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543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543B1
KR101385543B1 KR1020127023404A KR20127023404A KR101385543B1 KR 101385543 B1 KR101385543 B1 KR 101385543B1 KR 1020127023404 A KR1020127023404 A KR 1020127023404A KR 20127023404 A KR20127023404 A KR 20127023404A KR 101385543 B1 KR101385543 B1 KR 10138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pplication
addition
wa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870A (ko
Inventor
마리코 오에
쿠미코 키쿠치
모토히로 야나이
유지 마스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9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20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9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325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11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5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spectroscopy, i.e. measuring spectra, e.g. Raman spectroscopy,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738Diffuse reflection, e.g. also for testing fluids, fibrous materials
    • G01N21/474Details of optical heads therefor, e.g. usin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5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5Integrating sphe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있어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하기 위한 조명장치로서, 피사체의 얼굴 전체 부분을 수용하고 대략 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구형상의 면에 있어서 피사체의 좌우 대상인 위치에 각각 1 또는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공간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2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한 광이 조사된 상기 얼굴 전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앞에 설치되고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 1 필터,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의 앞에 설치되고 광량을 조정하는 제 2 필터 및 상기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대응시킨 밴드패스필터링을 실시하는 제 3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발명은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높은 정밀도로 촬영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얼굴의 수분변화를 가시화하기 위하여, 근적외카메라를 이용하여 2매의 근적외 분광화상으로 얼굴 표면에 도포한 보습액을 가시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기술은 파장이 900~1700nm까지 감도를 갖는 InGaAs 근적외카메라(Sensors Unlimited, Inc. SU320M-1.7RT)를 이용하여 얼굴을 계측하고, 취득한 2매의 근적외 분광화상을 이용하여 차분 흡광도화상으로 변환함으로써 얼굴에 도포한 보습액만의 가시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근적외를 이용하여 피부수분량을 감별하는 수법도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기술은 1050~1650nm의 근적외 파장역에 대하여 피부의 복수점의 반사강도를 얻는 공정과, 미리 준비한 피부수분량과 근적외 파장역의 반사강도의 관계를 나타낸 예측식에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반사강도를 대입하여 복수점의 피부수분량을 얻는 공정과, 이렇게 얻어진 복수점의 피부수분량으로부터 피부수분량 분포를 감별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5622호
「2매의 근적외 분광화상을 사용한 얼굴의 수분변화의 가시화」, 이와사키히로아키 외, 일본광학회(응용물리학회), Optics Japan 2005 Tokyo, 2005년 11월 23~25일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1에서는 얼굴에 물이 강하게 흡수되는 파장은 1460nm이며, 얼굴에 물이 흡수되지 않는 파장은 1060nm인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도, 1050~1650nm의 파장영역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은 1450nm부근에 존재하는 물의 흡수파장 전후의 근적외 파장역에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OH기)은 1920nm부근에서도 강하게 흡수되고, 나아가 기름(CH기)에 대하여도 1750nm부근이나 2230~2400nm부근에서 흡수된다. 이들의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이나 유분에 대한 화상을 높은 정밀도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수법은 아직 개시되어 없다. 상술한 파장의 화상을 높은 정밀도로 촬영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 조명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특허문헌 1은 자외영역이나 가시영역에 대한 소위 컬러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조명기구에 대하여만 개시하고 있다. 즉, 근적외영역에 대하여 광원을 적절히 피사체로 조사하는 것에 관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피부에 대한 물이나 기름의 흡수가 강한 부분을 복수개 이용하여 피부에 대한 해석, 평가, 나아가서는 피부의 카운셀링 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수법에 대하여서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이용하여 피부 등의 해석을 높은 정밀도로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명장치,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평가방법 및 화상해석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조명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있어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하기 위한 조명장치 로서, 피사체의 얼굴 전체 부분을 수용하고 대략 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구형상의 면에 있어서 피사체의 좌우 대상인 위치에 각각 1 또는 복수개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의 공간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2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의한 광이 조사된 상기 얼굴 전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의 앞에 설치되고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 1 필터,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의 앞에 설치되고 광량을 조정하는 제 2 필터 및 상기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대응시킨 밴드패스필터링을 실시하는 제 3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발명에 의하면,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피부 등의 수분변화의 해석이나 화장료의 부착상태의 변화의 해석을 높은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근적외영역에 있어서의 피부의 흡수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터의 슬라이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색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색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가 실현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종래의 조명장치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의 촬영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화장수 도포전후의 피부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물 1」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물 2」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유액의 도포전후의 피부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물 1」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기름」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물 2」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헤어트리트먼트의 도포전후의 두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선택범위 의사컬러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응하는 선택범위 의사컬러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발명의 평가방법의 실시예 1에 있어서 2개의 샘플의 도포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촬영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예 1의 조건에서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발명의 평가방법의 실시예 2의 조건으로 얻어지는 화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2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화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예 2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화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예 2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화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발명은 파장영역이 800~2500nm까지 촬영가능한 근적외카메라에 의해 피사체의 얼굴이나 손, 팔, 다리 또는 모발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피사체 각부의 화상을 높은 정밀도로 취득하기 위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460nm부근의 물의 흡수특성뿐만 아니라, 1750nm부근의 기름의 흡수특성, 1920nm부근의 물의 강한 흡수특성 및 2230~2400nm부근의 복수의 기름의 강한 흡수특성에 대한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피부의 수분변화나 화장료의 부착상태의 변화의 해석이나 평가를 실시한다.
도 1은 근적외영역에 있어서의 피부의 흡수특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그래프의 가로축은 측정파장(nm)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흡광도(Absorbance, A/W)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물, 파르티민산, 글리세린에 있어서 촬영되는 파장에 대한 흡수특성을 도 1(a)~(d)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a)는 물의 흡수특성을 나타고, 도 1(b)는 파르티민산의 흡수특성을 나타내고, 도 1(c)는 글리세린의 흡수특성을 나타내고, 도 1(d)는 피부의 흡수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1(i)에 나타낸 특성범위는 시판되는 카메라(예를 들어, 「FLIR SYSTEMS사 제품, ALPHA NIR 카메라」나, 「XenlCs사 제품 XEVA 시리즈 InGaAs 근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촬영가능한 근적외영역을 나타낸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예를 들어, 스미토모전기공업(주) 제품 등)는 1000nm~2500nm정도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판되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역에는 상술한 종래기술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1460nm부근에서 물의 강한 흡수가 있다(도 1(d)에 있어서 영역 A). 그러나, 영역 A의 대역에는 기름(파르티민산)이나 보습제(글리세린)의 특성의 피크와 겹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장품을 도포한 경우에는 그 성분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므로, 그 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정확한 피부해석 등을 실시할 수 없다.
여기서, 도 1(d)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의 흡수특성에서는 약 1460nm부근외에도 약 1920nm부근에서 물에 의한 강한 흡수특성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름의 흡수특성에서는 약 1700~1800nm부근에 흡수특성이 존재하고, 나아가 약 2230~2400nm부근에서도 강한 흡수특성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에서는 물에 대하여 약 1460nm부근의 화상외에도, 약 1920nm부근에서 물만의 화상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 근적외영역의 화상도 취득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기름에 대하여 약 1700~1800nm부근 및 약 2230~2400nm부근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물(OH기)과 기름(CH기)의 두 화상을 취득하고, 그 화상을 1 또는 복수개 이용하여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장수나 유액 등의 피부외용제를 도포한 피부상태를 화상위에 나타내어 도포불균일 평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본실시형태에서 취득되는 화상을 촬영하는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는 피부의 일례로서 얼굴의 피부를 촬영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본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손이나 팔 그 외에 대용피부(예를 들어, 돼지피부, 인공피부, 우레탄)나 모발, 손톱 등 수분이나 유분을 평가하기 위한 모든 것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조명시스템(10)은 대략하면 조명장치(11)와 화상해석장치(12)로 구성된다. 조명장치(11)와 화상해석장치(12)는 케이블(13) 등을 구비하고 서로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된다.
