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995B1 -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995B1
KR101388995B1 KR1020110024727A KR20110024727A KR101388995B1 KR 101388995 B1 KR101388995 B1 KR 101388995B1 KR 1020110024727 A KR1020110024727 A KR 1020110024727A KR 20110024727 A KR20110024727 A KR 20110024727A KR 101388995 B1 KR101388995 B1 KR 10138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eration member
power
invalid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67A (ko
Inventor
요스케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촬상렌즈는, 제어부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다.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에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와 상기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위 파워 줌/파워 포커스 기구는, 렌즈를 구동하는 모터를 사용해서 전기적으로 렌즈 동작을 제어하고, 최근에 촬영자의 조작에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조작부재로서는 전자링, 조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볼륨 키 등이 설치되고, 그 조작량에 따라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전기신호에 따라 렌즈 구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주밍(zooming)과 포커싱은 실현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JP") 2004-233892호는, 변배 링과 줌 키를 사용해서 변배 렌즈를 구동하고, 변배 링의 위치 검출수단으로서 포텐셔미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촬상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JP 2004-233892호는 변배 링을 구동하는 모터와, 변배 링이 기준위치에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변배 링이 기준위치에 있을 때의 포텐셔미터의 출력 전압을 검출해서 온도 드리프트에 의한 변동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촬영자가 촬상장치를 삼각대에 고정하고, 줌 링과 포커스 링에 의해 렌즈의 배율과 포커싱을 설정한 후에, 촬상장치의 전원을 차단했다고 한다. 그리고, 촬상장치의 전원을 투입했을 경우에는, 렌즈는 전회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이 편리하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33892호에서는, 줌 링의 초점거리 표시가 바리에이터 렌즈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은 경우, 차이를 해소시키는 방향으로 줌 모터를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의 온도변화에 의해 줌 링의 위치의 출력이 변동하면, 렌즈 위치가 벗어나버린다. 이러한 위치 어긋남은, 상기의 전원의 차단상태로부터 투입상태로의 전환 이외에,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상태로부터 유효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등에 발생한다.
추가로, 포텐셔미터는, 전기 잡음의 영향으로 인해 검출 정밀도가 저하한다. 이 결과, 포텐셔미터의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된 렌즈의 위치 정밀도가 저하하고, 렌즈 위치가 정확하게 산출될 수 없고 렌즈 위치가 벗어나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렌즈 또는 촬상장치는,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위치 검출부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에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와 상기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럭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변배 링의 절대위치, 포텐셔미터의 출력 및 변배 렌즈 위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3은, 촬상장치의 전원차단 및 전원투입일 때의 도 1에 나타낸 변배 링의 절대위치, 포텐셔미터의 출력 및 변배 렌즈의 위치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4는, 촬상장치의 전원차단일 때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5는, 촬상장치의 전원투입일 때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럭도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변배 링의 절대위치, 상대 값 엔코더의 출력 및 변배 렌즈 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럭도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록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록도다. 제1 실시예에서는, 촬상 렌즈가 촬상장치와 일체형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 101은 제1 고정 렌즈 유닛, 참조번호 102는 변배용의 바리에이터 렌즈 유닛(이하, "변배 렌즈(줌렌즈)"라고 칭한다), 참조번호 103은 조리개(stop), 참조번호 104는 제2 고정 렌즈 유닛이다. 참조번호 105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 렌즈, 더 구체적으로는, 초점조절 기능과 초점면의 이동을 보정하는데 사용된 줌 트랙킹 기능을 구비한 소위 보상 기능을 겸비한 렌즈 유닛(이하, "포커스 렌즈"라고 칭한다)이다.
