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54B1 -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54B1
KR101392054B1 KR1020127000458A KR20127000458A KR101392054B1 KR 101392054 B1 KR101392054 B1 KR 101392054B1 KR 1020127000458 A KR1020127000458 A KR 1020127000458A KR 20127000458 A KR20127000458 A KR 20127000458A KR 101392054 B1 KR101392054 B1 KR 10139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raking
mounting portion
iron cor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949A (ko
Inventor
도모카즈 호시노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1)는 회전 가능한 드럼(5)을 수납함과 아울러,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개방부(7a)를 구비한 하우징(7)과, 개방부(7a)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암(11)과, 암(11)의 타단을 개방부(7a)의 타단에 체결, 개방 가능한 볼트(13)와, 암(11)과 체결상태에서, 암(11)의 타단과 개방부(7a)의 타단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15)와, 암(11)에 마련됨과 아울러, 드럼(5)을 가압접촉하는 제동부(50)와, 암(11)에 마련됨과 아울러, 드럼(5)의 외주면에 대해서 가압접촉, 이간하는 제동 구동부(30)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BRAKING DEVICE FOR ELEVATOR HOIS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구동하는 권상기에 구비된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내확직동식(內擴直動式, internal expansion direct-acting) 전자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본 제동장치는 드럼의 내측에 고정철심과 가동철심이 마련되고, 가동철심에는 2개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브레이크슈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부재가 가동철심의 나사구멍에 나사의 진퇴를 조정 가능하게 나착(螺着)되어, 락너트(lock nut)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제동장치는 브레이크슈의 마찰부재를 드럼 내주면에 가압접촉, 이간(離間)하여 드럼을 제동,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마찰부재와 드럼의 이간시의 틈새조정은 연결부재의 가동철심으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조정하여 행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2-284486호 공보(제6페이지, 제2도)
그렇지만, 상기 제동장치는 정기점검에서의 상기 틈새조정에서는, 보수원이 제동장치의 마찰부재와 드럼과의 틈새를 측정한 후, 규정값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규정값에 들어가도록 연결부재의 락너트를 느슨하게 한 후, 각 연결부재를 나사진퇴하여, 연결부재가 가동철심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길이를 조정한다. 이 때, 상기 틈새가 대략 균등하게 되도록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틈새조정은 번잡하고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마찰부재와 드럼과의 틈새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드럼을 수납함과 아울러,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개방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을 상기 개방부의 타단에 체결, 개방 가능한 체결개방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체결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개방부의 타단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드럼을 가압접촉하는 제동부와,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서 가압접촉, 이간하는 제동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에 체결하고 있는 체결개방부재를 떼어 회동부재를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제동부와 드럼과의 틈새를 소망의 값으로 하기 위해, 이 틈새를 조정수단에 의해서 조정한 후, 회동부재를 하우징에 체결개방부재에 의해서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이 틈새의 거리를 간이하게 길게 하거나, 짧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제동부에는 표면에 마찰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드럼에 가압접촉시에,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드럼에 균일하게 되도록 가압접촉하는 가압접촉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서는, 마찰부재는 가압접촉보정수단에 의해, 제동시에 드럼의 전체 면에 걸쳐서 긴밀하게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의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회전 가능한 드럼과,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제동부와, 제동부를 드럼의 외주면에 가압함과 아울러, 제동부를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구동부와, 구동부가 마련된 회동부재와, 회동부재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아울러, 드럼 주위에 마련된 제1 장착부와,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체결, 해방 가능하게 장착함과 아울러, 드럼 주위에 마련된 제2 장착부와,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제2 장착부에 체결한 상태에서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제2 장착부와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회동부재의 일단부가 제1 장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회동부재를 회동함으로써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제2 장착부와의 거리가 변화하고, 이 거리의 값에 근거하여 제동부와 드럼과의 이간상태에서 제동부와 드럼과의 틈새값이 변화한다.
이 때문에,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제2 장착부와의 거리의 값을 거리조정수단에 의해서 조정함으로써, 제동부가 드럼과 이간상태에서의 틈새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제1 장착부는 구멍을 가지고, 회동부재는 일단부에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장착부의 구멍과 회동부재의 일단부의 구멍에 삽입통과된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체결을 해제하여 회동부재를 제2 장착부로부터 해방시키면, 회동부재가 제1 장착부의 축부재를 지점(支点)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회동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제1 장착부의 구멍과 회동부재의 일단부의 구멍 중 어느 한쪽이 나사구멍이며, 축부재는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서는, 나사맞춤된 축부재로 회동부재의 일단부가 제1 장착부에 고정되고, 회동부재의 타단부가 제2 장착부에 체결된다. 또, 나사맞춤된 축부재를 조금 느슨하게 한 다음,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체결을 해방하면, 회동부재는 축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의 양단부가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동부를 드럼의 외주면에 가압하기 쉽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보수시에는, 축부재의 나사맞춤을 느슨하게 하거나 체결하거나 함으로써, 회동부재를 회동하거나 고정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회동부재의 회동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거리조정수단은 두께를 가지는 거리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제2 장착부에 거리조정부재를 통하여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제2 장착부와 회동부재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두께를 가지는 거리조정부재를 사이에 끼워 체결하면, 거리조정부재의 두께값에 따라 제동부와 드럼이 이간상태에서의 제동부와 드럼의 틈새값이 정해진다. 따라서, 거리조정부재의 두께값을 조정함으로써, 제동부가 드럼과 이간상태일 때의 틈새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는, 거리조정부재는 2개 가지고, 각각 두께값이 차이가 있으며, 드럼의 회전축심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제2 장착부와 회동부재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두께값이 다른 2개의 거리조정부재를 드럼의 회전축심방향으로 나란히 사이에 끼우면, 제동부와 드럼이 이간상태에서의 드럼의 회전축심방향의 제동부와 드럼의 틈새값을 대략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거리조정수단은, 회동부재의 타단부에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제2 장착부에는 나사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구멍에 삽입통과하여, 제2 장착부의 나사구멍으로 진퇴 가능하게 나사맞춤된 볼트와, 볼트에 나사맞춤됨과 아울러,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제2 장착부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1 너트와, 볼트에 나사맞춤됨과 아울러, 볼트를 제2 장착부에 고정하는 제2 너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서는,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구멍에 삽입통과한 볼트를 제2 장착부의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한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여,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제2 장착부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하면, 그 거리의 값에 따라 제동부와 드럼이 이간상태에서의 제동부와 드럼의 틈새의 값이 변화한다. 