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860B1 -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860B1
KR101386860B1 KR1020137005655A KR20137005655A KR101386860B1 KR 101386860 B1 KR101386860 B1 KR 101386860B1 KR 1020137005655 A KR1020137005655 A KR 1020137005655A KR 20137005655 A KR20137005655 A KR 20137005655A KR 101386860 B1 KR101386860 B1 KR 101386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stack
adjacent
connection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219A (ko
Inventor
다카시 가네코
도모후미 요시나가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1)는, 단일의 전지(11)를 열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전지 스택(3, 5)을 연결 부재(7)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다. 연결 부재(7)는, 제1 전지 스택(3)에서 제2 전지 스택(5)까지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한쪽의 단부(13b)로 제1 전지 스택(3)을 지지하고 다른 쪽의 단부(13a)로 제2 전지 스택(5)을 지지하는 제1 연결부(13)와, 상기 제1 연결부(13)에 있어서의 제1 전지 스택(3)측의 단부(13b)로부터 제2 전지 스택(5)을 향해서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5)를 반복해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전지(1)의 전지 스택끼리(3, 5)의 간섭 방지와, 단일의 전지끼리(11)의 간섭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전지{BATTERY PACK}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등에 설치되는 조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단일의 전지를 열 방향(전지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전지 스택을 구성한 조전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조전지에 있어서는, 전지 스택을 상기 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열로 병설하는 동시에, 상기 직교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를 평면에서 볼 때 X자 형상의 연결 브래킷으로 결합하고 있다. 이 연결 브래킷에 의해, 상기 직교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1918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전지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를, 평면에서 볼 때 X자 형상의 연결 브래킷을 사용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전지에,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를 근접시키는 직교 방향으로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연결 브래킷에 연결된 단일의 전지끼리가 열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섭하여, 전지가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전지 스택에 있어서의 단일의 전지끼리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일의 전지를 열 방향으로 복수 배치해서 전지 스택을 구성하고, 이 전지 스택을, 상기 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서 복수열로 배치해서 전지 스택 군을 구성하고, 이들 전지 스택 중 소정의 전지 스택과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에 인접하는 다른 전지 스택을, 연결 부재를 통해서 결합한 조전지이다.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으로부터 상기 인접하는 다른 전지 스택까지 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한쪽의 단부로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을 지지하고 다른 쪽의 단부로 상기 인접하는 전지 스택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중 적어도 한 쌍의 인접하는 제1 연결부간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제1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상기 제1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접하는 다른 전지 스택측의 단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전지 스택에 있어서의 단일의 전지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전지에 대하여 직교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연결 부재의 제1 연결부에는, 직교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가 직교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스택끼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전지에 대하여 열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연결 부재의 제2 연결부에는, 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단일의 전지끼리가 열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끼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 방향과 직교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동시에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인접하는 전지 스택끼리의 간섭 방지에 더하여, 단일의 전지끼리의 간섭 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조전지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연결 부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지지 브래킷과 연결 부재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지지 브래킷의 상단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조전지에 대하여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의 반력을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하는 조전지(1)는, 2열로 배치된 전지 스택(3, 5)으로 이루어지는 전지 스택 군(6)과, 상기 전지 스택 군(6)의 전지 스택(3, 5)을 결합하는 연결 부재(7)와, 상기 연결 부재(7)에 의해 결합된 전지 스택(3, 5)을 수용하는 하우징(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9)의 덮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전지 스택 군(6)을 구성하는 전지 스택은, 2열에 한정되지 않고, 3열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전지 스택(3, 5)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단일의 전지(11)를, 상기 전지(11)의 두께 방향(열 방향)으로 복수열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전지(11)의 면 방향]을 따라, 상기 전지 스택(3, 5)을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치된 제1 전지 스택(3)[소정 전지 스택(3)]과, 이 제1 전지 스택(3)의 좌측에 인접해서 배치된 제2 전지 스택(5)[인접하는 전지 스택(5)]을 배치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7)는, 평면에서 볼 때 Z자 형상의 연결부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 접속시켜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지 스택(3)측으로부터 제2 전지 스택(5)측으로 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3)와, 상기 제1 연결부(13)에 있어서의 제1 전지 스택(3)측의 단부로부터 제2 전지 스택(5)을 향해서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5)를 반복해서 일체로 접속함으로써 연결 부재(7)가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15)에 있어서의 제2 전지 스택(5)측의 단부(15a)는, 제1 연결부(13)에 있어서의 제2 전지 스택(5)측의 단부(13a)와 일치한다. 