변배 렌즈(102)는, 줌 구동부(110)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포커스 렌즈(105)는 포커스 구동부(111)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동부는 스테핑 모터나, 직동식의 보이스(voice) 코일 모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변배 렌즈(102)의 위치는 줌렌즈 위치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되고, 포커스 렌즈(105)의 위치는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113)에 의해 검출된다. 구동부가 스테핑 모터일 경우에는, 렌즈 위치 검출부는 기준 리셋트 위치부터의 입력 펄스 카운트이어도 된다. 이 때, 기준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는, 예를 들면, 이동 렌즈 프레임에 일체로 설치한 차광벽에 의해 차광되는 경계위치를 기준위치로서 검출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위치 검출기는, 이동 렌즈 프레임에 일체로 설치한 마그넷 스케일의 자계변화를 검출하는 자기저항(MR)소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은 렌즈 유닛 101∼105로 이루어진 광학계를 통해서 촬상소자(106) 위에 결상한다. 촬상소자(106)는 CCD나 CMOS등의 광전변환소자이며, 피사체상(object image)을 전기신호인 영상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영상신호는 CDS/AGC회로(107)에 의해 판독 및 증폭되어, 카메라 신호 처리기(108)에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기(108)는 화상처리를 제공하고, 입력 신호를 기록 장치(109) 및 모니터 장치(115)에 대응한 신호로 변환한다. 기록 장치(109)는 피사체상을 기록 매체, 이를테면 자기테이프, 광학 디스크 및 반도체 메모리등에 기록한다. 모니터 장치(115)는 전자 뷰 파인더나 액정 패널등에 피사체상을 표시한다.
카메라 마이크로컴퓨터(카메라MC)(114)는 촬상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카메라 신호 처리기(108)와 상기 기록 장치(109)를 제어하는 제어부(프로세서)다. 줌렌즈 위치 검출부(112)가 검출한 변배 렌즈(102)의 위치와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113)가 검출한 포커스 렌즈(105)의 위치의 정보는, 카메라MC(114)에 입력되어서 이것들의 렌즈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렌즈 구동제어의 처리 결과에 따라 카메라MC(114)는 줌 구동부(110)와 포커스 구동부(111)를 제어하고, 그 렌즈의 제어를 행한다. 카메라MC(114)는, 후술하는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에 따라 변배 렌즈(102)의 구동을 제어한다.
참조부호 116은 휘발성의 DRAM이나 비휘발성의 SRAM, 플래쉬ROM등으로 구성된 메모리다. 메모리(116)는, 카메라MC(114)에서 행하는 처리의 프로그램과, 처리에 사용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16)는, 전원차단시에, 예를 들면 변배 링(117)의 위치나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전회 위치로서 기억한다.
변배 링(117)은, 메뉴얼 줌에 있어서 촬영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의 광학계의 고정 경통(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촬영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로서의 변배 링(117)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설명은, 포커스 렌즈(105)의 조작을 행하는데 사용된 포커스 링이나, 주밍과 포커싱을 위한 2개의 독립적인 조작 링과 같은, 별도의 조작부재에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포커스 링은 후술하는 변배 링의 경우와 같이 조작 범위가 물리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조작부재는 반드시 링 형상을 갖지 않고, 렌즈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상의 입력부재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변배 링(117)은, 회전중심이 상기의 광학계의 광학중심(광축)과 일치하는 절대치형의 전자링이며, 촬영자에 의한 조작량은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MC(114)는, 변배 링(117)의 각도가 커지도록 회전 조작되면 변배 렌즈(102)를 텔레포토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변배 링(117)은, 초점거리(줌 위치)가 가장 긴 초점거리가 되는 텔레포토단에 위치된 텔레포토단 스톱퍼와, 가장 단초점거리가 되는 광각단에 위치된 와이드각 단 스톱퍼와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 회전 조작 범위가 물리적으로 제한된다. 변배 링(117)의 회전 조작 범위는, 예를 들면 60°∼90°이다.