조명장치(11)는 해석대상인 피사체의 얼굴을 세팅하고, 구형상체내로 조사되는 소정의 광원에 의해 얼굴의 소정 부위에 조명을 조사하고, 그 화상을 카메라 등에 의해 취득한다. 이 때, 본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있어서 촬영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는 밴드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을 실시하여 소정의 근적외영역에 있어서의 화상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조명장치(11)에 의해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촬영할 때에 얼굴 화상과 함께 색표를 촬영한다. 또한, 색표는 조명장치(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즉, 본실시형태에서는 촬영되는 화상에 피사체의 얼굴뿐만 아니라 색표도 나타나도록 촬영한다. 이로써, 촬영된 화상에 대하여 색표를 이용하여 화상을 보정할 수가 있으므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색표는 1 또는 복수개 구비할 수 있고, 복수개 구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촬영시에 사용되는 광원의 파장에 대응하는 색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11)는 촬영하는 카메라의 렌즈에 편광필터 등을 설치하여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11)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상해석장치(12)는 조명장치(11)에 의해 촬영된 소정의 근적외영역 화상을 복수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피부의 물, 기름에 관한 화상의 해석·평가를 실시한다. 이로써, 화장수나 보습제 등의 피부외용제를 도포했을 때의 피부상태나 도포불균일을 화상으로 가시화하여 출력함으로써, 높은 정밀도의 해석이나 평가 혹은 그 결과의 표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피부해석장치(12)는 범용적인 퍼스널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해석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발명에 있어서의 피부외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용액계나 가용화계, 유화계, 분말분산계, 물-기름의 2층계, 물-기름-분말의 3층계 등의 전반에 본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그 용도도 화장수나 유액뿐만이 아니라, 크림이나 팩 등의 기초화장품, 립스틱이나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화장료, 샴푸나 린스, 염모제 등의 두발용제품, 자외선차단제 등의 특수화장품 등의 넓은 분야에 이른다.
다음으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C는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A~도 3C는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11)의 화살표 A, B, C의 각방향에서 본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조명장치(11)는 베이스(20)의 위에 형성된 대략 구형상의 돔(케이싱)(21), 적어도 1개의 광원(22), 턱받침부재(23),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24), 슬라이드기구로서 슬라이드레일(25) 및 카메라용 베이스(26)가 그 구성의 일부로서 나타난다.
도 2 및 도 3A~도 3C에 나타낸 조명장치(11)에 있어서, 돔(21)은 대략 구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구형상의 돔(21)의 내부는 비어 있다. 또한, 돔(21)은, 예를 들어,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40cm~90cm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이와 같이 돔(21)의 형상을 구형상으로 함으로써, 내부의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확산하여 효율적으로 피사체의 얼굴에 균일하게(플랫하게) 광을 조사시킬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적분구의 돔형상으로 함으로써, 피사체의 피부표면에서의 정반사광(번들거림)을 억제할 수 있어 높은 정밀도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돔(21)의 재질로서는 발포스티롤이나 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본발명 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돔(21)의 내부에서 광이 확산하여 피사체의 얼굴에 효율적으로 또한 균일하게 조사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돔(21)의 내면(반사면, 확산면)으로는, 예를 들어, 은면, 알루미늄특수합금 전해연마면, 유리경면(알루미늄 합금), 수은, 금, 백금, 구리 등의 정반사성 재료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백색 페인트, 에나멜, 백지, 백색 타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돔(21)의 내면이 동일한 도료로 몇차례 덧칠되어 있다.
돔(21)의 내면을 도장할 때에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 타입이나 펜 타입 등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도료는 아크릴계, 라카계, 에나멜계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5종류 정도, 조성이 상이한 도료를 이용하여 근적외영역의 분광반사율을 측정하고, 근적외영역 모두에 걸쳐 분광반사율의 변화가 적고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도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돔(21)의 내면은 분광특성이 적어도 1000nm~2500nm의 계측파장영역에 있어서 분광반사율이 약 80~100%의 사이에서 추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돔(21)내에는 광원(22-1, 22-2)으로부터의 광이 직접 피사체에 조사되어 얼굴에 조사되는 광의 편차를 없애기 위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앞 차광판(30-1, 30-2)이 형성된다. 또한, 도 3C에 나타낸 광원앞 차광판(30-1, 30-2)은 광원(22-1, 22-2)에 대하여 양측에 배치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사체측에만 차광판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차광판(30)은 돔(21)의 내면상에 설치되고, L자형 혹은 초승달형상, 반원형상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카메라(24)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가 가려지지 않도록 설치된다.
나아가, 도 3A~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돔(21)에는 렌즈앞 차광판(31)이 형성된다. 렌즈앞 차광판(31)은 원통형의 통이며, 통내부는 근적외영역 흡수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렌즈앞 차광판(31)을 형성함으로써 미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렌즈앞 차광판(31)은, 예를 들어, 내측이 근적외영역 흡수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흡수소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네오프렌 고무 스펀지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소재이어도 된다.
또한, 돔(21)은 움직이지 않도록, 예를 들어, 강력 자석, 수지제 고정구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광원(22)은 베이스(20)상에 설치된 돔(21)의 내부에 직접 광원을 조사한다. 또한, 광원(22)의 수는 적어도 1개 구비되어 있으면 된다(도 2 및 3의 경우에는, 얼굴의 좌우에 2개). 또한, 광원의 설치위치는 조사에 의한 피사체의 얼굴의 그림자 위치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돔(21)내에 있어서의 광원(22)의 배치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광원(22-1, 22-2)은 근적외영역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광원(22-1, 22-2)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와사키전기(주)의 제품인 JD110V50W/P/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발명에 있어서의 광원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백열전구·할로겐전구 등의 온도조사광원이나, 고압수은램프, 셀프 발라스트 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고압나트륨램프 등의 고압방전램프(방전발광색원), 형광램프, 저압나트륨램프 등의 정압방전램프(방전발광색원), EL(Electroluminescence),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전계발광색원, SC광원(Supercontinuum Light Sour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할로겐램프나, 양꼭지쇠형 할로겐, PAR 램프, 다이크로익 미러 등을 대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램프에 대하여는, 일반조명용 램프나 리플렉스카메라램프, 크립톤램프, 수은램프, 바라스트레스 수은램프(쵸크리스), 고압나트륨램프, 메탈할라이드램프, HQI램프 등으로 대용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근적외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할로겐광원 또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2개의 광원은 각각 같은 대역을 낼 수 있지만, 그 재질의 성질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할로겐광원과 LED는 광이 확산되는 방식이 상이하고, LED가 할로겐광원보다 직선성이 있다. 또한, LED는 할로겐광원보다 열량의 방출이 적다. 그 때문에, 본실시형태에서는 할로겐광원과 LED의 어느 쪽의 광원을 사용할지는 촬영대상이나 촬영하는 목적, 촬영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조명장치(11)에서는 광원(22)의 설치위치가 상하좌우로 범용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슬라이드부재나 아암부재 등이 장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로써, 종횡으로 자유롭게 광원을 이동시킬 수 있고, 나아가 카메라와 횡방향으로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로 광원을 고정시킬 수 있다.
턱받침부재(23)는 피사체가 돔(21)의 내부에서 진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고정시키기 위한 유지부재이다. 또한, 턱받침부재(23)는, 예를 들어,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받침대(32) 등을 설치하여 턱을 받침대(32) 위에 올려 놓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턱받침부재(23)는 턱을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턱유지부재(3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턱받침부재(23)는 받침대(32)의 높이조절이나 좌우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고, 예를 들어, 카메라(24) 등으로부터 촬영된 화상을 화상해석장치(12)의 디스플레이상에서 표시하고, 카메라의 중심과 얼굴의 상하좌우의 위치를 조정가능한 스케일 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턱받침부재(23)는 피사체의 정면화상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 옆, 혹은 뒤를 향하게 하여 측면 화상이나 두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구성 또는 이동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도 3A에 나타낸 얼굴을 삽입하는 개구부(34)에 대하여는 피사체가 얼굴을 개구부(34)로부터 돔(21)내로 넣은 후, 개구부(34)와 머리의 간극으로부터 광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스펀지, 쿠션 등의 탄성부재로 주위를 덮음으로써, 돔(21)의 내부의 광원(22)에 의한 광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24)는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24-1, 24-2)를 구비한다. 또한, 카메라(24-1)로서는 근적외카메라(예를 들어, 스미토모 전기공업(주) 제품 등)를 사용할 수 있고, 카메라(24-2)로서는 가시카메라(예를 들어, Nikon사 제품 D50, 60mm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4-1) 및 카메라(24-2)는 슬라이드기구로서의 슬라이드레일(25)이 형성되어 있고, 각 카메라(24-1, 24-2)에 장착한 렌즈로부터 피사체가 보이는 위치로 슬라이드시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실시형태에서는 촬영하는 목적의 파장대역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24-1, 24-1)는 카메라용 베이스(26)에 형성된 슬라이드기구에 의해 돔(21)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4-1)는 상술한 소정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약 800~2500nm부근의 파장대역에 있어서의 화상을 취득가능한 근적외카메라(예를 들어, 스미토모 전기공업(주)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4)에 장착되는 렌즈는, 예를 들어, 후지논(주) 제품 25mm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얼굴 화상의 표면 반사 등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표면의 반짝거림을 억제하여 선명한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편광필터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편광필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카메라(24-2)는, 예를 들어, 카메라(24-1)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전 또는 후에 동일한 피사체의 동일한 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가시카메라이다. 이로써, 카메라(24-1)로 촬영된 수분이나 유분 화상을 카메라(24-2)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에 겹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광원의 앞이나 렌즈의 앞에 밴드패스필터를 설치하고, 소정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본실시형태는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으로부터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필터를 슬라이드시켜 자동으로 전환되는 기구가 형성되어도 되고, 촬영할 때마다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이동시켜 필터의 전환을 실시해도 된다.