그 후, 제1 너트로 회동부재를 볼트에 고정함과 아울러, 제2 너트로 제2 장착부에 볼트를 고정함으로써, 틈새값을 고정한다. 따라서, 볼트를 체결하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여, 제동부와 드럼이 이간상태일 때의 제동부와 드럼의 틈새값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틈새값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는,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제2 장착부에 장착하고 있는 체결을 해방한 상태에서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서는,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제2 장착부에 장착하고 있는 체결을 해방했을 경우라도 회동방지수단에 의해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구동부는, 회동부재에 마련된 제1 탄성부재와, 회동부재에 마련된 전자코일과, 전자코일이 비여자일 때에는, 제동부를 제1 탄성부재에 의해 밀어붙여 드럼의 외주면에 가압하고, 전자코일이 여자일 때에는, 제동부를 제1 탄성부재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가동철심과,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안내수단은 회동부재에 고정된 제1 부재와, 제1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제1 부재보다도 탄성변형하기 쉬운 제2 부재를 가지고 있고, 가동철심이 제2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철심은 회동부재에 고정된 제1 부재의 주위에 마련된 탄성변형하기 쉬운 제2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가동철심은 유연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으므로, 제1 부재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안내수단은, 제1 부재는 봉 형상이고, 드럼의 대향면이 되는 회동부재에 고정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링 모양의 제1 홈을 가지고 있으며, 제2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이고, 제1 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가동철심에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가동철심이 이동할 때에 오목부의 내주면과 제1 링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철심은 회동부재에 고정된 제1 부재의 제1 홈에 끼워진 탄성상태로 링 형상의 제2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부재의 축심과 가동철심의 오목부의 축심이 제작오차에 의해, 어긋나 있어도, 가동철심은 유연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으므로, 제1 부재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안내수단은, 제1 부재는 봉 형상이고, 회동부재의 드럼 대향면에 가상의 사각형을 상정하여, 회동부재의 가상의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4개 마련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링 모양의 제2 홈을 가지고 있으며, 제2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이고, 제2 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가동철심의 네 모서리에는 제2 부재의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원호모양의 제3 홈이 마련되어 있고, 가동철심이 이동할 때에 제3 홈과 제2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철심은 회동부재에 고정된 제1 부재의 제2 홈에 끼워진 탄성상태로 링 형상의 제2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부재의 축심과 가동철심의 제3 홈의 축심이 제작오차에 의해, 어긋나 있어도, 가동철심은 유연하게 자세를 바꿀 수 있으므로, 제1 부재에 걸리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제동부는, 드럼의 외주면에 대향해서 마련된 마찰부재를 구비하고, 마찰부재의 제동면을 드럼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부재의 제동면과 드럼의 외주면의 틈새를 균일하게 하도록 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보정수단은 마찰부재를 드럼에 가압했을 때에, 마찰부재의 제동면을 드럼의 외주면에 대략 균일하게 가압하므로,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마찰부재를 드럼으로부터 이간했을 때에, 마찰부재의 제동면과 드럼의 외주면의 틈새값이 대략 균일하게 되므로, 틈새값을 규정범위 내로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서의 보정수단은, 구대부(球帶部, spherical band portion)와 기둥부를 가지고 기둥부가 가동철심에 맞닿는 구대좌(球帶座, spherical band seat)와, 구대부와 맞물리는 오목 구관부(球冠部, spherical crown portion)를 가지는 구관좌(球冠座, spherical crown seat)와, 오목 구관좌에 맞닿고, 마찰부재가 고정된 판부재와, 기부(基部)와 연통한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부가 가동철심에 고정되고, 이 선단부가 판부재를 가압하여 판부재를 가동철심 측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제2 탄성부재의 선단부가 판부재를 가압하는 위치는 드럼의 회전축심과 구대좌의 구대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가상평면이 판부재의 드럼 대향면과 교차하여 생기는 가상선 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동장치에 의하면, 마찰부재가 드럼에 가압되면, 구대좌와 구관좌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남과 아울러, 제2 탄성부재가 변형하여 드럼의 외주면에 대향하고 있는 마찰부재와 판부재의 방향이 바뀌고, 마찰부재의 제동면은 드럼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되어, 균일하게 가압한다.
또, 제2 탄성부재는 판부재를 가동철심 측으로 가압하고 있지만, 판부재를 가압하고 있는 위치는 판부재가 구대좌에 지지된 부분의 근방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제2 탄성부재가 판부재의 자세를 바꾸는 힘은 작다. 이 때문에, 마찰부재가 드럼으로부터 이간되어도, 판부재는 가압상태와 대략 동일한 자세 그대로 드럼으로부터 이간되므로, 마찰부재와 드럼의 틈새값은 대략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시는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마찰부재가 드럼으로부터 이간했을 때에, 틈새값이 대략 균일하게 되므로, 틈새값을 규정범위 내로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찰부재와 드럼과의 틈새의 조정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동장치의 암을 개방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III-III에서 브레이크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IV-IV에서 브레이크 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암을 회동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며, 드럼을 해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며, 드럼을 제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V에서 틈새값 조정을 위해서 스페이서를 1개소에 사이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틈새값 조정을 위해서 스페이서를 2개소에 나란히 사이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나타내는 화살표 VII에서 회동부재, 구동부, 제동부,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회동부재, 구동부, 제동부,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VI-VI에서 회동부재, 구동부, 제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탄성클립이 슈를 가압하는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거리조정을 위해서 쐐기모양의 스페이서를 사이에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거리조정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전체 구성도에서 암을 회동한 도면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의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동장치의 암을 개방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III-III에서 브레이크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IV-IV에서 브레이크 제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1)는 드럼(5)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의 로터에 연결 고정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한 드럼(5)과, 드럼(5)을 수납함과 아울러 양측면이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개방부(7a)를 구비한 하우징(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동장치(1)는 회동부재로서의 암(11)과, 암(11)에 마련됨과 아울러, 마찰부재(69)를 드럼(5)의 외주면에 대해서 가압접촉, 이간(離間)하는 제동 구동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암(11)은 하우징(7)의 개방부(7a)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핀(9)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하우징(7)의 개방부(7a)의 타단에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으로서의 스페이서(15)를 통하여 체결개방부재로서의 볼트(13)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정수단으로서는 스페이서(15)를 없애고, 암(11)의 타단에 마련한 나사구멍에 잭 볼트를 장착해도 된다.
또한, 암(11), 스페이서(15), 볼트(13), 핀(9), 제동 구동부(30)는 각각 좌우에 한 개씩 가지고 있다.
