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068Y1 -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 Google Patents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068Y1
KR200480068Y1 KR2020150007893U KR20150007893U KR200480068Y1 KR 200480068 Y1 KR200480068 Y1 KR 200480068Y1 KR 2020150007893 U KR2020150007893 U KR 2020150007893U KR 20150007893 U KR20150007893 U KR 20150007893U KR 200480068 Y1 KR200480068 Y1 KR 20048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ail
folding door
moving means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기준
Original Assignee
염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기준 filed Critical 염기준
Priority to KR2020150007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 도어에 사용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와 하부에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여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롤러가 기울어지도록 경사각을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레일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우수하게 개선한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도어 틀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도어 틀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각각 삽입되고,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폴딩도어가 체결되며,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되면 상기 폴딩도어가 접히도록 하는 경첩;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평 롤러부; 및 상기 몸체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직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롤러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1 롤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3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바닥면에서 2 내지 5mm 범위 내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FOLDING DOOR MOVING UNIT DEVICE}
본 고안은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 도어에 사용되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형태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와 하부에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여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롤러가 기울어지도록 경사각을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레일에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우수하게 개선한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는 병풍과 같은 구조로 복수 개의 도어가 연결되어 접혀지고 펼쳐지면서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폴딩도어는 개별도어가 접혀지고 펼쳐지도록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에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에 롤러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어진다.
이러한 폴딩도어의 레일은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각각 별도의 구조를 갖도록 성형하고 상부레일은 상부에 설치하고, 하부레일은 하부에 설치하였다.
이때, 상부 및 하부 레일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롤러도 각각 설치하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이 느리고 시공 설치가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상부 및 하부 레일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비싸고 호환성이 저하되어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레일에 결합되는 롤러의 경우 전후의 롤러가 바닥에 밀착되어 작은 이물질이 레일에 들어가는 경우, 롤러의 구동이 둔해지거나 정지하여 폴딩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폴딩도어는 현장의 설치시 천장과 바닥 사이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어서 설치해야 했고, 높이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어틀을 다시 제작하거나 폴딩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설치작업이 어려웠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특허 제10-1552857호(2015년 09월 08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1525361호(2015년 05월 27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1485763호(2015년 01월 19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7307호(2015년 05월 21일 등록)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 레일을 동일한 형태의 레일을 사용함과 동시에 동일한 구조의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 하부 레일을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환성이 우수한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레일에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경우에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하 뒤집어서 사용 가능하도록 기울어진 롤러를 구비하여 폴딩도어의 열고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롤러의 몸체에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여 롤러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레일의 이동시 구름이 원활하고 상부 및 하부 레일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도어 틀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도어 틀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각각 삽입되고,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폴딩도어가 체결되며,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되면 상기 폴딩도어가 접히도록 하는 경첩;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평 롤러부; 및 상기 몸체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직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롤러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1 롤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3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바닥면에서 2 내지 5mm 범위 내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면의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몸체의 중앙 수평면을 기준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수직 롤러부가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축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측벽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 롤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롤러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떨어진 이물질이 임시 보관되도록 하는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폴딩도어 시공시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을 동일한 형상으로 사용하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이 빠르고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상부 및 하부레일을 동일한 하나의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재고가 남지 않고 모두 소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후관리 