);
    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는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30)의 측면에 형성된 스크류삽입홈(132a,132b)에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a)와 지지부(100b)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봉(151,152)은 상기 스크류(164,174; 184,194) 상에서 고정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제1차단봉(151,152)과 상기 프레임(130) 사이의 공간을 분할하는 제2차단봉(141,142)은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110)의 상부에는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도어부(110)의 상단에 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10)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10)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10)는 상기 회전축(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한 쌍의 회전부재(210) 사이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30)가 상기 회전축(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펜스
KR2020170006407U 2017-12-12 2017-12-12 안전 펜스 KR201900015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07U KR20190001508U (ko) 2017-12-12 2017-12-12 안전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07U KR20190001508U (ko) 2017-12-12 2017-12-12 안전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08U true KR20190001508U (ko) 2019-06-20

Family

ID=6700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07U KR20190001508U (ko) 2017-12-12 2017-12-12 안전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50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210A (ko) * 2018-12-24 2020-07-02 권주석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20210118511A (ko) 2020-03-23 2021-10-01 (주)다정하이테크 안전 울타리 출입문의 힌지장치
KR20220000227A (ko) * 2020-06-25 2022-01-03 김정모 보호펜스 및 보호펜스 부착용 회전식 부착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210A (ko) * 2018-12-24 2020-07-02 권주석 창틀 결합식 캣타워
KR20210118511A (ko) 2020-03-23 2021-10-01 (주)다정하이테크 안전 울타리 출입문의 힌지장치
KR20220000227A (ko) * 2020-06-25 2022-01-03 김정모 보호펜스 및 보호펜스 부착용 회전식 부착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1508U (ko) 안전 펜스
US4359790A (en) Suction outlet assembly for whirlpool baths and the like
US5411438A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
US20120055410A1 (en) Squirrel resistant hopper type bird feeder
US10568296B2 (en) Pen front
US20100139570A1 (en) Pet excluding pet feeder
US20170362894A1 (en) Adjustable gat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6893007B2 (en) Safety fence
US20070193702A1 (en) Apparatus for moving air shutter slats up and down
KR101651866B1 (ko) 월담 방지구를 갖는 애완동물용 울타리
EP1167658A2 (en) Enclosure particularly for intrusion prevention
KR200490021Y1 (ko) 디퓨져의 확산팬 날개 고정장치
KR101985626B1 (ko) 안전문
KR20090003982U (ko) 환기창 셔터 개폐장치
GB2563317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GB2142070A (en) Lockable pet door
GB2563320B (en) Improvements relating to animal enclosures
KR960003974Y1 (ko) 엘리베터 개구부 안전망
US20060124073A1 (en) Versatile dog house
US20160338317A1 (en) Animal's cage having reciprocating door
KR102249468B1 (ko) 도어용 록 장치
KR101645094B1 (ko) 펜스형 차단봉
KR101459075B1 (ko) 방충망 일체형 루버창 시스템
KR20100001658U (ko) 여닫이문 잠금장치
KR2019000219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지대를 이용한 가축 사육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