즉, 스페이서(15)의 두께값에 따라 마찰부재(69)와 드럼(5)과의 틈새값이 변화함과 아울러, 암(11)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핀(9)으로부터 볼트(13) 체결부까지의 거리(X)보다도 핀(9)으로부터 암(11)의 길이방향의 중심까지의 거리(Y)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5)의 두께(a)의 변화량을 델타a로 하고, 틈새(b)의 변화량을 델타b로 하면,
델타b = 델타a·(Y/X)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Y < X이기 때문에, 델타b < 델타a의 관계가 된다. 이 때문에, 제동장치(1)는 스페이서(15)의 두께(a)에 의해서 틈새(b)를 미량(微量) 조정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제동 구동부(30)는 암(11)에 마련됨과 아울러, 드럼(5)을 제동하는 제동부(50)와, 제동부(50)를 병진(竝進) 이동함과 아울러, 제동부(50)의 일단면을 드럼(5)의 외주면에 가압접촉, 이간시키는 가동철심(72)을 가지는 구동부(70)를 가지고 있다.
제동부(50)는 가동철심(72)에 연결 고정됨과 아울러, 가압접촉보정수단으로서의 가압접촉보정부(60)와, 가압접촉보정부(60)의 드럼(5) 대향면 측에 고정된 마찰부재(69)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압접촉보정부(60)를 마련한 것은 제동장치(1)의 개방상태에서 마찰부재(69)와 드럼(5)과의 사이에 제작오차 때문에 불균일한 틈새가 형성되므로, 제동장치(1)의 제동상태에서 마찰부재(69)와 드럼(5)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3에서 가압접촉보정부(60)는 가동철심(72)에 고정됨과 아울러, 구대부를 가지는 구대좌(62)와, 이 구대좌(62)의 구대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가지는 오목 구면좌(64)와, 오목 구면좌(64)의 평면 측에 고정된 브레이크슈(66)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압접촉보정부(60)는 브레이크슈(66)를 구대좌(62)의 방향으로 가압함과 아울러, 가동철심(72)에 나사(67)에 의해 고정된 Z자 모양의 탄성클립(68)을 가지고, 브레이크슈(66)의 드럼(5) 대향면에 고착된 마찰부재(69)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 구동부(70)는 암(11)의 드럼(5) 대향면에 마련된 가동철심(72)과, 가동철심(72)을 드럼(5) 쪽으로 밀어붙임과 아울러, 암(11)에 마련된 스프링(74)과, 스프링(74)의 힘에 저항하여 가동철심(72)을 암(11)에 흡인(吸引)하는 전자코일(76)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동장치의 동작을 도 1,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동장치(1)의 드럼(5)을 개방하는 데에는, 전자코일(76)에 전류를 흘려 여자시키면, 가동철심(72)을 암(11)에 흡인하여, 마찰부재(69)와 드럼(5)의 사이에 틈새(b)를 가진다. 이 틈새(b)가 발생함에 의해 드럼(5)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동장치(1)의 드럼을 제동하는 데에는, 전자코일(76)의 전류를 차단하여 비여자상태로 하면, 스프링(74)이 신장하여 가동철심(72)이 드럼(5) 측으로 밀어붙여져, 마찰부재(69)가 드럼(5)에 가압접촉하여 도 4의 상태가 된다. 이 때, 가압접촉보정부(60)의 구대좌(62)와 오목 구면좌(64)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나, 탄성클립(68)이 탄성변형하여 마찰부재(69)가 전체 면에 걸쳐서 드럼(5)을 긴밀하게 가압한다.
그 후, 전자코일(76)을 여자시키면, 가동철심(72)이 암(11)에 흡인되어 제동장치(1)의 드럼(5)을 개방함과 아울러, 탄성클립(68)의 복원력에 의해, 도 3의 구대좌(62)와 오목 구면좌(64)의 맞물림 위치로 복귀한다.
다음으로, 제동장치(1)에서 제동부(50)와 드럼(5)과의 틈새조정에 대해서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수원이 틈새(b)를 측정한 후, 하우징(7)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13)를 제거하여 암(11)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핀(9)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한 상태에서, 틈새(b)를 소망의 값으로 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15)로 교체하여, 다시 암(11)을 하우징(7)에 볼트(13)에 의해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스페이서(15)의 두께값을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틈새(b)의 거리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5)는 1매로 하여도 되고, 복수 매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제동장치(1)의 마찰부재(69)를 교환하는 경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11)을 회동한 상태에서, 제동부(50)의 나사(67)를 제거하고 나서 탄성클립(68)을 제거하고, 브레이크슈(66)를 떼어내어, 새로운 브레이크슈(66)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넓은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슈(66) 등의 교환 작업을 행하기 쉽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1)는 회전 가능한 드럼(5)을 수납함과 아울러, 개방된 개방부(7a)를 가지는 하우징(7)과, 개방부(7a)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암(11)과, 암(11)의 타단을 개방부(7a)의 타단에 체결, 개방 가능한 볼트(13)와, 암(11)과 체결상태에서 암(11)의 타단과 개방부의 타단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페이서(15)와, 암(11)에 마련됨과 아울러, 제동부(50)를 드럼(5)의 외주면에 대해서 가압접촉, 이간하는 제동 구동부(30)를 구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동장치(1)에 의하면, 하우징(7)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13)를 제거하여 암(11)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핀(9)을 지점으로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한 상태에서, 틈새(b)를 소망의 값으로 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15)로 교체하여, 다시 암(11)을 하우징(7)에 볼트(13)에 의해서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스페이서(15)의 두께값을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틈새(b)의 거리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15)의 두께값을 바꿈으로써, 상기 틈새(b)를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제동장치(1)는 제동부(50)를 드럼(5)에 가압접촉시에, 제동부(50)의 마찰부재(69)를 드럼(5)에 균일하게 되도록 가압접촉하는 가압접촉보정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슈(66)의 마찰부재(69)는 가압접촉보정부(60)를 통하여 가동철심(72)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작오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제동시에서 전체 면에 걸쳐서 드럼(5)을 긴밀하게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1)의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재로서의 암(11)은 하우징(7)의 개방부(7a)의 타단에 스페이서(15)를 통하여, 체결개방부재로서의 볼트(13)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지만, 볼트(13)를 떼내어, 암(11)을 하우징(7)의 개방부(7a)의 타단으로부터 해방함으로써,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스페이서(15)를 사이에 끼우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개방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도 17로 설명한다. 