여기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터는 광원(22-1, 22-2)과 피사체 사이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1 필터(35-1, 35-2),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과 카메라(렌즈)의 사이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2 필터(36) 및 제 3 필터(37)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필터(35)는, 예를 들어, UVA 컷, 적외선감쇠필터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SCHOTT사 제품인 GG395(예를 들어, 두께 약 3mm, 약 100×100m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제 2 필터(36)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밴드패스필터(제 3 필터(37))와 겹쳐 사용하는 ND필터이다. ND필터는 렌즈에 들어가는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필터이며, 밴드패스필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광량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 2 필터(36)와 제 3 필터(37)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 등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각각의 필터를 슬라이드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필터 슬라이드기구(38)를 구비한다(도 3C). 도 3C에 나타낸 필터 슬라이드기구(38)를 형성함으로써, 렌즈 앞의 제 2 필터(36) 및 제 3 필터의 종류 및 필터의 유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터의 슬라이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2 필터(36), 제 3 필터(37)가 겹쳐진 상태로 필터 슬라이드기구에 배치된다. 필터 슬라이드기구(38)는 5개의 개구부(39-1~39-6)를 갖는다. 이들 개구부에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의 파장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제 2 필터(36) 및 제 3 필터(37)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개구부(39-1)에는 약 1300nm부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39-2)에는 약 1460nm부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39-3)에는 약 1750nm부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39-4)에는 약 1920nm부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어 있고, 개구부(39-5)에는 2300nm부근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개구부(39-6)는 어떠한 세팅도 되어있지 않고, 이것은 필터가 없는 상태에서 촬영할 때에 사용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슬라이드기구(38)를 도 4에 나타낸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 앞의 필터를 변경하고, 그 변경된 필터를 이용하여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화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동작은 미리 슬라이드 제어기구를 설치하여 두어 자동으로 실시하여도 되고, 사용자 등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기구에 기재된 기준이 되는 파장대역(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1300, 1500, 1700, 1900, 2300)을 참조하면서 수동으로 슬라이드에 의해 변경시켜도 된다.
여기서, 필터의 종류나 수, 필터 슬라이드기구(38)에 있어서의 개구부(39)의 위치나 슬라이드의 방향, 제 2 필터(36)에 있어서의 조정되는 광량, 제 3 필터(37)에 있어서의 설치위치, 밴드패스의 조건 등에 대하여는, 본발명에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슬라이드기구를 원형으로 하여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에 의해 필터를 변경시키는 것과 같은 기구로 하여도 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밴드패스필터를 사용하여 소정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하지만, 그 파장에 의해 투과광량이 상이하므로 렌즈의 조정 등, 카메라 설정을 가능한한 바꾸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ND필터(제 2 필터)를 복수의 밴드패스필터(제 3 필터)에 대응시켜 복수개 준비하고, 적절히 전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광량의 감쇠 등을 실시하고, 광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ND필터로서는, 예를 들어, SCHOTT사 제품인 NG5(예를 들어, 직경 25.4mm의 원, 두께 1m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밴드패스필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근적외대역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제 3 필터(37)는, 예를 들어, Spectrogon사 제품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 필터(37)의 영역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되는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약 1100~1360nm정도의 대역에서 얻어지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심파장이 약 1300nm±40nm정도인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물의 흡수특성이 강한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d)에 있어서 영역 A에 대한 화상을 취득할 때에는, 예를 들어, 약 1300~1640nm정도의 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이 약 1460nm±45nm정도인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보다 감도가 좋은 물의 흡수특성이 강한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d)에 있어서 영역 B에 대한 화상을 취득할 때에는, 예를 들어, 약 1860~2200nm정도의 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이 약 1920nm±55nm정도, 약 1950nm±56nm정도인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도 1(b)에 있어서 영역 C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름의 흡수특성이 강한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1700~1860nm정도의 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이 1775nm±50nm 혹은 1755nm±20nm정도인 화상을 취득한다. 나아가, 도 1(b)에 있어서 영역 D로 나타낸 바와 같은 기름의 흡수특성이 강한 화상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약 2230~2400nm정도의 대역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이 2345nm±50nm정도인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영역 D에는 복수의 피크가 존재하므로 그 중의 하나의 파장을 사용한 화상을 취득하여도 되고, 피크가 되는 복수의 파장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하여도 된다. 또한, 약 2230~2400nm의 대역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의 흡수특성의 차이가 크므로, 본실시형태에서는 촬영대상의 조건(건조, 습도 등)에 따라 대역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근적외대역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필터는 1개의 필터로 실현되어도 되고, 복수의 필터를 조합하여도 된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3A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32)의 앞(카메라측)에 색표(40)를 카메라(24)측을 향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이로써,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에 피사체의 얼굴 화상과 색표(40)를 포함할 수 있어, 색표(40)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간의 보정을 실시하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색표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술한 구성 등을 사용한 조명장치(11)를 이용하여 카메라(24)로 촬영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은 도 1에 나타낸 케이블(13) 등을 통하여 화상해석장치(12)로 출력된다. 또한, 조명장치(11)와 화상해석장치(12)의 통신은,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을 사용한 무선통신이어도 되고, LAN케이블 등을 통한 유선통신이어도 된다. 나아가,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화상해석장치(12)에 촬영화상을 송신하여도 된다.
여기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되는 화상은, 예를 들어, 화장수나 유액 등의 피부외용제를 피사체에 도포하기 전, 도포직후, 도포한 후, 도포후 소정 시간 경과후의 화상 등이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조명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은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어도 되고, 연속적으로 촬영된 리얼타임영상이어도 된다. 나아가, 조명장치(11)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은 얼굴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피부(볼이나 이마 등), 눈꺼풀, 목, 눈 밑, 눈 주위, 코, 입, 입가, 귀, 눈썹, 턱 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목이나 두발 등도 포함되고, 나아가서는 팔이나 손, 다리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화상해석장치(12)에 의해 해석되는 내용은 상술한 조명장치(11)에서 얻어지는 화상 모두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광필터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화상을 촬영할 때에는 광원에서 기인하는 관찰대상물 표면에서의 해석에 불필요한 반사광(반짝거림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불필요한 반사광은 취득화상의 휘도치에 영향을 주고, 화상해석에 의한 정량평가를 실시할 때 오차가 생겨 버릴 가능성이 있어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24-1, 24-2)의 렌즈 앞부분, 뒷부분 혹은 이 양쪽에 편광필터를 설치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렌즈 부근이 아니고 광원의 앞부분에 편광필터를 설치하여도 된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에서는 렌즈 및 광원의 양쪽에 편광필터를 설치한다. 또한, 편광필터는 1 또는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본실시형태에서는 관찰대상물 표면에서 발생하는 해석에 불필요한 반사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형태에서는 이들 필터의 설치에 의해 노이즈를 감소시켜 정밀도 높은 해석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색표(4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화상해석에 의한 정량평가를 이용하여 화상간의 비교를 실시하는 경우, 촬영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생기는 것이 해석상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실시형태에서는 백으로부터 흑의 반사율을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색표(40)을 이용하여 취득화상의 휘도치를 보정함으로써, 화상취득시기의 차이에 관계없이 화상간의 비교가 가능해져 양호한 정밀도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본실시형태의 조명장치(11)에 설치되는 색표(40)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에 설치되는 색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색표가 배치된 색표보드를 위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색표보드를 카메라(24)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색표(40)는 일례로서 반사율이 상이한 3개의 색표가 보드상에 병렬로 배치된다.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각 색표는, 예를 들어,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사용되는 광원의 파장에 따라 색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표(40)를 사용함으로써 촬영되는 화상간의 휘도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색표(40)는 카메라(24)로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피사체와 함께 촬영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피사체의 받침대(32)의 앞에 색표(40)를 카메라측을 향하여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색표보드의 하부를 미리 조명장치(11)의 턱받침부재(23)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넣어 설치한다. 이로써, 색표(40)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카메라의 성능이나 정밀도, 광원의 종류나 파장 등 필요에 따라 색표(40)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있어서 색표의 수나 크기, 형상 및 색표 각각의 휘도, 배치는 도 5A와 도 5B에 나타낸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1색의 색표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장치(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화상해석장치(12)는 입력수단(41), 출력수단(42), 축적수단(43), 촬영화상 취득수단(44), 화상해석수단(45), 화상형성수단(46), 제어수단(47) 및 평가수단(48)으로 구성된다.