참조부호 118은 조작부재인 변배 링(117)의 절대위치(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이며,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다회전 타입의 포텐셔미터다. 포텐셔미터(118)는, 변배 링(117)에 설치된 기어 유닛과 내부 기어를 거쳐서 연동 구동시켜, 변배 링(117)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은 카메라MC(114)에 구비되어 있는 A/D변환 입력부에 접속된다. 카메라MC(114)는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산출한다.
다음에 카메라MC(114)로 실행되는 변배 렌즈(102)의 위치의 산출 처리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변배 링(117)의 절대위치와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포텐셔미터(118)는, 변배 링(117)이 와이드각 단 스톱퍼 위치θW에 위치될 때의 출력 PW, 및 변배 링(117)이 텔레포토단 스톱퍼 위치θT에 위치될 때의 출력 PT를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PW 및 PT의 값은, 촬상장치의 조립시등에 미리 측정되어, 비휘발성의 데이터로서 메모리(116)에 기억되어 있다. 도 2a는, 변배 링(117)의 절대값이 θ일 때의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을 P로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포텐셔미터(118)의 출력과 변배 렌즈(102)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W일 때, 변배 렌즈(102)의 위치가 광학적인 와이드각 단ZW에 있고,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T일 때, 변배 렌즈(102)의 위치가 광학적인 텔레포토단ZT에 있다. 이것에 의해, 변배 링(117)의 절대위치에 따라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조작감은 기계적인 캠 기구를 사용한 변배 링의 조작감과 같다.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일 때의 변배 렌즈(102)의 위치Z는, 다음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Z=G×(P-PW)+ZW (1)
G는 다음식으로 정해지는 값이며, 도 2b의 직선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G=(ZT-ZW0/(PT-PW) (2)
다음에 전원차단시에 기억된 변배 링(117)의 위치와, 변배 렌즈(102)의 위치에 의거하여, 전원을 투입했을 때의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2a와 마찬가지로, 변배 링(117)의 절대위치와 포텐셔미터(118)의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L1은 전원차단전의 상태, L2는 그 후 전원투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온도 드리프트의 영향에 의해 L1과 L2가 다르기 때문에, 변배 링(117)의 절대값이 θ일 때,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은, 전원차단전의 출력P0와 전원투입시의 출력 P1을 갖고, 그 출력 P0와 P1은 서로 다르다. 이 상태에서 수식 1에 의거해 변배 렌즈(102)의 위치Z를 구하면,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0로부터 P1으로의 변화만큼 어긋나버린다.
도 3b는, 도 2b와 마찬가지로, 포텐셔미터(118)의 출력과 변배 렌즈(102)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L3은 전원차단전의 상태이며,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0일 때의 변배위치는 Z0이다. 그 후 전원투입한 후에,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은 P1이 되지만, 도 3a와 같이 변배 링(117)의 위치θ가 변하고 있지 않으므로, 변배 렌즈(102)의 위치는 Z0인채로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원투입후의 포텐셔미터(118)의 출력과 변배 렌즈(102)의 위치와의 관계는 L4가 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온도 드리프트가 생겨도 직선의 기울기G의 변화는 미소하다. 이 때문에,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1과 변배 렌즈(102)의 위치Z0이 대응하고 있는 사실을 사용하여서,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이 P일 때 다음식을 이용하여 변배 렌즈(102)의 위치Z를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4의 관계에 따라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Z=G×(P-P1)+Z0 (3)
본 실시예의 렌즈 구동제어에 있어서는, 전원차단전의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0 및 그 때의 변배 렌즈(102)의 위치Z0을 비휘발성의 데이터로서 메모리(116)에 기억해둔다. 그리고, 다음번의 전원투입시에, 카메라MC(114)는,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1과, 상기 기억된 데이터P0를 비교한다.