승강로(180)의 상부에 마련된 기계실(181)에는 권상기(18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182)에는 쉬브(183)와 제동장치(101)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동장치(101)의 드럼(105)과 쉬브(183)가 일체가 되어, 드럼(105)과 쉬브(183)가 전동기에 의해 회전된다. 쉬브(183)에는 로프(184)가 감겨져 있고, 로프(184)의 일단에는 승강 엘리베이터칸(185)이, 타단에는 균형추(186)가 연결되어 있다. 제동장치(101)의 드럼(105)이 해방하여 쉬브(183)가 회전하면 승강 엘리베이터칸(185)과 균형추(186)가 승강함과 아울러, 제동장치(101)의 드럼(105)이 제동하면, 쉬브(183)가 정지하여 승강 엘리베이터칸(185)과 균형추(186)를 정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엘리베이터 권상기(182)의 제동장치(101)의 전체 구성도, 도 6은 엘리베이터 권상기(182)의 제동장치(101)의 회동부재로서의 암(111)을 회동한 도면이다. 제동장치(101)에는 드럼(105)이 유지대(10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드럼(105)의 주위인 드럼(105)의 외주 측의 양측에, 제1 장착부로서의 장착부(103a)와, 제2 장착부로서의 장착부(103b)가 유지대(103)에 마련되어 있다. 드럼(105)의 제동면인 외주면에 대향하여, 드럼(105)의 양측에 암(1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암(111)의 일단부는 장착부(103a)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는 거리조정부재로서의 스페이서(115)를 통하여 장착부(103b)에 장착되어 있다. 암(111)의 드럼(105) 대향면에는 구동부(170)가 마련되어 있고, 구동부(170)의 드럼(105) 대향면에는 제동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제동부(150)에는 보정수단으로서의 보정부(161)와 판부재로서의 슈(166)를 통하여 마찰부재(169)가 마련되어 있으며, 구동부(170)에 의해 마찰부재(169)의 제동면을 드럼(105)의 외주면에 가압, 이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5의 화살표 V로부터 본 도면이다. 암(111)의 일단부에 마련된 구멍(111a)에 축부재로서의 볼트(112)가 삽입되고, 장착부(103a)에 마련된 나사구멍(103c)에 볼트(112)를 나사맞춤하여, 암(111)이 장착부(103a)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111)의 타단부는 두께값 t의 스페이서(115)를 통하여 장착부(103b)에 볼트(113)로 고정되어 있다. 회동방지수단으로서의 후크(117)는 암(111)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볼트(113)를 통하여 암(111)의 타단부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암(111)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데에는, 볼트(114), 후크(117), 볼트(113)를 떼어내고, 볼트(112)가 빠지지 않도록 느슨하게 하면, 도 6과 같이 암(111)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된다.
도 5에서 암(111)은 장착부(103a)의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으므로,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을 변화시키면, 마찰부재(169)와 드럼(105)과의 틈새값(g)이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에 따라 변화한다. 또, 암(111)의 회동 중심이 되는 볼트(112)로부터 스페이서(115)를 사이에 끼운 볼트(113) 체결부까지의 거리(X1)와, 볼트(112)로부터 마찰부재(169)의 중심까지의 거리(Y1)에 대해서는, X1이 Y1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의 변화량을 dt로 하고, 틈새값(g)의 변화량을 dg로 하면,
dg = dt × (Y1 ÷ X1)의 관계에 있다.
여기에, Y1 < X1이기 때문에, dg < dt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제동장치(101)는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을 일정값 변화시키면, 두께값(t)의 변화량보다 작은 값만큼 틈새값(g)이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7, 도 8은 구동부(170), 제동부(150)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7은 드럼(105)을 해방한 상태, 도 8은 드럼(105)을 제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암(111)에는 드럼(105)으로 향하여 제1 부재로서의 2개의 봉 형상의 가이드핀(171)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핀(171)의 선단부에는 링 모양의 제1 홈으로서의 홈(171a)이 2개 마련되어 있다. 각 홈(171a)에는 각각 제1 부재보다 탄성변형하기 쉬운 탄성체인 제2 부재로서의 고무링(173)이 끼워져 있으며, 고무링(173)의 외주부는 가이드핀(171)의 외주면보다 돌출해 있다. 가동철심(172)에는, 고무링(173)을 끼워맞춘 가이드핀(171)이 삽입 가능하게 가이드구멍(172a)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고무링(173)을 끼워맞춘 가이드핀(171)을 가이드구멍(172a)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무링(173)의 외주부가 탄성변형하여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즉, 가동철심(172)은, 고무링(173)과 가이드핀(171)을 통하여 암(111)에 탄성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고무링(173)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구멍(172a)의 깊이는 가이드핀(171)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가동철심(172)이 암(111)에 흡인되어 맞닿을 수 있는 깊이로 하고 있다.
암(111)의 가동철심(172)과 대향하는 측에는 원기둥 모양으로 전자코일(176)이 마련되고, 전자코일(176)의 내측에 2개의 스프링(174)이 드럼(105) 외주면으로 향하여 세워 마련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전자코일(176)이 여자상태에서 스프링(174)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가동철심(172)을 암(111)에 흡착하여 제동부(150)를 드럼(105)으로부터 이간함으로써, 제동부(150)의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외주면과에 틈새(g)가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8에서는, 전자코일(176)이 소자(消磁)상태에서 스프링(174)이 가동철심(172)을 밀어붙여 제동부(150)를 드럼(105)에 가압한다.
도 7에서 제동부(150)에는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가압, 이간할 때에 마찰부재(169)의 자세를 보정하는 보정부(161)가 마련되어 있다. 보정부(161)에는 마찰부재(169)를 고착한 슈(166)와, 구대좌(162)와, 구관좌(164)와, 제2 탄성부재로서의 탄성클립(168)을 가지고 있다.
구대좌(162)는 구대부와 기둥부를 가지는 원기둥부재이고, 구관좌(164)는 오목 모양의 구관부를 가지는 판부재이며, 이 구대부와 이 구관부는 맞물려 있다. 구대좌(162)와 구관좌(164)가 맞물린 상태에서 구대좌(162)가 가동철심(172)에 맞닿고, 구관좌(164)가 슈(166)에 맞닿아 가동철심(172)과 슈(166)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도 11은 도 6의 화살표 VII를 나타내고, 도 13은 도 5의 화살표 VI-VI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된 2개의 탄성클립(168)은 기부가 가동철심(172)에 나사(167)로 고정되고, 조각 모양의 선단부는 슈(166)의 드럼(105) 대향면 측을 누르며, 탄성력에 의해 슈(166), 구관좌(164), 구대좌(162)를 가동철심(172)에 밀어붙여 유지한다.