또한, 제1 연결부(13)와, 상기 제1 연결부(13)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15)와, 상기 제2 연결부(15)에 연결되는 다른 제1 연결부(13)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Z자 형상의 연결부가 구성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연결 부재(7)에서는, 상기 제2 연결부(15)는, 복수의 제1 연결부(13) 중 모든 인접하는 제1 연결부간(13, 13)에 설치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모두가 같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2 연결부(15)의 연장 방향 B와 상기 직교 방향과는, 각도 θ로 교차하고 있다. 이 각도 θ는, 90° 미만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13)의 좌우 양단부(13a, 13b)에는, 지지 구멍(17, 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구멍(17, 17)에 지지 브래킷(19)의 지지 핀(21)을 삽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체결 부재를 사용해서 연결 부재(7)를 지지 브래킷(19)에 고정한다. 그리고, 연결 부재(7)에 있어서의 제2 연결부(15)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출부(23)에 의해 제2 연결부(15)의 길이 방향 단면은, 햇(ha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3)에는, 연결 부재(7)의 길이 방향[전지 스택(3, 5)의 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타원 형상의 관통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브래킷(19)은, 단일의 전지(11, 11)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어 있고, 지지 브래킷(19)에 의해 전지 스택(3, 5)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전지(11)의 선단에는, 단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19)은, 전지끼리(11, 11)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본체부(27)와, 상기 본체부(27)의 상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9)와, 상기 연결부(29)의 하단부로부터 열 방향으로 굴곡해서 연장되는 지지부(31)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1)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지 핀(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 핀(2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의 지지 구멍(17)이 삽입 및 체결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19)에 있어서의 연결부(29)의 근원부(33)의 하측에, 상방을 향해 오목한 원호 형상의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5)에 의해 근원부(33)가 취약해져,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27)에 대하여 연결부(29)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31)는, 연결부(29)의 하단부로부터 열 방향으로 굴곡해서 연장되어 있고,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하단부가 굴곡부(37)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37)를 경계로 해서 지지부(31)가 연결부(2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조전지(1)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7)의 반력을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1)에 대하여 직교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 f1이 입력되면, 좌우의 전지 스택끼리(3, 5)가 조금이지만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전지 스택(3, 5)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9) 및 지지 핀(21)도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 핀(21)이 연결 부재(7)의 지지 구멍(17)의 주연을 가압한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의 제1 연결부(13)는, 직교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압축되므로,이 압축력에 반발하도록, 직교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 F1(도 8의 화살표 참조)이 발생한다.
한편, 도 1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1)에 대하여 열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 f2가 입력되면, 좌우의 전지 스택(3, 5)을 구성하는 단일의 전지(11)이 조금이지만 열 방향을 향해서 이동한다.
그렇게 되면, 전지 스택(3, 5)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9) 및 지지 핀(21)도 열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 핀(21)이 연결 부재(7)의 지지 구멍(17)의 주연을 가압한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7)의 제2 연결부(15)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압축되므로, 이 압축력에 반발하도록, 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 F2(도 8의 화살표 참조)가 발생한다.
또한, 도 1의 하중 f1과 f2가 동시에 조전지(1)에 입력된 경우에는, 도 8의 F1과 F2의 합력 F3이 반력이 된다.
상기 반력 F1에 따르면, 좌우의 전지 스택끼리(3, 5)가 직교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력 F2에 따르면, 단일의 전지끼리(11, 11)가 열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력 F3에 따르면, 좌우의 전지 스택(3, 5)이 직교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더하여, 단일의 전지(11, 11)가 열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전지(1)는, 단일의 전지(11)를 열 방향으로 복수 배치해서 이루어지는 전지 스택(3, 5)을, 상기 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하고, 소정의 전지 스택인 제1 전지 스택(3)과, 이에 인접하는 전지 스택인 제2 전지 스택(5)을, 연결 부재(7)를 통해서 결합한 조전지(1)이다.
상기 연결 부재(7)는, 제1 연결부(13)와 제2 연결부(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부(13)는, 제1 전지 스택(3)으로부터 제2 전지 스택(5)까지 직교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한쪽의 단부(13b)로 제1 전지 스택(3)을 지지하고 다른 쪽의 단부(13a)로 제2 전지 스택(5)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연결부(15)는, 제1 연결부(13)에 있어서의 제1 전지 스택(3)측의 단부(13b)로부터 제2 전지 스택(5)을 향해서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조전지(1)에 대하여 직교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 f1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연결 부재(7)의 제1 연결부(13)에는, 직교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 F1이 발생한다. 또한, 조전지(1)에 대하여 열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 f2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연결 부재(7)의 제2 연결부(15)에는, 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해서 반력 F2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하중 f1과 f2가 동시에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반력 F1과 F2의 합력 F3이 발생한다.