입력수단(41)은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화상취득의 지시나 화상해석의 지시, 평가 지시 등의 각종 지시의 개시/종료 등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또한, 입력수단(41)은,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입력수단(41)은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상수단 등으로 촬영된 피사체의 촬상부분을 포함하는 화상을 입력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출력수단(42)은 입력수단(41)에 의해 입력된 내용이나, 그 입력내용에 기초하여 실행된 내용 등의 표시·출력을 실시한다. 또한, 출력수단(42)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출력수단(42)으로서 프린터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그 경우에는 화상해석결과 등을 종이 등의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사용자나 피사체 등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41)과 출력수단(42)은, 예를 들어, 터치패널 등과 같이 일체 형의 입출력수단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형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축적수단(43)은 촬영화상 취득수단(44)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화상,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화상해석결과,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생성된 평가결과 등에 의한 각 화상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한, 축적수단(43)은 필요에 따라 축적된 각종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촬영화상 취득수단(44)은 조명장치(11)에 있어서 카메라(24)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촬영화상 취득수단(44)은 조명장치(11)에 의해 피사체의 얼굴을 촬영할 때에 촬영하는 화상의 내용에 따라, 예를 들어, 사용하는 광원의 종류나 위치, 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촬영화상 취득수단(44)은 조명장치(11)의 카메라(24)에 대하여, 상술한 제 1 필터~제 3 필터(35~37)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밴드패스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소정의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취득하기 위하여 그 촬영조건을 나타낸 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조명장치(11)에 출력한다. 또한, 촬영화상 취득수단(44)에 의해 취득된 화상은 축적수단(43)에 축적된다.
화상해석수단(45)은 촬영화상 취득수단(44)에 의해 얻어진 화상에 대하여 휘도보정이나 평균휘도치의 산출, 화장수나 유액 등의 피부외용제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의 해석, 휘도변화치의 산출, 사용자가 선택한 영역에 대한 휘도차에 대응한 의사컬러의 설정 등의 해석을 실시한다. 또한, 화상해석수단(45)은 도포전, 도포직후, 도포후의 화상을 이용하여 그들의 화상으로부터 피부 등의 해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화상해석수단(45)은 화상해석을 실시하는 부분을 촬영한 얼굴의 피부 전체에 대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또 입력수단(41)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대해서만 화상해석을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지정되는 영역은 1개이어도 되고 복수이어도 된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해석수단(45)에서 해석되는 화상은 조명장치(11)로부터 불러 들여 그때마다 실시간으로 해석하여도 되고, 또한, 미리 축적수단(43)에 축적된 화상을 이용하여 해석하여도 된다.
또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해석되는 화상은, 예를 들어, 볼이나 이마 등의 피부의 화상이며, 또한, 팔이나 손, 다리 등의 화상에서도 피부화상해석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화상해석수단(45)은 두발에 대하여도 해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해석수단(45)에 있어서의 처리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화상형성수단(46)은 화상해석수단(47)에 의해 해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제시하기 위한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수단(46)은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해석된 휘도차이에 대응한 의사컬러를 합성하고, 합성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화상형성수단(46)은 합성화상을 화면에 표시할 때에 사용자가 보기 쉽게 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소정 영역에 대한 휘도영역의 확대나 차분화상의 산출, 휘도반전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형성수단(46)은 화상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 대한 의사컬러생성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화상형성수단(46)에서의 구체적인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수단(47)은 화상해석장치(12)의 각 구성부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수단(47)은, 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 의한 입력수단(41)으로부터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화상해석처리나 화상생성처리 등의 각 제어를 실시한다.
상술한 화상해석장치(12)에 있어서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프로그램(화상해석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예를 들어,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서버 등에 그 실행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본발명에 있어서의 피부외용제의 도포전후 및 도포후 소정 시간 경과후에 촬영한 소정의 근적외영역에 있어서의 화상을 이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가 실현가능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가 실현가능한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의 컴퓨터 본체에는 입력장치(51), 출력장치(52), 드라이브장치(53), 보조기억장치(54), 메모리장치(55), 각종 제어를 실시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56), 네트워크접속장치(57)로 구성된다. 이들 장치는 시스템버스(B)로 서로 접속된다.
입력장치(51)는 사용자 등이 조작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프로그램의 실행 등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장치(51)는 네트워크접속장치(57) 등에 접속된 외부장치로부터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얻어지는 이미 측정된 평가대상부위에 있어서의 피부외용제의 도포후 또는 근적외선 조사후에 촬영된 피사체의 얼굴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출력장치(52)는 본발명에 있어서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본체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윈도우나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CPU(56)가 갖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경과나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장치(52)는 상술한 처리결과 등을 종이 등의 인쇄매체에 인쇄하여 사용자 등에게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발명에 있어서 컴퓨터 본체에 인스톨되는 실행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나 CD-ROM, DVD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58) 등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58)는 드라이브장치(53)에 세팅가능하고, 기록매체(58)에 포함되는 실행프로그램이 기록매체(58)로부터 드라이브장치(53)을 통하여 보조기억장치(54)에 인스톨된다.
보조기억장치(54)는 하드디스크 등의 스토리지수단이며, 본발명에 있어서의 실행프로그램이나 컴퓨터에 형성된 제어프로그램 등을 축적하여 필요에 따라 입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55)는 CPU(56)에 의해 보조기억장치(54)로부터 읽어내어진 실행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장치(55)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진다.
CPU(56)는 OS(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프로그램 및 메모리장치(55)에 저장되는 실행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연산이나 각 하드웨어 구성부와의 데이터의 입출력 등, 컴퓨터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여 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은 보조기억장치(54)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또한, 실행결과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접속장치(57)는 통신네트워크 등과 접속함으로써 실행프로그램을 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다른 단말기 등으로부터 취득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진 실행결과 또는 본발명에 있어서의 실행프로그램 자체를 다른 단말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접속장치(57)는 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장치에 의해 이미 측정된 평가대상부위에 있어서의 피부외용제의 도포후 또는 자외선 조사후에 촬영된 피사체의 피부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발명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본발명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가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처리 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낸다 화상해석처리는 먼저, 베이스인 피부외용제 도포전의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취득하고(S01), 또한, 피부외용제 도포후의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취득한다(S02). 또한, S01 및 S02의 처리에서 취득되는 화상은 상술한 조명장치(11) 등에 있어서 할로겐램프 등의 광원을 이용하고, 상술한 필터 등에 의해 필터링된 소정의 근적외영역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S01의 처리에서는 미리 베이스화상을 취득하여 두고, 축적수단 등에 축적하여 두어도 된다.
또한, 피부외용제를 도포한 후에는 그 효과가 보일 정도로 소정 시간 경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과시키는 시간은 피부외용제나 도포량, 도포한 부위 등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S02의 처리에서 취득되는 화상은,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의 도포직후의 화상이어도, 나아가서는 도포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후(예를 들어, 10분후나 30분후 등)의 화상을 계속적으로 취득하여도 된다. 또한, 이들 화상은 소정 시간 마다의 화상을 경시적으로 복수 취득하여도 된다. 또한, S02의 처리에서 취득한 화상은 후단에서 S01의 화상과 비교하여 해석이나 평가 등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S01 및 S02의 처리에서 얻어진 화상의 휘도보정을 실시한다(S03). 또한, 휘도보정된 화상을 이용하여 2개의 화상의 차분화상을 생성한다(S04). 또한, S03 및 S04의 처리는 미리 설정된 취득한 화상 전체에 대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사용자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상중의 영역(1또는 복수)에 대하여 실시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S04의 처리에서 취득한 차분화상에 대하여 영역내의 소정 화소 마다 그 휘도의 차분치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의사컬러를 할당하고(S05), 나아가 그 할당한 의사컬러를 차분화상에 합성하여 평가화면 등을 생성하고(S06), 생성한 화상을 화면에 표시한다(S07). 또한, S06의 처리에서는, 상술한 화상해석수단(45)으로부터 얻어지는 해석결과나 평가수단(48)으로부터 얻어지는 평가결과 등을 이용하여 평가화면 등의 생성을 실시한다.
여기서, 다른 화상에 의한 해석을 실시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S08), 다른 화상에 의한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S08에 있어서, YES), S03로 돌아와 S02의 처리에서 취득한 다른 화상을 이용하여 후술할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의 해석, 평가를 실시한다.