도 14는 탄성클립(168)이 슈(166)를 가압하는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탄성클립(168)이 슈(166)를 가압하는 위치는 드럼(105)의 회전축심(105a)과 구대좌(162)의 구대의 중심점(162a)을 포함하는 가상평면(165)이 슈(166)의 드럼(105) 대향면과 교차하여 생기는 가상선(166a) 근방이고, 또한 슈(166)의 양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슈(166)의 특정의 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탄성클립(168)의 선단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가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클립(168)은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가늘게 했지만, 탄성클립(168)의 선단부의 슈(166)를 가압하는 부분에 볼록한 모양의 돌기를 마련하고(도시생략), 이 돌기부에서 슈(166)를 가압하여도 된다.
제동장치(101)를 보수시에 작업자가 분해하여 점검 등을 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보수시에 작업자가 후크(117)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14)와 암(111)을 장착부(103b)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113)를 떼낸다. 나사맞춤하고 있는 볼트(112)를 암(111)이 회동할 수 있도록 약간 느슨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암(111)을 회동하면, 구동부(170)와 제동부(150)가 드럼(10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드럼(105)에 숨어 있던 부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점검 등이 종료한 후에는, 상기와는 반대의 순서로 조립함으로써 제동장치(101)가 복귀한다.
제동장치(101)에서는, 제동하기 위해서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의 외주면에 가압할 때에, 충돌음이 발생한다. 이 충돌음을 작게 하기 위해서,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외주면과의 틈새값(g)을 규정의 값으로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틈새값(g)의 조정방법에 대해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수시에 작업자가 조정 전의 틈새값(g)을 측정해 두고, 다음으로 후크(117)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14)와 암(111)을 장착부(103b)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113)를 떼어냄과 아울러, 볼트(112)를 암(111)이 회동할 수 있도록 약간 느슨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암(111)을 회동시킨다.
틈새값(g)을 소망값으로 하기 위해, 미리 준비해 둔 소정의 두께값(t)을 가지는 스페이서(115)를 암(111)과 장착부(103b)의 사이에 끼우고, 다시 암(111)을 장착부(103b)에 볼트(113)로 체결함과 아울러, 장착부(103a)에 볼트(112)로 고정하고 나서, 장착부(103b)에 볼트(114)로 후크(117)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에 따라 상기 틈새값(g)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15)는 1매만으로 하여도 되고, 복수 매를 중첩해도 된다.
제동장치(101)의 제동, 해방의 동작을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드럼(105)이 마찰부재(169)로부터 해방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전자코일(176)에 통전(通電)하여 여자하고, 스프링(174)의 신장력에 저항하여 가동철심(172)을 암(111)에 흡착하고 있으며, 탄성변형한 고무링(173)의 외주부와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이 맞닿아, 가동철심(172)을 유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새(g)를 형성하여 드럼(105)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의 해방상태에서, 전자코일(176)의 전류를 차단하여 소자상태로 하면, 스프링(174)은 신장하여 가동철심(172)을 드럼(105) 측으로 밀어붙여 이동시킨다. 가동철심(172)은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이 고무링(173)의 외주부와 슬라이딩하여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172)은, 제동부(150)의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의 외주면에 가압하여 제동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도 8의 제동상태에서, 전자코일(176)을 여자상태로 하면, 스프링(174)의 신장력에 저항하여 가동철심(172)을 암(111) 쪽으로 흡인하여 이동시킨다. 그리고, 가동철심(172)이 암(111)에 흡착할 때까지 이동한다. 이동중의 가동철심(172)은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이 고무링(173)의 외주부와 슬라이딩하여 안내되어 암(111) 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새(g)를 형성하여 드럼(105)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무링(173)은 탄성변형하여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과 맞닿아 가동철심(172)을 지지함과 아울러,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여 가동철심(172)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동장치(101)가 제동, 해방할 때의 보정부(161)의 동작을 도 8,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동할 때에는, 드럼(105)에 대향하고 있는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가압하면, 마찰부재(169)의 제동면이 드럼(105)의 제동면인 외주면에 따르도록 마찰부재(169) 및 슈(166)는 자세를 변화시킨다. 즉, 구동부(170)가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구대좌(162)와 구관좌(164)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남과 아울러, 탄성클립(168)이 비틀어지도록 탄성변형하여 마찰부재(169)와 슈(166)가 드럼(105)에 대한 자세를 바꾼다. 이 때 마찰부재(169) 및 슈(166)는 도 14의 화살표 M의 방향으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마찰부재(169)의 제동면이 드럼(105)의 외주면에 따라 균일하게 가압한다.
다음으로 해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가압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클립(168)은 탄성변형하여 도 14의 화살표 M의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구동부(170)가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으로부터 이간시키면, 탄성클립(168)은 이 비틀림을 해소하도록 복원력이 작용한다. 한편, 구대좌(162)와 구관좌(164)는 탄성클립(168)의 가압력을 받고 있으므로, 구대좌(162)와 구관좌(164)의 맞물림부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 탄성클립(168)이 슈(166)를 가압하고 있는 위치는 가상선(166a) 근방이고, 또한 슈(166)의 양단측이므로, 비틀림 해소의 복원력은 작고, 맞물림부의 마찰력에 비해 작다. 이 때문에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으로부터 이간해도, 마찰부재(169) 및 슈(166)는 가압된 상태와 동일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틈새값(g)은 대략 균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동장치(10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도 5에서, 보수시에 작업자가 후크(117)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14)와 암(111)을 장착부(103b)에 체결하고 있는 볼트(113)를 떼어냄과 아울러, 장착부(103a)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112)를 암(111)이 회동할 수 있도록 약간 느슨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암(111)을 회동하면, 구동부(170)와 제동부(150)가 드럼(10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드럼(105)의 뒤쪽에 숨어 있던 부분이 노출하여 눈으로 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167)를 떼어내면 제동부(150)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즉, 보수시에 용이하게 구동부(170)와 제동부(150)를 분해하여 점검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제동장치(101)에서는, 구동부(170)에 제동부(150)를 직접 장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동부(170)와 제동부(150)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부재나 연동기구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구동부(170)와 제동부(150)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동장치(101)도 소형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동장치(101)에서는, 엘리베이터가 가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동장치(101)의 암(111)은 일단부가 볼트(112)에 의해 장착부(103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볼트(113)에 의해 장착부(103b)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동해도 암(111)이 미동하기 어려워, 안정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착부(103a)의 나사구멍(103c) 대신에 구멍을 마련하고, 볼트(112) 대신에 핀을 이용해도 된다(도시생략).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암(111)을 회동할 경우에 볼트(112)를 느슨하게 하는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 후크(117)는 볼트(113)의 머리를 통하여 암(111)을 장착부(103b)에 유지하여 암(111)이 회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볼트(113)의 체결력이 없어져도, 제동장치(101)의 제동력이 없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방지수단으로서의 후크(117)의 형상을 볼트(113)를 통하여 암(111)의 타단부를 유지하도록 했지만, 후크(117)의 형상을 볼트(113)를 피해 직접 암(111)의 타단부에 맞닿아 유지하여 회동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동장치(101)에서는, 마찰부재(169)와 드럼(105)과의 외주면과의 틈새값(g)을 규정의 값으로 조정할 때에, 암(111)을 회동한 상태에서, 두께값(t)의 스페이서(115)를 사이에 끼우고, 다시 암(111)을 유지대(103)에 볼트(113)에 의해 체결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을 바꿈으로써 틈새값(g)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틈새값(g)의 조정작업이 용이하다.