P1과 P0간의 차이가, 온도 드리프트와 전기 잡음을 고려하여 결정된 검출 정밀도에 의해 정해진 임계치이하이면, 변배 링(117)의 위치θ은 전회의 위치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억된 변배 렌즈(102)의 위치Z0을 초기 위치로서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수식 3에 따라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제어한다. 한편, P1과 P0간의 차이가 임계치이상이면, 변배 링(117)이 회전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수식 1에 따라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 및 그 이후의 변배 렌즈(102)의 위치의 제어를 행한다.
수식 1과 수식 3에서, PW는 P1에 대응하고, ZW는 Z0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변배 렌즈(102)의 위치Z의 산출 처리의 파라미터로서, 한쌍의 PW와 ZW를 사용하는지, 한쌍의 P1과 Z0를 사용하는지를, 임계치와의 비교를 할 때의 초기화처리에서 결정함으로써 변배 렌즈(102)의 위치 산출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의 렌즈 이동의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카메라MC(114)가 행하는 전원차단시의 렌즈 구동제어(렌즈 제어 방법)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S"는 Step의 약어다.
S401에서는, 카메라MC(114)는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0을 A/D변환 입력부로부터 판독한다(또는 조작부재로서의 변배 링(117)의 위치를 검출한다). 다음에, S402에서, 카메라MC(114)는, 변배 렌즈(102)의 위치Z0을 줌렌즈 위치 검출부(112)로부터 판독한다(또는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검출한다).
S403 및 S404에서, 카메라MC(114)는 P0 및 Z0의 데이터를 비휘발성의 메모리(116)에 기억한다.
S405에서, 카메라MC(114)는 일반적인 촬상장치의 동작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전원을 차단한다.
도 5는, 카메라MC(114)가 행하는 전원투입시의 렌즈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S"는 Step의 약어다.
S501은 일반적인 촬상장치의 기동 처리다. S502에서는, 카메라MC(114)는 전원투입시의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1을 판독한다. S503에서는, 카메라MC(114)는 S403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전회 위치인 전원차단시의 포텐셔미터 출력P0를 판독하고, P0과 P1간의 차분을 산출한다.
다음에, S504에서, 카메라MC(114)는 산출한 차분이 포텐셔미터(118)의 검출 정밀도로부터 정해진 임계치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카메라MC(114)가 임계치이하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S505에 진행되고, 카메라MC(114)는 이후의 렌즈 위치 산출을 수식 3을 이용하기 위해서, 연산식의 파라미터로서 P1 및 Z0을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초기화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506에서, 카메라MC(114)는, 촬상장치 기동시의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로서, S404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하고 있었던 전회 전원차단시의 변배 렌즈(102)의 위치Z0를 설정하고, S509에 진행된다.
한편, S504에서, 카메라MC(114)는, P0과 P1간의 차분이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507에 진행된다. S507에서는, 카메라MC(114)는, 이후의 렌즈 위치 산출을 수식 1로 행하기 위해서, 연산식의 파라미터로서 PW(변배 링(117)의 와이드각 단 스톱퍼 위치θW에 해당함) 및 ZW(변배 렌즈(102)의 위치의 광학적인 와이드각 단ZW에 해당함)를 사용하도록 결정하는 초기화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508에서, 카메라MC(114)는, 촬상장치 기동시의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로서, S502에서 판독한 수식 1과 포텐셔미터(118)의 출력P1으로부터 산출된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설정하고, S509에 진행된다.
S509에서는, 카메라MC(114)는, S506 또는 S508에서 설정된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에 변배 렌즈(10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줌 구동부(110)를 제어해서 변배 렌즈(102)를 구동한다.