여기서, 화상을 해석할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의사컬러를 지표로서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지표의 도출은 미리 설정된 지표를 사용하여도 되고, 평가대상부위나 피부외용제의 성분, 이미 도출하여 평가된 지표의 내용 등으로부터 임의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로써, 피부외용제를 사용자에 도포한 후의 도포불균일 등의 피부상태를 간편하고 또한 단시간에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취득과 화상해석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11)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예에 대하여 종래 기술의 조명장치로 촬영한 화상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조명장치와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의 촬영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종래의 조명장치로 촬영한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의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명장치(11)로 촬영한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의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베이스」는 중심파장을 1300nm±40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1」은 중심파장을 1500nm±4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기름」은 중심파장을 1775nm±50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2」는 중심파장을 1920nm±5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낸 종래예에서는,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의 어느 것에서도 광대뼈, 눈커풀 등 요철부에서 정반사광이 희게 찍혀 버린다. 그러나, 도 9(b)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는 반짝거림이 없는 높은 정밀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기름의 화상의 취득에 대하여는 상술한 중심파장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약 2230~2400nm정도의 대역(바람직하게는 중심파장을 2345nm±50nm정도의 대역)을 이용하여도 동일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해석 화상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 좌측 볼에 촉촉히 화장수를 코튼으로 도포하고, 도포전, 도포직후에 해석한 예」와, 「(2) 좌측 볼에 촉촉히 유액을 코튼으로 도포하고, 도포전, 도포직후 및 도포 10분후에 해석한 예」와, 「(3) 좌측 모발에 헝클어진 모발을 수선하기 위한 헤어트리트먼트를 분무하고, 도포전, 도포직후에 있어서 해석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화장수 도포전후의 피부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포전과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베이스」, 「물 1」, 「물 2」의 각각의 화상이 나타난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도포직후의 영역(61-1~61-3)은 피부외용제(도 10의 예에서는 화장수)를 도포한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에 나타나는 화상에 대하여는 모두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휘도보정을 한다. 휘도보정이란, 예를 들어, 화상내의 어느 소정의 화소단위(예를 들어, 20×20 픽셀)에 있어서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화상에 대하여 흑을 휘도 30으로 하고, 회색을 휘도 120으로 하여 2점에서 화상 전체를 보정한다. 이로써, 화상상의 노이즈를 저감하고 화상을 평활화시킬 수 있다.
도 10에 의하면, 물이 있으면 검게 표시되고, 특히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물 2」의 근적외영역에 대하여는 도포한 영역(61-3)에서 그 부분이 검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피부외용제(화장수, 유액)를 도포한 경우의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해석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물 1」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예는 도포전,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베이스화상과의 차이를 화상화한 예와, 그 차이에 대하여 선택범위내에서 의사컬러를 표시한 예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 1」의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였다. 이 화상에서는 물을 도포한 부분이 희게 표시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도포영역(62)에 대하여 화장수를 도포함과 함께,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41)을 이용하여 드래그 등을 시켜 소정의 선택범위(63)을 선택하고, 그 선택범위내에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의사컬러가 설정되어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그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사컬러는 휘도차이에 따라 미리 설정한 색 또는 모양의 표기를 실시한다. 즉, 변화한 휘도의 크기에 따라 의사컬러를 표시하고, 얼굴 화상에 합성하여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정도의 차이가 있는 영역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도포전의 선택범위(63-1)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가 휘도변화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상해석수단(45)에 있어서의 화상해석은 미리 설정된 화소단위(예를 들어, 1×1, 2×2 등의 정사각형 픽셀 등)로 휘도변화치에 대응한 소정의 색에 의한 의사컬러를 할당하여도 된다.
나아가, 도 11의 예에서는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휘도변화치가 취득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수단(41) 등을 이용하여 설정된 1 또는 복수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도 11의 예에서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 64-2))으로 설정되고, 이렇게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예를 들어, 「평균휘도±표준편차」로 이루어지는 휘도변화치가 표시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의 휘도변화치는 93.1±6.1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2)의 휘도변화치는 71.0±5.7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물 2」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예는 도 11와 마찬가지로, 도포전,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베이스화상과의 차이를 화상화한 예와 그 차이에 대하여 선택범위내에서 의사컬러를 표시한 예를 포함한다. 또한, 도 12의 예에서는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 2」의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였다. 이 화상에서는 물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도포영역(62)에 대하여 화장수를 도포함과 함께,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41)을 이용하여 드래그 등을 하여 소정의 선택범위(63)을 선택하고, 그 선택범위내에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의사컬러가 설정되어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그 결과가 표시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도포전의 선택범위(63-1)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가 휘도변화량이 특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 12의 예에서는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휘도변화치(도 12의 예에서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 64-2))가 설정되고, 이렇게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예를 들어 「평균휘도±표준편차」로 이루어지는 휘도변화치가 표시된다. 도 12의 예에서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의 휘도변화치는 195.4±7.9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2)의 휘도변화치는 153.6±6.0인 것을 알 수 있다. 즉, 「물 1」보다 「물 2」가 베이스화상과의 휘도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화장수 도포전후에서의 선택영역의 물의 휘도변화를 몇몇의 처리를 한 후에 산출하였다. 또한, 변화한 휘도의 크기에 따라 의사컬러가 표시되고, 얼굴 화상에 겹쳐 표시된다. 화장수 도포부분에서는 「물 1」, 「물 2」의 휘도치는 크게 변화하였다. 「물 1」과「물 2」에서는 변화패턴이 약간 상이하였다. 이는 파장에 의한 물의 검출감도가 상이한 것 혹은 물의 파장에 의해 검출되는 피부내의 깊이가 상이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참고 논문:M Egawa, H Arimoto, T Hirao, M Takahashi, and Y Ozaki, Regional Difference of Water Content in Human Skin Studied by Diffuse-reflectance Near-infrared Spectroscopy-Consideration of Measurement Depth-, Appl Spectrosc, 60(1), 24-28(2006).
다음으로, 유액의 도포전후의 피부화상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유액의 도포전후의 피부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예는 도포전과 도포직후 및 도포후 10분 경과후에 있어서의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의 각각의 화상을 나타낸다.
여기서, 「베이스」는 중심파장을 1300nm±40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1」은 중심파장을 1500nm±4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기름」은 1775nm±50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2」는 중심파장을 1920nm±5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도포직후의 영역(61-1~61-4)은 피부외용제(도 13의 예에서는 유액)를 도포한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3에서는 취득한 모든 도면에 대하여 상술한 휘도보정이 행해진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되는 화상의 영역(62-1~62-4)은 각각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에 있어서의 도포영역을 나타낸다. 도포영역(62-1~6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나 기름이 있으면 검어진다. 또한, 도 13의 예에서는 유액이기 때문에 물과 기름이 함께 변화하고 있다. 도포직후에 비하여 10분후에서는 검은 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물 1」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예는 도포전, 도포직후, 10분후에 있어서의 베이스화상과의 차이를 화상화한 예와 그 차이에 대하여 선택범위내에서 의사컬러를 표시한 예를 포함한다. 또한, 도 14의 예에서는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 1」의 화상에서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였다. 이 화상에서는 물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도 14의 예에서는 도포영역(62)에 대하여 화장수를 도포함과 함께,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41)을 이용하여 드래그 등을 하여 소정의 선택범위(63)를 선택하고, 그 선택범위내에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의사컬러가 설정되고,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그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사컬러는 휘도차이에 따라 미리 설정한 색 또는 모양의 표기를 실시한다. 즉, 변화한 휘도의 크기에 따라 의사컬러를 표시하고, 얼굴 화상에 합성하여 겹쳐진 상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영역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도포전의 선택범위(63-1)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가 휘도변화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가 휘도변화량이 줄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4에 의하면,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이나 기름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고 있고, 이 화상에서는 물이나 기름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또한, 유액이므로 「물 1」은 10분후에도 유지된다. 즉, 피부에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장수 도포전후에서의 선택영역의 「물 1」의 휘도변화를 상술한 화장수의 예와 같이 몇몇의 처리를 한 후에 산출하면,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의 휘도변화치는 119.0±10.5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2)의 휘도변화치는 72.7±4.9이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3)의 휘도변화치는 103.6±8.0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4)의 휘도변화치는 75.2±4.5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기름」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예는 도포전, 도포직후, 10분후에 있어서의 베이스화상과의 차이를 화상화한 예와 그 차이에 대하여 선택범위내에서 의사컬러를 표시한 예를 포함한다.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기름」의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였다. 이 화상에서는 기름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도포영역(62)에 대하여 화장수를 도포함과 함께,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41)을 이용하여 드래그 등을 시켜 소정의 선택범위(63)를 선택시켜, 그 선택범위내에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의사컬러가 설정되어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그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사컬러는 휘도차이에 따라 미리 설정한 색 또는 모양의 표기를 실시한다. 요컨대, 변화한 휘도의 크기에 따라 의사컬러를 표시하고, 얼굴 화상에 합성하여 겹쳐진 상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영역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5의 예에서는, 도포전의 선택범위(63-1)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가 휘도변화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가 휘도변화량이 줄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5에 의하면,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이나 기름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고 있고, 이 화상에서는 물이나 기름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또한, 유액이므로 「기름」은 10분후에도 유지된다. 즉, 피부에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장수 도포전후에서의 선택영역의 「기름」의 휘도변화를 상술한 화장수의 예와 같이 몇몇의 처리를 한 후에 산출하면,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의 휘도변화치는 146.8±10.4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2)의 휘도변화치는 109.9±5.8이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3)의 휘도변화치는 132.5±5.8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4)의 휘도변화치는 103.2±5.0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물 2」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예는 도포전, 도포직후, 10분후에 있어서의 베이스화상과의 차이를 화상화한 예와 그 차이에 대하여 선택범위내에서 의사컬러를 표시한 예를 포함한다. 또한, 도 16의 예에서는,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 2」의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였다.