또, 제동장치(101)에서는, 가동철심(172)은 고무링(173)에 탄성 지지되고, 또, 가동철심(172)을 암(111)에 흡인하거나, 스프링(174)으로 드럼(105) 측으로 밀어붙이거나 하여 이동할 때에는, 가이드핀(171)의 선단부의 홈(171a)에 끼워진 고무링(173)이 가동철심(172)의 가이드구멍(172a)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여 안내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가동철심(172)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제동장치(101)에서는 보정부(161)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동부(150)의 마찰부재(169)의 가압시에는, 마찰부재(169)의 제동면을 드럼(105)의 외주면에 대략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101)의 제동력이 안정된다.
이간시에는 마찰부재(169)의 제동면이 가압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드럼(105)의 외주면과 떨어지므로,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외주면의 틈새값(g)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틈새값(g)을 규정범위 내로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대로, 암(111)과 장착부(103b)의 사이에 스페이서(115)를 1개 끼워 볼트(113)로 체결했지만, 도 10과 같이 암(411)과 장착부(403b)의 사이에 두께값이 다른 2종류의 스페이서(415)와 스페이서(416)를 드럼(105)의 회전축심방향으로 나란히 사이에 끼워 볼트(113)로 체결해도 된다.
암(411)의 일단부는 유지대(403)의 장착부(403a)에 볼트(112)로 장착하고, 타단부는 장착부(403b)에 볼트(113)로 장착한다. 그리고, 암(411)에 마련된 가동철심(172)이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가압, 이간한다. 그런데, 암(411)이나 유지대(403)의 제작오차 때문에, 암(411)이 연직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으로 어긋나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서는 암(411)은 드럼(105)의 외주면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으며, 가동철심(172)은 마찰부재(169)를 드럼(105)에 기울어져 가압, 이간한다. 이러한 경우, 암(411)과 장착부(403b)의 사이에 드럼(105) 회전축심방향으로 2종류의 두께값의 스페이서(415)와 스페이서(416)를 나란히 사이에 끼움으로써, 암(411)의 드럼(105) 외주면에 대한 기울기가 보정되어, 드럼(105)에 마찰부재(169)를 가압, 이간하는 가동철심(172)의 동작이 안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111)과 장착부(103b)의 사이에 직방체 모양의 스페이서(115)를 사이에 끼웠지만, 도 15와 같이 쐐기모양의 스페이서(615)를 사이에 끼워도 된다. 암(611)과 장착부(103b)와의 사이에 쐐기모양의 스페이서(615)를 사이에 끼우고, 볼트(113)로 암(611)을 장착부(103b)에 체결하고 있다. 암(611)과 스페이서(615)의 맞닿음 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스페이서(615)가 암(611)과 장착부(103b)의 사이부터는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장착부(103b)와 암(611)에 맞닿아진 멈춤판(618)에 마련된 볼트(619)가 스페이서(615)를 인장하여 고정하고 있다.
쐐기모양의 스페이서(615)를 사이에 끼웠을 경우의 틈새값(g)의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볼트(112)를 약간 느슨하게 하여, 암(611)이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한다. 볼트(113)를 느슨하게 하면서 볼트(619)를 조이면, 장착부(103b)와 암(611)과의 거리를 넓게 하도록 스페이서(615)가 끼어들어, 틈새값(g)이 커진다.
반대로, 볼트(619)를 느슨하게 하면서 볼트(113)를 조이면, 스페이서(615)를 밀어내어 장착부(103b)와 암(611)의 거리가 좁아지므로, 틈새값(g)이 작아진다. 따라서, 암(611)과 장착부(103b)와의 사이 쐐기모양의 스페이서(615)를 사이에 끼워 틈새조정하면,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틈새값(g)을 확인하면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111)과 장착부(103b)와의 사이에 끼우는 스페이서(115)의 두께값(t)을 바꾸어 틈새값(g)을 조정했지만, 가동철심(172)과 구대좌(162)의 사이에 박판 모양의 심(shim)을 사이에 끼우고, 이 심의 두께를 바꾸어 틈새값(g)을 조정해도 된다(도시생략).
조정방법은 암(111)을 회동하여 가동철심(172)과 구대좌(162)의 사이에 틈새값(g)을 소망값으로 하기 위해서 미리 준비해 둔 소정의 두께값의 심을 사이에 끼우고, 다시 암(111)을 장착부(103b)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심의 두께값을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거나 함으로써 틈새값(g)을 작게 하거나, 크게 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철심(172)과 구대좌(162)의 사이에 심을 사이에 끼우는 조정법은 암(111)과 장착부(103b)와의 사이에 스페이서(115)를 사이에 끼우는 조정법에 비해, 조정 개소인 틈새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조정하게 된다. 즉, 조정하는 위치와 조정되는 틈새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각 부품간의 덜거덕거림 등의 영향이 적게 되어, 조정의 정밀도가 향상함으로써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 도 11에 나타내는 대로, 가동철심(172)에 마련된 가이드구멍(172a)에 고무링(173)을 끼운 가이드핀(171)이 삽입되어 있지만, 도 12와 같이 암(511)에 4개의 가이드핀(171)이 세워 마련되고, 가이드핀(171)과 대향하는 가동철심(572)의 네 모서리에 원호모양의 홈(572a)이 마련되며, 가이드핀(171)의 홈(171a)에 끼워진 고무링(173)의 일부가 홈(572a)과 맞물리도록 해도 된다. 홈(572a)에 대향하는 고무링(173)의 외주부가 약간 탄성변형하여 홈(572a)과 맞닿아 있다. 즉, 가동철심(572)은 고무링(173)과 가이드핀(171)을 통하여 암(511)에 탄성적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고무링(173)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철심(572)이 이동할 때에는, 홈(572a)이 고무링(173)과 슬라이딩하여 안내하여 이동한다. 이 때문에, 가동철심(572)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또, 고무링(173)은 상시 노출하고 있으며, 고무링(173)의 상태나 슬라이딩 부분의 상태의 목시(目視)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클립(168)의 스프링력에 의해 슈(166), 구관좌(164), 구대좌(162)를 가동철심(172)에 밀어붙여 유지하고 있지만, 탄성클립(168) 대신에 자력을 가지는 구대좌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시생략). 가동철심, 구대좌, 오목 구관좌, 슈가 서로 자력에 의해 흡인됨으로써 연결한다. 마찰부재가 가압될 때에는, 구대좌와 오목 구관좌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마찰부재와 슈의 드럼 외주면에 대한 방향이 바뀌어, 마찰부재의 제동면이 드럼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한다. 이 때문에 제동력이 안정된다.