다음에, S510에서는, 카메라MC(114)는, 줌렌즈 위치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변배 렌즈(102)의 위치가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하여서, 변배 렌즈(102)의 구동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카메라MC(114)는, 구동이 아직 완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509에 되돌아가 렌즈 구동을 계속한다. 카메라MC(114)는, 구동이 완료했다고 판정되면, 촬상장치의 기동이 완료하고, 이후는 일반적인 촬상장치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상술한 것처럼, 촬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와, 변배 링(117)이 조작되지 않고 있을 때에, 전회 전원차단시에 기억된 변배 렌즈(102)의 전회 위치에 변배 렌즈(102)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변배 렌즈(102)의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생긴 화상의 배율이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제어를 변배 링(117) 대신에 포커스 링에 적용하면, 포커스 렌즈(105)의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생긴 포커싱의 흐려짐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처리를 변배 링(117)의 조작이 유효상태로부터 무효상태로 전환할 때 행해도 되고, 도 5의 처리를 변배 링(117)의 조작이 무효상태로부터 유효상태로 전환할 때에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변배 링(117)의 조작이 무효상태로 유효상태로 전환될 때와, 변배 링(117)이 조작되지 않고 있을 때에, 변배 렌즈(102)는, 전회 변배 링(117)의 조작이 유효상태로부터 무효상태로 전환될 때에 기억된 변배 렌즈(102)의 전회 위치로 이동된다. 변배 링(117)의 조작이 무효로 된다, 예를 들면 키 조작에 의해 변배도 가능한 경우에, 촬영자는 변배 링(117)이나 키 조작 중 어느 한쪽에서 변배 조작을 선택할 수 있고, 촬영자는 그 키 조작을 선택한다. 또한, 기록 장치(109)를 재생해 모니터 장치(115)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변배조작은 불필요하므로, 카메라MC(114)는, 변배 링(117)에 의한 변배조작을 무효화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블럭도이며, 참조부호 101 내지 118로 부여된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촬상장치와 같다.
참조부호 119는 변배 링(117)의 상대 위치(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상대 위치 검출부이며, 상대 값 엔코더를 구비한다. 상대 값 엔코더(119)의 출력은 카메라MC(114)에 입력된다. 상대 값 엔코더(119)는, 링이 소정각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ON, OFF의 펄스를 출력하는 타입과, 소정각도마다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타입은 예를 들면 포토인터럽터이고, 후자의 타입은 예를 들면 MR소자다.
상대 값 엔코더 중, 특히 MR소자를 사용한 엔코더는, 포텐셔미터 등의 절대치 엔코더보다도 위치 검출 정밀도를 높게 한다. 이 때문에, 수식 1 및 3과 포텐셔미터(118)의 출력을 이용하여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 보다도, 보다 미세한 분해능으로 위치를 얻을 수 있고,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대 값 엔코더는, 변배 링(117)의 상대적인 위치만을 제공할 수 있어서, 변배 링(117)의 절대적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포텐셔미터(118)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7a는, 변배 링(117)의 절대위치와 상대 값 엔코더(119)의 출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변배 링(117)의 와이드각 단 스톱퍼 위치부터 텔레포토단 스톱퍼 위치까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상대 값 엔코더의 출력 차분을 ΔE라고 한다. 상대 값 엔코더(119)에 있어서는, 변배 링(117)의 와이드각 단 및 텔레포토단의 엔코더 값은 고정되지 않지만, 차분ΔE는 일정하다.
도 7b는, 상대 값 엔코더(119)의 출력과 변배 렌즈(102)의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상대 값 엔코더(119)에서는 변배 렌즈(102)의 절대위치를 검출할 수 없지만, 촬상장치를 기동했을 때의 엔코더 값의 초기값E0과,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Z0을 결정함으로써 엔코더 값이 E일 때의 변배 렌즈(102)의 위치Z는 다음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Z=(ZT-ZW)×(E-E0)/ΔE+Z0 (4)
엔코더 값의 초기값E0는 제어 산출을 위해 편리한 임의의 값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Z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여서, 도 5의 S506, S508에서 결정된 변배 렌즈(102)의 초기 위치를 사용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E0 및 Z0을 결정해 연산식을 초기화함으로써, 수식 4에 의해 상대 값 엔코더(119)의 출력으로부터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같은 도 4 및 도 5의 처리를 실행하므로, 촬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에 변배 렌즈(10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는, 카메라MC(114)는, 포텐셔미터(118)를 사용하지 않고 상대 값 엔코더(119)가 검출한 변배 링(117)의 위치에 대응하는 변배 렌즈(102)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서 이용하여 변배 렌즈(102)를 이동하도록 줌 구동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MC(114)는, 수식 1 내지 3 대신에, 수식 4와 상대 값 엔코더(119)의 출력에 근거해 렌즈 구동 제어를 행하므로, 보다 정밀한 변배조작을 한다.
