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441Y1 -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 Google Patents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441Y1
KR200484441Y1 KR2020150002722U KR20150002722U KR200484441Y1 KR 200484441 Y1 KR200484441 Y1 KR 200484441Y1 KR 2020150002722 U KR2020150002722 U KR 2020150002722U KR 20150002722 U KR20150002722 U KR 20150002722U KR 200484441 Y1 KR200484441 Y1 KR 200484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 type
height
n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24U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2020150002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4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8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 양측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되되, 상단에는 감속롤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높이조절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기 후크와 접촉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접지부를 적어도 2개 이상 가지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감속롤러의 높이 변화에 따른 마찰력의 조절을 통해 네트의 개방 속도를 다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Speed reduction apparatus for roll type insect net}
본 고안은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네트의 개방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등의 출입문과 창문에는 모기, 파리와 같은 해충을 차단하기 위한 방충망이 설치된다. 방충망은 조밀한 격자 구조의 네트를 이용하여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데, 최근에는 네트를 롤 타입으로 구성하여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방충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10)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12)과, 수직프레임(11)(1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3)(14)과, 수평프레임(13)(14) 사이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봉(15)과, 권취봉(15)의 일측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수평프레임(13)(14) 사이에 설치되는 손잡이바(16)와, 수직프레임(11), 권취봉(15), 손잡이바(16)에 일단부, 중간부, 타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네트(17) 및 손잡이바(16)에 설치되는 손잡이(18)를 포함한다.
이 경우, 권취봉(15)의 내부에는 네트(17)의 개방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도면 미도시)가 설치된다. 감속기는 내부에 충진되는 점성오일을 이용하여 권취봉(15)의 회전시 원심력에 따른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권취봉(15)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켜 네트(17)가 천천히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감속기를 이용하면 네트(17)가 급작스럽게 개방됨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감속기의 경우 방충망 제조업체에 의해 제공된 감속기의 감속률을 변화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네트(17)의 개방 속도는 사용자의 기호나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감속기의 경우 감속률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감속기는 다수의 기어를 정밀하게 조립하고, 점성오일을 충진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품 단가가 높은 문제점도 있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특허 제10-0909039호, 실용신안 제20-046027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의 기호나 필요에 따라 네트의 개방 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상단 양측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되되, 상단에는 감속롤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높이조절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기 후크와 접촉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접지부를 적어도 2개 이상 가지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구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구는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지지구와, 다양한 길이의 접지부를 갖는 높이조절구를 체결하여 감속롤러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함으로써 감속롤러와 수평프레임 사이의 마찰력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네트의 개방 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결합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를 구성하는 높이조절구의 회전에 따른 수직 선분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측면 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결합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를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100)는 몸체(110)와, 지지구(120)와, 스프링(130)과, 높이조절구(140) 및 레버(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하단에 결합되는 권취봉을 네트의 개폐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의 상단 양측에는 이송롤러(111)가 형성되고, 이러한 이송롤러(111)가 수평프레임(13)의 가이드레일(13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거치된다. 이 경우, 이송롤러(111)의 개수는 권취봉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인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구(120)는 후술하는 스프링(130)과 높이조절구(140)를 이용하여 감속롤러(1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몸체(110)의 중앙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구(120)의 상단에는 감속롤러(121)가 결합되고, 하단에는 후크(122)가 형성된다.
스프링(130)은 지지구(12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구(120)와 몸체(110)의 단턱부(112) 사이에 설치된다.
높이조절구(140)는 감속롤러(121)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형성되되, 스프링(130)의 탄성으로 지지구(120)가 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후크(122)와 체결된다.
본 고안에서 높이조절구(140)는 회전을 통해 감속롤러(121)의 높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후크(122)와 접촉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접지부를 적어도 2개 이상 가지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를 구성하는 높이조절구의 회전에 따른 수직 선분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높이조절구(140)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다른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높이조절구(140)의 장변을 포함하는 면이 후크(122)와 접지될 경우 단변이 수직하게 배열되어 스프링(130)이 상대적으로 팽창함으로써 감속롤러(121)의 높이가 높아지고, 반대로 높이조절구(140)의 단변을 포함하는 부분이 후크(122)와 접지될 경우에는 장변이 수직하게 배열되어 스프링(130)이 상대적으로 압축됨으로써 감속롤러(121)의 높이가 낮아진다.
다만, 본 고안에서 높이조절구(140)의 단면 구조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다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사각형 형태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감속롤러(121)의 높낮이는 3단 이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높이조절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높이조절구(140)가 90도 회전될 때마다 수직하게 배열되는 변의 높이가 달라져 높이조절구(140)의 상하 위치를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레버(150)는 높이조절구(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이조절구(140)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몸체(110)의 하부에 권취봉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송롤러(111)를 수평프레임(13)의 가이드레일(13a)에 거치한다. 이후, 레버(15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구(140)가 회전하고, 회전된 높이조절구(140)의 수직 길이에 따라 스프링(130)이 압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지지구(120)가 수직 이동하여 감속롤러(121)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감속롤러(121)의 높이가 높아지면 수평프레임(13)에 강하게 압착되어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네트의 개방 속도가 느려지고, 반대로 감속롤러(121)의 높이가 낮아지면 수평프레임(13)에 약하게 압착되거나 압착 상태가 해제되어 네트의 개방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150)의 회전 동작을 통해 네트의 개방 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3 : 수평프레임 13a : 가이드레일
100 :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110 : 몸체
111 : 이송롤러 112 : 단턱부
120 : 지지구 121 : 감속롤러
122 : 후크 130 : 스프링
140 : 높이조절구 150 : 레버