도 16의 예에서는, 도포영역(62)에 대하여 화장수를 도포함과 함께,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수단(41)을 이용하여 드래그 등을 시켜 소정의 선택범위(63)을 선택하고, 그 선택범위내에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의사컬러가 설정되어 화상형성수단(46)에 의해 그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 의사컬러는 휘도차이에 따라 미리 설정한 색 또는 모양의 표기를 실시한다. 즉, 변화한 휘도의 크기에 따라 의사컬러를 표시하고, 얼굴 화상에 합성하여 겹쳐진 상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영역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서는, 도포전의 선택범위(63-1)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가 휘도변화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포직후의 선택범위(63-2)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와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에 있어서의 의사컬러표시를 비교하면, 도포 10분후의 선택범위(63-3)가 휘도변화량이 줄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6에 의하면, 피부표면에서의 반사를 어느 정도 보정하기 위하여, 휘도보정한 후, 물이나 기름 화상으로부터 베이스화상을 뺀 차분화상을 산출하고 있고, 이 화상에서는 물이나 기름을 도포한 부분은 희게 표시된다. 또한, 유액이므로 「물 2」는 10분후에도 유지된다. 즉, 피부에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장수 도포전후에서의 선택영역의 「물 2」의 휘도변화를 상술한 화장수의 예와 같이 몇몇의 처리를 한 후에 산출하면,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1)의 휘도변화치는 194.3±14.8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2)의 휘도변화치는 139.0±4.9이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3)의 휘도변화치는 184.5±10.6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64-4)의 휘도변화치는 139.2±5.0인 것을 알 수 있다.
도포직후에는 「기름」, 「물 1」, 「물 2」가 모두 도포한 부분이 변화한다. 또한, 그 변화는 「물 2」>「물 1」이었지만, 이 요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촬영감도 및 촬영깊이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포 10분후에서는 「물 1」, 「물 2」, 「기름」이 모두 직후보다 감소하지만, 아직 충분히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포부위 이외를 보면, 「기름」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는데 반하여, 「물 2」에서는 도포전에 비해 10분후에 있어서 휘도치가 변화하면 물이 증가한다. 이는 도포는 세안 10분후에 행하였지만, 그 후 원래 가지고 있는 피부의 기능으로 세안에 의해 소실된 수분량이 회복하여 온 과정을 검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근적외영역에서 각 화상을 조합하면, 유액과 같이 물과 기름의 양쪽의 변화를 추적하고 싶은 샘플에 대하여 동시 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헤어트리트먼트의 도포전후의 두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7의 예에서는 도포전과 도포직후 그리고 도포후 10분 경과후에 있어서의 「베이스」, 「물 1」, 「기름」, 「물 2」의 각각의 화상이 나타난다.
여기서, 「베이스」는 중심파장을 1300nm±40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1」은 중심파장을 1500nm±4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내고, 「물 2」는 중심파장을 1920nm±55nm정도로 취득한 화상을 나타낸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도포직후의 영역(61-1~61-3)은 피부외용제(도 17의 예에서는 헤어트리트먼트)를 도포한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7에서는 취득한 모든 도면에 대하여 상술한 휘도보정을 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되는 화상의 영역(62-1~62-3)은 각각 「베이스」, 「물 1」, 「물 2」에 있어서의 도포영역을 나타낸다. 도포영역(62-1~6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이 있으면 검게 된다.
즉, 도 17에서는 상술한 조명장치(11)에 후두부를 벗겨 촬영하였다. 도 17의 예에서는 물이 있으면 검게 된다. 여기서, 모발은 피부와 달리 원래의 수분량이 매우 적으므로 희게 찍힌다. 베이스화상의 도포직후에 검은 부분이 있는 이유는 수계의 트리트먼트를 분무하면 촉촉해져 분무한 부분이 뭉쳐지므로, 머리카락이 뭉쳐져 뜬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도 17에 나타낸다 「물 1」, 「물 2」의 화상에서는 분무한 부분이 물의 흡수로 검게 표시된다. 「물 1」과「물 2」에서는 찍힌 형태가 상이한데, 이는 파장에 의한 물의 검출감도 또는 촬영깊이의 차이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내용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화면을 보다 사용자에 알기 쉽게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장수 도포전후의 휘도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선택범위 의사컬러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도포직후에 있어서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물 1」-「베이스」), (「기름」-「베이스」), (「물 2」-「베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화장수는 피부외용제의 도포영역(71)에 각각 나타난다. 또한, 「물 1」, 「물 2」인 경우와, 「기름」인 경우에서 휘도변화의 차분화상의 색이 변화되어 나타난다. 도 18에서는 어느 쪽도 도포영역(71)에서는 색이 진하게 표시되어 차분치가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9는 상술한 의사컬러를 할당하는 선택범위(72)와 각 조건에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1~73-3)을 나타낸다.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에 있어서, 「물 1」-「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1)의 휘도변화치는 185.6±22.7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2)의 휘도변화치는 205.7±17.9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3)의 휘도변화치는 238.7±16.0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름」-「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1)의 휘도변화치는 213.7±22.4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2)의 휘도변화치는 234.8±16.5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3)의 휘도변화치는 254.0±5.2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물 2」-「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1)의 휘도변화치는 138.4±21.2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2)의 휘도변화치는 193.0±21.5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3)의 휘도변화치는 254.9±1.6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9에서는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로는, 「기름」이 변화가 적고, 「물 1」, 「물 2」는 변화가 큰 것이 밝혀졌다. 나아가, 「물 1」보다 「물 2」이 변화가 큰 것이 밝혀졌다.
여기서,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액 도포전후의 휘도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1은 도 20에 대응하는 선택범위 의사컬러표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0 및 도 21은 도포직후 및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물 1」-「베이스」), (「기름」-「베이스」), (「물 2」-「베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화장수는 피부외용제의 도포영역(71)에 각각 나타난다. 또한, 「물 1」, 「물 2」인 경우와 「기름」인 경우에서는 휘도변화의 차분화상의 색이 변화되어 표시된다. 도 20에서는 어느 쪽도 도포영역(71)에서는 색이 진하게 표시되어 차분치가 컸다는 것을 일 수 있다. 나아가, 도포 10분후에서도 도포영역에는 동일한 휘도변화를 볼 수 있다.
도 21은 상술한 의사컬러 선택범위(72)와 각 조건에서의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 73-5)을 나타낸다.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에 있어서, 「물 1」-「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134.0±19.4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247.4±9.0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128.4±30.3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233.1±12.1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에 있어서, 「기름」-「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153.1±24.9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229.4±15.9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143.6±27.3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226.5±15.9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도포직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에 있어서, 「물 2」-「베이스」인 경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69.5±31.2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222.8±15.3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포 10분후에 있어서의 도포전으로부터의 변화는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4)의 휘도변화치는 79.8±27.1이며, 휘도변화치 측정영역(73-5)의 휘도변화치는 179.2±17.0인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휘도변화치 측정영역에 대한 휘도변화치를 제시함으로써, 임의의 장소에 대한 변화치를 용이하게 제시할 수 있고, 휘도차이를 수치로 명확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화상은 리얼타임으로 피사체나 사용자에 보일 수도 있으므로, 피부외용제를 도포하면서 화장 카운셀링을 실시하는 등도 가능하다.
나아가, 취득한 화상을 피사체마다 관리하여 축적해 두고, 어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여 경시적인 평가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4파장을 사용하여 피부나 모발 등을 해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높은 정밀도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이용하여 피부 등의 해석을 높은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기제중의 물의 존재상태의 검토나, 처방에 의한 물상태의 차이의 이미징, 피부확대화상(피구(皮丘), 피구(皮溝)에서의 물의 도포상태), 모발의 확대화상, 손톱의 수분의 이미징 등의 해석도 가능하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화장을 바르는 위치마다 혹은 사용자마다 바르는 방법에 대하여 카운셀러에 의한 카운셀링을 할 수 있고, 그 외에 미용법의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세정료의 세정효과평가나,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파운데이션(FD)의 부착상태의 평가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도포상태의 평가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발명에 의하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특정성분의 분포해석에 의한 새로운 피부질 분류법으로서 수분 및 유분 분포를 사용함에 의한 피부질 평가법이나,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분포상태의 해석에 의한 피부질 평가프로그램, 세정료의 보습효과 평가법,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에 의한 세정료의 보습효과 평가법 등의 폭넓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평가수단(48)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피부의 수분변화나 화장료의 부착상태의 변화를 평가하는 평가수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가수단(48)은 상술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해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세정료의 세정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평가방법의 실시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일례로서 근적외 이미징법을 이용하여 파운데이션(FD)을 도포한 피부에 있어서의 클린징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세정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우 볼부분에 동일한 파운데이션을 도포하고, 2개의 클린징제품을 코튼에 약 2ml정도 포함시켜 약 10초간 가압한 후 티슈로 여분의 클린징제품을 제거한다.