및 유지보수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롤러의 결합시 정역으로 뒤집어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물질에 의한 제동이 걸리지 않으므로 동작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에서 이동수단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는 상부레일(100), 하부레일(200), 이동수단(300) 및 경첩(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레일(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도어 틀의 상부에 볼트 등으로 설치 고정되며, 폴딩도어(10)의 상단에 체결 고정된 이동수단(300)이 삽입되어 폴딩도어(1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레일(100)은 도어 틀에 하부레일(200)과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하부레일(200)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부레일(200)을 설명하나, 설명되지 아니한 상부레일(10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부레일(200)은 상부레일(10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도어 틀의 하부에 볼트 등으로 설치 고정되며, 폴딩도어(1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된 이동수단(300)이 삽입되어 폴딩도어(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이동수단(30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하부레일(200)은 제1 지지부(210), 제2 지지부(220), 측벽(230) 및 공간부(240)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10)는 측벽(2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10)는 절개된 양단에는 이동수단(300)에 형성된 수평 롤러부(320)의 외측면을 지지하고, 이동수단(300)이 이동시 수평 롤러부(320)가 마찰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10)는 상부레일(100)이 도어 틀의 상부에 체결 고정될 때, 하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고, 상부레일(100)에 삽입된 이동수단(3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하부레일(200)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수단(300)이 삽입되면, 이동수단(300)에 형성된 수평 롤러부(320)는 제1 지지부(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고, 이동수단(300)에 형성된 수직 롤러부(330)는 제1 지지부(210)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외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지지부(210)는 측벽을 기준으로 내측 상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울어진 각도(A)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 양측부의 경사면은 각각 5°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220)는 제1 지지부의 반대측인 측벽(2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동수단(300)에 형성된 수직 롤러부(330)가 안착되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20)는 제1 지지부(210)와 동일한 방향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양측부가 각각 5°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2 지지부(220)를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하부레일(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등이 경사면을 따라 공간부(240)로 이동되도록할 수 있고, 특히, 하부레일(200)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이동수단(3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수단(300)이 쉽고 편리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부레일(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수직 롤러부(330)에 부딪치게 되면 이물질은 제2 지지부(220)의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되어 공간부(240)에 임시보관되게 한다. 여기서 공간부(240)는 제2 지지부(220)의 중간 일부가 하부로 굴곡지게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은 상부레일(100) 및 하부레일(200)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삽입되고, 폴딩도어(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 고정되며, 폴딩도어(1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부레일(100) 및 하부레일(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은 몸체(310), 수평 롤러부(320) 및 수직 롤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및 전후방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정 축(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0)는 전방 및 후방면의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3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사면(312)의 각도(B)는 몸체(310)의 중앙 수평면을 기준으로 양측부가 각각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5°각도롤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310)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수직 롤러부(330)가 제1 지지부(210)에 안착 되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제1 지지부(210)의 바닥면에 수직 롤러부(330)와 직교방향으로 안착 되게 한다.
상기 몸체(31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310)의 양측면부에는 수직 롤러부(330)가 고정 설치되는바, 상기 수직 롤러부(330)는 상방향으로 좁아지고 하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부레일(100)에 삽입된 몸체(310)는 하부레일(200)에 삽입된 몸체(310)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대향되게 삽입될 수 있다.
수평 롤러부(320)는 몸체(31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되고, 고정 축(3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수평 롤러부(320)는 하부레일(200)에 형성된 제1 지지부(210)에 위치하고, 제1 지지부(210)의 끝단과 마찰에 의해 회전되며, 외부충격에 의해 몸체(3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폴딩도어(10)에 외력이 가해지면 몸체(310)가 하부레일(20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때, 폴딩도어(10)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몸체(310)는 하부레일(200) 내부에서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폴딩도어(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수평 롤러부(320)는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롤러부(330)는 몸체(31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몸체(310)와 하부레일(200)에 형성된 제2 지지부(220)와 마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직 롤러부(330)는 몸체(31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된 제1 롤러(331)와, 몸체(31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된 제2 롤러(332)와, 제1 롤러(331)와 제2 롤러(332) 사이인 몸체(310)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 축(311)에 삽입된 제3 롤러(333)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331) 및 제2 롤러(332)는 제2 지지부(220)의 바닥면에서 2 내지 5mm 범위 내에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롤러(333)가 삽입되는 고정 축(3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제1 롤러(331) 및 제2 롤러(332)가 삽입되는 고정 축(311)의 중심축이 2 내지 5mm 범위 내에서 위치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 제1 롤러(331) 및 제2 롤러(332)의 이격 거리는 4mm 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1 롤러(331) 및 제2 롤러(332)를 제2 지지부(22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폴딩도어(10)를 