상기 반력 F1에 따르면, 좌우의 전지 스택끼리(3, 5)가 직교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 스택끼리(3, 5)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력 F2에 따르면, 단일의 전지끼리(11, 11)가 열 방향으로 근접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끼리(11, 1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력 F3에 따르면, 좌우의 전지 스택(3, 5)의 간섭 방지에 더하여, 단일의 전지(11, 11)의 간섭 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2) 상기 제2 연결부(15)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13) 중 모든 인접하는 제1 연결부간(13, 13)에 설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모두가 같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조전지(1)에 대하여 열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 f2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5)의 연장 방향 B(도 3 참조)를 따라 반력 F2가 발생한다. 여기서, 제2 연결부(15)는, 모든 인접하는 제1 연결부간(13, 1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8에 있어서 연결 부재(7)의 우측의 반력 F2는 모두, 도 8의 우측 상방향을 향해 비스듬히 향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연결 부재(7)의 좌측의 반력 F2는 모두, 도 8 좌측 하방향을 향해 비스듬히 향한다. 이와 같이, 제1 전지 스택(3)을 구성하는 단일의 전지(11)에는 모두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반력 F2가 작용하고, 제2 전지 스택(5)을 구성하는 단일의 전지(11)에도 모두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반력 F2가 작용한다. 따라서, 단일의 전지가 열 방향으로 근접하여 간섭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제1 전지 스택(3) 및 제2 전지 스택(5)의 각각에 지지 브래킷(19)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 브래킷(19, 19)을 상기 연결 부재(7)를 통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 지지 브래킷(19)에 의해, 연결 부재(7)에 의한 전지 스택(3, 5)의 결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4) 상기 지지 브래킷(19)은, 단일의 전지(11, 11)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 본체부(27)와, 상기 연결 부재(7)에 지지된 지지부(31)와, 이들 본체부(27) 및 지지부(31)를 연결하는 연결부(29)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29)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전지(1)에 대하여 하중 f1, f2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연결부(29)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중 f1, f2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5)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연결부(29)의 단부로부터 굴곡해서 연장되는 동시에, 이 굴곡부(37)를 경계로 하여 연결부(29)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전지(1)에 대하여 하중 f1, f2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지지부(31)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하중 f1, f2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6) 상기 연결 부재(7)의 제2 연결부(1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관통 구멍(25)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15) 중, 상기 관통 구멍(25)의 근방부가 취약해진다.
이로 인해, 제2 연결부(15)에 길이 방향의 압축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제2 연결부(15)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 구멍(25) 근방부의 탄성 변형량이 커져, 하중 f1, f2에 의한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7) 상기 연결 부재(7)의 제2 연결부(1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간부를 연결 부재(7)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제2 연결부(15)의 길이 방향 단면을 햇(hat)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15)에 길이 방향의 압축 하중이 입력되었을 경우에, 제2 연결부(15)는, 돌출시킨 상방측을 향해서 굴곡 변형하기 쉬워져, 하중 f1, f2에 의한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32324호(출원일:2010년10월15일)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이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에 관한 조전지에 따르면, 적층한 전지 스택을 복수 배열할 때에, 인접하는 전지 스택 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지 스택에 있어서의 단일의 전지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1 : 조전지
3 : 제1 전지 스택(소정의 전지 스택)
5 : 제2 전지 스택(인접하는 전지 스택)
6 : 전지 스택 군
7 : 연결 부재
11 : 전지
13 : 제1 연결부
15 : 제2 연결부
19 : 지지 브래킷
23 : 돌출부
25 : 관통 구멍
27 : 본체부
29 : 연결부
37 : 굴곡부

Claims (7)

  1. 단일의 전지를 열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스택을, 상기 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한 전지 스택 군과,
    상기 전지 스택 군에 있어서의 소정의 전지 스택과,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에 인접하는 전지 스택을 결합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으로부터 상기 인접하는 전지 스택까지 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한쪽의 단부로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을 지지하고 다른 쪽의 단부로 상기 인접하는 전지 스택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중 적어도 한 쌍이 인접하는 제1 연결부 간에 있어서, 한쪽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측의 단부와, 다른 쪽의 상기 제1 연결부의 상기 인접하는 전지 스택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연결부 중 모든 인접하는 제1 연결부 간에 설치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직교 방향에 대하여 모두가 같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지 스택 및 상기 인접하는 전지 스택의 각각에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 브래킷을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서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래킷은, 상기 단일의 전지끼리의 사이에 끼움 지지된 본체부와, 상기 연결 부재에 지지된 지지부와, 이들 본체부 및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로부터 굴곡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이 단부의 굴곡부를 경계로 하여 상기 지지부를 연결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연결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제2 연결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간부를 연결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제2 연결부의 길이 방향 단면을 햇(hat)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전지.