이상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포커스 링을 사용하여 포커스 렌즈(105)의 제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처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변배 링(117)의 조작을 유효상태로부터 무효상태로, 무효상태로부터 유효상태로 전환할 때에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교환 렌즈 타입인 촬상 렌즈를 사용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촬상 렌즈 및 촬상장치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렌즈(801)는, 촬상장치 본체(80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촬상 렌즈(801)는, 렌즈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렌즈 MC)(803)를 구비하고, 줌 구동부(110) 및 포커스 구동부(111)는 렌즈MC(803)에 의해 제어된다. 줌렌즈 위치 검출부(112),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113), 및 포텐셔미터(118)의 출력도, 렌즈MC(803)에 입력된다. 101로부터 118까지의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와 같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MC(803)와 MC(카메라MC)(114)는, 촬상 렌즈(801)와 촬상장치 본체(802) 사이의 마운트면에 설치된 접점 블록(804)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은, 주기마다, 이를테면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발생 주기마다 실행되고, 렌즈의 위치 데이터나 렌즈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렌즈MC(803)로부터 카메라MC(114)에 송신된다. 한편,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주밍 키의 조작 정보, 카메라 신호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자동초점조절이나 자동노출 조절을 위한 신호 정보등이 카메라MC(114)로부터 렌즈MC(803)에 송신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카메라MC(114)가 실행한 렌즈 구동 제어 처리를 렌즈MC(803)가 실행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어를, 촬상 렌즈(801)내에서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본체와 촬상 렌즈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카메라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줌렌즈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화상의 배율이 벗어나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에 교환 렌즈 타입인 촬상 렌즈를 사용한 실시예이며, 변배 링(117)의 상대적인 위치(회전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상대 값 엔코더의 출력을 렌즈MC(803)에 입력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촬상 렌즈 및 촬상장치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의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촬상 렌즈(801)는, 촬상장치 본체(80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101로부터 118, 및 801로부터 804까지의 구성요소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참조부호 119는 상기의 제2 실시예와 같은 상대 값 엔코더이며, 그 출력은 렌즈MC(803)에 입력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4 실시예에서는, 렌즈MC(803)는, 제2 실시예에서 카메라MC(114)가 실행하는 렌즈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촬상 렌즈(801)는, 제2 실시예와 같은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줌렌즈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 생긴 화상의 배율이 벗어나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 고정밀의 상대 값 엔코더 출력에 의거하여 렌즈 구동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줌 조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흐름도는, 프로세서(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9)

  1. 렌즈를 갖는 광학계;
    상기 렌즈의 이동을 광축방향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위치 검출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촬영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렌즈로서,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에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와 상기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상대 위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대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검출부의 검출 정밀도는,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의 검출 정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변배 렌즈와,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5.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위치 검출부;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촬영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
    전원차단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상태일 때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기억하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장치로서,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에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일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와 상기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 상기 제어부는,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상대 위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대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위치 검출부의 검출 정밀도는,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의 검출 정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변배 렌즈와,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전원투입 후 또는 렌즈를 이동시키도록 촬영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에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와의 차이가 임계치 이하일 때에, 상기 제어부는, 전원차단 전 또는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이 유효에서 무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와 상기 차이가 임계치보다 클 때에, 상기 제어부는, 전원투입 후 또는 상기 조작부재에 의한 조작이 무효에서 유효로 전환될 때의 상기 조작부재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렌즈의 위치인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어 방법.