Claims (3)

  1. 단 양측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수직하게 관통되되, 상단에는 감속롤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구와 상기 몸체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의한 상기 지지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와 체결되는 높이조절구; 및
    상기 높이조절구에 결합되는 레버;
    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구는 상기 후크와 접촉되는 직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가지고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된 구조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2. 삭제
  3. 삭제
KR2020150002722U 2015-04-27 2015-04-27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KR200484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22U KR200484441Y1 (ko) 2015-04-27 2015-04-27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722U KR200484441Y1 (ko) 2015-04-27 2015-04-27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24U KR20160003824U (ko) 2016-11-04
KR200484441Y1 true KR200484441Y1 (ko) 2017-09-06

Family

ID=5748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722U KR200484441Y1 (ko) 2015-04-27 2015-04-27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257B1 (ko) * 2021-04-24 2024-01-16 (주)다우솔루션 방충망결합이동롤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945B1 (ko) * 2012-10-25 2014-02-03 정장훈 완충기능을 구비한 방충망의 현수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241Y2 (ja) * 1980-05-23 1983-04-20 健治 田辺 戸車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945B1 (ko) * 2012-10-25 2014-02-03 정장훈 완충기능을 구비한 방충망의 현수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24U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1437B (zh) 用于调节双层织物帘的织物角度的装置
US20080283200A1 (en) Clutch for insulated glass window covering
ITBO20110614A1 (it) Zanzariera mobile, particolarmente per finestre, porte e simili.
KR200477536Y1 (ko) 상하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200484441Y1 (ko) 롤 타입 방충망용 감속기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DK3146135T3 (en) SYSTEM TO CLOSE A CABINET OR LIKE THE HOUSE IN A TERMINO PANEL OR IN A DOUBLE THREAD, PROVIDED BY ORGANS TO PREVENT A MOVEMENT OF THE PERSON WHILE TRANSPORTING OR INSTALLING THE SYSTEM
AU2014400543B2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JP6473313B2 (ja) 遮蔽装置
KR20120008562U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US1750285A (en) Awning
GB2491435A (en) Cord controller of window covering
JP6719974B2 (ja) 横型ブラインド
AU2006230756B2 (en) On-failure blind stopper system
JP6463609B2 (ja) 横型ブラインド装置の駆動装置
US703378A (en) Window-shade hanger.
EP3470612A1 (en) Rolling shutter device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EP1508664A1 (de) Verfahren zum unabhängigen Einstellen der Neigung der Lamellen zweier einen Behang bildender Lamellengruppen und Lamellenstor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6235236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US1190778A (en) Window-shade adjuster.
JP6937881B1 (ja) スラットの角度が容易に調整できるブラインド
US362524A (en) Martin geoeg mitter
JP2011169086A (ja) ブラインド
AU2020270718A1 (en) Operating unit for shi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