여기서, 도 22는 실시예 1의 평가방법에 대한 2개의 제품의 도포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사용자의 좌우 볼부분에 대하여 샘플 A, 샘플 B의 2개의 파운데이션(FD) 제품에 대하여, 도포전과 도포, 클린징처리, 클린징처리 직후, 클린징처리 15분후의 촬영할 때의 각종 조건을 나타낸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예에서는, 근적외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1950nm, 1775nm, 1500nm, 1460nm 및 1300nm의 각 대역에 의한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에서는 근적외카메라(도 2에 나타낸 카메라(24))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 도포전, 파운데이션 도포후, 처리 직후 및 처리 15분후의 화상을 취득한다. 또한, 처리 15분후에 대하여는 여분의 수분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도 23은 실시예 1의 조건으로 촬영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4는 실시예 1의 조건에서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3(a), (b)는 모두 일례로서 근적외영역이 약 1950nm에서의 파운데이션 도포전, 파운데이션 도포후, 클린징처리 직후, 클린징 15분후의 얼굴 화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들의 화상은 피사체의 턱부분 부근에 배치되는 반사율이 상이한 3개의 색표중에서 촬영한 근적외영역에 대응한 색표를 이용하여 화상처리가 실시된다. 도 23(b)는 도 23(a)의 화상에 대하여 더 나아가 미리 설정된 화상처리에 의해 콘트라스트를 강조한 화상을 나타낸다.
도 23(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근적외영역에서 촬영에 의해 피부상태의 차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 조정함으로써 피부의 차이를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근적외카메라에 의한 세정효과를 화상화한 도면에서는, 도 24(a)에 나타낸 파운데이션 도포후에 대하여는 샘플 A, 샘플 B 모두 파운데이션이 도포되는 부위가 어둡게 표시되어 있고, 또한, 도 24(b)에 나타낸 클린징 15분후에, 샘플 A는 어두운 부분이 남아 있지만, 샘플 B는 거의 제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샘플 B가 세정효과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평가수단(48)은 상술한 화상해석수단(45)에 의한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의 부착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평가방법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일례로서 근적외 이메징법을 사용한 파운데이션 도포후의 경시적변화를 관찰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파운데이션의 부착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는 먼저 좌우 볼부분에 화장을 포함하는 상이한 파운데이션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근적외카메라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 도포전, 파운데이션 도포직후, 60분후의 화상을 취득한다.
여기서, 도 25~도 28은 실시예 2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화상예(그 1~그 4)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5에서는 리퀴드 파운데이션(FD)을 도포한 때(도 25(a)) 및 파우더리 파운데이션(FD)을 도포한 때(도 25(b))의 맨피부의 비교와 파운데이션 도포직후의 비교평가를 실시한 것이다. 도 25의 화상은 근적외영역을 약 1500nm로 하여 촬영한 화상이다.
도 25(a)에 나타낸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이 도포되므로 전체가 희어진다. 또한, 도 25(b)에 나타낸 파우더리 파운데이션의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이 도포되므로 전체가 희어지고 도포불균일이 회색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도 25에 나타낸 화상을 사용함으로써 파운데이션 부착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피부(세안 5분후), 도포직후, 도포후 6시간후에 각각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파운데이션의 도포에 있어서의 경시적(시계열)변화를 보면, 도포직후에 흰 부분이 약간 회색이 되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해석을 실시함으로써, 파운데이션이 안정화되어 있는 모습을 판별할 수 있고, 파운데이션마다 피부에 대한 부착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직후와 6시간후의 피부화상의 볼부분를 비교하면, 통상적인 사진(컬러화상)에 비해 상술한 근적외영역에서 촬영한 화상(근적외영역 화상)이 차이가 분명히 표시된다. 그 때문에,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근적외영역 화상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본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화상형성수단(46) 등에 있어서 근적외카메라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도포상태를 화상화한 경우에,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얼굴과 좌측 얼굴에서 메이크 유무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적외카메라 화상을 생성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도 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료의 도포상태의 변화부분을 의사컬러화한 컬러화상도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28(a)~(c)에 나타낸 생성된 화면의 각각을 적절히 표시함으로써 파운데이션의 부착상태를 높은 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가수단(48)에 의해 세정료에 의한 보습효과나 화장료의 부착상태 대하여 화상해석에 의한 고정밀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평가수단(48)은 보습효과 또는 화장료의 부착상태의 어느 한쪽의 평가만을 실시하여도 되고, 또한 양쪽의 평가를 실시하여도 된다. 이들 평가내용은, 예를 들어,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도 있고, 나아가 촬영대상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의하면 근적외영역의 화상을 이용하여 피부 등의 해석을 높은 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그 해석결과로부터 피부 등에 대한 높은 정밀도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기제중의 물의 존재상태의 검토나, 처방에 의한 물 상태의 차이의 이메징, 피부확대화상(피구, 피구에서의 물의 도포상태), 모발의 확대화상, 손톱의 수분 이메징 등의 해석도 가능하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화장을 바르는 위치마다 혹은 사용자마다 바르는 방법에 대하여 카운셀러에 의한 카운셀링을 할 수 있고, 그 외에 미용법의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세정료의 세정효과의 평가나,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으로부터 피부 노출의 평가에 의한 파운데이션(FD)의 부착상태 평가법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의 도포상태평가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발명에 의하면,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특정성분의 분포해석에 의한 새로운 피부질 분류법으로서 수분 및 유분 분포를 사용함에 의한 피부질 평가법이나,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분포상태의 해석에 의한 피부질 평가프로그램, 세정료의 보습효과 평가법, 근적외 화상을 사용한 수분분포상태의 해석에 의한 세정료의 보습효과 평가법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발명에 의하면, 화장을 바르는 위치마다 혹은 사용자마다 바르는 방법에 대하여 카운셀러에 의한 카운셀링을 실시할 수 있고, 그 외에 미용법의 평가에도 널리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본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국제출원은 2010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52189호, 2010년 3월 9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52190호, 2010년 9월 6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99388호 및 2010년 9월 6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99389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일본특허출원 제2010-52189호, 일본특허출원 제2010-52190호, 일본특허출원 제2010-199388호 및 일본특허출원 제2010-199389호의 모든 내용을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7)

  1.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있어서 피사체의 얼굴 화상을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하기 위한 조명장치로서,
    피사체의 얼굴 전체 부분을 수용하고, 구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구형상의 면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좌우 대상인 위치에 각각 1 또는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공간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2개의 광원과,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에 의한 광이 조사된 상기 얼굴 전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 중 1개 이상의 앞에 설치되고 자외선 및 적외선을 차단하는 제 1 필터,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의 앞에 설치되고 광량을 조정하는 제 2 필터 및 상기 복수의 상이한 근적외영역에 대응시킨 밴드패스필터링을 실시하는 제 3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피사체에 직접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제 1 차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의 렌즈의 앞에 제 2 차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 및 상기 제 3 필터의 종류를 변경하기 위한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소정의 도료를 덧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 중 1개 이상은 근적외영역을 촬영하기 위한 할로겐광원 또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27023404A 2010-03-09 2011-03-01 조명장치 KR101385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2190 2010-03-09
JPJP-P-2010-052189 2010-03-09
JP2010052189 2010-03-09
JP2010052190 2010-03-09
JPJP-P-2010-199388 2010-09-06
JP2010199388A JP4882019B2 (ja) 2010-03-09 2010-09-06 照明装置
JPJP-P-2010-199389 2010-09-06
JP2010199389A JP4832590B2 (ja) 2010-03-09 2010-09-06 画像解析方法、評価方法、画像解析装置、及び画像解析プログラム
PCT/JP2011/054613 WO2011111567A1 (ja) 2010-03-09 2011-03-01 照明装置、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評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638A Division KR101385544B1 (ko) 2010-03-09 2011-03-01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평가방법 및 화상해석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870A KR20120112870A (ko) 2012-10-11
KR101385543B1 true KR101385543B1 (ko) 2014-04-16

Family

ID=471563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404A KR101385543B1 (ko) 2010-03-09 2011-03-01 조명장치