KR1020110024727A 2010-03-26 2011-03-21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 KR101388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1632A JP5506489B2 (ja) 2010-03-26 2010-03-26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レンズ制御方法
JPJP-P-2010-071632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67A KR20110108267A (ko) 2011-10-05
KR101388995B1 true KR101388995B1 (ko) 2014-04-24

Family

ID=4411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27A KR101388995B1 (ko) 2010-03-26 2011-03-21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5128B2 (ko)
EP (2) EP2637054B1 (ko)
JP (1) JP5506489B2 (ko)
KR (1) KR101388995B1 (ko)
CN (1) CN102202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6489B2 (ja) 2010-03-26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レンズ制御方法
JP2013061438A (ja) * 2011-09-13 2013-04-04 Canon Inc 光学機器
JP2013156120A (ja) * 2012-01-30 2013-08-15 Canon Inc 位置検出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CN108061959A (zh) * 2017-11-27 2018-05-22 昆山慕藤光精密光学仪器有限公司 变倍镜头的精准变倍系统
JP7034755B2 (ja) * 2018-02-19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7130412B2 (ja) 2018-04-04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899A (ja) * 1996-03-08 1997-09-19 Canon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6065238A (ja) 2004-08-30 2006-03-09 Sony Corp 撮像装置及び光学系の駆動方法
JP2007272219A (ja) 2006-03-10 2007-10-18 Canon Inc 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5057B2 (ja) * 1997-03-31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
US6954313B2 (en) * 2002-10-22 2005-10-11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and lens apparatus
JP4208589B2 (ja) * 2003-01-31 2009-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3927934B2 (ja) * 2003-09-02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JP4467958B2 (ja) * 2003-11-19 2010-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EP1855950A1 (en) * 2005-02-25 2007-11-21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display features
JP4769473B2 (ja) * 2005-03-18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2007003940A (ja) * 2005-06-24 2007-01-11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US7693409B2 (en) * 2006-03-10 2010-04-06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5178186B2 (ja) * 2007-12-28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位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038176B2 (ja) * 2008-02-08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5558788B2 (ja) * 2009-11-16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
JP5506489B2 (ja) 2010-03-26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レンズ制御方法
JP4873762B2 (ja) * 2010-04-06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899A (ja) * 1996-03-08 1997-09-19 Canon Inc 撮影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6065238A (ja) 2004-08-30 2006-03-09 Sony Corp 撮像装置及び光学系の駆動方法
JP2007272219A (ja) 2006-03-10 2007-10-18 Canon Inc 光学機器、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2170B (zh) 2014-05-21
JP2011203557A (ja) 2011-10-13
EP2372430B1 (en) 2013-07-17
EP2637054B1 (en) 2019-01-02
EP2637054A1 (en) 2013-09-11
EP2372430A2 (en) 2011-10-05
US20110235188A1 (en) 2011-09-29
EP2372430A3 (en) 2012-01-25
JP5506489B2 (ja) 2014-05-28
CN102202170A (zh) 2011-09-28
US8755128B2 (en) 2014-06-17
KR20110108267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995B1 (ko) 촬상 렌즈, 촬상장치 및 렌즈 제어 방법
US8355071B2 (en) Optical system
JP5995521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948483B2 (ja) レンズ鏡筒
JP4743843B2 (ja) 光学機器
US7869703B2 (en) Optical apparatus
JP4769473B2 (ja) 光学機器
JP4218964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US8823862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5590903B2 (ja)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4094148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影装置
JP2017106954A (ja) レンズ装置、カメラ本体および光学機器
JP453292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612910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1712275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H04145404A (ja) フォーカスレンズ制御装置
JP201418628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6184227B2 (ja) レンズ鏡筒及び光学装置
JP2011130199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66454A (ja)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2016024343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