이간시에는 자력에 의해서 마찰부재가 가압시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지므로, 마찰부재의 제동면과 드럼의 외주면의 틈새값은 대략 균일하게 되어, 틈새값(g)을 규정범위 내로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탄성클립을 고정하는 나사의 착탈이 불필요하게 되어, 분해, 조립의 작업이 간이하게 된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 16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틈새값(g)의 조정방법으로서, 암(111)과 장착부(103b)의 사이에 스페이서(115)를 사이에 끼웠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111)과 장착부(103b)의 거리를 볼트와 너트로 조정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의 구성품은 본 실시형태에 대해 동일 부분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철심(172)은 암(111)에 흡착되고, 마찰부재(169)와 드럼(105)의 사이에는 틈새값(g)을 가지고 있다. 암(111)의 한쪽의 단부는 볼트(112)로 장착부(103a)에 고정하고 있다. 암(111)의 다른 쪽의 단부에 마련된 구멍(111b)에는 볼트(313)가 삽입되고, 볼트(313)의 선단부는 장착부(103b)에 마련된 나사구멍(103d)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313)에는, 2개의 너트(320)가 나사맞춤되어 있으며, 1개의 너트(320)는 볼트(313)를 장착부(103b)에 고정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너트(320)는 암(111)을 볼트(313)에 고정하고 있다.
틈새값(g)의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볼트(313)에 나사맞춤된 2개의 너트(320)를 느슨하게 함과 아울러, 볼트(112)를 약간 느슨하게 하여 암(111)이 볼트(112)를 지점(支点)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313)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하면 틈새값(g)이 변화하므로, 규정의 틈새값(g)이 되도록 조정한다. 조정한 후에, 2개의 너트(320)를 조임과 아울러, 볼트(112)도 조인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틈새값(g)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조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313)는 1개 사용하고 있지만, 볼트(313)를 드럼(105)의 회전축심방향으로 2개 나란히 마련해도 된다(도시생략). 제작오차 때문에, 암(111)과 장착부(103b)의 서로의 대향면은 평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볼트(313)의 조임 상태를 조정하여 암(111)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드럼(105)에 마찰부재(169)를 가압, 이간하는 가동철심(172)의 동작이 안정된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도 18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서는, 암(111) 및 장착부(103a), 장착부(103b)를 드럼(105)의 외주 측의 양측에 마련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111) 및 장착부(203a), 장착부(203b)를 드럼(105)의 외주 측의 경사진 상측에 마련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의 구성품은 본 실시형태에서 동일 부분을 나타내며 설명을 생략한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건물의 레이아웃상, 기계실(281)의 벽 측에 권상기(282)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제동장치(201)에서는 암(111)의 위치가 드럼(105)의 외주 측의 경사진 상측이 되도록 유지대(203)의 장착부(203a)와 장착부(20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부(170)와 제동부(150)의 보수를 위해서, 암(111)과 장착부(203b)의 사이에 끼우는 스페이서(115)(도시생략) 및 볼트(113)(도시생략)가 떼어 내지고, 장착부(203a)의 볼트(112)를 약간 느슨하게 하여, 볼트(112)를 지점으로 하여 암(111)이 회동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동장치(201)에서는 실시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기계실(281)의 벽 측에 권상기(282)를 마련해도 암(111)을 회동시켜 구동부(170)와 제동부(150)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기계실(281)에 권상기(282)를 설치하는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는 암(111) 및 장착부(103a), 장착부(103b)를 드럼(105)의 외주 측의 양측에 마련하고, 실시형태 4에서는 암(111) 및 장착부(203a), 장착부(203b)를 드럼(105)의 외주 측의 경사진 상측에 마련했지만, 권상기를 설치하는 레이아웃의 사정에 맞추어 암 및 장착부는 드럼의 외주 측의 둘레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4에서는, 암의 장착부는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대에 마련했지만, 유지대 이외의 고정된 부재에 암의 장착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4에서는, 암, 구동부, 제동부를 1대의 권상기에 2세트 마련했지만, 필요한 제동능력에 맞추어 1대의 권상기에 1세트라도 되고, 3세트 이상 마련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2, 4에서는 드럼이 유지대에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냈지만, 실시형태 1과 같이 드럼이 하우징에 수납되고 있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회전 가능한 드럼을 수납함과 아울러, 개방된 일단과 타단을 가지는 개방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개방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을 상기 개방부의 타단에 체결, 개방 가능한 체결개방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을 상기 개방부의 타단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개방부의 타단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드럼을 가압접촉하는 제동부와,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해서 가압접촉, 이간(離間)하는 제동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과 상기 개방부의 타단과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제동부와 상기 드럼과의 틈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에는 표면에 마찰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드럼에 가압접촉시에,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드럼에 균일하게 가압접촉 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접촉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3. 회전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 이간 가능하게 마련된 제동부와,
    상기 제동부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제동부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마련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아울러, 상기 드럼 주위에 마련된 제1 장착부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체결, 해방 가능하게 장착함과 아울러, 상기 드럼 주위에 마련된 제2 장착부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장착부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장착부와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조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거리조정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장착부와의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제동부와 상기 드럼과의 틈새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구멍을 가지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부에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장착부의 구멍과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의 구멍에 삽입통과된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의 구멍과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부의 구멍 중 어느 한쪽이 나사구멍이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정수단은 두께를 가지는 거리조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장착부에 상기 거리조정부재를 통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정부재는 2개 가지고, 각각 두께값이 차이가 있으며, 상기 드럼의 회전축심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정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에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착부에는 나사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구멍에 삽입통과하고, 상기 제2 장착부의 나사구멍에 진퇴 가능하게 나사맞춤된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맞춤됨과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의 상기 제2 장착부 대향면에 고정되는 제1 너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맞춤됨과 아울러, 상기 볼트를 상기 제2 장착부에 고정하는 제2 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부를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하고 있는 체결을 해방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동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제1 탄성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마련된 전자코일과,
    상기 전자코일이 비여자(非勵磁)일 때에는, 상기 제동부를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밀어붙여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가압하고, 상기 전자코일이 여자일 때에는, 상기 제동부를 상기 제1 탄성부재의 밀어붙이는 힘에 저항하여 상기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가동철심과,