KR1020137027638A KR101385544B1 (ko) 2010-03-09 2011-03-01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평가방법 및 화상해석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7638A KR101385544B1 (ko) 2010-03-09 2011-03-01 화상해석장치, 화상해석방법, 평가방법 및 화상해석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5003B2 (ko)
EP (2) EP2759256B1 (ko)
KR (2) KR101385543B1 (ko)
CN (2) CN102791187B (ko)
HK (1) HK1173635A1 (ko)
WO (1) WO2011111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6775B2 (en) 2008-10-29 2015-01-20 Zpower, Llc Cathode active material (higher oxides of silver)
WO2012040298A1 (en) * 2010-09-24 2012-03-29 Zpower, Llc Cathode
JP6051558B2 (ja) * 2012-03-28 2016-12-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と撮像方法、プログラム、撮像システム、および付属装置
DK2901516T3 (en) 2012-09-27 2017-09-11 Zpower Llc cathode
JP6452272B2 (ja) * 2013-02-22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分光カメラ、及び分光画像処理方法
CN104814740B (zh) * 2014-09-16 2017-05-03 赵益民 图像采集方法和装置
CN105487321B (zh) 2015-12-28 2018-08-14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红外补光灯的控制方法及拍摄装置
CN106841099B (zh) * 2016-07-29 2020-04-07 重庆医科大学 基于毛发判别哺乳动物性别的近红外光谱分析方法
US10511777B2 (en) 2016-11-08 2019-12-17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US11122206B2 (en) 2016-11-08 2021-09-14 Preh Holding, Llc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JP6763753B2 (ja) * 2016-11-16 2020-09-30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美容器具
US10542928B2 (en) * 2017-04-04 2020-01-28 Casio Computer Co., Ltd. Medical imaging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having different light emission directions
JP6656210B2 (ja) * 2017-07-21 2020-03-04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サイエンス 分光蛍光光度計
EP3744232A4 (en) * 2018-01-26 2022-02-16 Oui Inc. CLOSE IMAGING DEVICE
CN111787846A (zh) * 2018-03-08 2020-10-16 宝洁公司 与图像捕获装置一起使用以捕获优质图像的工具及其方法
CN109938698A (zh) * 2019-03-29 2019-06-28 南京所由所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全方位面部皮肤病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12009784B2 (en) 2019-04-29 2024-06-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ater reflection analysis of encapsulated photovoltaic modules
USD1000624S1 (en) 2019-12-27 2023-10-0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US11595625B2 (en) * 2020-01-02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Mechanical infrared light filter
US11900581B2 (en) 2020-09-22 2024-02-13 Future Dial, Inc. Cosmetic inspection system
US11836912B2 (en) * 2020-09-22 2023-12-05 Future Dial, Inc. Grading cosmetic appearance of a test object based on multi-region determination of cosmetic defects
CN113080854A (zh) * 2021-03-30 2021-07-09 苏州优薇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提供防晒化妆品使用反馈的紫外线高敏感的成像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73A (ja) * 1997-09-12 1999-03-23 Kenji Hashimoto 肌診断器具
EP1433418A1 (en) * 2002-12-27 2004-06-30 Unilever Plc Skin diagnost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5099575A1 (ja) 2004-04-15 2005-10-27 Moritex Corporation 顔面撮像装置
JP2010025622A (ja) 2008-07-16 2010-02-04 Pola Chem Ind Inc 皮膚水分量分布の鑑別法、その鑑別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0193A (en) * 1964-12-30 1967-07-11 Polaroid Corp Camera apparatus
US6571003B1 (en) * 1999-06-14 2003-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imaging and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JP2002324126A (ja) * 2001-04-25 2002-11-08 Sharp Corp メイクアップアドバイス情報供給システム
JP2004206688A (ja) * 2002-12-12 2004-07-22 Fuji Photo Film Co Ltd 顔認識方法、顔切出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7400754B2 (en) * 2003-04-08 2008-07-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ation of chromophore content and distribution in skin using cross-polarized diffuse reflectance imaging
CN1627317A (zh) 2003-12-12 2005-06-15 北京阳光奥森科技有限公司 利用主动光源获取人脸图像的方法
CN100421621C (zh) * 2004-04-15 2008-10-01 株式会社茉莉特斯 脸面拍照装置
JP4683200B2 (ja) * 2004-04-30 2011-05-11 花王株式会社 髪領域の自動抽出方法
JP2007010584A (ja) * 2005-07-01 2007-01-18 Shiseido Co Ltd 対象における尿素の量を評価する方法及び装置、対象における尿素及び水分の量を評価する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A2620114A1 (en) 2005-09-02 2007-03-0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Method of evaluating skin conditions and method of estimating skin thickness
CN1961820B (zh) * 2005-11-08 2011-03-16 株式会社资生堂 肌肤状态分析方法以及肌肤状态分析装置
CN200941278Y (zh) * 2006-08-01 2007-08-29 姚欣 一种底光源导光板超薄灯箱
US7764303B2 (en) * 2006-10-02 2010-07-2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analyzing digital images of the skin
JP2009006089A (ja) 2007-06-29 2009-01-15 Noritsu Koki Co Ltd 顔撮影装置
MX2010007463A (es) * 2008-01-07 2011-03-02 Myskin Inc Sistema y método para el análisis de la interacción luz-materia a base de convolución espectral.
CA2714562C (en) * 2008-01-31 2017-11-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actical modeling and acquisition of layered facial reflectance
FR2930826B1 (fr) 2008-04-30 2010-09-03 Oreal Dispositif d'acquisition d'image, notamment en vue de l'evaluation d'une caracteristique d'aspect d'une zone du visage
JP5338199B2 (ja) 2008-08-26 2013-11-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体用支持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体
JP5239632B2 (ja) 2008-08-26 2013-07-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99389A (ja) 2009-02-26 2010-09-09 Toyota Motor Corp 太陽電池
JP5279548B2 (ja) 2009-02-26 2013-09-04 日立エーアイシー株式会社 ネジ端子付き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173A (ja) * 1997-09-12 1999-03-23 Kenji Hashimoto 肌診断器具
EP1433418A1 (en) * 2002-12-27 2004-06-30 Unilever Plc Skin diagnost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WO2005099575A1 (ja) 2004-04-15 2005-10-27 Moritex Corporation 顔面撮像装置
JP2010025622A (ja) 2008-07-16 2010-02-04 Pola Chem Ind Inc 皮膚水分量分布の鑑別法、その鑑別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1187B (zh) 2014-12-24
WO2011111567A1 (ja) 2011-09-15
EP2759256B1 (en) 2018-05-09
KR20140004768A (ko) 2014-01-13
CN103926214A (zh) 2014-07-16
CN102791187A (zh) 2012-11-21
CN103926214B (zh) 2016-07-06
KR20120112870A (ko) 2012-10-11
EP2545846B1 (en) 2015-05-06
EP2545846A1 (en) 2013-01-16
HK1173635A1 (en) 2013-05-24
KR101385544B1 (ko) 2014-04-15
US20120327207A1 (en) 2012-12-27
US9075003B2 (en) 2015-07-07
EP2545846A4 (en) 2013-08-21
EP2759256A1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543B1 (ko) 조명장치
JP6434016B2 (ja) 皮膚疾患の光学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832590B2 (ja) 画像解析方法、評価方法、画像解析装置、及び画像解析プログラム
JP4608684B2 (ja) 皮膚疾患の光学診断および治療のための装置および光源システム
RU2446731C2 (ru) Оптическое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001245B2 (ja) 皮膚評価装置、皮膚評価方法、及び皮膚評価プログラム
EP1433418A1 (en) Skin diagnost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40116353A (ko) 알츠하이머 병, 외상성 뇌손상, 시력감퇴, 신경병 및 안질환의 진단과 예측을 위해 망막내 아밀로이드를 감지하는 장치와 방법
US20190239752A1 (en) Hyperspectral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2967329B1 (en) Device for use in skin and scalp diagnosis, and method using said device
JP2006525054A (ja) 黄斑色素の分布の測定
JP2013212247A (ja) 皮膚測定システム
JP4882019B2 (ja) 照明装置
CN107005642B (zh) 图像捕获设备与感测保护设备
JP2010097126A (ja) 顔照明装置及び該顔照明装置を用いた測色装置
JP2014081294A (ja) 皮膚外用剤の塗布支援システム、塗布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74987B2 (ja) 顔撮影装置及び測色装置
JP7299801B2 (ja) 化粧剤の評価方法及び化粧剤の評価装置
Lee et al.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of pigmentary skin disease using ultraviolet optical imaging
Vega et al. Development of a Hyperspectral Colposcope for Early Detection and Assessment of Cervical Dysplasia
JP3170125U (ja) 顔照明装置及び該顔照明装置を用いた測色装置
Vega García et al. Development of a Hyperspectral Colposcope for Early Detection and Assessment of Cervical Dysplasia
JP6542884B2 (ja) 補助照明装置
JP6823368B2 (ja) 照射支援装置、顔撮影装置、及び、肌評価方法
JP3132195U (ja) 肌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