KR1020137005655A 2010-10-15 2011-10-06 조전지 KR101386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2324 2010-10-15
JP2010232324 2010-10-15
PCT/JP2011/073055 WO2012050038A1 (ja) 2010-10-15 2011-10-06 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219A KR20130043219A (ko) 2013-04-29
KR101386860B1 true KR101386860B1 (ko) 2014-04-17

Family

ID=4593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655A KR101386860B1 (ko) 2010-10-15 2011-10-06 조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6265B2 (ko)
EP (1) EP2629349B1 (ko)
JP (1) JP5500262B2 (ko)
KR (1) KR101386860B1 (ko)
CN (1) CN103081168B (ko)
WO (1) WO20120500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0265B2 (ja) * 2013-02-27 2017-0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の取付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042A (ja) * 1989-11-10 1991-07-0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蓄電池の設置方法
JPH06338304A (ja) * 1993-05-28 1994-12-06 Sony Corp 単電池および組電池構造体
JPH09219181A (ja) * 1996-02-13 1997-08-19 Sony Corp 平角型電池および平角型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320B2 (ja) * 1994-01-14 2001-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ボックスのバッテリー固定装置
JP5332135B2 (ja) * 2007-05-16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WO2009016491A2 (en) * 2007-08-02 2009-02-05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ssembly
EP2266154B8 (en) * 2008-04-14 2015-08-26 A123 Systems LLC Flexible voltage nested battery module design
JP2010009809A (ja) * 2008-06-25 2010-01-14 Toyota Motor Corp 電源装置及び車両
EP2324521A4 (en) * 2008-09-09 2013-10-23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WASHER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BATTERY MODULE
JP5506221B2 (ja) 2009-03-26 2014-05-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ZnO系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1050318B1 (ko) * 2009-04-16 2011-07-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5042A (ja) * 1989-11-10 1991-07-0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密閉形蓄電池の設置方法
JPH06338304A (ja) * 1993-05-28 1994-12-06 Sony Corp 単電池および組電池構造体
JPH09219181A (ja) * 1996-02-13 1997-08-19 Sony Corp 平角型電池および平角型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9349B1 (en) 2016-09-21
CN103081168B (zh) 2016-04-20
JPWO2012050038A1 (ja) 2014-02-24
WO2012050038A1 (ja) 2012-04-19
US9356265B2 (en) 2016-05-31
EP2629349A1 (en) 2013-08-21
EP2629349A4 (en) 2015-09-02
KR20130043219A (ko) 2013-04-29
CN103081168A (zh) 2013-05-01
JP5500262B2 (ja) 2014-05-21
US20130171488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0851B (zh) 电池组
EP2805875B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6287384B2 (ja) 蓄電装置
CN103262325B (zh) 燃料电池堆
CN108735933B (zh) 抽屉式电池组
US20170237053A1 (en) On-Vehicle Battery Pack
US9337460B2 (en) Battery module
JP2019016502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2015049932A (ja) 電池パックの電池内配線モジュール
JP6310990B1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固定構造
JP6584457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386860B1 (ko) 조전지
JP6310989B1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固定構造
JP7172842B2 (ja) 蓄電装置
KR20220126132A (ko) 차량의 배터리 탑재 구조
JP2010272263A (ja) 車両用燃料電池
CN113131058A (zh) 电池组
JP7188284B2 (ja) 電池ケース
JP2018110048A (ja) 車両搭載用の電池パック
JP7354734B2 (ja) ブラケット
KR20220126134A (ko) 차량의 배터리 케이스
US2023025704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210367304A1 (en) Combination of container and mountable component, and container
JP2022115365A (ja) 蓄電装置
JP2024010720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