    상기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주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부재보다 탄성변형하기 쉬운 제2 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철심이 상기 제2 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1 부재는 봉 형상이고, 상기 드럼의 대향면이 되는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링 모양의 제1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이고, 상기 제1 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동철심에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철심이 이동할 때에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1 부재는 봉 형상이고, 상기 회동부재의 드럼 대향면에 가상의 사각형을 상정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상기 가상의 사각형의 네 모서리에 상당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4개 마련됨과 아울러, 선단부에 링 모양의 제2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링 형상이고, 상기 제2 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가동철심의 이동을 슬라이딩 안내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동철심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원호모양의 제3 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철심이 이동할 때에 상기 제3 홈과 상기 제2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13. 청구항 3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마련된 마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재의 제동면을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마찰부재의 제동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틈새를 균일하게 하도록 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14. 청구항 10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마련된 마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재의 제동면을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마찰부재의 제동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틈새를 균일하게 하도록 하는 보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정수단은 구대부(球帶部)와 기둥부를 가지고 상기 기둥부가 상기 가동철심에 맞닿는 구대좌(球帶座)와,
    상기 구대부와 맞물리는 오목한 상태의 구관부(球冠部)를 가지는 구관좌(球冠座)와,
    상기 구관좌에 맞닿고, 상기 마찰부재가 고정된 판부재와,
    기부(基部)와 연통한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부가 상기 가동철심에 고정되고, 이 선단부가 상기 판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판부재를 상기 가동철심 측으로 밀어붙이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판부재를 가압하는 위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심과 상기 구대좌의 구대의 중심점을 포함하는 가상평면이 상기 판부재의 드럼 대향면과 교차하여 생기는 가상선 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KR1020127000458A 2009-07-07 2010-05-28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KR101392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9/003140 2009-07-07
PCT/JP2009/003140 WO2011004424A1 (ja) 2009-07-07 2009-07-07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PCT/JP2010/003581 WO2011004543A1 (ja) 2009-07-07 2010-05-28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949A KR20120024949A (ko) 2012-03-14
KR101392054B1 true KR101392054B1 (ko) 2014-05-07

Family

ID=4342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458A KR101392054B1 (ko) 2009-07-07 2010-05-28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52911B1 (ko)
KR (1) KR101392054B1 (ko)
CN (1) CN102471030B (ko)
BR (1) BR112012000418A2 (ko)
WO (2) WO2011004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0154B2 (ja) * 2010-02-10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FI20115145L (fi) * 2011-02-15 2012-08-16 Kone Corp Kiinnitysrajapinta koneistojarrulle sekä koneistojarru
JP6108826B2 (ja) * 2012-12-28 2017-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巻上機用電磁ブレーキ装置
US9663325B2 (en) 2013-04-24 2017-05-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aking apparatus and elevator hoisting machine that uses same
JP2015089840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CA3030960A1 (en) * 2016-08-01 2018-02-08 Lewis Designs, LLC Brake sphere for spherical braking apparatus
CN107060554B (zh) * 2017-06-09 2019-01-01 苏州安泰空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生物安全柜电动前窗失电保护装置
JP6972406B1 (ja) * 2021-03-18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綱車及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781A (ja) 2000-05-15 2001-1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6161920A (ja) 2004-12-06 2006-06-22 Sanyo Kogyo Kk 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1737U (ja) * 1983-10-21 1985-05-21 小倉クラツチ株式会社 電磁ドラムブレ−キ
JPH05338967A (ja) * 1992-06-02 1993-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の制動装置
US5899304A (en) * 1997-05-21 1999-05-04 Daugherty; Jack L. Motor brake
JPH11222371A (ja) * 1998-02-06 1999-08-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2002284486A (ja) 2001-03-22 2002-10-03 Sanyo Kogyo Kk 巻上装置
JP2002362861A (ja) * 2001-06-04 2002-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巻上機の制動装置
WO2003002448A1 (fr) * 2001-06-29 2003-0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e levage d'ascenseur et ascenseur
JP4184774B2 (ja) * 2002-12-11 2008-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4391119B2 (ja) * 2003-04-18 2009-12-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2009046235A (ja) * 2007-08-17 2009-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781A (ja) 2000-05-15 2001-11-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06161920A (ja) 2004-12-06 2006-06-22 Sanyo Kogyo Kk 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1030A (zh) 2012-05-23
CN102471030B (zh) 2014-03-12
EP2452911A4 (en) 2015-10-28
BR112012000418A2 (pt) 2019-09-24
WO2011004424A1 (ja) 2011-01-13
EP2452911A1 (en) 2012-05-16
KR20120024949A (ko) 2012-03-14
EP2452911B1 (en) 2018-02-21
WO2011004543A1 (ja)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054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제동장치
JP435372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作動装置
JP5969071B1 (ja) マンコンベア装置及びこのマンコンベア装置の移動手摺のテンション調整方法
EP1431232B1 (en) Elevator hoist and elevator device
WO1990011925A1 (fr) Frein de bicyclette
WO2004050527A1 (ja) 巻上機のブレーキ機構
JP4279780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装置
JP2804749B2 (ja) 巻上機用制動装置
JP2006052035A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の制動装置
JP4024808B2 (ja) ブレーキ装置
KR100605771B1 (ko) 권상기용 브레이크 기구
JP2000143131A (ja)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JP5354013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装置
JP4009286B2 (ja) 巻上機用の制動装置
JPH11127554A (ja) 電磁ブレーキ
JP2009058025A (ja) ブレーキ装置
JPWO2009044450A1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及びブレーキ装置
JP2009108928A (ja) 無励磁作動ブレーキの手動解放装置
JP200824101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組立装置
CN117006179B (zh) 一种带间隙调节结构的电磁制动器
JP7533652B1 (ja) ブレーキ動作検知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
KR200322007Y1 (ko) 산업용 전자브레이크
CN114483823B (en) Brake caliper device
JP2006273503A (ja) 巻取装置
JP2003176842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