잡은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하부레일(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등에 의해 제1 롤러(331) 또는 제2 롤러(332)에 끼어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부레일(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2 지지부(220)의 바닥면에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폴딩도어(1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지지부(22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1 롤러(331) 또는 제2 롤러(332)가 이물질을 타고 넘어가면서 이물질에 충격을 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제2 지지부(220)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레일(200)의 하부 중간에 형성된 공간부(240)로 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 롤러(331) 또는 제2 롤러(332)가 이물질을 타고 넘어갈 때 폴딩도어(10)가 덜컹거리는데, 이때, 사용자는 하부레일(200)에 이물질이 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첩(400)은 몸체(310)의 상부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폴딩도어(10)의 일측에 고정되며, 폴딩도어(10)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사용자가 폴딩도어(10)은 잡은 상태에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부레일(100) 및 하부레일(200)에 삽입된 이동수단(300)이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폴딩도어(10)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폴딩도어 100; 상부레일
200; 하부레일 210; 제1 지지부
220; 제2 지지부 230; 측벽
240; 공간부 300; 이동수단
310; 몸체 311; 고정 축
312; 경사면 320; 수평 롤러부
330; 수직 롤러부 331; 제1 롤러
332; 제2 롤러 333; 제3 롤러
400; 경첩

Claims (4)

  1. 도어 틀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도어 틀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각각 삽입되고,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폴딩도어가 체결되며,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되면 상기 폴딩도어가 접히도록 하는 경첩;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평 롤러부; 및
    상기 몸체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직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롤러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1 롤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3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태의 육면체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면의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의 각도는 상기 몸체의 중앙 수평면을 기준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수직 롤러부가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2. 도어 틀의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도어 틀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는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에 각각 삽입되고,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고, 폴딩도어가 체결되며, 상기 이동수단이 이동되면 상기 폴딩도어가 접히도록 하는 경첩;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평 롤러부; 및
    상기 몸체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고정 축에 삽입되고,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수직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롤러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1 롤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 제3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레일은,
    중간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측벽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 롤러부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직 롤러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 상에 떨어진 이물질이 임시 보관되도록 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는, 상기 하부레일의 바닥면에서 2 내지 5mm 범위 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기울어진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4° 내지 6° 범위에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KR2020150007893U 2015-12-02 2015-12-02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KR20048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93U KR200480068Y1 (ko) 2015-12-02 2015-12-02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93U KR200480068Y1 (ko) 2015-12-02 2015-12-02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68Y1 true KR200480068Y1 (ko) 2016-04-08

Family

ID=5579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93U KR200480068Y1 (ko) 2015-12-02 2015-12-02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6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6009A (ja) * 2003-09-20 2007-03-15 エドゥシャ カブリオ−ダッハ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ライドドアー用ガイド機構
KR101485763B1 (ko) * 2014-02-24 2015-01-26 홍성주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6009A (ja) * 2003-09-20 2007-03-15 エドゥシャ カブリオ−ダッハ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スライドドアー用ガイド機構
KR101485763B1 (ko) * 2014-02-24 2015-01-26 홍성주 폴딩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62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KR101866539B1 (ko) 2016-11-02 2018-06-11 주식회사 더존시스템 폴딩도어 프레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9945A2 (en) Display device
CN113090149A (zh) 铰链结构和折叠式电子设备
US11820549B2 (en) Foldable container
KR101125490B1 (ko) 경첩 및 도어
KR101834971B1 (ko) 외관이 깨끗하며, 안정되고 원활한 폴딩기능을 갖는 폴딩도어 시스템
JP2008538946A (ja) 製品の保管および/または展示を行うガラス製のショーケース
JP2009503296A (ja) 自動回転ドアのウイング自動折りたたみシステム
KR20048006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JP2008002061A (ja) 移動式間仕切装置
JP2018193718A (ja) 折引戸
KR20180025726A (ko)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US20120031005A1 (en) Suspended pulley structure for movable and folding doors
KR101153687B1 (ko)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KR200399555Y1 (ko) 도어의 열림각도 제어장치
JP5652632B1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KR102110546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케이스
KR20190123525A (ko) 슬라이딩식 칸막이 구조체
JP3222315U (ja) 雨戸
KR101695964B1 (ko) 수납식 책꽂이
KR200204061Y1 (ko) 조립식 주택
KR20180067280A (ko) 3면 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102056327B1 (ko) 다단식 개폐도어
KR101439443B1 (ko) 차량용 컵 홀더
KR102038988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가진 내진모듈이 구비되는 모듈형 컨테이너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